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350A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350A
KR20050009350A KR1020030048589A KR20030048589A KR20050009350A KR 20050009350 A KR20050009350 A KR 20050009350A KR 1020030048589 A KR1020030048589 A KR 1020030048589A KR 20030048589 A KR20030048589 A KR 20030048589A KR 20050009350 A KR20050009350 A KR 20050009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digital
transmission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텔레콤
Priority to KR102003004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350A/ko
Priority to PCT/KR2004/001731 priority patent/WO2005008960A1/en
Publication of KR2005000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다른 주파수 간섭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의 어려움을 제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 모뎀은 하나의 다세대 주택에 유선 케이블을 통해 동시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각의 세대만을 보면 케이블 모뎀은 사용자용 컴퓨터 등과 같은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가입자 장치와 분배기, 분기기 등과 같은 유선방송 시스템망(CATV)의 헤드엔드 장치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링크를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배기와 허브의 사이는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동축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허브 이후는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광섬유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나 분기기에는 텔레비전이 연결되어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되면 11Mbps, 54Mbps, 108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다중 접속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향 및 하향속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같은 파워(power)에서 더 멀리 전송되도록 하여 전송거리를 수십Km이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DIGITAL CABLE MODEM AND BIDIRECTIONAL AMPLIFIER USING HYBRID COAXIAL CABLE}
본 발명은 기존 유선방송 시스템망(CATV : Cable Television) 또는 공청 방송 시스템망(MATV : Master Antenna Television)에서 케이블 모뎀(CABLE MODEM ; DOCSIS 1.0, 1.1, 2.0),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망(ADSL :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전용 회선망, 기가비트 광 이더넷 등을 백본(Backbone)으로 활용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다른 주파수 간섭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신호를 먼거리까지 전송하기 위한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는 케이블 모뎀(CM; CABLE MODEM),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망(ADSL), E1 및 T1 등의 전용 회선망과 기가비트 광 이더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대 장치들이 사용되어 지고, 새로운 케이블들의 설치와 함께 그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더 큰 망과의 연결장치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부가 비용이 많이 발생되므로 그 비용적인 부담은 고객에게 돌아가게 되며, 장치 가격들이 비싸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구매가 어려워 대여하는 서비스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고속 광대역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광 선로를 집집마다 보급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를 완전히 구축하기까지는 막대한 자본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케이블 모뎀 시스템이 고속 데이터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모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은 케이블 모뎀이고, 12는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가입자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용 컴퓨터를 나타내고, 13은 유선방송 시스템망(CATV)의 헤드엔드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분배기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케이블 모뎀(11)은 유선방송 시스템망(CATV)만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고속 데이터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접속장치로서, 사용자용 컴퓨터(12)와 분배기(13)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링크를 통해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참조번호 14는 허브를 나타내고, 15는 텔레비전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분배기(13)와 허브(14)의 사이는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동축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허브(14) 이후는 양방향 데이터송수신이 가능한 광섬유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13)에는 텔레비전(15)이 연결되어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케이블 모뎀(11)은 유선방송 시스템망(CATV)의 방송국을 통해 기존 전화 모뎀에 비해 수백 배가 빠른 접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시 온라인 상태를 유지해주므로 언제든지 필요한 때에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케이블 모뎀의 하향속도는 보통 4Mbps 내지 30Mbps이며, 상향속도의 경우는 500Kbps 내지 10Mbps이다.
상기 케이블 모뎀(11)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상향동작(Upstream)에서는 CPE 즉, 사용자용 컴퓨터(12)로부터의 IP traffic을 이더넷(Ethernet)으로 받아서 Cable MAC frame으로 프레이밍(framing)을 하고, 필요한 경우 암호화하고 QPSK 또는 QAM16으로 디지털 변조를 하여 5MHz 내지 65MHz 에서 상향 전송한다.
또한, 하향동작(Downstream)에서는 선택한 하향 채널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여 QAM64/256 Digital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MPEG 패킷을 추출하고 케이블 모뎀(11) 또는 사용자용 컴퓨터(12)로 향하는 MPEG 패킷으로 MAC frame을 추출한다. 암호화된 경우 원 데이터로 복구하고, 케이블 모뎀(11)으로 향하는 메시지는 처리하고 사용자용 컴퓨터(12)로 향하는 데이터는 이더넷(Ethernet)으로 전송해준다. 상기 신호가 케이블 모뎀(11)까지 들어오면, 상기 케이블 모뎀(11)에서는 인터넷 신호와 케이블 TV 신호를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유선 케이블 모뎀의 개발은 건물내의 유선 케이블을 사용하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다른 신호와 혼신 문제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 때문에 같이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유선 케이블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추가 설치로 인하여 사용자가 고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선 케이블 모뎀은 상향 및 하향 주파수가 다르며 전송 용량이 다르고, 실제 사용되고 있는 거리 또한 짧기 때문에 성능의 문제로 유선에서 만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더넷 백본과 같은 아키텍쳐로 이용자 수가 늘어날수록 급격히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무 증폭으로 전송 가능한 거리가 1Km 이내로 매우 짧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폭을 하게 되더라고 노이즈 때문에 먼 거리에 전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더넷(Ethernet) 신호를 IF, RF 신호나 Zero IF, RF 엔코딩 함으로써 거리는 수십Km이상을 지원하며, 건물내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향 및 하향 주파수가 같도록 하고 전송 용량을 높여서 TV 채널 대역과 함께 사용하여 11Mbps, 54Mbps, 108Mbps의 전송속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증대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을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 거리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고 기존의 유선 랜카드(LAN Card)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여 설치비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비용부담을 줄이고 ISP사업자에게도 부대 장치의 설치를 위한 인력이나 비용적인 초기 부담들이 없게 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모뎀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RF 신호와 IF 신호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DSSS의 변조 및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OFDM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앰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과 유사한 제품의 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블 모뎀 12 : 사용자용 컴퓨터
13 : 분배기 14 : 허브
15 : 텔레비전 21 : 억세스 포인트(AP)
22 : RF신호 증폭부 23 : RF/IF 변환부
24 : I/Q 변복조부 25 : 베이스밴드 처리부
26 : 미디어 억세스 제어부(MA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모뎀의 디지털부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수신하여 TV 채널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고, 송신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시스템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증폭시키는 RF신호 증폭부와; 수신시에는 상기 RF신호 증폭부를 통하여 증폭된 TV 채널 대역외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로 변환하며, 송신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되어 전송될 데이터가 IF 대역으로 올려지고 다시 TV 채널 대역으로 변환하여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에 전송 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RF신호 증폭부로 제공하는 RF/IF 변환부와; 수신시에는 상기 RF/IF 변환부에서 제공된 신호에서 I(in-phase) 및 Q(quadrature) 컴포넌트를 통과한 신호를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가 어떤 값을 의미하는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해석하고, 송신시에는 신호를 각 신호마다 90도의 위상차가 나는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IF 변환부로 전송하는 I/Q 변복조부와; 수신시에는 상기 I/Q 변복조부에서 입력된 QPSK, QAM 해석을 마친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송신시에는 전송을 원하는 데이터를 DSSS, OFDM 변조한 후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I/Q 변복조부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와; PC 카드(PCMCIA slot)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C로부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PC로 보내는 역할과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한 흐름 조절 및 송수신시의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 억세스 제어부(MA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반송파 주파수의 범위는 TV 채널 대역의 750MHz 에서 1000MHz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변조 방식이 유사한 기존의 무선 제품인 IEEE802.11b, 802.11g, 802.11a, HIPER LAN 1,2, IEEE 1394, UWB(Ultra Wide Band)를 이용하여 유선 동축 케이블 모뎀 또는 IP SET TOP-BOX 와 연동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서 IF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RF 신호를 이용하는 Zero IF 방식 즉, 직접 RF 변조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신호를 먼 거리까지 전송하기 위하여,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신호들을 차단하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밴드패스필터와, 상기 밴드패스필터에서 필터링을 수행한 후 RF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와, 상기 신호 검출기에서 검출된 RF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송수신을 결정하고 일정한 출력값을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게인 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케이블 모뎀의 양방향 앰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제품은 현재 TV 채널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인 750MHz 내지 1000㎒의 대역을 사용하는데, 결국 TV 채널 주파수 중에서 비어있는 채널의 주파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건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다세대 주택, 아파트에 케이블을 통해 동시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각의 세대만을 보면 도 1에 설명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케이블 모뎀(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화 장치인 억세스 포인트(AP)(21)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수신하여 위의 주파수 대역(750MHz 내지 1000㎒)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증폭하고, 송신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시스템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증폭시키는 RF신호 증폭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시에는 상기 RF신호 증폭부(22)를 통하여 증폭된 위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로 변환하며, 송신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되어 전송될 데이터가 IF 대역으로 올려지고 다시 위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위의 주파수 대역의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에 전송 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RF신호 증폭부(22)로 제공하는 RF/IF 변환부(23)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시에는 상기 RF/IF 변환부(23)에서 제공된 신호에서 I(in-phase) 및 Q(quadrature) 컴포넌트를 통과한 신호를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가 어떤 값을 의미하는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해석하고, 송신시에는 신호를 각 신호마다 90도의 위상차가 나는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IF 변환부(23)로 전송하는 I/Q 변복조부(24)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시에는 상기 I/Q 변복조부(24)에서 입력된 QPSK, QAM 해석을 마친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DSSS(Direct SequenceSpread Spectrum),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송신시에는 전송을 원하는 데이터를 DSSS, OFDM 변조한 후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I/Q 변복조부(24)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5)를 포함한다.
또한, PC 카드(PCMCIA slot)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C로부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PC로 보내는 역할과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한 흐름 조절 및 송수신시의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 억세스 제어부(MAC)(2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의 주파수 대역(750MHz 내지 1000㎒)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집중화 장비인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AP)(21)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대기를 통하여 전달되게 되며, 대기 중에서는 신호가 감쇄되어 신호의 레벨이 낮아진다. 이러한 낮은 레벨의 신호는 바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억세스 포인트(AP)(21)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할 필요가 있다.
상기 RF신호 증폭부(22)에서는 미약한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사용하기 알맞은 신호로 만들어준다. 또한, 위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위의 주파수 대역 근처의 신호만이 필요한 신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를 가려내는 필터가 존재한다.
또한, 송신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시스템까지 전달할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올려서 송신해야 한다. 상기 RF신호 증폭부(22)에서는 송신시에 이러한 내부적으로 처리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증폭하여 준다.
한편, 위의 주파수 대역의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에 전송 내용을 싣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Intermediate Frequency : 중간 주파수)라는 중간 단계의 주파수로 변환을 거친 후, 위의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를 한 단계 올려 전송하게 된다. 이것은 자료의 전송에 사용되는 대역폭은 위의 주파수 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한번에 주파수를 높일 경우 증폭기의 이득 특성 및 각종 특성이 좋지 않으므로 약 10MHz에서 600MHz의 중간 주파수로 신호를 올린 후 위의 RF 주파수 대역으로 올리게 된다. 따라서, 수신시에는 안테나와 RF신호 증폭부를 통하여 증폭된 위의 RF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위의 IF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며, 송신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되어 전송될 데이터가 위의 IF 주파수 대역으로 올려지고 다시 위의 RF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은 변환에 있어서 노이즈(noise)가 유입되게 될 경우 전송 내용에 에러(error)가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RF/IF 변환부(23)에는 증폭 특성이 좋으며 노이즈에 강한 저잡음 증폭기(LNA : Low Noise Amplifier)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RF/IF 변환부(23)를 통하여 IF 신호로 전환된 신호는 변복조 동작하는 상기 I/Q 변복조부(24)를 거쳐 QPSK, QAM 신호에 대한 해석을 하게 된다. 수신시에는 I(in-phase) 컴포넌트(component)와 Q(quadrature : I 컴포넌트와 90차이가 남) 컴포넌트(component)를 통과한 신호를 비교하여 수신된신호가 어떤 값을 의미하는지 해석하게 된다. 해석된 신호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baseband processor)(25)로 전달된다. 송신시에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5)로부터의 신호를 각 신호마다 90 의 위상차가 나는 QPSK, QAM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IF 변환부(24)로 전송한다.
상기 I/Q 변복조부(25)의 동작에 의해 QPSK, QAM 해석까지 완료된 IF 신호는 아직도 아날로그 신호로서 존재하며, DSSS, OFDM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5)는 입력된 IF신호를 A/D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거나 전송시 D/A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SS, OFDM 변복조를 수행한다. 수신시에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5)로 QPSK, QAM 해석을 마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된다. 이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DSSS, OFDM 복조(demodulation)를 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송신시에는 전송을 원하는 데이터를 DSSS, OFDM 변조(modulation)한 후 D/A 변환하여 상기 I/Q 변복조부(24)로 보낸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서의 Zero IF 방식은 위의 방식에서 IF 신호의 변환이 없이 직접 RF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모뎀(11)은 일반 TV 신호와 인터넷(Internet) 및 이더넷(Ethernet)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한 신호를 RF 혼합(MIX)장치를 통해 두 신호를 혼합(MIX)한 후 그 신호를 각 가입자 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신호 중 인터넷(Internet) 및 이더넷(Ethernet) 신호가 내포되어 있는 RF 신호만을 검출하여 인터넷(Internet) 및 이더넷(Ethernet) 신호로 변환한다. 기존의 TV 공청용 케이블에 혼합되었던 각각의 신호 중 TV시청을 위한 미디어(Media) 신호는 필터링 없이 TV 시청을 가능케 하며, 데이터(DATA)가 실려 있는 RF 신호는 본 발명의 케이블 모뎀(11)을 거쳐 이더넷(Ethernet) 신호로 디코딩(Decoding)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넷(Interne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송거리를 연장하기 위한 양방향 앰프의 구성과 동작은 도 6에서와 같이 밴드패스필터(BPF : Band Pass Filter)에 의해서 TV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되며 본 개발 제품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다음으로 RF 신호의 출력세기를 검출하여 내부의 AGC(Auto Gain Control)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일정한 출력값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ALC(Auto Level Control)가 동작된다. 송수신의 결정은 RF 신호에 따라서 결정되면 그에 따라서 양방향 앰프 내부의 스위치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전력소모가 70% 이상이 절감된다. 항상 앰프가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동작되므로 전력소모가 줄어들게 된다. 수신 레벨은 -70dBm 내지 0dBm 정도가 적당하면 출력은 + 10dBm 이 적당하다. 이유는 TV 신호와 같이 전송되어야 하므로 같은 범위에서 존재해야한다. TV 신호 수신 레벨은 -45dBm 내지 -60dBm 정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브릿지 및 무선 랜카드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유/무선을 모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응용으로 기존의 무선 랜 장비인 IEEE802.11b, 802.11g, 802.11a, HIPER LAN 1,2, IEEE 1394, UWB(Ultra Wide Band) 등을 이용하여 본 개발 제품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모뎀이나 IP SET TOP BOX 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는 부대장치의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비용적인 절감의 장점이 있고, ISP 사업자에게도 부대 장치의 설치를 위한 인력이나 비용적인 초기 부담들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모뎀의 속도는 11Mbps, 54Mbps, 108Mbps의 다양한 속도 지원하며, 다중 접속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안에 관한 문제점들도 해결하였고, 기존의 유선 랜카드(LAN Card)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유무선 혼용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향 및 하향속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양방향 앰프를 사용하여 같은 파워(power)에서 더 멀리 전송되도록 하여 전송거리를 수십Km이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뎀의 디지털부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수신하여 TV 채널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고, 송신 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된 낮은 레벨의 신호를 시스템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출력 레벨을 증폭시키는 RF신호 증폭부와;
    수신 시에는 상기 RF신호 증폭부를 통하여 증폭된 TV 채널 대역외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로 변환하며, 송신 시에는 내부적으로 처리되어 전송될 데이터가 IF 대역으로 올려지고 다시 TV 채널 대역으로 변환하여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에 전송 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RF신호 증폭부로 제공하는 RF/IF 변환부와;
    수신 시에는 상기 RF/IF 변환부에서 제공된 신호에서 I(in-phase) 및 Q(quadrature) 컴포넌트를 통과한 신호를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가 어떤 값을 의미하는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해석하고, 송신 시에는 신호를 각 신호마다 90도의 위상차가 나는 QPSK 방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IF 변환부로 전송하는 I/Q 변복조부와;
    수신 시에는 상기 I/Q 변복조부에서 입력된 QPSK 해석을 마친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송신 시에는 전송을 원하는 데이터를 DSSS, OFDM 변조한 후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I/Q 변복조부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와;
    PC 카드(PCMCIA slot)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C로부터 전송 요청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PC로 보내는 역할과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통한 흐름 조절 및 송수신시의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 억세스 제어부(MA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파 주파수의 범위는 TV 채널 대역의 750MHz 에서 1000MHz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3.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변조 방식이 유사한 기존의 무선 제품인 IEEE802.11b, 802.11g, 802.11a, HIPER LAN 1,2, IEEE 1394, UWB(Ultra Wide Band)를 이용하여 유선 동축 케이블 모뎀 또는 IP SET TOP-BOX 와 연동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디지털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신호를 먼 거리까지 전송하기 위하여,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신호들을 차단하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밴드패스필터와, 상기 밴드패스필터에서 필터링을 수행한 후 RF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와, 상기 신호 검출기에서 검출된 RF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송수신을 결정하고 일정한 출력값을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게인 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모뎀의 양방향 앰프.
KR1020030048589A 2003-07-16 2003-07-16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KR20050009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89A KR20050009350A (ko) 2003-07-16 2003-07-16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PCT/KR2004/001731 WO2005008960A1 (en) 2003-07-16 2004-07-12 Digital cable modem and bidirectional amplifier using hybrid coaxial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589A KR20050009350A (ko) 2003-07-16 2003-07-16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106U Division KR200331425Y1 (ko) 2003-07-16 2003-07-16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350A true KR20050009350A (ko) 2005-01-25

Family

ID=3407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89A KR20050009350A (ko) 2003-07-16 2003-07-16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09350A (ko)
WO (1) WO200500896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974B1 (ko) * 2005-07-26 2007-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과 물리계층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케이블 망에서의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와 그를 이용한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03779B1 (ko) * 2005-05-1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Catv 방송 신호 수신용 선로를 통하여 유선 단일 밴드직교주파수분할다중 방식 기반 초광대역 신호를 전송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68365B1 (ko) * 2007-04-20 2008-11-12 주식회사 넷웨이브 신호변환장치
US7961754B2 (en) 2005-07-26 2011-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cable network using broadband and physical layer frame structure
KR101292319B1 (ko) * 2011-12-15 2013-07-31 주식회사 한신정보기술 초광대역통신을 이용한 usb신호 장거리 전송장치
CN105894801A (zh) * 2016-05-04 2016-08-24 重庆世纪之光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装置、数据发送装置及数据通信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2614A1 (en) * 2007-07-23 2009-01-29 Thomson Licensing Bi-directional amplifier for data over coax application
US8179814B2 (en) * 2009-03-30 2012-05-15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Automatic return path switching for a signal conditioning device
US8181211B2 (en) * 2009-03-30 2012-05-15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Total bandwidth conditioning device
EP2710743B1 (en) * 2011-05-17 2018-08-29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onverged in-building network
US11356563B1 (en) 2020-06-16 2022-06-07 Andre Greene Amplified cable mod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3295B2 (en) * 1999-04-13 2011-04-26 Broadcom Corporation Cable modem with voice processing capability
JP3424660B2 (ja) * 2000-06-13 2003-07-07 株式会社関電工 既設のテレビ共同受信設備を利用したテレビ受信,インターネット接続及び棟内lanシステムの構築方法
KR100411405B1 (ko) * 2001-11-09 2003-12-18 주식회사 써니벨테크놀러지 텔레비전 라인을 통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779B1 (ko) * 2005-05-1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Catv 방송 신호 수신용 선로를 통하여 유선 단일 밴드직교주파수분할다중 방식 기반 초광대역 신호를 전송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697974B1 (ko) * 2005-07-26 2007-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과 물리계층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케이블 망에서의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와 그를 이용한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US7961754B2 (en) 2005-07-26 2011-06-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cable network using broadband and physical layer frame structure
KR100868365B1 (ko) * 2007-04-20 2008-11-12 주식회사 넷웨이브 신호변환장치
KR101292319B1 (ko) * 2011-12-15 2013-07-31 주식회사 한신정보기술 초광대역통신을 이용한 usb신호 장거리 전송장치
CN105894801A (zh) * 2016-05-04 2016-08-24 重庆世纪之光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装置、数据发送装置及数据通信系统
CN105894801B (zh) * 2016-05-04 2019-06-14 重庆世纪之光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装置、数据发送装置及数据通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8960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3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over various communication media
US63777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 client device and a linear broadband network
US9015774B2 (en) Intellige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digital signals on a wideband signal distribution system
US7099368B2 (en) Ultra-wideband communication through a wire medium
US8214871B2 (en) Signal compression for fiber node
CN101155036A (zh) 有线接入网络系统头端设备
KR20050009350A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KR10108202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디지털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CN102195664B (zh) 一种多路微波数字接收机
KR100411405B1 (ko) 텔레비전 라인을 통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KR200331425Y1 (ko)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및 양방향 앰프
KR200267326Y1 (ko) 텔레비전 라인을 통한 디지털 케이블 모뎀
US20060117361A1 (en)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ing CATV network with wireless return path
KR101034931B1 (ko) 광 동축 혼합망을 이용한 실외용 무선 엑세스 포인트 장치 및 와이파이 서비스 시스템
KR200286404Y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용 필터링 장치
JP3660174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多重化伝送方式及びその伝送システム
KR100611408B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
KR100844316B1 (ko) Hfc 전송망 감시장치
JP375603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402378B1 (ko) 에이치에프씨망 무선 가입자 서비스 시스템
WO2000076135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transmission de donnees
KR20020005065A (ko) 위성인터넷 데이터 케이블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복합위성-케이블 인터넷 네트워크
JP3460804B2 (ja) データ伝送方式
WO2003096566A1 (en) Automatic frequency badwidth matching and noise filtering for internet service of master antenna television network
JPH11234646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リピータと、共聴同軸ケーブル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