KR20050012861A -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861A
KR20050012861A KR1020050002312A KR20050002312A KR20050012861A KR 20050012861 A KR20050012861 A KR 20050012861A KR 1020050002312 A KR1020050002312 A KR 1020050002312A KR 20050002312 A KR20050002312 A KR 20050002312A KR 20050012861 A KR20050012861 A KR 2005001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ulin
blood sugar
data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수
Original Assignee
(주)옥토메티칼어플라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토메티칼어플라이언스 filed Critical (주)옥토메티칼어플라이언스
Publication of KR2005001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861A/ko
Priority to PCT/KR2005/0012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11022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단위시간에 대한 당뇨환자의 운동량과 음식물 섭취량 및 체온을 포함한 각종 건강상태의 변화 및 그 요인을 각각 측정하는 건강상태 감지부와; 당뇨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부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공급부와; 설정 시간에 따라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와 혈당측정부에 측정 개시신호를 인가하고, 이로부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와 상기 체온계의 각 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들 각각이 설정범위에 있는지를 판단과 이를 통해 혈당측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혈당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와 그에 따른 인슐린 공급량을 판단하여 이들 각 판단으로부터 상기 인슐린 공급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각 측정값과 인슐린 공급량을 포함한 데이터를 웹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토록 하는 유· 무선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당뇨환자에 대한 인슐린 공급은 물론 혈당측정까지도 적정한 실시가 이루어지고, 인슐린의 낭비를 줄이며, 웹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으로 주치의에 의한 정기적인 원격진료와 진료에 따른 원격조정이 이루어져 당뇨환자의 자생능력을 키움과 동시에 당뇨환자의 건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의료서비스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Blood sugar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make using of there}
본 발명은 당뇨환자의 건강을 유지 관리토록 하는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은 인슐린(insulin)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분비되는 인슐린이 비정상적으로 기능함에 의해 체내에서 당분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만성적 질환으로서 인슐린 의존형과 비의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중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비정상적으로 분비됨에 기인하며, 소아기 또는 30세 이전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하나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보통 40세 이후에 발생하고 전체 당뇨환자의 80-90%가 여기에 속한다. 후자는 비만과 깊은 연관관계를 가지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인슐린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당뇨환자의 치료방법으로는, 음식물의 종류와 그 섭취량을 조절하는 식이요법과 유산소운동으로 체내의 인슐린을 절약하여 혈당을 떨어뜨리는 운동요법,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공급을 통해 혈당치를 강제적으로 조절하는 약물요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위의 방법들은 당뇨환자들에게 음식물을 선별하고 그 섭취량을 조절할 것과 유산소운동을 포함한 활동량을 조절할 것 및 혈당치 변화에 대응하여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복용 또는 인슐린 공급량과 그 공급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위의 혈당 조절방법 중 식이요법과 운동량을 조절은, 당뇨환자의 혈당 조절에 대한 자생능력을 키우며,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라 할지라도 인슐린의 공급을 가급적이면 자제토록 함으로써 인슐린의 오남용과 부작용 방지 및 이를 통한 인슐린의 낭비를 줄이는 등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 널리 알려진 인슐린 공급펌프는, 당뇨환자에게 일정량의 인슐린을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인슐린 공급량(설정기본량)에 의해 저혈당으로 변화되면, 그에 대응하는 별도의 음식을 섭취하여 혈당을 유지시키도록 지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정상인의 경우는, 도 1a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 섭취에 따른 혈당치 변화에 대응하여 자연적으로 인슐린 분비량이 조절되어 혈당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는,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초 인슐린 분비량이 정상인에 비교하여 작을 뿐 아니라 음식물 섭취에 의해 혈당치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분비량이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는 혈당치가 도 1b에서 화살표(H)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는 체내의 당분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혈당 조절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른 종래 기술의 인슐린 공급시스템에 의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뇨환자의 인슐린 분비가 기본적으로 부족함에 대응하여 보충토록 하는 인슐린 공급량을 설정(설정기본량)하고, 이를 계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인슐린 공급시스템은, 당뇨환자로 하여금 제한된 시간에 맞춰 일정한 칼로리에 대응하는 식사량 및 그 실시를 제한토록 할 뿐 아니라 음식물을 섭취한 시간과 그 섭취량에 대응하여 인슐린을 추가 공급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한 그래프는, 종래 기술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혈당조절관계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실질적으로는 당뇨환자의 혈당치와 인슐린 분비량은, 당뇨환자의 체온이나 맥박의 변화를 포함한 건강상태 및 활동상태에 따라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인슐린의 설정기본량을 정하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당뇨환자의 일상생활에서 식습관은 정확한 시간에 맞추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음식물 섭취량에 대응하는 인슐린 공급량의 정확한 조절이 어렵다.
도 2b를 참조하면, A1로 표시된 부분은 당뇨환자의 수면과정 이후에 기상하여 산보 등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수면 중에도 당뇨환자의 혈당치는 정상인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당뇨환자가 산보 등의 가벼운 운동을 실시한 경우에는 체내의 당분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자연적으로 혈당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설정기본량의 인슐린을 공급하게 되면, 당뇨환자는 역으로 저혈당 증세로 반전되는 위험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슐린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거나 설정기본량 이하로 공급하여도 정상인의 혈당치 범위(70~140mg/dl)로 유지시키는데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즉, 위의 경우에서와 같이, 인슐린의 과잉공급(X1)은 인슐린의 낭비로 이어질 뿐 아니라 당뇨환자는 저혈당 증세로 반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슐린 공급은 당뇨환자의 혈당치 조절을 더욱 어렵게 한다. 또한 인슐린 공급시스템이 제시하는 식사시간 및 식사량에 대한 조건은, 당뇨환자로 하여금 일일이 확인토록 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할 뿐 아니라 도 2b의 A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당뇨환자가 식사를 거른 경우 인슐린의 추가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과잉공급(X2)이 이루어져 오히려 저혈당의 문제와 더불어 혈당 조절의 기준 마련을 더욱 어렵게 한다. 더불어 당뇨환자의 체온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인슐린 공급은 무의미 하다. 이때 계속적으로 인슐린을 공급하는 것은 저혈당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당뇨환자는 종래의 인슐린 공급시스템에 의한 혈당 조절이 적절하였는지에 대한 확인과정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하여 손가락 등을 바늘로 찔러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간헐적인 혈당 측정의 방법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당뇨환자의 건강상태(예를 들면, 단위시간내의 급격한 운동량의 변화를 들 수 있고, 또는 주위 환경에 의한 체온의 급격한 변화를 들 수 있으며, 불특정의 이유에 의해 맥박이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 및 합병증으로 인한 혈압의 변화 등)에 대처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혈당측정 방법을 포함하여, 인슐린 공급은 물론 혈당치의 측정까지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의 건강상태 및 주위 환경에 대응하여 인슐린의 설정기본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의 해결과 필요성에 의해 착안한 것으로서, 당뇨환자의 건강상태와 주위의 환경에 대응하여 인슐린 공급과 혈당 측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토록 할 뿐 아니라 인슐린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 건강상태와 주위 환경 및 혈당치 측정 데이터를 기초하여 인슐린 공급 여부와 그 양을 조절토록 하며, 당뇨환자의 생활 및 활동에 대응하여 건강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단위시간 내의 당뇨환자에 대한 건강상태 측정값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인슐린 공급량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웹 또는 유· 무선 통신으로 원격 진료서비스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뇨환자의 위급한 건강상태 악화에 대한 긴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당뇨환자의 건강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맞춤식 진료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정상인에 대한 혈당치와 그에 따른 인슐린 분비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b는 당뇨환자의 혈당치와 그에 따른 인슐린 분비량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도 1b에 도시한 당뇨환자에 대하여 종래의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한 혈당치 조절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종래의 혈당 조절시스템에 따른 인슐린 투여량과 당뇨환자의 건강상태 변화에 따른 혈당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진료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조절시스템의 특징적인 구성은, 단위시간에 대한 당뇨환자의 운동량과 음식물 섭취량 및 체온을 포함한 각종 건강상태의 변화 및 그 요인을 각각 측정하는 건강상태 감지부와; 당뇨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부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공급부와; 설정 시간에 따라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와 혈당측정부에 측정 개시신호를 인가하고, 이로부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와 상기 체온계의 각 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들 각각이 설정범위에 있는지를 판단과 이를 통해 혈당측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혈당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와 그에 따른 인슐린 공급량을 판단하여 이들 각 판단으로부터 상기 인슐린 공급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각 측정값과 인슐린 공급량을 포함한 데이터를 웹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주치의 단말기와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타이머와 상기 각 측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측정값에 대한 혈당측정과 인슐린 공급에 따른 설정기준을 당뇨환자 스스로 조절토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토록 하고, 이때 상기 메모리부는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값과 상기 체온계로부터 수신되는 당뇨환자의 체온변화 측정값과 상기 혈당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인슐린 공급부를 통한 인슐린 공급량을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상기 주치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과,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기준의 조정값을 포함한 진료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치사항으로 상기 설정범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설정범위 및 상기 인슐린 공급량 연산에 대한 변수를 조정하여 입력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 단위시간의 측정값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초기화시키도록 하는 리셋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는 만보기, 신체의 맥박의 변화를 감지하는 맥박계 및 체내의 혈압변화를 감지하는 혈압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것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은, 위의 혈당 조절시스템 구성을 구비하고, (a) 당뇨환자의 음식물 종류와 그 섭취량, 체온의 변화, 맥박의 변화, 혈압의 변화 및 운동량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취합한 각 단위시간의 측정값 데이터를 각각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상기 각 데이터가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결과가 설정범위를 벗어남에 대응하여 혈당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d) 상기 (a) 내지 (c) 단계의 결과에 대하여 인슐린 공급량을 연산하는 단계와; (e) 상기 (a), (b) 및 (d) 단계의 결과에 대응하여 인슐린의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결과가 설정범위를 벗어남에 대응하여 연산에 의한 인슐린을 공급하는 단계; 및 (g) 상기 (c) 내지 (f) 단계에 대한 혈당치 측정값과 인슐린 공급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내지 (f) 단계가 적어도 일정 기간 내에 일회 이상 반복 실시함에 대응하여 저장된 각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한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범위와 상기 인슐린 공급량에 대한 연산정보가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 내지 (g) 단계를 거쳐 얻어진 각 데이터는 일정기간을 정하여 상기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기준의 조정값을 포함한 진료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부로 하여금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치사항으로 상기 설정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에 보이스 입력부 또는 매뉴얼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음식물 종류와 그 섭취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보이스 입력부 또는 상기 매뉴얼 입력부를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기에 그 정보를 입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진료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조절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시간에 대한 당뇨환자의 운동량과 음식물 섭취량 및 체온을 포함한 각종 건강상태의 변화 및 그 요인을 각각 측정하는 건강상태 감지부(100)를 구비한다.
또한 혈당 조절시스템에는, 당뇨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부(200)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공급부(300) 및 컨트롤부(4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컨트롤부(400)는 설정 시간에 따라 건강상태 감지부(100)와 혈당측정부(200)에 측정 개시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컨트롤부(400)는 측정 개시신호에 대한 운동량 측정값과 체온 등의 측정값을 건강상태 감지부(100)로부터 수신하고, 이들 각각이 설정범위에 있는지 여부의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대하여 컨트롤부(400)는 혈당측정이 필요한지 여부 판단하며, 혈당 측정을 실시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혈당측정부(200)에 측정 개시신호를 인가하고, 그 결과로서 측정값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서 컨트롤부(400)는 혈당 측정값 데이터가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와 더불어 상술한 건강상태 감지부(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와 종합하여 인슐린의 공급량을 판단하며, 이로부터 인슐린 공급부(30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슐린의 공급 또는 추가공급의 결정은 그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당뇨환자가 평상시 수준으로 운동을 실시하지 않았거나 당분섭취에 주위를 기울이지 않은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른 인슐린의 추가 공급량은 가급적 일반적인 운동량 및 음식물 섭취량을 기준하여 혈당을 조절토록 함으로써 저혈당 증세나 인슐린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컨트롤부(400)는, 위의 구성에 더하여 타이머(500)와 상술한 각 측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600)와 상기 측정값에 대한 혈당측정과 인슐린 공급에 따른 설정기준을 당뇨환자 스스로 조절토록 하는 조작부(700) 및 상술한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인슐린 공급량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웹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주치의 단말기와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800)를 더 구비한다. 이때 메모리부(600)는 컨트롤부(400)의 제어에 의해 단위시간에 대한 건강상태 감지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값과 당뇨환자의 체온변화 측정값과 혈당측정부(200)의 측정값 및 인슐린 공급부(300)를 통한 인슐린 공급량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800)는 조작부(70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각 단위시간의 측정값 데이터와 대응하는 시간에서의 인슐린 공급량 정보를 정기적으로 주치의 단말기에 송신하고, 주치의에 의해 작성된 진료의 지시사항과 설정기준의 조정값을 포함한 진료결과를 주치의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에 대하여 컨트롤부는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800)를 통해 수신한 주치의의 조치사항을 상술한 설정범위를 조정하는데 적용한다. 그리고 조작부(7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술한 설정범위 및 인슐린 공급량 연산에 필요한 변수를 조정하여 입력하는 기능과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각 단위시간의 데이터들을 필요에 따라 초기화시키도록 하는 리셋기능을 갖는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건강상태 감지부(100)의 구성 및 이들 구성에 따른 측정값 데이터의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건강상태 감지부(100)의 구성은, 만보기(120), 신체의 맥박의 변화를 감지하는 맥박계(130), 당뇨환자의 체온의 변화를 감지하는 체온계(110) 및 체내의 혈압변화를 감지하는 혈압계(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것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건강상태 감지부(100)를 이루는 각 구성은 각각 구분되는 코드값을 가지며, 이들 각 구성들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측정값 데이터는 각 구성의 코드값과 더불어 상술한 컨트롤부(400)에 의해 단위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모리부(600)에 저장된다.
이러한 혈당 조절시스템의 구성으로부터 진료서비스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당뇨환자의 음식물 종류와 그 섭취량, 체온의 변화, 맥박의 변화, 혈압의 변화 및 운동량의 변화 등의 당뇨환자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요소를 구하고(ST102),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취합한 각 단위시간의 측정값 데이터를 각각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a) 단계가 진행된다(ST104). 이로부터 컨트롤부(400)는 상술한 측정값 데이터가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b) 단계의 진행이 이루어진다(ST106). 이후 컨트롤부(400)는 (b) 단계의 판단 결과가 설정범위를 벗어남에 대응하여 혈당측정부(200)에 혈당측정 개시신호를 인가하여 혈당치를 측정토록 하는 (c) 단계를 진행한다(ST108). 여기서 컨트롤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진행되는 (c) 단계의 혈당 측정값을 포함하여 (a)와 (b) 단계의 각 측정값 데이터를 참고하여 인슐린 공급량을 연산하는 (d) 단계를 진행토록 한다(ST110).
이때 (d) 단계에 의해 연산되어 얻어진 인슐린 공급량은 당뇨환자의 혈당을 조절하는데 영향이 미비하다고 판단될 경우 인슐린 공급을 중단토록 유도하고, 혈당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그 조절에 대응하여 연산에 의한 인슐린 공급량을 공급토록 한다(ST112)(ST114).
즉, 본 발명의 혈당 조절시스템은, 당뇨환자에 대한 인슐린의 공급 여부를 설정한 단위시간으로 판단하고, 가급적 인슐린 공급을 자제토록 유도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a) 내지 (f) 단계의 과정이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회수(X)로 반복 진행됨을 확인하고(ST116), 그 기간까지의 인슐린 공급량과 운동량을 포함한 당뇨환자의 건강상태에 대응하는 각종 측정값 데이터와 인슐린 공급량 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ST118). 이때 데이터의 출력은 상술한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800)에 의해 주치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출력물은 주치의 또는 주치의의 상담을 받은 당뇨환자가 확인되어져 (a) 내지 (f) 단계의 반복 시행과정의 설정범위와 연산정보가 당뇨환자에 대한 혈당 조절에 적합한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자료로서 사용된다(ST120). 이로부터 설정범위와 연산정보가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또는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800)를 통해 주치의 조치사항을 수신한 컨트롤부(400)는 그에 합당하도록 조작부(700)를 통해 설정범위와 연산정보의 조정을 실시한다(ST122).
여기서 상술한 출력의 과정(ST118)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한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는 주치의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한 데이터를 그 확인이 용이한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토록 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더하여 상술한 혈당 조절시스템의 컨트롤부(400)는 보이스 입력기 또는 매뉴얼 입력기를 포함한 통상의 입력기를 더 구비하여 (a) 단계에서 음식물 종류와 그 섭취량에 대한 정보는 보이스 입력기 또는 매뉴얼 입력기를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기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당뇨환자에 대한 인슐린 공급은 물론 혈당측정까지도 적정한 실시가 이루어지고, 인슐린의 낭비를 줄이며, 웹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데이터의 양방향 전송으로 주치의에 의한 정기적인 원격진료와 진료에 따른 원격조정이 이루어져 당뇨환자의 자생능력을 키움과 동시에 당뇨환자의 건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의료서비스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9)

  1. 단위시간에 대한 당뇨환자의 운동량과 음식물 섭취량 및 체온을 포함한 각종 건강상태의 변화 및 그 요인을 각각 측정하는 건강상태 감지부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당뇨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부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인슐린을 공급하는 인슐린 공급부와;
    설정 시간에 따라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와 혈당측정부에 측정 개시신호를 인가하고, 이로부터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와 상기 체온계의 각 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들 각각이 설정범위에 있는지를 판단과 이를 통해 혈당측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혈당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와 그에 따른 인슐린 공급량을 판단하여 이들 각 판단으로부터 상기 인슐린 공급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각 측정값과 인슐린 공급량을 포함한 데이터를 웹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주치의 단말기와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조절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타이머와 상기 각 측정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측정값에 대한 혈당측정과 인슐린 공급에 따른 설정기준을 당뇨환자 스스로 조절토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단위시간에 대한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측정값과 상기 체온계로부터 수신되는 당뇨환자의 체온변화 측정값과 상기 혈당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인슐린 공급부를 통한 인슐린 공급량을 데이터로서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으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상기 주치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과,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기준의 조정값을 포함한 진료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치사항으로 상기 설정범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설정범위 및 상기 인슐린 공급량 연산에 대한 변수를 조정하여 입력하는 기능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 단위시간의 측정값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초기화시키도록 하는 리셋기능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
  5. 상기 건강상태 감지부는 만보기, 신체의 맥박의 변화를 감지하는 맥박계 및 체내의 혈압변화를 감지하는 혈압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
  6. 상기 제 1 청구항 내지 제 5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혈당 조절시스템 구성을 구비하고,
    (a) 당뇨환자의 음식물 종류와 그 섭취량, 체온의 변화, 맥박의 변화, 혈압의 변화 및 운동량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취합한 각 단위시간의 측정값 데이터를 각각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상기 각 데이터가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결과가 설정범위를 벗어남에 대응하여 혈당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d) 상기 (a) 내지 (c) 단계의 결과에 대하여 인슐린 공급량을 연산하는 단계와;
    (e) 상기 (a), (b) 및 (d) 단계의 결과에 대응하여 인슐린의 공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결과가 설정범위를 벗어남에 대응하여 연산에 의한 인슐린을 공급하는 단계; 및
    (g) 상기 (c) 내지 (f) 단계에 대한 혈당치 측정값과 인슐린 공급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하는 진료 서비스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f) 단계가 적어도 일정 기간 내에 일회 이상 반복 실시함에 대응하여 저장된 각 데이터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한 데이터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범위와 상기 인슐린 공급량에 대한 연산정보가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하는 진료 서비스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g) 단계를 거쳐 얻어진 각 데이터는 일정기간을 정하여 상기 유·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설정기준의 조정값을 포함한 진료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부로 하여금 상기 주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치사항으로 상기 설정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하는 진료 서비스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보이스 입력부 또는 매뉴얼 입력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a) 단계에서 음식물 종류와 그 섭취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보이스 입력부 또는 상기 매뉴얼 입력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기와 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당 조절시스템을 이용하는 진료 서비스방법.
KR1020050002312A 2004-05-18 2005-01-10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 KR20050012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1244 WO2005110222A1 (en) 2004-05-18 2005-04-29 Blood sugar control system and medical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08 2004-07-07
KR1020040052508 2004-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861A true KR20050012861A (ko) 2005-02-02

Family

ID=3722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312A KR20050012861A (ko) 2004-05-18 2005-01-10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8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12A2 (en) * 2007-07-06 2009-01-15 Ez Medical Information Corportaion Insulin injection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0923687B1 (ko) * 2008-02-21 2009-10-28 손훈수 음향 재생 기능을 겸비한 혈당측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12A2 (en) * 2007-07-06 2009-01-15 Ez Medical Information Corportaion Insulin injection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thereof
WO2009008612A3 (en) * 2007-07-06 2009-03-19 Ez Medical Information Corport Insulin injection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0904096B1 (ko) * 2007-07-06 2009-06-23 이지의료정보 주식회사 인슐린 주입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923687B1 (ko) * 2008-02-21 2009-10-28 손훈수 음향 재생 기능을 겸비한 혈당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0726A1 (en) Pump with therapy coaching
US10448834B2 (en) Smart messages and alerts for an infusion delivery and management system
EP1703839B1 (en)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EP1848323B1 (en) Bolus estimator for semi-closed loop infusion system
DK2256494T3 (en)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r's biological condition
US9554703B2 (en) Diabetes care system for detection of an analyte and method for selective data transmission
CA2841086C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nalyte monitoring management
WO2005110222A1 (en) Blood sugar control system and medical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7187560B2 (ja) 個人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複数ユーザ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325887B1 (ko) 혈당 조절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46962A1 (en) Multi-analyt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KR20050012861A (ko) 혈당 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진료서비스 방법
KR200363849Y1 (ko) 혈당 조절시스템
CN117838978A (zh) 多传感器人工胰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