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084A -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084A
KR20050010084A KR1020030048957A KR20030048957A KR20050010084A KR 20050010084 A KR20050010084 A KR 20050010084A KR 1020030048957 A KR1020030048957 A KR 1020030048957A KR 20030048957 A KR20030048957 A KR 20030048957A KR 20050010084 A KR20050010084 A KR 2005001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hildren
web server
drama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덕
Original Assignee
김인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덕 filed Critical 김인덕
Priority to KR102003004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0084A/ko
Publication of KR2005001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084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선진외국의 어린이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먼 거리를 극복하고 화상으로 문화교류를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국제감각과 언어를 습득하도록 함과 아울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각국의 문화유적답사, 관공서 현장학습, 박람회 참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어린이들이 무대에서 직접 역할 놀이를 통한 연극 또는 드라마를 연출하면서 자기 발표력 향상과 어학교육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동화책과 만화책을 통하여 늘 상상하고 있던 동화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생생한 참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습득하도록 구현하여 교육에 활용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TOTAL REMOTE EDUCATION SYSTEM ON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선진외국의 어린이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먼 거리를 극복하고 화상으로 문화교류를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국제감각과 언어를 습득하도록 함과 아울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각국의 문화유적답사, 관공서 현장학습, 박람회 참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어린이들이 무대에서 직접 역할 놀이를 통한 연극 또는 드라마를 연출하면서 자기 발표력 향상과 어학교육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동화책과 만화책을 통하여 늘 상상하고 있던 동화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생생한 참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습득하도록 구현하여 교육에 활용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어린이들의 교육문제가 날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서, 최근에는 조기교육 열풍으로 인하여 어린이들 마저 해외로 유학을 보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장학습은 현장에 직접 가서 실제로 체험해 보는 것이 원칙이나, 직접가보고 싶으나 시간이 없고 멀리 떨어진 거리로 인하여 못가게 되거나, 직접 가더라도 위험적인 요소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문제점들 때문에, 대부분은 TV나 비디오 등의 방송매체를 통하여 외국어 교육 또는 간접적인 문화체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육 시스템은, TV나 비디오 등의 일방향 전송매체로서 교육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녹화된 내용을 재생함으로써 현장감 및 현실감이 떨어져 소기의 교육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어린이 교육기관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실정에서, 어린이들이 동화책과 만화책을 통하여 늘 상상하고 있던 동화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생생한 참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습득하도록 하고, 더욱이 다수의 교육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켜 교육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린이들이 선진외국의 어린이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먼 거리를 극복하고 화상으로 문화교류를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국제감각과 언어를 습득하도록 함과 아울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각국의 문화유적답사, 관공서 현장학습, 박람회 참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어린이들이 무대에서 직접 역할 놀이를 통한 연극 또는 드라마를 연출하면서 자기 발표력 향상과 어학교육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동화책과 만화책을 통하여 늘 상상하고 있던 동화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생생한 참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습득하도록 구현하여 교육에 활용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해외 어린이교육기관과 실시간으로 윈격 화상연결되어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현장학습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사이버강의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서버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본사의 교육장 세트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실시간 드라마의 단계별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화나라 제작과정을 나타낸 블록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동화나라 컨텐츠의 활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영본사 110 : 운영자 단말기
120 : 관리서버 130 : 방송서버
131 : 통신장치 132 : 주제어장치
133 : 조명장치 134 : 영상/음성출력장치
135 : 영상/음성입력장치 136 : 스피커
137 : 프로젝션 138 : 카메라
139 : 마이크 140 : 디지털합성장치
200 : 웹서버 300 : 해외 어린이교육기관
310 : 국내 직영 어린이교육기관 320 : 국내 가맹 어린이교육기관
400 : 원격 단말기 410 : 카메라
500 : 관공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자와 음성, 채팅 등을 통한 실시간 대화 지원과 접속자에게 전달할 공지사항 등을 입력하는 운영자 단말기; 웹서버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경영지원자료를 제공하고, 시간대별 고객상담정보, 운영자의 업무분석, 각종 시스템별 활용률 등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며,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ㆍ관리하여 운영본사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관리서버; 어린이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ㆍ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하거나,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가공 편집함과 아울러, 미리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에 합성 편집하고,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방송서버; 접속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와 접속자 또는 접속자 상호간의 연결을 중개하며, 미리 프로그램된 스케줄에 따라 동영상, 텍스트, 채팅, 화상, 전자칠판 등을 접속자에게 보내주며, 운영자의 관리 및 접속자의 대화정보, 업무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방송서버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각각의 어린이교육기관에 전송하는 웹서버;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관공서, 문화유적답사, 박람회 등 현장학습 화면을 상기 웹서버에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운영본사에서 전송되는 교육내용과 운영을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유아들의 교육에 활용하며, 운영자 및 다른 어린이교육기관과 음성, 영상채팅 등을 통하여 대화를 구현하는 한편,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된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을 아이들에게 상영하여 주는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 단말기(110), 관리서버(120), 방송서버(130)를 포함하는 운영본사(100)와, 웹서버(200)와, 원격 단말기(400)와,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으로 구성된다.
운영자 단말기(110)는 운영자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자와 음성, 채팅 등을 통한 실시간 대화 지원과 접속자에게 전달할 공지사항 등을 입력한다.
관리서버(120)는 웹서버(200)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경영지원자료를 제공하고, 시간대별 고객상담정보, 운영자의 업무분석, 각종 시스템별 활용률 등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며,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ㆍ관리하여 운영본사(100)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20)는 상기 웹서버(200)를 통하여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 상호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본사의 주제하에 각 기관의 담당자가 화상 채팅을 통하여 소정의 계약을 체결한 후 화상교육을 진행하도록 하되, 고정IP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주소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유동IP를 사용하는 경우 각 기관의 PC에 하드웨어락 또는 인증서를 설치하여 관리시스템을 보안시키도록 한다.
방송서버(130)는 어린이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ㆍ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하거나,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아이들의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가공 편집함과 아울러, 미리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에 합성 편집한다.
웹서버(200)는 접속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110)와 접속자(300)(310)(320) 또는 접속자 상호간의 연결을 중개하며, 미리 프로그램된 스케줄에 따라 동영상,텍스트, 채팅, 화상, 전자칠판 등을 접속자(300)(310)(320)에게 보내주며, 운영자(110)의 관리 및 접속자의 대화정보, 업무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아울러, 상기 방송서버(130)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각각의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전송한다.
원격 단말기(400)는 카메라(4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관공서(500), 문화유적답사, 박람회 등 현장학습 화면을 상기 웹서버(200)에 온라인으로 전송한다.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은 상기 웹서버(200)를 통하여 운영본사(100)에서 전송되는 교육내용과 운영을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유아들의 교육에 활용하며, 운영자 및 다른 어린이교육기관과 음성, 영상채팅 등을 통하여 대화를 구현하는 한편, 상기 웹서버(200)에서 전송된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을 아이들에게 상영하여 준다.
또한,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해외 어린이교육기관과 실시간으로 원격 화상 연결되어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현장학습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사이버강의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운영본사(100)에서는 관리서버(120)와 방송서버(130)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여 온라인 네트워크 지원 프로세스를 운영한다.
상기의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은 미리 제휴된 해외의 유명어린이교육기관(300)과 직영점 또는 가맹점으로 운영되는 국내의 어린이교육기관(310)(32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인터넷의 구성의 통상의 전용선 또는 상용 ADSL과 같은 초고속통신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공지의 통신장치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종과 언어가 다른 두집단이 각 기관내의 넓은 강당 또는 교실에서 대형 스크린을 통하여 문화교류를 하는 형태로서 서로의 공연 또는 이벤트를 보여줄 수 있으며, 단체 또는 선발된 특정 아이들간에 동영상 화면을 보면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당하는 국외 어린이교육기관(300)과 국내 직영/가맹 어린이교육기관(310)(320)에는 각각의 동영상 및 음성을 촬영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통상의 촬영 및 전송 장비가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웹서버(200)에서는 상기 각각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서 전송된 동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아 운영본사(100)의 방송서버(130)에 전송하고, 방송서버(13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ㆍ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함으로써, 각각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간에 실시간 화상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120)는 상기 웹서버(200)를 통하여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 상호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본사(100)의 주제하에 각 기관의담당자가 화상 채팅을 통하여 소정의 계약을 체결한 후 화상교육을 진행하도록 하되, 고정IP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주소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유동IP를 사용하는 경우 각 기관의 PC에 하드웨어락 또는 인증서를 설치하여 관리시스템을 보안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현장학습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단말기(400)는 카메라(4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관공서(500), 문화유적답사, 박람회 등 현장학습 화면을 상기 웹서버(200)에 온라인으로 전송하고, 웹서버(200)에서는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를 운영본사(100)의 방송서버(130)에 전송한다.
따라서, 방송서버(13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하거나,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상기 해당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사이버강의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을 통한 강의방식으로서, 화상으로 수강자가 질문시에 강사는 여러 질문자중에서 임의로 한 사람을 선택하여 답변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해당하는 국외 어린이교육기관(300)과 국내 직영/가맹 어린이교육기관(310)(320)에는 각각의 동영상 및 음성을 촬영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통상의 촬영 및 전송 장비가 갖추어져 있어야 함은 물론이며, 웹서버(200)에서는 상기 각각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서 전송된 동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아 운영본사(100)의 방송서버(130)에 전송하고, 방송서버(13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ㆍ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함으로써, 각각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간에 실시간 화상 통신을 이용한 사이버 강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서버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제어 블록도로서, 상기 방송서버(130)는 상기 웹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131)와, 조명장치(132)를 제어함과 아울러, 영상/음성출력장치(134)를 제어하여 선택된 배경화면 및 음성을 출력하게 하고,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음성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통신장치(131)에 출력하는 주제어장치(132);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주제어장치(132)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드라마 또는 연출장면을 스피커(136) 및 프로젝션(137)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영상/음성출력장치(134); 카메라(138) 및 마이크(139)를 통하여 상기 영상/음성출력장치(134)에서 출력되는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장치(132)에 전송하는 영상/음성입력장치(135)로 구성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영본사의 교육장 세트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원격 실시간 드라마의 단계별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영본사의 교육장세트에서 촬영이 진행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방송서버(130)에서는 어린이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가공 편집함과 아울러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방송을 가능하게 하며, 가공된 영상을 웹서버(100)에 전송한다.
즉, 주제어장치(132)는 조명장치(132)를 제어함과 아울러, 영상/음성출력장치(134)를 제어하여 선택된 배경화면 및 음성을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영상/음성출력장치(134)는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을 저장하고 있으며, 주제어장치(132)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드라마 또는 연출장면을 스피커(136) 및 프로젝션(137)을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후, 어린이들은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예로서, "아기돼지 3형제"의 스토리 전개과정에 따라 각자의 맡은 역할을 수행하거나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면서 순차적으로 연극 또는 드라마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칼은 과정은 영상/음성입력장치(135)의 카메라(138) 및 마이크(139)를 통하여 촬영되고, 상기 주제어장치(132)에서 가공ㆍ편집된 후 통신장치(131)를 거쳐 상기 웹서버(200)에 전송되는 것이다.
웹서버(200)는 상기 방송서버(130)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각각의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전송하고,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은 상기 웹서버(200)에서 전송된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을 아이들에게 상영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는 각각의 동영상 및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통상의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무대에서 직접 역할 놀이를 통한 연극 또는 드라마를 연출하면서 자기 발표력 향상과 어학교육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은 각각의 연극 또는 드라마를 촬영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웹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통상의 촬영 및 전송 장비가 갖추어져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웹서버(200)에서는 상기 각각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서 촬영ㆍ전송된 드라마 동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아 운영본사(100)의 방송서버(130)에 전송하고, 방송서버(13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ㆍ편집 처리한 후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상기 해당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양방향 방송 및 데이터 공유를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교육기관이 더욱 효과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송서버(130)는 상기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어린이의 영상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의 영상을 디지털 기술로 합성하는 디지털합성장치(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음성입력장치(135)는 카메라(138) 및 마이크(139)를 통하여 상기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장치(132)에 전송하고, 주제어장치(132)는 조명장치(132)를 제어함과 아울러,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음성정보를 디지털합성장치(140)로 전달하여 가공하게 한 후 상기 통신장치(131)에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화나라 제작과정을 나타낸 블록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동화나라 컨텐츠의 활용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영본사의 교육장 세트에서 촬영이 진행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본 발명의 방송서버(130)에서는 어린이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미리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에 합성 편집함과 아울러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방송을 가능하게 하며, 가공된 영상을 웹서버(100)에 전송한다.
즉, 주제어장치(132)는 조명장치(132)를 제어함과 아울러, 영상/음성입력장치(135)의 카메라(138) 및 마이크(139)를 통하여 어린이를 촬영하고, 상기 주제어장치(132)의 제어에 의하여 디지털합성장치(140)로 보내진다.
디지털합성장치(140)에서는 상기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어린이의 영상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의 영상을 디지털 기술로 합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의 영상을 통해 해당 장면과 캐릭터를 설정하고(S1~S2), 상기에서 설정한 장면과 캐릭터를 합성한다(S3). 이후, 해당 어린이를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후 적절한 프로그래밍 및 음향효과 처리를 수행한다(S4~S6). 그 다음으로, 음성녹음을 수행한 후 상기 과정에서 영상을 디지털 합성 처리함으로써,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이 완성된다(S7~S8).
이와 같이 완성된 애니메이션은 웹서버(200)를 통하여 각각의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전송되고,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은 상기 웹서버(200)에서 전송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을 아이들에게 상영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는 각각의 동영상 및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통상의 재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작된 동화나라 컨텐츠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면서 어학 교육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00)에서는 상기 각각의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서 촬영ㆍ전송된 어린이의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운영본사(100)의 방송서버(130)에 전송하고, 방송서버(13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와 미리 제작 저장되어 있는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에 합성ㆍ편집 처리한 후,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제작된 방송을 상기 해당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교육기관이 더욱 효과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은 온라인 동화,출판동화(책자, CD 및 DVD 타이틀), 방송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컨텐츠로 제작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시스템에 의하면, 어린이들이 선진외국의 어린이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먼 거리를 극복하고 화상으로 문화교류를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국제감각과 언어를 습득하도록 함과 아울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각국의 문화유적답사, 관공서 현장학습, 박람회 참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현하여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조기 유학 등에 과다한 시간과 비용을 낭비할 필요가 없으며, 현장학습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하게 현장학습, 문화유적답사 및 박람회 참관 등의 생생한 가상 현장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무대에서 직접 역할 놀이를 통한 연극 또는 드라마를 연출하면서 자기 발표력 향상과 어학교육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온라인상에서 다수의 교육기관과 함께 공유하여 더욱 효과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교육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켜 교육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동화속 주인공을 이미지화하여 어린이들이 동화책과 만화책을 통하여 늘 상상하고 있던 동화속으로 직접들어가서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생생한 참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습득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자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자와 음성, 채팅 등을 통한 실시간 대화 지원과 접속자에게 전달할 공지사항 등을 입력하는 운영자 단말기(110);
    웹서버(290)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분석하여 경영지원자료를 제공하고, 시간대별 고객상담정보, 운영자의 업무분석, 각종 시스템별 활용률 등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며,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ㆍ관리하여 운영본사(100)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관리서버(120);
    어린이 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웹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가공ㆍ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하거나,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가공 편집함과 아울러, 미리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에 합성 편집하고, 내장된 스케줄에 의하여 각종 미디어를 제어하여 녹화방송을 제공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통한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방송서버(130);
    접속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110)와 접속자(300)(310)(320) 또는 접속자 상호간의 연결을 중개하며, 미리 프로그램된 스케줄에 따라 통영상, 텍스트, 채팅, 화상, 전자칠판 등을 접속자(300)(310)(320)에게 보내주며, 운영자(110)의 관리 및 접속자의 대화정보, 업무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방송서버(130)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각각의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에전송하는 웹서버(200);
    카메라(4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된 관공서(500), 문화유적답사, 박람회 등 현장학습 화면을 상기 웹서버(200)에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400);
    상기 웹서버(200)를 통하여 운영본사(100)에서 전송되는 교육내용과 운영을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유아들의 교육에 활용하며, 운영자 및 다른 어린이교육기관과 음성, 영상채팅 등을 통하여 대화를 구현하는 한편, 상기 웹서버(200)에서 전송된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을 아이들에게 상영하여 주는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20)는
    상기 웹서버(200)를 통하여 국내외 어린이교육기관(300)(310)(320) 상호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본사의 주제하에 각 기관의 담당자가 화상 채팅을 통하여 소정의 계약을 체결한 후 화상교육을 진행하도록 하되, 고정IP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주소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유동IP를 사용하는 경우 각 기관의 PC에 하드웨어락 또는 인증서를 설치하여 관리시스템을 보안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버(130)는;
    상기 웹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131)와;
    조명장치(132)를 제어함과 아울러, 영상/음성출력장치(134)를 제어하여 선택된 배경화면 및 음성을 출력하게 하고,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음성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통신장치(131)에 출력하는 주제어장치(132);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주제어장치(132)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드라마 또는 연출장면을 스피커(136) 및 프로젝션(137)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영상/음성출력장치(134);
    카메라(138) 및 마이크(139)를 통하여 상기 영상/음성출력장치(134)에서 출력되는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장치(132)에 전송하는 영상/음성입력장치(1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실시간 드라마 교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버(130)는;
    상기 웹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131)와;
    카메라(138) 및 마이크(139)를 통하여 상기 영상/음성출력장치(134)에서 출력되는 연극 또는 드라마의 장면과 함께 아이들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상기 주제어장치(132)에 전송하는 영상/음성입력장치(135);
    조명장치(132)를 제어함과 아울러,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음성 정보를 디지털합성장치(140)로 전달하여 가공하게 한 후 상기 통신장치(131)에 출력하는 주제어장치(132);
    상기 영상/음성입력장치(135)를 통하여 입력된 어린이의 영상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만화 또는 동화 애니메이션의 영상을 디지털기술로 합성하는 디지털합성장치(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동화나라 교육 시스템.
KR1020030048957A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KR20050010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57A KR20050010084A (ko)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957A KR20050010084A (ko)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084A true KR20050010084A (ko) 2005-01-27

Family

ID=3722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957A KR20050010084A (ko) 2003-07-16 2003-07-16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00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60B1 (ko) * 2005-08-05 2007-08-09 주식회사 오아시스미디어 실시간 다층 동영상 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제공방법
WO2009031817A2 (en) * 2007-09-06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inear c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60B1 (ko) * 2005-08-05 2007-08-09 주식회사 오아시스미디어 실시간 다층 동영상 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제공방법
WO2009031817A2 (en) * 2007-09-06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inear code
WO2009031817A3 (en) * 2007-09-06 200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inear c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133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ustomized television programming over the internet
KR102217783B1 (ko)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 극대화를 위한 5g 텔레프레즌스 기반 hy-live(하이-라이브) 교육 시스템
CN108198111A (zh) 一种互联网教育平台的资源分享方法及装置
Smith et al. Low-latency networked music collaborations: Does “good enough” do enough good?
O’Dwyer et al. XR Ulysses: addressing the disappointment of cancelled site-specific re-enactments of Joycean literary cultural heritage on Bloomsday
CN108270667A (zh) 一种互联网教育平台及其多用户互动方法
Mosse et al. Viral Theatres’ pandemic playbook-documenting German theatre during COVID-19
Gorman et al. Immersive telepresence in theatre: performing arts education in digital spaces
Fabos Media in the Classroom: An Alternative History.
Swartz et al. Technology, time, and space or what does it mean to be present? A study of the culture of a distance education class
Knudsen Presence production
Basiel A 360 degree learning environment for university online teaching
KR2005001008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원격 교육 시스템
KR10059942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동화나라 교육 시스템
KR10059942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화상 교육 시스템
Natriello et al. Models and Methods of Online Team Teaching
Sergi Focusing the story-Between the screenplay and the audience-The Director as clarifier of the film's story
Case Scaling student sessions–Syllabi elements that enable one student’s recording session to advance all students’ learning
Humphries Beyond the Frame
Zapasnik The Juxtaposition of Film Education: Explorations for Implementing a Film Curriculum in Public Schools
Mosel WHAT IS A VIRTUAL EVENT?
Butler Writing the Central Role of Captions in Live Performances
Gavrilovic et al. Video Conference in Terms of Application of ICT in Education
Hamilton Supporting Participation Through Live Media
Kunnecke Distance Teaching in Times of Covid-19-From Zero to Hero? Experiences and Best Practices of a University Lecturer Trying to Create a Student-Centred Distance Teaching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