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23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230A
KR20050008230A KR1020030048086A KR20030048086A KR20050008230A KR 20050008230 A KR20050008230 A KR 20050008230A KR 1020030048086 A KR1020030048086 A KR 1020030048086A KR 20030048086 A KR20030048086 A KR 20030048086A KR 20050008230 A KR20050008230 A KR 2005000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ervice
message
base station
broadcast
broadcast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범식
김대균
장용
정정수
송준혁
임내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8230A/ko
Publication of KR2005000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2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어기 및 방송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단말기들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간의 핸드오프 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확인하여 변경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상기 변경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유니케스트 이동 단말 식별자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제1기지국과의 송수신으로 얻어진 상기 유니케스트 이동 단말 식별자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유니케스트 이동 단말 식별자를 할당 받음에 따라 상기 제2기지국과 접속을 위해 상기 제2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로 방송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METHOD FOR SETUP OF BROADCASTING SERVICE INFORMATION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단말기들이 같은 내용의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미래의 통신환경은 유선과 무선의 영역구분이나. 지역이나 국가의 구분을 초월한 만큼 급변하고 있다. 특히,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과 같은 미래 통신환경은 영상과 음성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환경으로 구축되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발달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에서 단순히 음성통신만을 수행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문자 정보의 전송은 물론, 이동 단말(Mobile Station: MS)을 이용해 무선으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및 동영상등과 같은 방송/다중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라 함)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유니케스트 방식으로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그러나 방송 서비스는 동일한 트래픽을 다수의 단말기로 방송하는 개념으로 이동 단말로부터의 역방향 반환정보 없이 고속의 순방향 데이터를 단방향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개념상 일반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망 구조에서 방송서버와 단말간의 통신을 제어하고, 에어 인터페이스와 무선 접속 내트워크(Raido Access Network : RAN)의 일부 기능의 추가에 대한 작업이 진행중이다. 또한, 따라서 상기 방송 서버와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하나의 방송 서비스 제이기가 하나만으로는 사업자가 모든 서비스를제공할 수 없으며, 이는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서비스 사업자 별로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존재하게 되며, 서비스 사업자나 한 서비스 사업자 내에서도 지역등에 따라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 시스템으로 단말기가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변경된 사실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과 망에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을 구별하기 위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 갱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존을 구분하기 위하여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사용하는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에서 오버헤드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로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전송하여 단말기가 해당 지역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변경 및 방송 서비스 파라메터의 유효성, 방송 서비스의 변경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 갱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 갱신 호 절차에서 놀리채널등록 메시지 및 방송 서비스 갱신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 갱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둘 이상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 및 방송 서버를 포함하고,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단말기들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간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특정한 방송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로부터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변경 정보를 검출하면, 상기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는 상기 프로토콜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변경된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주소를 도먼트네임 시스템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방송 서비스 제어기로 방송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는 이동 단말로부터 방송 서비스 요구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로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방송 서비스 아이드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방송 서비스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먼트 핸드오프 시 방송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갱신하는 일반적인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먼트 핸드오프 시 방송 서비스의 세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방송서버(Broadcasting Service Server or Contents Server: CS)(120)는 방송서비스를 위한 영상(Video) 및 음향(Sound)을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압축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의 형태로 생성하여 인터넷 등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Packet Data Service Node: PDSN)(140a, 140b)을 통해 기지국들(Base Station: BS)(150a, 150b , 153c, 154d)로 전달된다. 상기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은 이동통신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지국 송수신기(Access Network Transceiver Subsystem: ANTS)와 기지국 제어기(Access Network : AN)에 패킷제어부(Packet Control Function: PCF)가 추가된 것으로서 AN/PCF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와 연결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방송 서버(120)와 이동 단말(Access Terminal : AT)(160)간의 통신을 제어하고, 방송 서비스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Air-Interface)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의 일부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방송 서버(120)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만을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방송 서버(120)가 연결되어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상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뿐만 아니라 사업자별이나 지역별로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들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를 비롯한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들은 상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와 같은 망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서버(120)에 의하여 생성된 방송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IP 멀티캐스트(Multicast)나 IP 유니캐스트(Unicast)가 이용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서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CDMA2000 액세스 망 기술이 이용된다. IP 멀티캐스트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은 상기 방송서버(120)로부터 IP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제공받는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을 형성한다.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의 소속정보(Membership Information)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 각각에 연결되는 멀티캐스트 라우터(Multicast Router: MR)(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는 IP 주소를 관리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 Domain Name System 이하, DNS 서버라 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송 서버(120)에서 생성된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IP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게 브로드캐스팅되거나 각각의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 유니캐스트 된다. 그리고 데이터 서비스노드들(140a, 140b)은 IP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에게 CDMA2000 액세스 망 기술을 이용하여 전달하고, 상기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은 상기 IP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서비스영역에서 송출한다.
그리고 기지국(150)은 단말기(160)가 위치한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의 존을 나타내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BCMCS_ZONE_ID)에 관련된 정보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존 아이드 관련 정보들은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에 추가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존 아이드 관련 정보들을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 메시지 아이디(MessageID)는 메시지 구분 식별자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8비트의 길이를 갖으며, 그리고 섹터시그너쳐(SectorSignature)는 섹터 파라미터들의 시그너쳐를 나타내는16비트 길이를 갖는 필드로서, 메시지 내용이 바뀔 때마다 변경된다.
Field Length(bits)
MessageID 8
SectorSignature 16
BCMCS_ZONE_ID 8
[...]
상기 <표 1>에서 BCMCS_SUPPORT 필드는 해당 셀에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존 아이드 관련 정보는 종래의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인 "QuickConfig" 메시지나 "SectorParameters"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상기 두 메시지들에 포함되는 존 아이디 관련 정보의 필드 구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Field Length(bits)
[...]
BCMCS_SUPPORT 1
BCMCS_ZONE_ID 0 or 8
상기 BCMCS_ZONE_ID 필드는 상기 BCMCS_SUPPORT가 "1"인 경우에만 8비트로 포함되며, 현재 방송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을 나타내는 아이디 정보이다. 상기 <표 2>에 정의된 상기 BCMCS_SUPPORT 및 상기 BCMCS_ZONE_ID필드들은 순방향 방송채널(F-BSCH)을 통해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파라메터 메시지(Broadcast System Parameter Message : BSPM)에 포함되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과 함께 최하단의 필드들에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ESPM(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NSI-41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GHDM(General Handoff Direction Message), UHDM(Univeral Handoff Direction Message), ITSPM(In-Traffic System Parameter Message)등에서 메시지 포맷의 변경없이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ESPM이나 ANSI-41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는 단말기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에는 순방향 페이징 채널(Forward Paging Channel : F-CH)이나 순방향 방송 제어 채널(Forward Broadcast Control Channel : F-BCCH)과 같이 오버헤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공통 채널로 전송된다. 그리고 GHDM, UHDM 또는 ISTPM은 단말이 트래픽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트래픽 채널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방송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방송 서비스 연결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방송 서비스 연결을 위한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하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된 망의 참조부호들은 도 1의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된 망의 참조부호의 통칭과 동일하게 나타내었으나,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도 1의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임을 구분하여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단말기(160)는 기지국(150)과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연결 요구(ConnectionRequest) 메시지(예를 들어, 도먼트 핸드오프를 나타내는 메시지(Origination Message : ORM)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이동 단말(160)은 기지국(AN/PCF)(150)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 후 패킷 서비스 노드(PDSN)(140)와 방송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Point to Point Protocol 이하, PPP라 함)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6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간에 방송 서비스를 위한 경로가 설정된다.
그러면 21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서비스 네트워크 아이디(bcmcs network id)를 포함한 메시지를 DNS(130)에 전송하여 방송서비스 제어기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요청한다. 즉, PPP 연결 과정에서 얻어진 DNS 서버(130) 정보를 이용하여 DNS 서버(130)에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211단계에서 DNS 서버(130)는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에 대한 IP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160)로 해당 IP 주소를 전송한다. 그러면 212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수신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를 찾아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내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213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 후 상기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방송 내용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접속 키(BAK : Broadcast Access Key) 정보와 방송 접속 키 정보의 유효시간, 다중 IP 주소 및 포트(port) 정보 등의 해당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는 방송 서버(12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명령한다. 이러한 절차는 상기 2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명령에 대한 절차 및 상기 방송 서버(120)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로 방송 서비스 내용을 제공하는 절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22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필요한 경우 트래픽 채널을 해제한다. 그리고 221단계에서 기지국(150)으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로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방송 내용을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정보 등을 얻은 후, 기지국(150)으로 논리적 채널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후 방송 서비스 수신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파라미터 메시지는 상기 방송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런 다음 222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기지국(150)으로 원하는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다이나믹 방송 서비스 방법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160)이 해당 방송 내용을 첫 번째로 수신하여 등록 메시지를 보낸 경우에는 23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의 경로 설정을 위해 베어러 셋업(Bearer setup)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235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패킷 노드(140)로 제공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반면, 해당 방송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가 이미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베어러 셋업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절차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이동 단말이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이 아닌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으로 도먼트 핸드오프하는경우 세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일반적인 호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이동 단말이 도먼트 핸드오프 시의 세션 정보를 갱신(Reset)하기 위한 일반적인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도 종래의 HRPD(High Rate Packet Data)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서브넷 즉, PCF가 변경되는 인터 PCF(inter-PCF) 핸드오프인 경우에도 망에 유니케스트 접속 터미널 식별자(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 이하, UATI 라 함)를 요청하여, 새로운 UATI를 할당받는다. 이러한 UATI는 서브넷 단위로 새로이 할당을 받아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308단계는 서브넷이 변경된 경우의 PCF간 (inter-PCF) 도먼트 핸드오프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01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제2기지국(이하, 타겟 기지국(AN/PCF이라 함)으로부터 수신한 오버헤드 메시들, 즉, QuickConfig 메시지나, "SectorParameters" 메시지를 확인하여 서브넷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서브넷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302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역방향 접근 액세스 채널(Reverse Access Channel)로 UATI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타겟 기지국(150b)에서 상기 UATI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UATI 요구 메시지와 같이 전송되어 온 이동 단말 식별자(AT Identifier 이하, ATI라 함)로부터 이동 단말(160)이 이전에 위치했던 서브넷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303단계에서 타겟 기지국(150b)은 해당 PCF로 A13 세션 정보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304단계에서 소스 기지국(150a)은 상기 A13 세션정보 요구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해당 이동 단말의 세션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A13 세션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겟 기지국(150b)으로 전송한다.
305단계에서 타겟 기지국(150b)은 수신된 해당 이동 단말의 세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UATI를 할당한 후, 할당된 결과 정보를 포함한 UATI 할당 메시지를 이동 단말(16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306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UATI 할당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UATI 완료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150b)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307단계에서 타겟 기지국(150b)은 A13 세션 정보 확인(A13-Session Info Confirm)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150a)으로 전송한다. 이때, PPP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308단계에서 타겟 기지국(150b)은 PCF간(inter_PCF) 도먼트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도먼트 핸드오프가 완료된 후 309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 논리 채널 등록 메시지(LogicalChannelRegistration)를 타겟 기지국(150b)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논리 채널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타겟 기지국(150b)의 영역에서도 이동 단말(160)은 소스 기지국(150b)에서 사용하던 방송 내용(content)에 대한 BCMCS 세션 정보들(BAK, BAK life time, Multicast IP address, port number, LogicalChannelID 등)과 동일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별다른 동작이 발생하지 않고 계속해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BCMCS 세션 정보가 소스 기지국(150a)에서 사용하던 것과 달라지는 경우 310단계에서 타겟 기지국(150b)은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갱신(BroadcastReset)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서비스 갱신 메시지는이동 단말(160)로 BCMCS 세션 정보가 다르므로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에 다시 연결하여 새로운 방송 내용 스트림(stream)에 대한 BCMCS 세션 정보를 제공받도록 지시하는 메시지이다.
311단계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 갱신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60)은 연결 요청(Connection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320단계 이후 절차는 상기 도 2의 절차와 동일하다. 여기서 PPP 셋업 과정이 생략되어 있는데, 이는 PPP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생략하였다. 만약, PPP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PPP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160)과 타겟 기지국(150b)은 트래픽 채널 설정(Traffic Channel Setup)을 수행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160)은 새로운 기지국(150a)과 도 2의 200단계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32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타겟 기지국(150b)과 트랙픽 채널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321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DNS 서버(130)로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를 위해 방송 서비스 네트워크 아이디의 조회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322단계에서 DNS 서버(130)는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의 IP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160)로 해당 IP 주소를 제공한다. 323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수신된 IP 주소를 통해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로 서비스 받던 방송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324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는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키 유효 시간, 방송 서비스 키(BAK : Broadcast Access Key) 및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330단계는 도 2의 221단계에서 235단계와 동일한 절차를 통해 방송 서버(120)와 연결된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세션 정보 갱신 호 절차는 이동 단말이 논리채널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야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에서 이동 단말이 가지고 있는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가 다른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로 방송서비스 갱신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의 수신 허락이 있는 경우에만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의 갱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등록이 타이머의 동작 등과 같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PCF간(inter-PCF) 핸드오프 후에도 타이머가 만료되기전까지는 상기 논리채널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 갱신 호 절차에서 상기 논리채널등록 메시지 및 방송 서비스 갱신 메시지를 송수신 시간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 갱신 호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동 단말은 상기 도 3과 같은 호 절차를 수행하여 방송(BCMCS) 서비스를 제공 받았거나, 받고 있는 상태이며, 도 4의 호 절차에서는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만을 후술할 것이나, 방송 서비스를 받고 종료한 후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다시 방송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도 동일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인스턴스가 동작중인 경우, 타겟 기지국(150b)는 이동 단말(160)로 메시지 아이디, 섹터 시그너처, 방송 서비스존 아이디(BCMCS_ZONE_ID)를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60)은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와 이전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확인하여 서브넷이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후, 진행되는 402단계에서 408단계에서의 호 절차는 상기 도 3의 302단계에서 308단계와 동일한데, 우선, 402단계에서 서브넷이 변경된 경우 이동 단말(160)은 타겟 기지국(150b)으로 UATI를 할당받기 위한 요구로서, UARI 요구(UATI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타겟 기지국(150b)은 소스 기지국(150a)과의 연결을 위해 A13 세션 정보 요구 메시지(A13-Session Info Request)를 전송한다. 이후 소스 기지국(150a)으로부터 A13 세션 정보 응답 메시지(A13-Session Info Response)를 수신하면, 타겟 기지국(150b)은 이동 단말(160)의 UATI를 할당하는 정보를 포함한 UATI 할당 메시지를 이동 단말(16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406단계에서 UATI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겟 기지국(150b)은 407단계에서 소스 기지국(160b)으로 A13 세션 정보 확인(A13-Session info Confirm)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160)이 PCF간에 이동하는 경우 408단계에서 타겟 기지국(150b)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는 인터 핸드오프 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이동 단말(160)은 상기 타겟 기지국(150b)과 상기 도 3의 309단계 내지 311단계와 같은 절차를 거치지 수행하지 않고, 바로 409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수신한 방송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방송서비스 존(BCMCS zone)이 변경되었음을 확인하고, 타겟 기지국(150b)으로 연결 요구(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이동 단말(160)은 타겟기지국(150a)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다.
이후 수행되는 절차는 상기 도 2의 절차와 동일하다. 여기서 PPP 셋업 과정이 생략되어 있는데, 이는 PPP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생략하였다. 만약, PPP 설정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PPP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421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서비스 네트워크 아이디(bcmcs network id)를 포함한 메시지를 DNS(130)에 전송하여 방송서비스 제어기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요청한다.
즉, PPP 연결 과정에서 얻어진 DNS 서버(130) 정보를 이용하여 DNS 서버(130)에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422단계에서 DNS 서버(130)는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에 대한 IP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해당 IP 주소를 전송한다. 그러면 423계에서 이동 단말(160)는 상기 수신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를 찾아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내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424단계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 후 상기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방송 내용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접속 키(BAK : Broadcast Access Key) 정보와 방송 접속 키 정보의 유효시간, 다중 IP 주소 및 포트(port) 정보 등의 해당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는 방송 서버(12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명령한다. 이러한 절차는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명령에 대한 절차 및 상기 방송 서버(120)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로 방송 서비스 내용을 제공하는 절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425단계에서 이동 단말(160)는 필요한 경우 트래픽 채널을 해제한다. 그리고 430단계에서 기지국(150)으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로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방송 내용을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정보 등을 얻은 후, 기지국(150)으로 논리적 채널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후 방송 서비스 수신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파라미터 메시지는 상기 방송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런 다음 431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기지국(150)으로 원하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다이나믹 방송 서비스 방법이 사용된다. 44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패킷 노드(140)로 제공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반면, 해당 방송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가 이미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베어러 셋업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절차에서 방송 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핸드오프를 수행 즉, 401단계 내지 408단계만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다시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경우 그 시점에서 이미 수신했거나, 방송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여 방송서비스 존 아이디의 변경여부를 알 수 있으며, 변경된 경우에도바로 409단계로 진행하여 접속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로 방송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에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가 포함되어 수신됨으로써,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새로운 방송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메시지들의 송수신을 생략할 수 있으며, 방송 서비스 세션 정보의 갱신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방송 서비스 제어기 및 방송 서버를 포함하고,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이동 단말들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간의 핸드오프 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은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확인하여 변경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유니케스트 이동 단말 식별자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제2기지국으로부터 제1기지국과의 송수신으로 얻어진 상기 유니케스트 이동 단말 식별자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유니케스트 이동 단말 식별자를 할당받음에 따라 상기 제2기지국과 접속을 위해 상기 제2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로 방송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는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를 통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오버헤드 메시지는 해당 셀에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를 나타내는 방송 서비스 지원 필드와, 상기 해당 셀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 포함되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 방법.
KR1020030048086A 2003-07-14 2003-07-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KR20050008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086A KR20050008230A (ko) 2003-07-14 2003-07-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086A KR20050008230A (ko) 2003-07-14 2003-07-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230A true KR20050008230A (ko) 2005-01-21

Family

ID=3722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086A KR20050008230A (ko) 2003-07-14 2003-07-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82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247B (zh) * 2011-09-20 2017-02-15 西门子瑞士有限公司 用于基于域名系统的设备和目标发现的方法和系统
WO2021068830A1 (zh) * 2019-10-08 2021-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多播传输的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247B (zh) * 2011-09-20 2017-02-15 西门子瑞士有限公司 用于基于域名系统的设备和目标发现的方法和系统
US9705843B2 (en) 2011-09-20 2017-07-11 Siemens Schweiz Ag Method and system for domain name system based discovery of devices and objects
WO2021068830A1 (zh) * 2019-10-08 2021-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多播传输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0582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서비스 방법
US7979560B2 (en) Method of providing push service to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push server apparatus using the same
JP4903901B2 (ja) 無線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接続のハンドオ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20390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의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63417B1 (ko)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멀티미디어/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US8363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ptimization dur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session requests
KR20050083637A (ko) Mbms 포인트 대 포인트(ptp)와 포인트 대 멀티포인트(ptm)간의 채널 변경 방법
WO2006080749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KR20060046710A (ko) 이동통신망과 무선랜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50674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AN
KR20040078750A (ko) 고속 패킷 데이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방법
US20070153728A1 (en) Method of cell-swit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667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239683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ptimization dur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session requests
KR20070097858A (ko) 무손실 하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패킷 스위칭 무선통신시스템 및 하드 핸드오버 방법
KR200500082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WO2003105500A1 (fr) Procede de transfert cellulaire reposant sur un reseau cellulaire a acces par paquets grande vitesse
US20070153721A1 (en) Method of transferring session information between access n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66135A (ko) WCDMA망에서 cdma 2000 1x 망으로 핸드오프를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571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 검색 방법
KR2004008884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 관리 방법
KR10058444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접속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8241A (ko) 고속 패킷 데이터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방법
KR20050008080A (ko) 트래픽 채널 상태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