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200A -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 Google Patents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200A
KR20050011200A KR1020030050197A KR20030050197A KR20050011200A KR 20050011200 A KR20050011200 A KR 20050011200A KR 1020030050197 A KR1020030050197 A KR 1020030050197A KR 20030050197 A KR20030050197 A KR 20030050197A KR 20050011200 A KR20050011200 A KR 20050011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fence structure
farm
holding
e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102003005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200A/ko
Publication of KR2005001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01K2003/007Fencing and guiding systems for amphib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 개구리를 양식하는 양식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 개구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구성하는 한편, 대량 생산이가능하도록 개구리의 서식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지주봉이 지면에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주봉 상부에 지주봉과 직교하도록 이탈방지판이 설치되는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를 연결하도록 각각의 지주부재에 연결되는 보강리브; 상기 보강리브가 연결된 지주부재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소음을 발생시켜 개구리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소음발생부재; 상기 개구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주봉 하측에서 이탈방지판 저면까지 상기 소음발생부재의 외면에 덮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가림막; 상기 소음발생부재와 가림막 양측 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이음지지대; 상기 이탈방지판 상측에서 이음지지대 상측까지 연장형성되며, 양측이 전후 돌설되게 설치되는 수분차단막;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Fence structure of frog farm}
본 발명은 식용 개구리를 양식하는 양식장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 개구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구성하는 한편,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개구리의 서식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구리는 한자어로 와(蛙)라고 하며,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개구리 등의 각과가 이에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몸체가 작고 다리가 긴 종류를 개구리라 하며, 또 예로부터 울음소리를 즐기기 위해 사육한 기생개구리도 개구리라 한다.
또한 개구리는 파충류와 비슷한 양서류로서, 유생 때에는 아가미로 수중 호흡을 하면서 물에서 살고 성체가 되면 폐로 공기 호흡을 하면서 육상에서 살게 된다. 개구리의 몸 표면은 매끈하고 피부에 점액선과 과립선(顆粒腺)이 분포하고 있어 축축하며, 과립선은 독액을 분비하는 색소포(色素胞)를 가진다. 보통 비늘이나 털이 없으며, 체형에 변화가 많고 대부분 4개의 다리를 가지며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진 종류가 많다. 입은 크고 위턱 또는 양 턱에 작은 이빨들이 나 있으며, 2개의 콧구멍은 입속 천장의 앞부분에 열린다. 호흡기로서 아가미 ·폐가 있으며 피부로도 호흡한다. 심장은 2심방 l심실로 되어 있다. 신장은 성체에서는 중신형(中腎型)이다. 경골성 내골격을 가지며, 어떤 것은 갈비뼈를 가지나 없는 것도 있다.
이러한 개구리는 각종 유해곤충 들을 잡아 먹고 살기 위해 곤충이 많은 농촌지역에 서식하게 됨에 따라, 농촌 어디를 가더라도 개구리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예로부터 개구리를 쉽게 잡아 영양식으로 섭취하였는데, 최근에는 농촌에 살포되는 농약들로 인해 유해곤충이 박멸되면서 개구리의 숫자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개구리를 점차 찾아보기 힘들어지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정부에서는 최근 개구리를 보호하기 위해 농가 등에 농약 살포를 줄이도록 하는 한편, 개구리의 포획을 자제해줄 것을 농가에 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에서는 정부방침에 따라 점차 개구리의 포획량을 줄이고 있으나, 별미로 인식되어 오던 개구리를 섭취하지 못하는데 따른 다소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도심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중에 예전에 농가에서 자라나면서 섭취하던 개구리의 맛을 잊지 못해 개구리를 섭취하려 하여도 포획을 자제하기 바라는 정부의 의도와 부딪혀 많은 사람들에게 아쉬움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개구리의 수량을 예전과 같이 복원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도록 하거나 섭취를 목적으로 양식을 하는 방법이 시도될 수는 있으나, 상기 개구리를 양식장 울타리에 가둔 상태에서 양식을 하는 경우, 개구리 다리에 도포되어 있는 점액에 물이 접촉 되면, 개구리는 수직한 벽면이라도 기어오르면서 울타리를 넘어 이탈할 수 있어 양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울타리 상부에 입도가 작은 이탈방지용 그물망을 쳐서 개구리를 가두어 양식을 시도할 수는 있으나, 이같은 경우 상기 그물망이 쳐진 상태에서 태풍과 같은 바람이 거칠게 불게 되면,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그물망은 쉽게 찢어지면서 손상되어 찢어진 부위를 통해 개구리가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용 개구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구성하는 한편, 대량 생산이가능하도록 개구리의 서식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양식장을 설치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특별한 양식구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개구리를 효율적으로 양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외측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서 지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와 4b는 도 1에서 지주부재가 상하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정면도.
도 5는 도 1의 가림막이음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서 울타리 일측을 절개한 작용상태 단면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부재, 12: 지주봉, 13: 관통홀, 14: 결합공, 20: 이탈방지판, 22: 결합공, 24: 스톱퍼, 26: 래칫기어, 27: 가드벽체, 28: 걸림핀, 27a: 걸림공, 30: 보강리브, 40: 소음발생부재, 50: 가림막, 60: 이음지지대, 62: 연결홈부, 64: 관통홀, 70: 수분차단막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지주봉이 지면에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주봉 상부에 지주봉과 직교하도록 이탈방지판이 설치되는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를 연결하도록 각각의 지주부재에 연결되는 보강리브; 상기 보강리브가 연결된 지주부재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소음을 발생시켜 개구리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소음발생부재; 상기 개구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주봉 하측에서 이탈방지판 저면까지 상기 소음발생부재의 외면에덮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가림막; 상기 소음발생부재와 가림막 양측 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이음지지대; 상기 이탈방지판 상측에서 이음지지대 상측까지 연장형성되며, 양측이 전후 돌설되게 설치되는 수분차단막;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재의 지주봉과 이탈방지판에는 보강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양측면이 천공된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양측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지주부재의 사이에는 양측에 가림막이 연결되도록 연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부에 유입되는 가림막을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길이방향 따라 천공된 가림막이음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재는 이탈방지판과 지주봉이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판이 지주봉에서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스톱퍼는 이탈방지판 저면에 돌출 설치되는 래칫기어와, 지주봉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래칫기어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힌지결합되는 가드벽체와, 상기 래칫기어를 일정각도대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드벽체를 관통하여 래칫기어의 치산에 걸림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걸림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지지대는 양측에 가림막이 연결되도록 연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부에 유입되는 가림막을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길이방향 따라 천공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외측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서 지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와 4b는 도 1에서 지주부재가 상하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가림막이음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서 울타리 일측을 절개한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울타리 구조는 지주부재(10)와, 보강리브(30)와, 소음발생부재(40)와, 가림막(50)과, 이음지지대(60)와, 수분차단막(7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주부재(10)는 식용 개구리를 양식하기 위해 울타리를 형성하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봉(12)과 이탈방지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봉(12)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구성된 일정경도를 갖는 금속으로서, 하단은 지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3)의 양측 벽면 즉, 지주봉(12)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4)이 각각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주봉(12)의 상부에는 이탈방지판(20)이 설치되며,이탈방지판(20)은 중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3)이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같은 이탈방지판(20)은 지지봉(12) 상면에 직교하도록 설치되며, 전후면에 다수개의 결합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판(20)은 지주봉(12) 상면에 설치시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탈방지판(20)을 지주봉(12) 상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판(20)을 상하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20) 저면과 지주봉(12) 상면에 스톱퍼(24)를 형성하게 되면 필요시마다 회전방지판(20)을 일정각도대로 기울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톱퍼(24)는 래칫기어(26)와 가드벽체(27)와 걸림핀(28)으로 구성되며, 상기 래칫기어(26)는 이탈방지판(20) 저면에 돌출 설치되고, 지주봉 (12)상측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가드벽체(27)가 래칫기어(26)의 양면에 밀착된 후 힌지결합하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판(20)은 지주봉(12) 상측에서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된 가드벽체(27)의 일측에는 래칫기어(26)의 치산 전면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걸림공(27a)이 천공되고, 상기 걸림공(27a)이 천공된 후에는 축형태의 걸림핀(28)이 끼워져 래칫기어(26) 치산이 걸림핀(28) 외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판(20)은 일정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판(20)의 각도는 걸림핀(28)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회전방지판(20)을 일정각도 회전시킨 후, 다시 걸림핀(20)을 걸림공(27a)에 결합하면서 래칫기어(26)의 치산에 걸림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판(20)은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도 쉽게 상하 회동되지 않고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부재(10)에는 울타리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주봉(12)과 이탈방지판의 관통홀(13)에 보강리브(30)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보강리브(30)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지주봉(12)과 이탈방지판의 관통홀(13) 형상에 따라 사각 또는 원형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보강리브(30)가 지주부재의 관통홀(13)에 끼워져 울타리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면, 상기 지주부재(10)의 내측면에는 소음을 발생시켜 개구리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소음발생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소음발생부재(40)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두께가 비교적 얇은 비닐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부재 지주봉(12) 상측에서 하측을 가리우는 형태로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펄럭이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음발생부재(40)의 외면에는 가림막(50)이 설치된다. 상기 가림막(50)은 개구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면에서 이탈방지판(20) 전면까지 소음발생부재(40) 외면에 덮어지는 형태로 밀착되고, 체결볼트(B)가 관통홀(13)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방수기능이 우수하고 그 표면이 비교적 미끄러우며 태양열을 잘 흡수하는 소재가 사용된다.
즉, 상기 가림막(50)은 소음발생부재(40)의 외면을 가리우면서 하단이 지주봉(12)에 밀착되며 상단은 이탈방지판(20) 전면에 체결볼트(B)로 고정 설치되어 가림막(50) 하단과 지면 사이를 통해 개구리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막(50) 하단은 지면에 일부가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지면과 가림막 (50)사이를 통해 개구리가 이탈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림막(50)의 외면은 일기가 좋은 날 태양열을 흡수하여 그 열기에 의해 개구리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되며, 설령 개구리가 가림막(50)을 기어오르더라도 개구리의 점액이 태양열을 흡수한 가림막(50) 열기에 의해 건조됨에 따라, 개구리는 쉽게 기어오르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음발생부재(40)와 가림막(50)의 양측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주부재(10) 사이에 설치된 이음지지대(60)에 연결되어 지주부재(10)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이음지지대(60)는 전술한 지주봉(12)과 같이 지면에 하단이 꽂아져 수직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상태에서 그 높이는 지주부재의 이탈방지판(20) 상면 중앙과 높이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음지지대(60)는 양측면에 소음발생부재(40)와 가림막(50) 양측이 끼워지도록 연결홈부(62)가 형성되며, 연결홈부(62)의 전면에는 연결홈부(62)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64)이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부(62)에 소음발생부재(40)와 가림막(50) 양측 단부가 끼워진 후에는 체결볼트(B)를 관통홀(64)에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림막(50) 상면에는 빗물이 가림막 상부 또는 이탈방지판(20) 저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개구리가 기어오르더라도 빗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판(20)의 상면에서부터 이음지지대(60)의 상면에는 수분차단막(70)이 설치되어 개구리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수분차단막(70)은 이탈방지판(20)과 이음지지대(60) 상면을 가리우도록 전후에 소정길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돌출된 단부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절곡되거나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우천시에도 이탈방지판(20) 저면과 이음지지대(60) 상면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같은 수분차단막(70)은 바람직하게 가림막과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정경도를 갖는 합성수지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울타리의 상측에는 조류에 의한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조류가 침입하지 못하는 크기의 입도로 구성된 그물망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울타리 내부에는 다수개의 웅덩이가 형성되어 개구리가 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구리 양식을 위해 울타리를 구성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장 내에 서식하는 개구리가 특히 우천시 울타리 주변으로 이동하게 되면, 소음발생부재(40)가 바람에 의해 소음을 발생하여 개구리가 더이상 울타리 근처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바람이 세기가 세지 않는 우천시에는 개구리가 소음발생부재(40)에서 소음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가림막(50)으로 기어오를 수 있다. 그러면 개구리는 다리의 점액이 빗물과 혼합되어 가림막 상측까지 기어오르게 되는데, 상기 개구리는 가림막(50)을 기어오르는 과정에서 이탈방지판(20) 상측에서부터 이음지지대(60) 상측까지 연결 설치된 수분차단막(70)이 그 저면에 빗물의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그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개구리는 점액이 건조되면서 더이상 기어오르지 못하여 가림막(50) 외면을 따라 미끄러지거나 지면으로 떨어져 울타리를 벗어나지 못하게 됨으로써, 개구리는 양식장을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는 식용 개구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구성하는 한편, 대량 생산이가능하도록 개구리의 서식환경을 최적의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양식장을 설치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특별한 양식구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개구리를 효율적으로 양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Claims (5)

  1. 다수개의 지주봉이 지면에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주봉 상부에 지주봉과 직교하도록 이탈방지판이 설치되는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를 연결하도록 각각의 지주부재에 연결되는 보강리브;
    상기 보강리브가 연결된 지주부재의 내측면에 설치되며,소음을 발생시켜 개구리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소음발생부재;
    상기 개구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주봉 하측에서 이탈방지판 전면까지 상기 소음발생부재의 외면에 덮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가림막;
    상기 소음발생부재와 가림막 양측 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이음지지대;
    상기 이탈방지판 상측에서 이음지지대 상측까지 연장형성되며, 양측이 전후 돌설되게 설치되는 수분차단막;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의 지주봉과 이탈방지판에는 보강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양측면이 천공된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 양측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이탈방지판과 지주봉이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판이 지주봉에서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이탈방지판 저면에 돌출 설치되는 래칫기어와, 지주봉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래칫기어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힌지결합되는 가드벽체와, 상기 래칫기어를 일정각도대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드벽체를 관통하여 래칫기어의 치산에 걸림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걸림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지지대는 양측에 가림막이 연결되도록 연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부에 유입되는 가림막을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길이방향 따라 천공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KR1020030050197A 2003-07-22 2003-07-22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KR20050011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197A KR20050011200A (ko) 2003-07-22 2003-07-22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197A KR20050011200A (ko) 2003-07-22 2003-07-22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634U Division KR200334410Y1 (ko) 2003-07-22 2003-07-22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200A true KR20050011200A (ko) 2005-01-29

Family

ID=3722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197A KR20050011200A (ko) 2003-07-22 2003-07-22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200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214A (zh) * 2013-08-08 2013-11-13 南京大学 一种开放式智能控温养殖系统
CN106234301A (zh) * 2016-02-18 2016-12-21 张兴林 一种高效青蛙养殖方法
CN106719388A (zh) * 2016-12-06 2017-05-31 衡阳茂晨农业开发有限公司 美国青蛙蝌蚪快速变态方法
CN109006664A (zh) * 2018-07-10 2018-12-18 广西凌云县金银湾生态养殖专业合作社 一种石蛙商品蛙的养殖方法
CN109258564A (zh) * 2018-10-10 2019-01-25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提高蟾蜍仔幼苗培育成活率的方法
CN109479811A (zh) * 2017-09-13 2019-03-19 谭敏敏 一种提高黑斑蛙存活率的养殖方法
CN110771566A (zh) * 2019-09-23 2020-02-11 丹阳市杺元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牛蛙养殖工艺
CN111034679A (zh) * 2019-12-31 2020-04-21 梅雁航 一种绿色生态种养蛙稻米的方法
KR20200089924A (ko) * 2019-01-18 2020-07-28 임충규 다용도 가림막 장치
CN111990329A (zh) * 2020-07-23 2020-11-27 嘉兴市星虹生态农业专业合作社 一种稻蛙生态种养系统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214A (zh) * 2013-08-08 2013-11-13 南京大学 一种开放式智能控温养殖系统
CN106234301A (zh) * 2016-02-18 2016-12-21 张兴林 一种高效青蛙养殖方法
CN106234301B (zh) * 2016-02-18 2019-03-01 张兴林 一种高效青蛙养殖方法
CN106719388A (zh) * 2016-12-06 2017-05-31 衡阳茂晨农业开发有限公司 美国青蛙蝌蚪快速变态方法
CN109479811A (zh) * 2017-09-13 2019-03-19 谭敏敏 一种提高黑斑蛙存活率的养殖方法
CN109006664A (zh) * 2018-07-10 2018-12-18 广西凌云县金银湾生态养殖专业合作社 一种石蛙商品蛙的养殖方法
CN109258564A (zh) * 2018-10-10 2019-01-25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提高蟾蜍仔幼苗培育成活率的方法
KR20200089924A (ko) * 2019-01-18 2020-07-28 임충규 다용도 가림막 장치
CN110771566A (zh) * 2019-09-23 2020-02-11 丹阳市杺元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牛蛙养殖工艺
CN111034679A (zh) * 2019-12-31 2020-04-21 梅雁航 一种绿色生态种养蛙稻米的方法
CN111990329A (zh) * 2020-07-23 2020-11-27 嘉兴市星虹生态农业专业合作社 一种稻蛙生态种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4235T3 (es) Trampa de chinche hedionda
ES2881702T3 (es) Dispositivos de control de mosquitos que utilizan pesticidas embebidos en un revestimiento duradero
CN101112189B (zh) 防蚊蝇塑石壁虎穴装置
KR20050011200A (ko)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US7320295B2 (en) Squirrel house with predator protection
CN205676233U (zh) 一种可移动生态景观浮岛
KR101195068B1 (ko) 모기 유충 살충 박스
Mearns A study of the vertebrate fauna of the Hudson Highlands: with observations on the Mollusca, Crustacea, Lepidoptera, and the flora of the region
KR200334410Y1 (ko) 식용 개구리 양식장의 울타리 구조
US6880486B2 (en) Plastic wood duck house with wetlands pole
CN101816295A (zh) 防蚊蝙蝠穴
Woods The avian ecology of a tussock island in the Falkland Islands
CN211430674U (zh) 一种便于拆洗的昆虫饲养装置
US6634315B1 (en) Method of feeding ants and a food dispenser for the purpose
KR200329700Y1 (ko) 개구리 양식장의 동면 케이스
JPH08199577A (ja) コンクリート壁面の緑化装置
KR200296941Y1 (ko) 낚시용 보트
CN218418072U (zh) 一种树干式天牛捕捉器
KR200321986Y1 (ko) 조류 포획 장치
CN217038118U (zh) 具有防虫机构的草莓种植大棚
CN220539340U (zh) 一种可挡风景观亭
CN2253570Y (zh) 东方果实蝇雌蝇诱杀盒
JP3188668B2 (ja) 齧歯目動物の暗室ユニット用ケースとこれを用いた飼育ケージ
JP2003274837A (ja) 動物撃退具
KR200317979Y1 (ko) 야외용 조립식 기능을 갖는 모기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