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843A -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843A
KR20050007843A KR1020030047443A KR20030047443A KR20050007843A KR 20050007843 A KR20050007843 A KR 20050007843A KR 1020030047443 A KR1020030047443 A KR 1020030047443A KR 20030047443 A KR20030047443 A KR 20030047443A KR 20050007843 A KR20050007843 A KR 2005000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shaft portion
hinge
main body
swi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9142B1 (en
Inventor
박지성
오홍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42B1/en
Priority to EP04004037.0A priority patent/EP1496673B1/en
Priority to US10/784,793 priority patent/US7356881B2/en
Priority to CNB2004100435870A priority patent/CN1312968C/en
Publication of KR2005000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PURPOSE: A swivel hinge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wivel hinge are provided to use magnets such that a rotating display can stop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body while rotating in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relatively simplifying a swivel hinge configuration for smoothing the rotation the display and realizing an easy assembling process. CONSTITUTION: The first hinge axis portion(20) comprises the first hinge axis(24). The second hinge axis portion(30) comprises the second hinge axis(34) extended so as to be orthogonal with an extended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24). The first and second magnets(26,36) are configured, wherein different poles thereof are faced together in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irst hinge axis portion(20) and the second hinge axis portion(30). The first and second magnets(26,36) generate magnetism pulling each other.

Description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블 힌지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that has a swivel hinge and is rotated while the display unit is deployed.

휴대용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인데, 그 예로서 휴대폰, PDA 그리고 스마트폰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출시되고 있고, 그 사용의 편리를 위해 스위블힌지를 채용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대해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한다.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a person can carry and use various function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a smartphone. Recently, cameras are embedded in such portable terminals, and a swivel hinge is adopted to allow the display unit to rotate while being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or convenience of use.

도 1 및 도 2에는 스위블힌지를 구비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의 내부에는 메인기판을 포함한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키이(3)가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1 and 2 show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swivel hinge. As shown in these figures, various parts including the main board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 A plurality of keys 3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so that various information can be input.

상기 본체부(1)의 일단부에는 디스플레이부(5)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디스플레이부(5)에는 표시화면(7)이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5)는 스위블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상기 본체부(1)에 겹쳐지고 펼쳐지게 동작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부(1)에 대해 디스플레이부(5)가 겹쳐지고 펼쳐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display unit 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1. The display unit 5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7 to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he main body unit 1 and the display unit 5 are connected via a swivel hinge 10 so that the display unit 5 overlaps and unfolds the main body unit 1,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unit 1 The display unit 5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5 overlaps and unfolds.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스위블힌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부(1)의 상단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중심부(11)에 삽입되게 제1힌지축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힌지축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본체부(1)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게 동작되는 회전중심이다. 도 2a에는 상기 본체부(1)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wivel hinge 10 for this operation,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12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center portion 11 is formed integral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12 is a rotation center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5 is overlapp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1. 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5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

그리고, 상기 제1힌지축부(12)의 일측에 상기 제1힌지축부(1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힌지축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제2힌지축부(13)와 상기 제1힌지축부(12)의 회전중심선은 서로 직교한다. 상기 제2힌지축부(13)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연결된다.In addition, a second hinge shaft portion 1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12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12. The rotation center lines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13 and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12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display unit 5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13.

따라서, 상기 제2힌지축부(13)가 상기 제1힌지축부(12)에 대해 회전되면, 상기 본체부(1)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본체부(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된 상태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1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12, the display portion 5 i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 when the main body portion 1 is viewed from the fron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his rotated state is shown in FIG. 2B.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부(12,13)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일정 이상만 회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상기 본체부(1)에 대해 정해진 위치로 가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부(12,13)에 해당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거나 캠구조를 만들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display unit 5 is rotated about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 units 12 and 13, if the display unit 5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display unit 5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1. Go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the stop. To this end, a spring (not shown) or a cam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 parts 12 and 13 so as to exert elastic force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예를 들어 도 2a의 상태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캠구조를 이용하여 본체부(1)에 대해 디스플레이부(5)가 대략 135°만큼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본체부(1)에 디스플레이부(5)가 겹쳐지도록 된다. 그리고, 제2힌지축부(13)의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5)가 일정 이상 회전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이나 캠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부(1)가 도 2a의 상태나 도 2b의 상태가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ay be set to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5 is extended by about 135 °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 using the cam structure, or the display unit (in the main body unit 1). 5) overlaps. Also, 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13, when the display portion 5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main body portion 1 is brought into the state of FIG. 2A or 2B by the spring force or the cam structur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본체부(1)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일정 이상 회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가 정해진 위치로 가서 정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스프링이나 캠 등 기구적인 구성을 사용하므로 스위블힌지(10)의 부품수가 많아지거나, 캠구조를 형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When the display unit 5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or more relative to the main body unit 1, the swivel hinge 10 uses a mechanical configuration such as a spring or a cam so that the display unit 5 go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tops.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or there is inconvenience in that a cam structure must be formed.

이에 더해 종래와 같이 기구적인 구성의 부품들을 이용하여 스위블힌지(10)를 구성하면 일정 횟수 이상 동작되면 스프링이 열화되거나 마모가 발생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vel hinge 10 is configured by using components having a mechanical structure as in the related art, when the swivel hinge 10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pring may be deteriorated or wear may occur,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그리고, 스프링이나 캠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5)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구조를 더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스위블힌지(10)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f a spring or cam structure is used, a stopper structure for stopp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1 and the display portion 5 should be further ma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erminal including the swivel hinge 10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구적인 구성을 최소화하고 구성이 간단한 스위블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swivel hinge that minimizes mechanical configuration and has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과 동작 신뢰성이 뛰어난 스위블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vel hinge excellent in durability and operational reliabil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위블힌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위블힌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unfolde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b는 종래 기술에서 디스플레이브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2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s rotated in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블힌지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sequentially the swivel hing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결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제1힌지축부 22: 몸체판20: first hinge shaft portion 22: the body plate

24: 제1힌지축 26: 제1마그네트24: 1st hinge axis 26: 1st magnet

30: 제2힌지축부 32: 연결플레이트30: second hinge shaft portion 32: connecting plate

34: 제2힌지축 36: 제2마그네트34: 2nd hinge axis 36: 2nd magnet

40: 본체부 42: 키이40: main body 42: key

45: 회전중심부 50: 디스플레이부45: rotation center 50: display unit

52: 표시화면52: display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제2힌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가 서로 나란히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게 구비되어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휘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hinge shaft portion having a first hinge axis to be a rotation center,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is installed of the first hinge shaft A second hinge shaft portion having a second hinge shaf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and having a rotational center; and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at a position in which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face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which are provided with different poles facing each oth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hinge shaft portion to exert a pulling force.

상기 제2힌지축은 상기 제1힌지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힌지축부가 회전할 때 제1힌지축부와 일체로 회전된다.The second hinge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when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의 각각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2힌지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된다.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provided at positions farthest from the second hinge shaf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제1힌지축부의 몸체판과 제2 힌지축부의 연결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plat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late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제1힌지축부의 몸체판과 제2 힌지축부의 연결플레이트의 양단부 소정 영역이 자화되어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formed by magnetizing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plat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late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표시화면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회전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힌지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제2힌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가 서로 나란히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게 구비되어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휘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rst display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rotation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 first hinge shaft having a hinge shaft and a second hinge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hinge shaf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are provided with different poles facing each other and pulling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magnets that exert an attractive force.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본체부와 디스프레이부의 서로 대응되는 양단부에 제2힌지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된다.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provided at positions farthest from the second hinge shaft at both en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과 동작 신뢰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durability and ope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항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블힌지는 크게제1힌지축부(20)와 제2힌지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힌지축부(20)와 제2힌지축부(30)에는 스위블힌지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되는 부분이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면 아래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될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이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축부(30)는 본체부의 회전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ccording to this, the swivel hing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20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30.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20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3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rts rotated by the swivel hinge. For example,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will be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below. Here,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otation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1힌지축부(20)에는 몸체판(2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22)의 양단에는 각각 제1힌지축(24)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22)과 제1힌지축(24)은 일체로 회전되는 것으로,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축(2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중심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상관없다.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body plate 22, and both ends of the body plate 22 are provided with first hinge shafts 24, respectively. The body plate 22 and the first hinge shaft 24 is integrally rotated, and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combined, or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hinge shaft 2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first hinge shaft 24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상기 몸체판(22)의 양단에는 각각 제1마그네트(26)가 구비된다. 상기 제1마그네트(26)는 상기 몸체판(22)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몸체판(22)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몸체판(22)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있으나, 몸체판(22)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마그네트(26)는 상기 몸체판(22)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판(22)의 해당되는 부분을 자화시켜 형성하는 것이다.Both ends of the body plate 22 are provided with first magnets 26, respectively. The first magnet 26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on the body plate 22. In the drawing of this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ody plate 22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late 22, it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late (22). The first magnet 26 may be formed on the body plate 22 itself. That is,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ody plate 22 is formed by magnetizing.

상기 제2힌지축부(30)에는 연결플레이트(3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32)는 스위블힌지에 의해 서로 회동되는 부분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된다.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late 32. The connection plate 32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rts rotated by each other by the swivel hing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2힌지축부(30)의 연결플레이트(32)에는 제2힌지축(34)이 구비된다. 상기 제2힌지축(34)은 상기 제1힌지축부(20)의 몸체판(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힌지축(34)의 가상의 회전중심선은 상기 제1힌지축(24)의 가상의 회전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The connection plate 32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hinge shaft 34. The second hinge shaft 3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plate 22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20. Here, the virtual rotation center line of the second hinge axis 34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irtual rotation center line of the first hinge axis 24.

상기 연결플레이트(32)의 양단에는 제2마그네트(3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마그네트(36)은 상기 연결플레이트(32)중 상기 몸체판(22)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마그네트(36)는 대응되는 몸체판(22)의 제1마그네트(36)와 다른 극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마그네트(26)가 N극이라면 상기 제2마그네트(36)는 S극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마그네트(26)와 제2마그네트(36)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힘, 즉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Both ends of the connection plate 32 are provided with second magnets 36, respectively. The second magnet 36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32 facing the body plate 22. The second magnet 36 has a different polarity than the first magnet 36 of the corresponding body plate 22. For example, if the first magnet 26 is the N pole, the second magnet 36 is the S pole. In this case, the pulling force, that is, the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magnet 26 and the second magnet 36.

따라서, 상기 연결플레이트(32)와 몸체판(22)이 상기 제2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마주보게 나란한 위치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26,36)가 서로 인력을 발휘하여 마주보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plate 32 and the body plate 22 are rotated about the second hinge axis 34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ide by side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6 and 36 are They are attracted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26,36)는 상기 제2힌지축(34)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몸체판(22)과 연결플레이트(32)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6 and 36 may be install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body plate 22 and the connecting plate 32 farthest from the second hinge shaft 34.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스위블힌지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는 본체부(40)와 디스플레이부(50)가 스위블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본체부(40)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도록 제1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제2힌지축(34)을 중심으로 본체부(4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회전된다.Meanwhile,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wivel hi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40 and the display 50 are connected by a swivel hinge.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50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shaft 24 so as to overlap and unfol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40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portion 40 around the second hinge shaft 34. It is rotated from side to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본체부(4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키이(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40)의 상단 양측에는 회전중심부(4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부(45)에는 상기 몸체판(2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힌지축(24)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중심부(45)는 그 내부에 원형의 통공을 구비한다.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42). In addition, rotation centers 45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upper ends of the main body 40. First hinge shafts 2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plate 22 are inserted into the rotation center 45. To this end, the rotation center 45 has a circular through hole therein.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표시화면(52)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화면(52)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제2힌지축부(30)의 연결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2)와 일체로 동작된다. 즉, 상기 제1힌지축(24)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40)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제2힌지축(34)을 중심으로 본체부(40)의 전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Next, the display unit 50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52. Variou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52. The display unit 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32 of the second hinge shaft unit 30. Therefore, the display unit 50 is operat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late 32. That is, the first hinge shaft 24 is rotated in the overlapping and unfol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40, and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40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shaft 34. It is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본체부(40)와 디스플레이부(50)를 연결하는 스위블 힌지의 몸체판(22)과 연결플레이트(32)의 서로 대응되는 양단부에는 각각 제1마그네트(26)와 제2마그네트(36)가 구비된다. 이들 마그네트(26,36)는 상기 본체부(40)의 전면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5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50)가 상기 본체부(40)의 특정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magnet 26 and the second magnet 36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late 22 and the connection plate 32 of the swivel hinge connecting the main body 40 and the display 50. ) Is provided. These magnets 26 and 36 stop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in body 40 when the display 5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0. Do it.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본체부(40)에 대해 디스플레이부(50)가 소정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그네트(26',36')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본체부(40)와 디스플레이부(5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 양단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install the magnets 26 ′ and 36 ′ to allow the display unit 50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40, the main unit 40 and the display unit 5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to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즉,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40)의 회전중심부(45)의 양단에 제1마그네트(26')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마그네트(26')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50)의 하부 양단에 제2마그네트(36')를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1마그네트(26')와 제2마그네트(36')를 설명된 위치에 배치함에 있어, 상기 몸체판(22)과 연결플레이트(32)를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하여, 연장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26',36')는 반드시 상기 몸체판(22)과 연결플레이트(32)에 배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40)와 디스플레이부(50)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That is,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6, the first magnet 26 ′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center 45 of the main body 40, and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26 ′. The second magnet 36 ′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50. In arranging the first magnet 26 ′ and the second magnet 36 ′ in the described position, the body plate 22 and the connecting plate 32 are extend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nd arranged in the extended position. can do. In addition, the magnets 26 ′ and 36 ′ are not necessarily disposed on the body plate 22 and the connection plate 32, but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40 and the display unit 50, respectively.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스위블힌지가 동작되는 것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vel hing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도 4a의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전면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5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마그네트(26)와 제2마그네트(36)가 서로 인력을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display unit 50 is not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0. Therefore, the first magnet 26 and the second magnet 36 are in a state in which the attraction force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본체부(40)의 전면에 대해 좌방향이나 우방으로 약간 회전시킨 상태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힌지축(34)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본체부(4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마그네트(26,36)사이의 인력은 약해지고, 계속하여 디스플레이부(50)가 회전되면 인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rotates the display unit 50 slightly to the left or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0 in FIG. 4B. That is, the display unit 5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40 about the second hinge axis 34. In this case,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magnets 26 and 36 is weakened. If the display unit 50 is rotated continuously, the attraction force no longer works.

한편, 도 4c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가 상기 본체부(40)의 전면에 대해90°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몸체판(22)과 상기 연결플레이트(32)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Meanwhile, FIG. 4C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50 is rotated 90 °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0. At this time, the body plate 22 and the connecting plate 32 is loc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다음으로, 계속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본체부(40)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축부(20)(본체부(40))와 제2힌지축부(30)(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제2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가 일정 이상 회전되어 상기 마그네트(26,36)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인력이 작용하기 시작한다.Next, if the display 5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40, the first hinge shaft 20 (main body 40) and the second, as shown in Figure 4d Hinge shaft portion 30 (display portion 5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hinge shaft 34.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50 is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o bring the magnets 26 and 36 closer to each other, the attraction force starts to work.

그리고, 계속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 의해 더 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26,36)의 인력에 의해 이들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즉, 상기 본체부(40)와 디스플레이부(50)의 상대위치가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26,36)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Then, as the rotation continues, even if no more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E, they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6 and 36. . That i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main body 40 and the display 50 are determined b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6 and 36.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본체부의 전면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에서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그네트를 사용하였다.In the swivel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agnet is used to allow the display unit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It was.

따라서, 스위블힌지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동작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스위블힌지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고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swivel hinge for smooth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by the swivel hinge can be obtained a relatively simplified and easy assembly work.

그리고, 스위블힌지의 기구적인 구성을 마그네트로 대체하였으므로 구성요소사이의 연동구조가 최소화되고 마모부가 거의 없어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swivel hinge is replaced by a magnet, the inter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components is minimized and there is almost no wear, and thu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and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swivel hinge and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an be expected.

Claims (7)

회전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축부와,A first hinge shaft portion having a first hinge shaft serving as a rotational center, 상기 제1힌지축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제2힌지축부와,A second hinge shaf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hinge shaf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and having a rotation center;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가 서로 나란히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게 구비되어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휘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A first pole exerting an attraction force by being provided with different poles facing each oth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mag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은 상기 제1힌지축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힌지축부가 회전할 때 제1힌지축부와 일체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hinge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when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Swivel hin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의 각각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2힌지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provided at positions farthest from the second hinge shaft at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Swivel hin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제1힌지축부의 몸체판과 제2 힌지축부의 연결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스위블힌지.The swivel hing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plat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late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respective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제1힌지축부의 몸체판과 제2 힌지축부의 연결플레이트의 양단부 소정 영역이 자화되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The swivel hing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formed by magnetizing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plate of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late of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respectively. . 본체부와,With the body part,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표시화면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unit and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회전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축부와,A first hinge shaft portion having a first hinge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a rotation center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힌지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제2힌지축부와,A second hinge shaft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display portion;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가 서로 나란히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힌지축부와 제2힌지축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이 마주보게 구비되어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휘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 first pole exerting an attraction force by being provided with different poles facing each oth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hing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shaft portion face each other. And a second magne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본체부와 디스프레이부의 서로 대응되는 양단부에 제2힌지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7.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are provided at positions farthest from a second hinge shaft at both en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
KR1020030047443A 2003-07-11 2003-07-11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649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43A KR100649142B1 (en) 2003-07-11 2003-07-11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EP04004037.0A EP1496673B1 (en) 2003-07-11 2004-02-23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784,793 US7356881B2 (en) 2003-07-11 2004-02-24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NB2004100435870A CN1312968C (en) 2003-07-11 2004-05-12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43A KR100649142B1 (en) 2003-07-11 2003-07-11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843A true KR20050007843A (en) 2005-01-21
KR100649142B1 KR100649142B1 (en) 2006-11-24

Family

ID=3722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443A KR100649142B1 (en) 2003-07-11 2003-07-11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4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1106A1 (en) * 2005-06-27 2007-01-04 Ktf Technologies, Inc. Portable terminal
WO2007001107A1 (en) * 2005-06-27 2007-01-04 Ktf Technologies, Inc. Portable terminal
WO2007001104A1 (en) * 2005-06-27 2007-01-04 Ktf Technologies, Inc.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71694B1 (en) * 2005-03-09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wivel hinge mechanism
KR100930564B1 (en) * 2007-12-14 200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dheld terminal
KR101454238B1 (en) * 2008-01-21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94B1 (en) * 2005-03-09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wivel hinge mechanism
WO2007001106A1 (en) * 2005-06-27 2007-01-04 Ktf Technologies, Inc. Portable terminal
WO2007001107A1 (en) * 2005-06-27 2007-01-04 Ktf Technologies, Inc. Portable terminal
WO2007001104A1 (en) * 2005-06-27 2007-01-04 Ktf Technologies, Inc.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26468B1 (en) * 2005-06-27 2007-06-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8073504B2 (en) 2005-06-27 2011-12-06 Kt Tech, Inc. Portable terminal
KR100930564B1 (en) * 2007-12-14 200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dheld terminal
KR101454238B1 (en) * 2008-01-21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142B1 (en)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492B2 (en) Magnetic hinge apparatus
KR100557078B1 (en) Hinge device for display rotation type mobile phone
KR101004865B1 (en)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US20070077972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1677174A2 (en) Body rotation type portable terminal
KR20040009466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7356881B2 (en)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20122600A (en) Hinge device of folding type mobile phone
US20100173676A1 (en) Electronic device
KR100649142B1 (en) Swivel hinge and po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70077971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29726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upling device for the same
KR100403559B1 (en) A mobile phone having a du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96335B1 (en) Hinge device of folding type mobile phone
KR100527164B1 (en) Camera apparatus for folder type potable terminal
CN215058838U (en) Double-shaft synchronous hinge
KR102130777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N101339281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1622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wing hinge using magnetics
KR20200085687A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N101202778B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15367B1 (en) Hinge device for swing type cellular phone
KR102504327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200330187Y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16928199A (en) Rotating mechanism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