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104A -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104A
KR20050010104A KR1020030048987A KR20030048987A KR20050010104A KR 20050010104 A KR20050010104 A KR 20050010104A KR 1020030048987 A KR1020030048987 A KR 1020030048987A KR 20030048987 A KR20030048987 A KR 20030048987A KR 20050010104 A KR20050010104 A KR 20050010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voice
digital
juke box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113B1 (ko
Inventor
홍수동
배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1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채널 전환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튜너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에서, 쥬크(Juke) 박스 메뉴설정 및 기타 다른 메뉴 설정을 위한 화면을 OSD로 생성하는 OSD 생성부와,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와,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방송신호에서 음성전용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음성전용채널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상기 OSD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화면에서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했는지 여부에 따라 채널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 절환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거나, 쥬크(Juke) 박스 메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of digital tv}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는 티브이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티브이 기술에는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방식도 발전하고 그에 따라 디지털 전송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티브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이 가속화되면서 위성/지상파/케이블을 통해서 고화질/고음질의 방송이 여러 장점들을 가지고 방송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에 비해서 디지털 방송이 가지는 장점은 고화질, 고음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기능이다.
디지털 방송은 비디오는 엠펙-2를 사용하고 있으며, 오디오는 AC-3의 압축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압축된 정보는 기존의 위성/지상/케이블 밴드를 통하여서 QPSK/VSB/QAM의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런 압축 기술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지상파의 경우 한 채널에 SD 급의 4채널 이상의 채널을 방송할 수 있게 하고, HD급은 1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TV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가정보를 비디오/오디오와 더불어 전송하고 있는데,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늘어나는 채널정보에 대한 방송안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되었듯이, 디지털 비디오는 엠펙-2 방식을 사용하였고, 기본적으로 18포맷을 지원하고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는 AC-3 규격을 채용, 돌비 디지털방식을 규격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시스템 규격으로는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규격을 지원하여 현재 프로그램의 메이저, 마이너 채널번호, 비디오 오디오 스트림 정보, 상세 정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 스트림은 비디오, 오디오, 부가정보 및 채널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중화 되어 들어오고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는 이를 정해진 규격에 맞게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오디오, 부가정보를 재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튜닝 하는 튜너(101)와, 상기 튜너(101)에서 튜닝 된 채널을 디코딩 하는 채널 디코더(102)와, 상기 채널 디코더(102)에서 디코딩 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디먹스(103)와,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04)와,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07)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06)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8)와, 상기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튜너(10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부가정보가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이루어져 전송이 되며, 이것은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를 각각 188바이트의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의 형태로 이루어진 정보의 집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스트림 형태의 정보는 상기 디먹스(103)로 입력되어 스트림의 종류별로 구분이 되고, 서비스 정보는 섹션 필터링과 파싱 과정을 거쳐서 데이터 베이스화 되며, 이 데이터 베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영상 및 음성스트림은 MPEG에 의해서 복원되어 화상 및 음성정보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티브이로 전환되면서, 다양한 방송방식이 존재하게 되는데, 그중 하나는 비디오 정보는 거의 없고, 오디오 정보로 이루어진 음성전용 채널이 존재한다. 이는 피지컬한 채널 안에 각종 오디오 정보를 수십 개의 채널을 이용해서 방송하는 방식이다.
즉, 각종 클래식, POP, 가요, OST등 다양한 음반들을 채널을 통해서 방송한다. 비디오 정보는 거의 보내지 않는 수준(타이틀 정보만 보내주는 수준)이므로, 한 채널에 오디오 수십 개의 채널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오디오 전용채널이 그 채널 내에 존재하면, 보통 수십 개의 채널이 존재하게 되는데, 만약 시청자가 이런 채널 정보를 미리 알지 못한다면, 그 피지컬 채널 다음 채널로 채널 전환할 때 상당한 불편이 따르게 되며, 또한 일일이 그 채널로 설정을 해서 정보를 봐야 지만, 그 내용을 알 수 있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음성전용 채널인 경우에는 채널 전환시와 음성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채널 전환을 하면서 들어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성전용 채널이 아니라도 한 개의 피지컬 채널에 많은 수의 마이너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채널 전환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튜너 102 : 채널 디코더
103 : 디먹스 104 : 음성신호 처리부
105 : 스피커 106 : 영상신호 처리부
107 : 디스플레이부 201 : 검출부
202 : 제어부 203 : 메모리
204 : OSD 생성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는 튜너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에서, 쥬크(Juke) 박스 메뉴설정 및 기타 다른 메뉴 설정을 위한 화면을 OSD로 생성하는 OSD 생성부와,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와,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방송신호에서 음성전용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음성전용채널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상기 OSD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화면에서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했는지 여부에 따라 채널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 전환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거나, 쥬크(Juke) 박스 메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제어방법은 튜너 및 OSD 생성부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채널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절환된 채널의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전용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음성전용 채널이면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하였으면, 음성전용 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을 쥬크(Juke) 박스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이를 참조하여 음성전용 채널 선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전용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에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고 음성신호만 존재하는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전용 채널을 쥬크(Juke) 박스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전용 채널에 존재하는 메인 채널 및 마이너 채널을 소정의 매트릭스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전용 채널 선택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쥬크(Juke) 박스 화면에서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스킵을 선택하면 음성전용 채널은 튜닝 하지 않고 다른 영상채널로 절환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절환된 채널이 음성전용 채널이 아니면 채널 절환에 따라 영상 및 음성을 모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전용 채널에서 쥬크(Juke) 박스 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채널 절환명령에 따라 메인 채널 및 마이너 채널까지 채널절환 후 절환된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튜닝 하는 튜너(101)와, 상기 튜너(101)에서 튜닝 된 채널을 디코딩 하는 채널 디코더(102)와, 상기 채널 디코더(102)에서 디코딩 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디먹스(103)와,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105)를 통해 출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04)와,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07)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06)와,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를 입력받아 음성전용 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01)와, 상기 검출부(201)를 통해 음성전용 채널이 검출되고,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메뉴를설정했으면 그에 따라 음성전용 채널이 쥬크(Juke) 박스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이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2)와, 상기 제어부(2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쥬크(Juke)박스 메뉴 또는 기타 다른 설정을 위한 각종 메뉴를 OSD 형태로 생성하는 OSD 생성부(204)와, 상기 디먹스(103)에서 분리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0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너(10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스트림 형태로 수신되며, 상기 채널 디코더(102)에서 디코딩된 채널의 방송신호는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된다.
PSIP(Program Service Information Protocol)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 서비스 각각의 특정 엘리먼트 테이블로 구성된 집합체라 할 수 있고, PSIP 패킷은 입력되는 디지털 스트림 중 0x1FFB의 PID를 가지는 스트림으로 입력되고, 이 스트림을 분석하면 기본적으로 네 가지 테이블로 구성된다.
그것은 시간정보를 구성하는 STT(Sytem Time Table), 지역별 등급정보를 구성하는 RRT(Rating Region Table), 각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구성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의 PID 정보를 가지고 있는 MGT(Master Guide Table), 그리고 RF 채널 내 실제 디지털 채널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로 구성된다.
따라서, PISP 디지털 스트림을 분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은PAT 테이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트림을 찾아 제어부로 데이터를 넘겨서 테이블을 구성하고, 그 후 PMT 테이블을 구성한 다음 0x1FFB의 주소를 가지는 스트림 들 중 VCT 테이블을 찾아 현재 입력되는 스트림이 PSIP인지 구분하게 된다. 이후, EIT 테이블들을 구성하는 스트림을 찾아서 EIT 테이블을 구성하게 된다.
반면에 엠펙-2 시스템 규격으로 만들어진 스트림은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PID 정보를 가지고 있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현재 RF 채널 디지털 스트림에 들어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가지는 PMT(Program Map Table), 그리고 각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가지고 있는 EI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디먹스(103)를 통해 분리된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 스트림은 상기 검출부(201)로 입력되어 VCT를 파싱하게 되는데, VCT를 파싱하면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에 해당되는 PID를 얻을 수 있으며, 이 PID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로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채널 디코더(102)를 통해 디코딩 된 채널이 음성전용 채널일 경우에는 상기 검출부(201)에서 검출결과가, 영상 PID는 존재하지 않고, 음성 PID만 존재하는 경우로써, 이러한 채널의 채널 절환을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쥬크(Juke) 박스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기능을 선택해 놓았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채널 절환시, 음성전용 채널에서는 도 4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스킵 명령을 선택하면, 음성전용 채널은 튜닝 하지 않고, 바로 다음 채널로 넘어가게 된다.
만약, 스킵하지 않고 음성전용 채널을 청취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음성 전용채널안에 EIT, ETT 정보를 파싱해서 만들어진 쥬크(Juke) 박스 형태의 맵을 이용하여 현재 방송되는 정보를 보면서 채널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음성전용채널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수많은 마이너 채널을 가지고 있는 피지컬(Physical) 채널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한다(S101∼S102).
또한 사용자가 채널 절환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채널 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절환된 채널이 음성전용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판단 결과(S104), 절환된 채널이 음성전용 채널이 아니면 원하는 채널로 절환하고, 절환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한다(S105∼S106).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4), 절환된 채널이 음성전용 채널이면 쥬크(Juke) 박스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7), 쥬크(Juke) 박스 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으면 음성전용 채널에 해당되는 모든 채널을 쥬크(Juke) 박스 형태의 OSD로 디스플레이 한다(S108).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OSD에서 스킵 명령을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9), 사용자가 스킵 명령을 입력하였으면 음성전용채널은 스킵하고 타 채널로 절환하고, 절환된 채널을 표시한다(S110∼S111).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9), 사용자가 스킵 명령을 입력하지 않았으면 쥬크(Juke)박스 상의 조졀에 따라 음성전용 채널을 제어한다(S113).
또한 상기 판단 결과(S107), 음성전용 채널인데 쥬크(Juke)박스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성전용 채널을 일일이 절환하고, 절환된 채널을 표시한다(S114∼S115).
그리고, 사용자가 파워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한다(S1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방송이 한 개의 피지컬 채널에 다수개의 마이너 채널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음성전용 채널에 대해서는 쥬크(Juke) 박스와 같은 기능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화면상에서 상/하/좌/우로 커서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채널을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전용 채널뿐만 아니고, 마이너 채널이 다수개 존재하는 채널에 대해서도 쥬크(Juke) 박스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음성전용채널인 경우 50개 이상 되는 채널이 실제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50개 이상 되는 채널을 매트릭스 형태의 쥬크(Juke) 박스 OSD로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스킵 명령을 선택하면 음성전용채널은 튜닝 하지 않고 그 이후의 채널을 튜닝 함에 따라 원하는 채널을 보다 빠르게 선국할 수 있다.
셋째, 음성전용 채널 이외에도 다수개의 마이너 채널이 존재하는 채널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튜너 및 저장부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에서,
    쥬크(Juke) 박스 메뉴설정 및 기타 다른 메뉴 설정을 위한 화면을 OSD로 생성하는 OSD 생성부;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정보를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방송신호에서 음성전용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검출된 정보에서 음성전용채널이 존재하면, 사용자가 상기 OSD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화면에서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했는지 여부에 따라 채널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 절환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거나, 쥬크(Juke) 박스 메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2. 튜너 및 OSD 생성부를 구비한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채널절환 명령을 입력하면 절환된 채널의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전용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음성전용 채널이면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쥬크(Juke) 박스 메뉴를 설정하였으면, 음성전용 채널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을 쥬크(Juke) 박스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가 이를 참조하여 음성전용 채널 선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용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에 영상신호는 존재하지 않고 음성신호만 존재하는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용 채널을 쥬크(Juke) 박스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전용 채널에 존재하는 메인 채널 및 마이너 채널을 소정의 매트릭스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용 채널 선택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쥬크(Juke) 박스 화면에서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스킵을 선택하면 음성전용 채널은 튜닝 하지 않고 다른 영상채널로 절환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된 채널이 음성전용 채널이 아니면 채널 절환에 따라 영상 및 음성을 모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용 채널에서 쥬크(Juke) 박스 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채널 절환명령에 따라 메인 채널 및 마이너 채널까지 채널절환 후 절환된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방법.
KR1020030048987A 2003-07-18 2003-07-18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7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87A KR100574113B1 (ko) 2003-07-18 2003-07-18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87A KR100574113B1 (ko) 2003-07-18 2003-07-18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104A true KR20050010104A (ko) 2005-01-27
KR100574113B1 KR100574113B1 (ko) 2006-04-25

Family

ID=3722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987A KR100574113B1 (ko) 2003-07-18 2003-07-18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1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113B1 (ko) 200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624B1 (ko) 텔레비전 수신기의 언어 설정 장치 및 방법
US8949924B2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0499039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설정방법
KR10066401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KR100518808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269370B1 (ko)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 프로그램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6108B1 (ko) 디지털 방송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52739A (ja) デジタル放送信号受信装置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9147867A (ja) 放送受信装置
KR10057411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028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40098852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전환시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37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KR101025212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시 선호 채널 팝업창 표시 시스템 및방법
CN100373934C (zh) 数字电视的频道控制装置及方法
KR10126294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502007B1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검색 방법
EP2312836A2 (en) Broadcast receiver and multi-screen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101069081B1 (ko) 오토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189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맵 설정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KR20010019090A (ko) 오디오 모드 자동설정 기능을 갖는 티브이 수상기
KR101084094B1 (ko) 디지털 tⅴ의 시간 변경 서비스를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KR20090017121A (ko) 시청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