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854A -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854A
KR20050009854A KR1020030049147A KR20030049147A KR20050009854A KR 20050009854 A KR20050009854 A KR 20050009854A KR 1020030049147 A KR1020030049147 A KR 1020030049147A KR 20030049147 A KR20030049147 A KR 20030049147A KR 20050009854 A KR20050009854 A KR 2005000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ground
pipe
constru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685B1 (ko
Inventor
배석동
Original Assignee
배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석동 filed Critical 배석동
Priority to KR102003004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68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4Watertight packings for use unde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의 지하 터파기 공사시 굴착된 공간으로 침출되는 지하수를 배수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을 굴착하여 건축 또는 토목공사를 할 때 침출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수분이 없는 상태로 공사를 하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에 설치되어 침출수의 집수를 안내하는 유도수단과, 유도수단으로부터 안내되는 침출수를 집수하는 집수정과, 일측은 집수정에 연결되고 타측은 굴착된 지반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연결되어 집수된 침출수를 흡입 배출하는 배수펌프로 되며, 상기 유도수단은 측벽에 부착되는 유도판과, 유도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압착부와, 압착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유도판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집수정으로 안내하는 연결관으로 되거나 또는 측벽의 균열부에 삽입 설치되는 유도관과, 유도관에 연결되어 침출수를 집수정으로 안내하는 연결관과, 유도관과 연결관을 결합시키는 절곡관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벽에 설치된 유도수단의 가장자리에 모르타르 또는 실리콘으로 되는 수밀재가 설치하고, 유도수단의 침출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걸름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침출수가 계속하여 집수 배출되므로 굴착된 지반은 항상 건식상태가 되며, 따라서 건식상태에서 건설공사를 하게되어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Ground Leachate Drainage Apparatus of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이나 토목공사의 지하 터파기 공사시 굴착된 공간으로 침출되는 지하수를 배수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축공사나 토목공사 등을 위한 기초나 지하 구조물은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 상기 지반을 굴착하였을 때 지반의 균열부로 지하수가 침출되면 균열부에 그라우팅하거나 또는 강재패킹 등으로 임시 차수하고 있으나, 침출수압이나 수분에 의하여 접착, 경화 등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펌프를 이용하여 굴착된 지반의 바닥으로 고인 침출수를 강제배출하고 있으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지반(100)의 굴착된 바닥(102)에 배수관(105)의 일측 단부를 설치하고, 타측 단부는 굴착되지 않은 지반(100)에 설치하며, 상기 배수관(105)에 펌프(104)를 설치하여 굴착된 지반(100)의 측벽(101)이나 바닥(102)에 있는 균열부(103)에서 침출되는 침출수가 바닥(102)에 고이면 펌프(104)를 작동시킴으로써, 침출수가 배수관(10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침출수의 배수방법은 바닥(102)에 항상 수분이 고여있는 상태이므로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의 시공이 어렵고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등으로 강도가저하되어 시공 품질이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지반을 굴착하여 건축 또는 토목공사를 할 때 침출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수분이 없는 상태로 공사를 하도록 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지반침출수 배수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침출수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침출수 배수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침출수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11 : 유도수단 12 : 유도판
13 : 압착부 14 : 체결공 15 : 연결관
16 : 집수정 17 : 배수펌프 18 : 배수관
19 : 고정핀 20 : 유도관 21 : 절곡관
22 : 수밀재 23 : 지반 24 : 균열부
25 : 측벽 26 : 바닥 27 : 걸름망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에 설치되어 침출수의 집수를 안내하는 유도수단과, 유도수단으로부터 안내되는 침출수를 집수하는 집수정과, 일측은 집수정에 연결되고 타측은 굴착된 지반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연결되어 집수된 침출수를 흡입 배출하는 배수펌프로 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유도수단은 측벽에 부착되는 유도판과, 유도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압착부와, 압착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유도판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집수정으로 안내하는 연결관으로 되거나 또는 측벽의 균열부에 삽입 설치되는 유도관과, 유도관에 연결되어 침출수를 집수정으로 안내하는 연결관과, 유도관과 연결관을 결합시키는 절곡관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벽에 설치된 유도수단의 가장자리에 모르타르 또는 실리콘으로 되는 수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도수단의 침출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걸름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반을 굴착하여 건축공사나 토목공사를 할 때 수분이 배제된 상태에서 공사를 하게 되므로 시공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침출수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반침출수 배수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굴착된 지반(23)의 측벽(25)이나 바닥(26)에 있는 균열부(24)를 커버하는 유도수단(11)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수단(11)으로부터 침출수가 집수정(16)으로 이동되는 통로인 연결관(15)을 유도수단(11)에 설치하며, 일측은 집수정(16)에 연결되고 타측은 굴착된 지반(23)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18)과, 배수관(18)에 연결되어 집수된 침출수를 흡입 배출하는 배수펌프(17)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유도수단(11)은 가장자리에 압착부(13)가 형성된 유도판(12)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부(13)에 복수개의 체결공(14)을 형성하며, 상기 유도판(12)에 연결관(15)을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한 도면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5)의 균열부(24)에 삽입 설치되는 유도관(20)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관(20)에 연결되어 침출수를 집수정(16)으로 안내하는 연결관(15)을 구비하며, 이러한 유도관(20)과 연결관(15)을 절곡관(21)으로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측벽(25)에 설치된 유도수단(11)의 가장자리에 모르타르 또는 실리콘으로 되는 수밀재(22)를 설치하며, 필요에 따라 유도수단(11)의 침출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걸름망(27)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지반(23)을 굴착하여 굴착된 지반(23)의 측벽(25)이나 바닥(26)에 균열부(24)가 있으면 상기 균열부(24)를 커버하도록 유도판(1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유도판(12)은 압착부(13)를 균열부(24)가 있는 측벽(25)이나 바닥(26)에 대고 상기 압착부(13)의 체결공(14)을 통해 고정핀(19)이나 앵커볼트가 지반(23)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유도판(12)을 부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유도판(12)의 압착부(13)와 지반(23)의 밀착부분에 수밀재(22)를 설치하여 균열부(24)를 통하여 침출되는 침출수가 유도판(12)과 지반(23) 사이에 고이도록 하고, 상기 유도판(12)에 결합된 연결관(15)의 단부를 집수정(16)의 내부에 위치시켜 유도판(12)과 지반(23) 사이에 고인 침출수가 연결관(15)을 통하여 집수정(16)에 집수되도록 한다.
이어서 배수펌프(17)를 작동시키면 집수정(16)에 집수된 침출수가 배수펌프(17)에 의하여 배수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장치(10)는 지반의 굴착된 부분으로 침출되는 침출수를 집수정(16)으로 집수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지반(23)의 굴착된 내부는 건식상태에서 건축공사 또는 토목공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것으로, 균열부(24)가 적은 경우에는 상기 균열부(24)를 원뿔형태의 홈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유도관(20)을 삽입 설치하고, 이어서 원뿔형태의 홈에 수밀재(22)를 채워 넣음으로써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유도관(20)은 연결관(15)과 절곡관(21)으로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균열부(24)를 통하여 침출되는 침출수는 유도관(20) 내부로 유입되어 절곡관(21)과 연결관(15)을 거친 후, 집수정(16)의 내부로 집수되는 것이며, 이어서 배수펌프(17)에 의하여 배수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균열부(24)가 적은 경우에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유도관(20)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이나 연결관(15)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걸름망(27)을 설치하여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시 지반의 굴착된 곳으로 침출되는 침출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침출수가 계속하여 집수 배출되므로 굴착된 지반은 항상 건식상태가 되며, 따라서 건식상태에서 건설공사를 하게되어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굴착된 지반(23)의 측벽(25) 균열부(24)로 침출되는 침출수를 펌프로 배수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측벽(25)에 설치되어 침출수의 집수를 안내하는 유도수단(11)과, 유도수단(11)으로부터 안내되는 침출수를 집수하는 집수정(16)과, 일측은 집수정(16)에 연결되고 타측은 굴착된 지반(23)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18)과, 배수관(18)에 연결되어 집수된 침출수를 흡입 배출하는 배수펌프(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11)은 측벽(25)에 부착되는 유도판(12)과, 유도판(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압착부(13)와, 압착부(13)에 형성된 체결공(14)과, 유도판(12)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집수정(16)으로 안내하는 연결관(15)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11)은 측벽(25)의 균열부(24)에 삽입 설치되는 유도관(20)과, 유도관(20)에 연결되어 침출수를 집수정(16)으로 안내하는 연결관(15)과, 유도관(20)과 연결관(15)을 결합시키는 절곡관(21)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벽(25)에 설치된 유도수단(11)의 가장자리에 모르타르 또는 실리콘으로 되는 수밀재(2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수단(11)의 침출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걸름망(2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KR1020030049147A 2003-07-18 2003-07-18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KR10062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147A KR100627685B1 (ko) 2003-07-18 2003-07-18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147A KR100627685B1 (ko) 2003-07-18 2003-07-18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87U Division KR200330429Y1 (ko) 2003-07-24 2003-07-24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854A true KR20050009854A (ko) 2005-01-26
KR100627685B1 KR100627685B1 (ko) 2006-09-26

Family

ID=3722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147A KR100627685B1 (ko) 2003-07-18 2003-07-18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28B1 (ko) * 2009-03-13 2009-10-27 (주)예원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기초 흙막이용 토류판에 설치되는 배수처리장치
KR102049449B1 (ko) * 2018-10-15 2020-01-08 다산기업 주식회사 침출수의 유도배출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95B1 (ko) * 2007-05-31 2010-03-09 홍종인 지하수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28B1 (ko) * 2009-03-13 2009-10-27 (주)예원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기초 흙막이용 토류판에 설치되는 배수처리장치
KR102049449B1 (ko) * 2018-10-15 2020-01-08 다산기업 주식회사 침출수의 유도배출시스템과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685B1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5488C (en) Sub-floor drain conduit for basement water-control systems
US4538386A (en) Drainage system and method
US6634144B1 (en) Home waterproofing system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100627685B1 (ko)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KR200330429Y1 (ko) 건설공사의 지반침출수 배수장치
CN109736337B (zh) 一种基底电梯井集水坑流沙处理保证垫层完整性的降水装置与方法
CN210712963U (zh) 地下室底板后浇带的排水结构
KR100317530B1 (ko) 지하구조물 양압력해소시스템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CN214940310U (zh) 一种水压感应式集水坑自动报警排水系统
KR100905661B1 (ko)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KR100656410B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588185B1 (ko) 콘크리트 흙막이벽 축조 공법
CN213867886U (zh) 一种用于基坑施工的导水装置
CN210421104U (zh) 超深基坑集水装置
KR100736631B1 (ko)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CN212078203U (zh) 一种用于隧道出入口的集水坑结构
CN216586627U (zh) 一种节能基坑排水系统
CN220888700U (zh) 一种集水坑下储水坑结构
CN111663567B (zh) 一种基坑地下室通道结构防渗漏一体化施工方法
CN110630270B (zh) 治理暗挖竖井层间滞水的引排系统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