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614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614A
KR20050012614A KR1020030051748A KR20030051748A KR20050012614A KR 20050012614 A KR20050012614 A KR 20050012614A KR 1020030051748 A KR1020030051748 A KR 1020030051748A KR 20030051748 A KR20030051748 A KR 20030051748A KR 20050012614 A KR20050012614 A KR 2005001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holder
lamps
numbered
o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614A/ko
Publication of KR2005001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양 단부에 외부전극이 형성된 복수의 램프 중 홀수번째 램프는 제1 램프 홀더에 고정되고, 짝수번째 램프는 제1 램프 홀더와 대향하는 제2 램프 홀더에 고정된다. 제1 램프 홀더에는 제1 구동전압이 인가되며, 제2 램프 홀더에는 제1 구동전압과는 다른 제2 구동전입이 인가된다. 제1 램프 홀더와 제2 램프 홀더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며,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램프를 병렬 구동시키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이즈도 증가된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서 나란하게 배열되어 액정표시패널로 직접 광을 제공하는 다수의 램프를 갖는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널리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고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위해 많은 수의 램프를 필요로 하며, 또한, 상기 다수의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많은 수의 인버터가 요구되어져,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나의 인버터로 복수의 램프를 구동할 수 있는 병렬 구동이 가능한 외부전극 램프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외부전극 램프는 방전 가스가 주입된 램프 튜브의 양 단부를 외측으로 감싸면서 형성되는 외부전극을 가지며, 상기 인버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시킨다.
한편, 액정표시장치가 30인치 이상으로 대형화됨에 따라, 램프의 개수가 점차 증가되며, 하나의 인버터로 모든 램프를 구동하기에는 상기 인버터의 용량 및 크기적인 한계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램프를 2개 이상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마다 하나의 인버터를 연결하여 각 블록별로 구동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램프를 블록 단위로 나누어 구동하게되면, 각 블록 단위의 휘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한 블록과 블록 사이의 경계면이 화면에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런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램프가 노화되어 화면의 경계면이 더욱 선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램프를 2개 이상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병렬 구동하면서 표시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연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와 제1 램프 홀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와 절연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고정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램프 홀더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램프 114 : 외부전극
200 : 제1 램프 홀더 210 : 제1 고정판
220 : 제1 클립부 300 : 제2 램프 홀더
400 : 제1 고정부재 500 : 제2 고정부재
600 : 절연부재 710 : 제1 수납용기
720 : 광학부재 730 : 제2 수납용기
750 : 램프 구동부 800 : 디스플레이 유닛
900 : 탑샤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램프, 상기 복수의 램프를 고정하는 제1 램프 홀더 및 제2 램프 홀더, 제1 고정부재, 제2 고정부재, 및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램프는 방전 가스가 주입된 램프 튜브와 상기 램프 튜브의 양 단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외부전극을 갖는 외부전극 램프이며, 일직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램프 홀더는 상기 제1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램프 중 홀수번째 램프를 고정하며, 상기 홀수번째 램프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2 램프 홀더는 상기 제1 램프 홀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짝수번째 램프를 고정하며, 상기 짝수번째 램프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램프 홀더와 상기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홀더와 상기 제2 램프 홀더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유닛 및 수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램프 중 홀수번째 램프를 고정하는 제1 램프 홀더와, 짝수번째 램프를 고정하는 제2 램프 홀더 및 상기 제1 램프 홀더와 상기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를 절연시키는 절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램프를 홀수번째 램프와 짝수번째 램프로 나누어 병렬 구동시킴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좌우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대칭구조이므로, 일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복수의 램프(100), 제1 램프 홀더(200), 제2 램프 홀더(300), 제1 고정부재(400) 및 제2 고정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램프(100) 각각은 막대 형상의 램프 튜브(112)와 상기 램프 튜브(112)의 양 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114)을 갖는 외부전극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이다. 상기 램프 튜브(112)의 내부에는 방전 가스(미도시)가 주입되며, 상기 외부전극(114)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튜브(11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램프(100)는 외부로부터 상기 외부전극(114)으로 인가된 램프 구동전압에 의해 광을 발생한다.
상기 제1 램프 홀더(200)는 상기 복수의 램프(100) 중 홀수번째 램프(120)를 고정하기 위해, 제1 고정판(210)과 상기 제1 고정판(210)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된 제1 클립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클립부(220)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의 외부전극(11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를 고정한다. 상기 제1 고정판(210)은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에 대응하여 형성된 다수의 상기 제1 클립부(220)를 서로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 램프 구동전압을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의 외부전극(114)에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는 상기 제1 고정부재(4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 램프 홀더(300)는 상기 복수의 램프(100) 중 짝수번째 램프(14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마주보도록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 램프 홀더(300)는 상기 제1 고정판(210)에 대향하는 제2 고정판(310)과상기 제2 고정판(310)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된 제2 클립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클립부(320)는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의 외부전극(114)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2 클립부(320)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와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클립부(2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판(310)은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에 대응하여 형성된 다수의 상기 제2 클립부(320)를 서로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 램프 구동전압을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의 외부전극(114)에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램프 홀더(300)는 상기 제2 고정부재(5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재(500)는 상기 제2 램프 홀더(300)가 고정된 후, 상기 제1 고정부재(400)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램프(100)를 일직선상에 배열시킨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상기 제1 램프 홀더(300)의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재(600)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상기 제2 램프 홀더(300)가 인접 배치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방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상기 제2 램프 홀더(300)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램프(100)의 위치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연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부재(600)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면(610)과, 상기 상부면(6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와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면(620)과, 상기 제2 면(62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3 면(630), 및 상기 제1 면 내지 제3 면(610, 620, 630)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제4 면(6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면 내지 제3 면(610, 620, 630)은 상기 복수의 램프(100) 수만큼 반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절연부재(600)는 일 실시예로 양 단부에 형성된 제1 관통공(640a, 640b)을 통해 상기 제1 고정부재(400)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600)는 제1 면 내지 제4 면(610, 620, 630, 640)만을 갖도록 구성되나, 제1 램프 홀더(200)와 제2 램프 홀더(300) 간의 보다 확실한 절연을 위해 상기 절연부재(600)의 측면이 램프(10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만을 남기면서 막혀 있는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부재와 제1 램프 홀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1의 제1 고정부재와 절연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램프 홀더(200)는 상기 제1 고정판(210)과 상기 제1 고정판(21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클립부(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판(210)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관통공(230a, 230b, 230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부재(400)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가 결합되는 바닥면(410)과 상기 바닥면(410)으로부터 연장된 제1 측면(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410)에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2 관통공(230a, 230b, 230c)에 대응하여 제1 체결공(412a, 412b, 412c)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60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 관통공(640a, 640b)에 대응하여 제2 체결공(414a, 41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400)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재(5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공(430a, 430b)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램프 홀더(200)는 상기 제2 관통공(230a, 230b, 230c)과 상기 제1 체결공(412a, 412b)의 나사 체결 등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재(400)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절연부재(600)가 상기 제1 관통공(640a, 640b)과 상기 제2 체결공(414a, 414b)의 나사 체결 등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재(4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고정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램프 홀더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부재(500)는 상기 제2 램프 홀더(300)가 결합되는 상부면(510)과 상기 상부면(5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400)의 제1 측면(420)과 마주보는 제2 측면(5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면(510)에는 상기 제2 램프 홀더(300)와의 결합을 위한 제3 체결공(512a, 512b, 512c)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측면(520)은 상기 복수의 램프(100)의 외부전극(114)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램프 튜브(112)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램프(100)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100)가 삽입되는 삽입홈(5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램프 홀더(300)는 제2 고정판(310)과 상기 제2 고정판(31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짝수번째 래프(140)를 고정하기 위한 제2 클립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고정판(310)에는 상기 제2 고정부재(500)와의 결합을 위한 제3 관통공(312a, 312b, 312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램프 홀더(300)는 상기 제3 관통공(312a, 312b, 312c)과 상기 제3 체결공(512a, 512b, 512c)의 나사 체결 등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부재(500)의 상부면(5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500)는 양 단부에 상기 제1 고정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돌기(530a, 530b)를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돌기(530a, 530b)와 상기 제1 결합공(430a, 430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재(400)와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상기 제1 고정부재(400)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복수의 램프(100)를 수납하는 제1 수납용기(710), 상기 제2 고정부재(500)의 상측에 실장되는 광학부재(720) 및 상기 광학부재(720)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수납용기(73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납용기(710)는 저면(711) 및 상기 저면(711)으로부터 연장된 제1 내지 제4 측벽(712, 713, 714, 71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712, 713)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3 및 제4 측벽(714, 715)이 서로 마주한다.
이러한 제1 수납용기(71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벽(712, 713)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고정부재(400)가 실장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측벽(714, 715)에는 상기 제2 고정부재(500)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몰드(716)가 실장된다.
상기 광학부재(720)는 상기 복수의 램프(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광의 휘도 및 시야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학부재(720)는 상기 제2 고정부재(500) 및 상기 지지몰드(716)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며, 상기 제2 수납용기(73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수납용기(710)의 저면(711) 상에는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광학부재(720)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740)이 더 실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상기 복수의 램프(100)에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램프 구동부(7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램프 구동부(750)는 상기 제1 수납용기(710)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연결되는 제1 인버터(미도시) 및 상기 짝수번째 래프(140)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2 램프 홀더(300)와 연결되는 제2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탑샤시를 제외한 구성은 상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실시예들과 동일함으로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2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800),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800)으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800)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에 고정하기 위한 탑샤시(9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810), 상기 액정표시패널(810)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인쇄회로기판(820)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8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인쇄회로기판(820)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830)은 데이터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및 게이트 TCP에 의해 각각 상기 액정표시패널(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8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양 단부에 외부전극(114)이 형성된 복수의 램프(10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800)에 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램프(100)는 홀수번째 램프(120)와 짝수번째 램프(140)로 나누어져 개별적으로 병렬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램프 구동을 위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램프 구동부(750)는 상기홀수번째 램프(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인버터(미도시)와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를 구동하기 위한 제2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버터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의 구동을 위한 제1 구동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의 외부전극(114)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램프 홀더(200)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제2 인버터는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의 구동을 위한 제2 구동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의 외부전극(114)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램프 홀더(30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상기 제2 램프 홀더(300)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120)와 상기 짝수번째 램프(140)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상측과 하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상기 제2 램프 홀더(300) 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재(600)는 상기 제1 램프 홀더(200)와 상기 제2 램프 홀더(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동전압과 상기 제2 구동전압 간의 위상 및 주파수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호 왜곡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간의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탑샤시(900)는 제2 수납용기(73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에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800)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램프를 병렬 구동함에 있어, 홀수번째 램프와 짝수번째 램프를 서로 다른 인버터로 구동시킴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홀수번째 램프와 짝수번째 램프에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램프 홀더와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절연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서로간의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램프 튜브 및 상기 램프 튜브의 양 단부 외측에 형성된 외부전극을 갖는 복수의 램프;
    상기 복수의 램프 중 홀수번째 램프를 고정하며, 상기 홀수번째 램프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램프 홀더;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짝수번째 램프를 고정하고, 상기 짝수번째 램프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제1 램프 홀더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램프 홀더; 및
    상기 제1 램프 홀더와 상기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홀더와 상기 제2 램프 홀더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홀더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를 연결하는 제1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수번째 램프의 외부전극과 각각 결합되는 제1 클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홀더는 상기 짝수번째 램프를 연결하는 제2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제1 고정부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짝수번째 램프의 외부전극과 각각 결합되는 제2 클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홀더가 결합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측면을 갖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2 램프 홀더가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여 상기 홀수번째 램프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수번째 램프와 상기 짝수번째 램프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짝수번째 램프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 제2 면 및 제3면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4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램프 홀더가 결합되는 상부면 및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상기 제2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램프에 대응하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램프를 수납하는 제1 수납용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상측에 안착되는 광학부재; 및
    상기 광학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수납용기와 결합되는 제2 수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용기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홀수번째 램프에 인가되는 상기 제1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제1 인버터 및 상기 짝수번째 램프에 인가되는 상기 제2 구동전압을 발생하는 제2 인버터를 갖는 램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양 단부에 외부전극이 형성된 복수의 램프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홀수번째 램프와 결합되는 제1 램프 홀더와, 상기 복수의 램프 중 짝수번째 램프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램프 홀더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램프 홀더, 및 상기제1 램프 홀더와 상기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고정하기 위한 수납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홀수번째 램프와 상기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수번째 램프와 상기 짝수번째 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짝수번째 램프와 상기 제2 램프 홀더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제4 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51748A 2003-07-26 2003-07-26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12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48A KR20050012614A (ko) 2003-07-26 2003-07-26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48A KR20050012614A (ko) 2003-07-26 2003-07-26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614A true KR20050012614A (ko) 2005-02-02

Family

ID=3722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748A KR20050012614A (ko) 2003-07-26 2003-07-26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54B1 (ko) * 2006-03-02 2007-11-23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38985B1 (ko) * 2006-11-29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54B1 (ko) * 2006-03-02 2007-11-23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38985B1 (ko) * 2006-11-29 2013-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265B2 (en) Optical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43497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803181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635152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8000213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80041009A (ko)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모듈
KR10134340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KR20070002238A (ko) 액정모듈
KR2005001261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364316B2 (en) Backlight unit
KR20070016355A (ko) 평판 형광 램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00202132A1 (en) Black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8678633B2 (en) Lamp electrode printed circuit board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10094862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211962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8027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651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0515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2564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117133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8527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1919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2805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60057188A (ko) 표시장치
KR2007007622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