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556A -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556A
KR20050010556A KR1020030049762A KR20030049762A KR20050010556A KR 20050010556 A KR20050010556 A KR 20050010556A KR 1020030049762 A KR1020030049762 A KR 1020030049762A KR 20030049762 A KR20030049762 A KR 20030049762A KR 20050010556 A KR20050010556 A KR 2005001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ing
body housing
main body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501B1 (ko
Inventor
김태윤
배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5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는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대면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며, 그의 상면에 다수개의 키들이 배치되고, 그의 하면에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이동한 후에 회전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성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과 타측면에 걸친 외곽 부분에서 착탈되는 배터리 팩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폰, 디지털 무선 장치, PDA, HH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컬 캠코더 기능을 겸비하도록 데이터 입출력부, 송부화부 등을 하우징의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 노소,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채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은 본체에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제공되어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언제, 어디서나, 남녀노소, 성별의 구분없이 PDA, 셀룰러 폰, HHP, 디지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가 보편화되었으며, 누구든지 항시 휴대용 통시 장치를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으로서 인식되는 휴대 장치로 각광받고 있으며,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가 출현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피사체 촬영을 위하여 채용되는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은 항시 휴대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은 분실 위험을 항시 내포하고 있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종래의 본체에 채용되는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은 본체 하우징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의 화소가 낮으면,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으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화소를 높일 수록 본체 하우징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본체 하우징에 채용된 카메라 렌즈 모듈이 줌인/줌아웃 기능을 해야 한다면, 본체 하우징의 두께가 대폭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체 하우징의 전체 사이즈의 길이나 두께를 크게 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아울러, 외관 디자인에도 제약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다수 개의 키들과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회전성 하우징이 제공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줌인/줌아웃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본체 하우징의 전체 사이즈를 최소화하는데 유리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대면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며, 그의 상면에 다수개의 키들이 배치되고, 그의 하면에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이동한 후에 회전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성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과 타측면에 걸친 외곽 부분에서 착탈되는 배터리 팩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대면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며, 그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키들이 배치되고, 그의 하면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이동한 후에 회전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성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 중앙에 착탈되는 배터리 팩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하우징과 조명 장치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회전성 하우징이 약 180°정도 회전한 후의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회전성 하우징이 회전 중인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는 스피커 장치, 표시 장치, 다수 개의 키 어레이들, 마이크 장치, 카메라 렌즈 모듈, 조명 장치를 다수 개의 하우징들의 적소에 배치하여 소형화에 유리하고, 폰 모드나 카메라 촬영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는 본체 하우징(10)(body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면(10a)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20)(sliding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힌지 축(A)(hinge axis)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는 회전성 하우징(30)(rotational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하면(10b)과 측면(10c)에 걸치는 영역서 착탈되는 배터리 팩(40)(battery pack)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top surface)에서 그의 하면(20b)(bottom surface)이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일측면(10d)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20b)과 대면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그의 타측면(30d)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10d)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회전이동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이동하지 않으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서는 회전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그의 측면(10c)(side surface)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104)(key array)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10b)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커버(102)가 장착되어지며, 상기 커버(102)는 이동한 경우에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의 하면(30b)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2)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은 그의 상면(20a)에 스피커 장치(202)와, 상기 스피커 장치(202)와 근접하게 이웃하는 표시 장치(204)와, 상기 표시 장치(204)와 근접하게 이웃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206)가 장착된다. 상기 표시 장치(204)는 엘씨디 모듈(LCD module)이나 터치 센시티브 패널(touch sensitive panel)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키 어레이(302)는 3×4키 배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은 그의 상면(3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 어레이(302)와, 상기 제3키 어레이(302)와 근접하게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304)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의 일측면(30c)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잠입되는 팝-업 타입(pop-up type)의 조명 장치(310)(lighting unit)가 장착된다. 상기 조명 장치(310)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하면(30b)쪽으로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 장치(310)는 강제적인 힘에 의해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에 인입될 수 있고, 자동이나 반 자동으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에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은 그의 하면(30b)에 카메라 렌즈 모듈(312)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2)은 카메라 렌즈의 전방을 향하여 줌인/줌아웃(zoom in/zoom out)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커버(102)가 장착된 본체 하우징의 하면(10b)과,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2)이 장착된 회전성 하우징의 하면(30b)에는 소정 형상의 가이드 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홈(114) 내에서 상기 커버(102)가 슬라이딩 가이드된다. 물론, 상기 커버(102)가 이동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2)은 커버(102)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커버(102)가 이동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2)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 3은 상기 커버(102)가 이동되어서 카메라 렌즈모듈(312)이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줌인/줌아웃을 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10b)과 타측면(10d)에 걸쳐서 배터리 팩(40)이 착탈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수동이나 자동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완전히 이동하였다는 상태를 파악후 후에 공지의 모터와 모터 감속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량은 약 180도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원인 상기 모터와 모터 감속부는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도면에 미 도시되었으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의 회전 여부는 별도의 미 도시된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될 수 있다. 미도시된 별도의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언급된 센서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이나 상기 회전성 하우징(30)의 대면하는 면에 장착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센서들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구성요들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 하우징이 열리고, 조명 장치도 인출된 상태에서 그의 하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통신 장치와 비교하여, 배터리 팩의 장착 위치가 상이하며, 커버 대신에 배터리 팩(60)이 장착된다. 도 6에서 커버는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채용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팩(60)만이 본체 하우징의 하면에 채용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줌인/줌아웃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렌즈 모듈과 하나의 키 어레이를 회전성으로 구성하고, 슬라이딩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며, 배터리 팩을 적소에 배치시킴으로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함과 아울러 피사체 촬영이 편리한 잇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대면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며, 그의 상면에 다수개의 키들이 배치되고, 그의 하면에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이동한 후에 회전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성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과 타측면에 걸친 외곽 부분에서 착탈되는 배터리 팩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그의 측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가 장착되어지고, 그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이동을 수행하는 커버가 더 장착되어지며, 상기 커버는 이동하여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하면을 보호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근접하게 이웃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와 근접하게 이웃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가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 어레이와, 상기 제3키 어레이와 근접하게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가 배치되며, 그의 일측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팝-업되는 조명 장치가 더 장착되어지며,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의 하면쪽으로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하우징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은 줌인/줌아웃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6.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대면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하며, 그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키들이 배치되고, 그의 하면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이동한 후에 회전 구속 상태가 해제되는 회전성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 중앙에 착탈되는 배터리 팩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1020030049762A 2003-07-21 2003-07-21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10066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762A KR100663501B1 (ko) 2003-07-21 2003-07-21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762A KR100663501B1 (ko) 2003-07-21 2003-07-21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556A true KR20050010556A (ko) 2005-01-28
KR100663501B1 KR100663501B1 (ko) 2007-01-02

Family

ID=3722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762A KR100663501B1 (ko) 2003-07-21 2003-07-21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214B1 (ko) * 2006-05-25 2008-12-01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US7499074B2 (en) 2003-12-26 2009-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9065997B2 (en) 2004-07-27 2015-06-23 Lg Electronics Inc.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9074B2 (en) 2003-12-26 2009-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8032177B2 (en) 2003-12-26 2011-10-0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8115798B2 (en) 2003-12-26 2012-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9065997B2 (en) 2004-07-27 2015-06-23 Lg Electronics Inc.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KR100871214B1 (ko) * 2006-05-25 2008-12-01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501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20060203124A1 (e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20050100478A (ko) 자동 슬라이딩 팝-업 타입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 통신장치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100703496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68947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63501B1 (ko)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100703510B1 (ko) 광학 줌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57079B1 (ko)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557067B1 (ko) 수직 방향 사이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딩-업 타입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1058654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46985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6012148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50041632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KR20050005601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KR20050023896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64949Y1 (ko) 폴더형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