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263A -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263A
KR20050009263A KR1020040116179A KR20040116179A KR20050009263A KR 20050009263 A KR20050009263 A KR 20050009263A KR 1020040116179 A KR1020040116179 A KR 1020040116179A KR 20040116179 A KR20040116179 A KR 20040116179A KR 20050009263 A KR20050009263 A KR 2005000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vaccin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4011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263A/ko
Publication of KR2005000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2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n embedded system,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in mobile devices, printers,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백신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탑재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시스템을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하면서, 상기 메모리에 탑재된 무선 백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무선 백신 종료 명령 입력시, 상기 바이러스 감시 모드를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the Mobile Virus in Real ti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는 무선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한 백신 서비스에 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능이 탑재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그리고 스마트폰(Smart Phone), IMT2000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 단말기에 전원이 입력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각 이동 통신사와 최초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 또는 연결되어 통화 대기 상태가 된 후에 가장 최신 백신을 무선 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시킨 후,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program)의 형태로 무선 통신 단말기에 무선 백신을 상주시킴으로써, 무선 바이러스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기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에 몰래 잠입하여 자신을 프로그램에 복제하고 컴퓨터 시스템과 파일들을 파괴하는 악성 프로그램으로서, 1983년 미국 리하이 대학의 프레데릭 코헨(Fredrick Cohen) 교수가 컴퓨터 보안 세미나에서 처음 소개한 이후로, 없이 많은 종류의 컴퓨터 바이러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이러스들을 살펴보면, 똑 같은 종류의 바이러스는 거의 없고, 나름대로 약간씩 다른 코드를 가지고 있으나,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파괴한다든지, 사용자 프로그램이나 실행프로그램을 감염시켜 데이터를 파괴하는 등, 바이러스가 주는 피해의 종류는 대체로 비슷하다. 이러한 컴퓨터 바이러스들은 발견되는 장소나 전파 방법, 또는 악성 프로그램으로서의 특징에 따라 벌레(Worm)형 프로그램과 트로이 목마(Trojan Horse)형 프로그램, 그리고 바이러스(Virus)형 프로그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벌레(Worm)형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신을 계속 복제해 나가는 악성 프로그램으로서, 웜 자체가 시스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자신을 복제해 내가는 과정에서 CPU 사용시간 및 디스크 용량은 물론,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게 한다. 최근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달과 인터넷의 확산으로 벌레형 바이러스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파 속도와 파괴력 측면에서 다른 바이러스들 보다 월등하다.
트로이 목마(Trojan Horse)형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행동을 하도록 만들어진 악성 프로그램으로서, 정상적인 프로그램에 자신을 추가 시킨 후, 불법적인 행위나 잘못된 작동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유형의 바이러스는 데이터나 디스크를 작동 즉시 파괴해 버릴 정도로 큰 피해를 주지만, 바이러스형과는 달리 자기 복제 기능은 없다.
바이러스(Virus)형 프로그램은 살아있는 바이러스와 같이,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을 감염 시켜 파괴하거나 운영에 제한을 가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자료를 복사하거나 공유할 경우, 해당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나 디스켓 등과 같은 저장 공간을 감염시키는 것이다.
대부분의 컴퓨터 바이러스는 상기 열거한 컴퓨터 바이러스 특징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컴퓨터 바이러스의 종류는 전세계적으로 2,000여 종 이상이다.
컴퓨터 바이러스가 상기와 같이 급속도로 창궐하게 된 이유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목표로 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운영 체제가 특정 업체 제품으로 편중화 되어 있고, 정보 통신 인프라의 발전으로 인하여 온오프 라인에서 활동하는 서드 파티 개발자(Third Party Developer)들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바이러스는 하드웨어 보다는 운영 체제, 파일 시스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의존적인데, 대부분의 데스크탑 컴퓨터에 탑재되어 있는 운영 체제와 파일 시스템이 특정 업체에서 제공하는 제품들로 편중화 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간단한 기술적 이해만으로도 바이러스 제작이 가능하며, 이것이 컴퓨터 바이러스를 급속도로 창궐시킨 이유 중 하나이다.
한편, 정보 통신 인프라의 발전에 의해 사용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서드 파티 개발자들이 온오프 라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서드 파티 개발자 중에서 운영 체제, 파일 시스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이 내포하고 있는 시스템상의 허점을 인지한 일부 고수준 개발자들에 의해 컴퓨터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배포되고 있다.
반면,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비해서, 운영 체제 및 파일 시스템의 편중이 비교적 덜하고, 서드 파티 개발자의 수가 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아직까지 바이러스에 대한 위험도가 크게 인식되지 않았다.
그러나, 무선 통신 및 무선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기종간의 서비스 호환을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합하고, 다양한 무선 애플리케이션이 제작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수의 무선 통신 서드 파티 개발자가 활동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역시 더 이상 바이러스의 안전지대가 아니며, 언제든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아 시스템이 파괴되거나 시스템 자체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무선 바이러스는 기존 컴퓨터 바이러스와 달리, 무선 인터넷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증권 및 은행 거래정보를 집중 타깃으로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순한 무선 보안의 허점이 무선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의 근간을 파괴할 수도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무선 바이러스에 대한 대비책은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서, 단순히 무선 통신 단말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사이의 싱크(Sync) 과정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을 막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바이러스를 실시간 감시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수 있는 프로그램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전원 입력시 무선 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이 초기화되는 표준 작동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백신에 대한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로 전달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무선 백신을 백신 D/B(Data Base)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백신 D/B(Data Base)로부터 추출한 무선 백신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무선 백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손상된 자료를 복구하는 무선 바이러스(Virus) 차단 방법을 제공함에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무선 백신이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한 후, 상기 무선 백신을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program)의 형태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상주시킨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감시 모드로 작동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무선 백신 제공자, 이동 통신 시스템,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2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이동 통신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가입자의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제공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무선 백신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로 무선 백신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5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무선 백신이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한 후, 해당 무선 백신을 TSR의 형태로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주시키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무선 백신 제공자 105 : 백신 D/B
110 : 이동통신시스템 115 : 무선백신 배포시스템
120 : 백신 D/B 125 : 교환기
130 : HLR/VLR 135 : PSTN
140 : 운용보전장치 145 : 제어국
150 : 기지국 155 : 무선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백신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탑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시스템을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하면서, 상기 메모리에 탑재된 무선 백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무선 백신 종료 명령 입력시, 상기 바이러스 감시 모드를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바이러스가 무선 통신 단말기로 감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제공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무선 통신 단말기에 기존 무선 백신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해당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무선 백신의 버전 정보 등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로 최신 무선 백신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무선 백신이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한 후, 해당 무선 백신을 종료 후 상주 프로그램(Terminate and Stay Resident; TSR)의 형태로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주시키는 단계 등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로 무선 바이러스가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기 감염되어 있는 무선 바이러스를 자동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전원 입력시 무선 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이 초기화되는 표준 작동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백신에 대한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로 전달하는 단계,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무선 백신을 백신 D/B(Data Base)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백신 D/B(Data Base)로부터 추출한 무선 백신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무선 백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손상된 자료를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무선 백신이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한 후, 상기 무선 백신을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program)의 형태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상주시킨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감시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호 처리(Call Processing)와 핸드오프(Handoff)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표준 작동 방식, SMS(Short Message Service)와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 그리고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나 ME(Mobile Explorer)와 같은 무선 인터넷 기술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이동 통신 기술과 무선 통신 및 무선 인터넷 기술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로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기 감염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자동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다음의 도면과 설명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대표적인 경우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다음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면1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관점에서 무선 바이러스가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감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무선 백신 제공자(100), 이동 통신 시스템(110),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무선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공하는 백신 제공자(100)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을 연결 시켜주는 인터페이스로서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이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 탑재되어 있어야만 한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125),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130), 그리고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130) 등과 연결되어 있어야만 하며,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MSC(125)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모든 호 처리와 제어를 담당하고 있는 이동 통신 교환기로서, HLR와 VLR과 같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130)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운용 상황을 종합 감시하는 망운용보전장치(140) 등을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110)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공중 전화망(PSTN)(135)과 아날로그 이동 통신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과의 접속을 제공한다. 따라서, 모든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MSC(135)를 통해서 다른 무선 통신 단말기, 일반 전화기, 그리고 무선 인터넷 상의 다양한 CP(Content Provider)와 연결된다.
HLR(130)은 이동 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D/B로서, 가입자의 등록 및 신상 정보, 가입자의 전화 호와 ESN(Electronic Serial Number)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 정보, 그리고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 종류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HLR(130)은 일종의 소프트웨어 엘리먼트(Software Element)로서, MSC 내부에 구현되거나 외장형의 형태로 구현된다.
VLR(130)은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로서, 방문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VLR(130)은 방문 가입자가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130)과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 가입자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130)이 변경되면 VLR(130)도 자동 변경된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MSC(125)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155)와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해 백신 제공자(100)를 연결함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와 무선 백신 제공자(1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HLR과 VLR(130)을 참조하여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적합한 최신 백신을 선택하여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의 백신 D/B(120)는 무선 바이러스에 대한 무선 백신을 저장하고 있으며, 무선 백신은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종류, 제작 회사, 그리고 모델에 의존적이다. 이것은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종류, 제작 회사, 그리고 기종별 모델에 따라 탑재되어 있는 운영 체제, 파일 시스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백신 D/B(120)는 상기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존적인 무선 백신을 저장하고 있다.
무선 백신 제공자(100)는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무선 백신을 제작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무선 백신 제공자(100)의 백신 D/B(105)는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의 백신 D/B(120)와 같이 무선 바이러스에 대한 무선 백신을 저장하고 있다. 단,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의 백신 D/B(120)가 해당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 연결 가능한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대한 무선 백신을 단말기 종류, 제작 회사, 그리고 기종 별로 저장하고 있는 반면, 무선 백신 제공자(100)의 백신 D/B(105)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제작한 무선 백신을 단말기 종류, 제작 회사, 그리고 기종 별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무선 백신을 실질적으로 배포하는 것은 서비스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컨텐츠 제공자로서의 무선 백신 제공자(100) 모두 가능하다.
무선 백신을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이 실질적으로 배포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표준 작동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백신 서비스가 빠르고, 실시간 서비스가 가능하며, 요금 체계가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는 반면,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실질적으로 무선 백신을 배포하는 경우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무선 인터넷 상의 컨텐츠 제공자가 되고,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이 무선 인터넷 상의 게이트웨이(Gateway)처럼 응용되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여러 개의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 대하여 무선 백신 서비스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백신 서비스 이외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무선 백신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백신에 대한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로 전달해야만 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기(155)를 대상으로 하는 무선 바이러스의 종류가 각 단말기의 종류, 제작 회사, 그리고 기종 별로 다르기 때문이며, 무선 백신을 단말기로 전달하기 앞서 해당 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참조해야 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하는 개시 시점은,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전원이 입력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155)와 이동 통신이 초기화되는 표준 작동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개시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각각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면2와 도면3과 같다.
도면2는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감염되어 있는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무선 백신을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전원이 입력되어 단말기와 이동 통신이 초기화되는 과정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으로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2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전원이 입력된 후, 단말기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이 초기화되는 과정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표준 작동 방식을 응용하여,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으로 전달하는 것은,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이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 내부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서비스 방법에 따라 무선 백신 제공자(100)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전원이 입력되면(200),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부팅 작업을 수행한 후, 해당 단말기의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의 시스템 선호 정보, 프라이머리 주파수 채널과 세컨더리 주파수 채널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여 시스템 세부 상태를 설정한다(205).
시스템 세부 상태 설정이 종료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프라이머리(Primary) 주파수 채널로 튜닝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파일롯 채널을 복원시킨다(210). 만약, 주어진 시간내에 프라이머리 주파수 채널을 복원시키지 못했을 경우에는 세컨더리(Secondary) 채널을 프라이머리 채널과 같은 방식으로 복원시킴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와 기지국(150)을 연결한다.
파일롯 채널이 복원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동기 채널을 획득하며(215), 이 과정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기지국(150)으로부터 동기 채널 메시지(Sync Channel Message)를 수신하여, 프로토콜 버전, SID(System IDentification), NID(Network IDentification), 파일롯 의사 잡음 오프셋값(Pilot PN Offset), 롱 코드 현재 상태(Long Code State), 시스템 시각, 호출 채널 전송 속도 등과 같은 시스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동기 채널이 획득되고 동기 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구성 정보를 생성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동기 채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의사 잡음 오프셋(PN Offset), 시스템 시각, 롱 코드 현재 상태값 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타이머와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내부 타이머를 일치시킨다(220).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전원이 입력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지국(150)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과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타이머가 동기화 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or Phone Number)과 ESN(Electronic Serial Number)과 같은 단말기 시스템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교환기(125)로 전송한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기존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경우, 교환기(125)로 전송된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는,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홈 가입자인지 방문 가입자인지를 판단한 후, 홈 가입자의 경우 해당 단말기 시스템 정보를 HLR에 저장하여 홈 가입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방문 가입자의 경우 단말기 시스템 정보를 VLR에 저장하여 로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존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과 VLR에 가입자 프로파일이 생성됨과 동시에, 해당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으로 전달하여(225),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이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대한 무선 백신 서비스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155) 입장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110)으로 해당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자신의 시스템 내부에 기존 무선 백신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230). 만약,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기존 무선 백신이 설치되어 있다면(235),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해당 무선 백신에 대한 버전 정보와 같은 무선 백신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으로 전송한다(240).
그러나, 반대로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무선 백신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245),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무선 백신이 설치되어 있지 않음을 이동 통신 시스템(110)을 통해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으로 전송한다(250).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도면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원이 입력되어 이동 통신 시스템(110)과 최초 연결됨과 동시에, 최신 무선 백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전원을 입력하면, 본 발명에 의해 그 즉시 최신 백신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무선 백신이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전송되는 경우는 이동 통신 가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도면3은 이동 통신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가입자의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3에서 이동 통신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기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하는 것은,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무선 인터넷 상의 컨텐츠 제공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 경우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은 무선 인터넷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동 통신 가입자의 요청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무선 백신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 항상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해당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무선 백신 서비스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300),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 접속하게 되며(305), 그와 동시에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가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한다(310). 이 때,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가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되는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VLR(130)을 이용하는 방법과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서 직접 전달하는 방법 등이 있다.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HLR/VLR(130)을 통해 전달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기(155)가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 접속함과 동시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VLR(130)을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무선 백신 서비스가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 의존하기 때문에, 무선 백신 서비스 요금 체계가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서 무선 백신 제공자(100)로 직접 단말기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기(155)가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 접속함과 동시에 해당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무선 백신 서비스가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 대하여 비교적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무선 백신 서비스 요금 부과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가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되면,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단말기 내부에 기존 무선 백신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315). 만약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기존 무선 백신이 탑재되어 있다면(320), 해당 무선 백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송하고(325), 해당 단말기에 무선 백신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330), 그 사실을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전달한다(335).
도면4는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 전달된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를 통해,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무선 백신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에게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시스템 정보와 해당 단말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무선 백신 정보 등이 수신되면(400),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는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기존 무선 백신이 탑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05). 만약,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기존 무선 백신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면(410),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는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최신 버전의 무선 백신을 전송한다.
그러나, 반대로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기존 무선 백신이 탑재되어 있다면(415), 해당 무선 백신이 이전 버전의 무선 백신인지 , 아니면 최신 버전의 무선 백신인지를 확인한다(420). 만약,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탑재되어 있는 백신이 이전 버전의 것이라면,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는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최신 버전의 무선 백신을 전송한다(425). 그러나,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이미 최신 버전의 무선 백신이 탑재되어 있다면(430),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는 무선 백신 전송 서비스를 중지한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무선 백신을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전송하는 방법은, SMS Push와 같은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기반 푸시 기술(Push Technology), 또는 WAP Push와 같은 무선 인터넷 기반 푸시 기술 등을 주로 이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SMS Push와 WAP Push와 같은 무선 푸시 기술을 모바일 푸시(Mobile Push)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푸시 기술은 유선 인터넷에 사용되는 푸시 기술은 무선 통신 및 무선 인터넷에 적용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모바일 푸시 기술을 통해 최신 백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의 전원을 입력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110)과 연결하거나, 무선 백신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가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시스템 정보와 백신 정보 등을 종합 분석하여,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 가능한 최신 백신을 모바일 푸시를 통해 즉각적으로 제공한다.
도면5는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전송된 무선 백신이 무선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한 후, 해당 무선 백신을 TSR의 형태로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상주시키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115) 또는 무선 백신 제공자(100)로부터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적용 가능한 최신 무선 백신이 수신되면(500), 무선 통신 단말기(155)는 해당 무선 백신을 통해 단말기(155) 내부에 감염되어 있는 무선 바이러스가 존재하는지 진단한다(505). 만약 무선 통신 단말기(155) 내부에 감염되어 있는 무선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면(510), 무선 백신은 해당 바이러스를 치료하고(515), 손상된 자료를 복구함으로서, 최신 무선 백신이 수신되기 전에 감염되었단 무선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그리고, 무선 백신을 TSR의 형태로 무선 통신 단말기(155) 내부 메모리에 상주시킨 후, 무선 통신 단말기 시스템 감시 모드로 작동하게 함으로서(520), 이 후 외부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수신되는 모든 자료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감시함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로 무선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TSR은 실행이 종료되었어도 메모리에 그대로 남아있는 종료 후 상주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백신이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수신되어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한 후에도 무선 통신 단말기(155) 메모리에서 삭제되지 않고 계속 상주하게 된다.
TSR은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의 운영 체제인 윈도즈, OS/2, 그리고, 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급 컴퓨터의 운영 체제인 UNIX와 Linux 등과 같은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에서는 별 필요가 없다. 그러나, 멀티 태스킹이 지원되지 않는 운영 체제를 탑재하고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서, 무선 백신이 실시간으로 바이러스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감시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선 백신이 TSR의 형태로 무선 통신 단말기(155) 내부에 상주해야만 한다.
만약, 무선 통신 단말기(155)가 멀티 태스킹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를 탑재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TSR 무선 백신은 시스템 감시 쓰레드(System Watch Thread)가 탑재되어 있는 무선 백신으로 수정된다. 그러나, TSR 무선 백신이든, 아니면 시스템 감시 쓰레드가 탑재된 무선 백신이든, 운영 체제의 멀티 태스킹 지원 여부에 따라 작동 방식의 차이가 있을 뿐, 무선 통신 단말기(155)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자료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치료한다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 백신이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서 TSR의 형태로 메모리에 상주되어 바이러스에 대한 시스템 감시 모드로 작동하면, TSR 무선 백신은 외부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자료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한다(525). 만약 외부로부터 자료가 수신된다면(530), TSR 무선 백신은 해당 자료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고(535), 만약 수신된 자료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다면(540), TSR 무선 백신은 해당 자료에 감염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손상된 자료를 복구한다(545).
상기와 같은 작업은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TSR 무선 백신 강제 종료 명령이 입력되거나(550), 무선 통신 단말기(155)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155)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만약, 무선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TSR 무선 백신을 강제 종료시키거나, 무선통신 단말기(155)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더 이상 TSR 무선 백신이 작동할 수 없게 되면(555), TSR 무선 백신은 비로서 무선 통신 단말기(155) 내부 메모리에서 삭제되며(560), 시스템 감시 모드 작동을 중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 입력과 동시에 자동으로 무선 바이러스를 체크, 치료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바이러스를 실시간 효과적으로 감시하거나 치료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백신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탑재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시스템을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하면서, 상기 메모리에 탑재된 무선 백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무선 백신 종료 명령 입력시, 상기 바이러스 감시 모드를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시스템을 바이러스 감시 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 입력시 즉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방법.
KR1020040116179A 2004-12-30 2004-12-30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KR20050009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179A KR20050009263A (ko) 2004-12-30 2004-12-30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179A KR20050009263A (ko) 2004-12-30 2004-12-30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576A Division KR100557022B1 (ko) 2001-10-06 2001-10-06 무선 바이러스 차단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868A Division KR20060123039A (ko) 2006-10-17 2006-10-17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263A true KR20050009263A (ko) 2005-01-24

Family

ID=3722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179A KR20050009263A (ko) 2004-12-30 2004-12-30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92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4455B2 (ja) 装置の機能性を遠隔的に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32530B1 (ko) 듀얼 sim 싱글 스탠바이 디바이스들에서의 가입 관리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
JP5518829B2 (ja) 無線デバイス上の未認証の実行可能命令を検出及び管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621551B2 (en) Safety and management of computing environments that may support unsafe components
EP18059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credential authentication protocol
KR100557022B1 (ko) 무선 바이러스 차단 방법 및 시스템
KR101436276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프로비저닝을 제어하는 방법들 및 장치
CN101248616B (zh) 移动通信网络中的移动通信安全方法及其设备
US8700757B2 (en) Method for executing management operation by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rminal and system thereof
US697330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vice integrity
KR20060130178A (ko) 통신 디바이스의 분리 및 복원
WO2006099585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rvice programming of a wireless devi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100642998B1 (ko) 단말의 정책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정책메시지 전송방법
KR100649774B1 (ko)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
KR100823229B1 (ko) 무선 백신 제공방법
KR100656750B1 (ko) 무선 백신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구비된 무선 통신 단말기
KR20060111439A (ko)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기능을 구비된 무선 통신단말기
KR20050009261A (ko) 무선 백신 제공방법
KR20050009263A (ko)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KR20050009264A (ko) 무선 백신 배포 시스템
KR20050009267A (ko)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기능을 구비된 무선 통신 단말기
KR20050009262A (ko) 무선 백신 제공방법
KR20060123039A (ko) 실시간 무선 바이러스 진단 방법
KR20050009265A (ko) 무선 백신 제공 서버
KR20060125632A (ko) 무선 백신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17

Effective date: 200709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10092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17

Effective date: 200709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101155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03

Effective date: 2008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1011555;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03

Effective date: 2008071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301003087;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0

Effective date: 200811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301003087;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0

Effective date: 2008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