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207A - 전력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 - Google Patents

전력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207A
KR20050006207A KR10-2004-7017391A KR20047017391A KR20050006207A KR 20050006207 A KR20050006207 A KR 20050006207A KR 20047017391 A KR20047017391 A KR 20047017391A KR 20050006207 A KR20050006207 A KR 20050006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transmitter
communication line
receiver
primar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후다 써언
Original Assignee
앰비언트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앰비언트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앰비언트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0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2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3Hybri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5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improving S/N by matching impedance, noise reduction,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송신기(100) 및 수신기(120)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커플링회로는 상기 송신기에 연결된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갖는 제1 변압기(250), 통신선과 접속되는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갖는 제2 변압기(255), 및 제1 변압기의 1차 권선의 단자와 상기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의 단자 사이의 저항(20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변압기의 2차 권선들은 반대 위상끼리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기에 도달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 레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전력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FULL DUPLEXING FOR POWER LINE DATA COMMUNICATIONS}
데이터 통신이 전력선을 통해 연결된 모뎀들 간에 이뤄질 수 있으나, 이러한 전력선에서는 큰 폭으로 변화하는 구동점 임피던스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모뎀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동시에 동작할 필요가 있는 고주파 송신기 및 고주파 수신기를 포함한다. 대역확산 모뎀의 경우,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이 비교적 넓다. 불행하게도, 상기 송신기의 출력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주파 전력 증폭기는 완전하게 선형적이지 않다. 이러한 비선형성은 송신대역 이외의 폭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상호변조 기생신호(intermodulation products)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호변조 기생신호의 일부는 상기 수신기의 주파수 대역 내에 발생하고, 원격지의 다른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간섭을 일으킬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송신기 전력은 수신기 입력 단자에 도달하지 않고, 모뎀출력 단자에 연결된 전력선에만 도달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력선 모뎀에서는 송신기의 출력 및 수신기의 입력 모두를 위해 한 쌍의 전력선 단자가 제공된다. 양방향 통신이 수행되는 동안, 송신기 및 수신기가 동시에 동작하는 때, "하이브리드(hybrid) 커플러"라고 불리는 3-포트 네트워크가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모두를 상기 전력선에 연결한다. 이상적으로는, 입력 신호의 상기 전력선 포트로부터 수신기로의 무손실 연결, 송신기 및 상기 전력선 단자들간의 무손실 연결, 및 송신기 및 수신기 간의 완전한 절연(isolation)이 되어야 한다.
이런 종류의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전화를 위해 개시된 것으로서, 유사하게는 한 쌍의 전선을 통해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방향 통신(full duplexing)용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송신기-수신기 간에 높은 절연을 제공할 수 있으나, 절연 수준은 모뎀의 임피던스와 부하(load) 임피던스 간의 임피던스 정합의 정확도에 의존적이다. 아날로그 전화 네트워크의 경우, 그러한 임피던스 정합의 정확도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전력선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전력선 단자들에서 바라본 부하 임피던스가 관심 주파수 대역에 걸쳐 폭넓게 변화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송신기 및 수신기 간의 절연이 심각하게 감소될 수 있다.
스퓨리어스(spurious) 송신기 출력의 상당량이 상기 수신기의 입력 주파수 대역 내에 발생하고, 전력선 임피던스 부정합(mismatch)으로 인해 스퓨리어스 에너지의 일부가 상기 수신기의 입력 단자들에 도달되는 때, 수신기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는 심각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에러의 원인이 되거나 허용 가능한 오차율(error rate)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 감소를 강제할수 있다.
도 1은 송신기 출력단(100)의 출력 단자(103)에 접속된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커플러(110)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뎀 저전력 송신기(106)에 의해 구동된다. 하이브리드 커플러(11O)는 또한 모뎀 상에 부하(load)로 작용하는 통신선에 연결되며 럼프(lump) 임피던스 ZL(115)로 표시되는 임피던스를 갖는다. 하이브리드 커플러(110)는 또한 수신기(125)의 수신기 입력단자(120)에 연결된다. 양방향(full duplex) 모뎀에 있어서, 송신기 출력단(100)은, 차분 출력 단자(differential output terminals)(103)에 걸친 짝수(even) 고조파 에너지(even harmonic energy)의 상당량을 상쇄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푸시-풀(push-pull) 방식이다. 이상적으로는, 하이브리드 커플러(110)의 규격(nominal) 설계 임피던스가 임피던스 ZL(115)과 동일할 경우, 송신기 출력 단자(103)와 수신기 입력 단자(120) 간에 피드쓰루(feedthrough)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커플러(11O)의 규격 설계 임피던스가 실질적으로는 ZL(115)와 상이한 경우, 예컨대, 전력선 임피던스가 복소(complex) 변수인 실제 경우와 같이, 출력 단자(103)과 입력 단자(120) 간의 감쇄는 매우 낮은 레벨로 이뤄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변조 기생신호의 상당량이 수신기(125)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5Ω을 갖는 회선 임피던스(line impedance) ZL(115)에 있어서, 수신기(125)로 누설되는 송신신호 레벨은 송신기의 총 출력보다 단지 6dB 약할것이다. ZL(115)이 복소 임피던스이면서 순수한 저항성이 아닌 보다 통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누설은 보다 악화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신호를 전력 배전 시스템에 커플링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선과 큰 폭으로 변하는 구동점 임피던스(drive point impedance)를 갖는 다른 전선(electrical line) 간의 양방향 통신(full duplexing)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이브리드 커플링 회로 및 그에 따른 양방향(full duplex) 모뎀을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제1 변압기(transformer)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가 1:1인 1차 및 2차 권선을 갖는다. 제1 변압기의 1차 권선은 모뎀 송신기의 출력을 통해 연결된다. 한 쌍의 송신기 출력 저항은 각 송신기 출력 단자 간에 해당 통신선 단자와 직렬로 연결된다. 제2 변압기는 1차 및 2차 권선을 갖는데, 정합인 부하 조건 하에서, 송신기 출력 단자들 및 출력측 저항의 부하 측 단자들간의 전압 비에 상당하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를 갖는다.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은 상기 통신선 상에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변압기들의 2차 권선들은: (i)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쇄(cancel)하고, (ii)통신선으로부터 수신기로의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반대 위상끼리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선 임피던스 부정합 조건하에서 피드쓰루 차단(feedthrough cancellation)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선 임피던스와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 사이에 감쇄 패드가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커플러(270)를 도시한 것이다. 모뎀 송신기의 출력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고체 상태 고주파수 회선구동기(line driver)(100)는, 대개 0에 가까운 출력 임피던스를 갖는다. 임피던스 정합과 전류 제한은 외부 저항(205)을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전력선의 규격 임피던스(예컨대, 5OΩ)는 설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규격 50Ω을 나타내는 ZL(115)로 표시되는 전력선 부하에 있어서, 단자 쌍(220)간의 송신기 전압은 구동기 단자 쌍(103)에서의 전압의 절반이 될 것이다.
만약, 단자(220)간의 전압이 두 배가 되고 단자(103)간의 전압으로부터 뺄 수 있으면, 결과적인 전압은 송신기 전압을 완전히 상쇄(cancel)할 것이다. 도 2는변압기(250)의 권선비의 두 배인 권선비를 갖는 변압기(255) 및 상기 변압기(250)이 추가된 구현예로, 수신기 단자들(120)을 통해 수신기(125)의 입력에 연결된 다른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변압기(250, 255)들의 2차 권선이 직렬로 연결된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수신기 단자(120)에서의 송신기 신호 상쇄(cancellation)와 대조적으로, 회로는 변압기(255)를 통해 수신기(125)에 수신된 라인신호를 전달한다. 변압기(250)는 1차 권선이 송신기 출력단인 회선 구동기(100)의 매우 낮은 임피던스에 의해 단락되었기 때문에 전압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 단락 회로는 변압기(250)의 2차 권선에 걸쳐 0에 가까운 임피던스로 반영된다. 본 기술의 당업자들은 단자쌍(103) 및 단자쌍(220) 상에서 예상되는 전압 비율을 보상하기 위해 변압기(250, 255)의 변압기 비율을 일반화하며, 또한, 수신기(125)와의 적절한 임피던스 정합을 돕기 위해 변압기의 절대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상쇄(cancellation)를 이루면서, 1:1 및 2:1는 3:1 및 6:1 또한 될 수 있다. 변압기(255)의 오른편 권선에 걸린 전압은 정합된 부하 임피던스를 위한 회선구동기(100)에 걸린 전압의 절반이다. 따라서, 팩터 6에 의해 변압기(255)가 상기 절반의 전압을 상승시키는 경우, 변압기(250)는 팩터 3에 의해 총 전압을 상승시키며, 수신기(125)에 도달하는 감해진 전압(subtracted voltage)은 0이 된다.
임피던스 정합 조건에 있어서, 그 합계가 규격 모뎀 임피던스를 감당할 수 있도록 선택된 저항들(205)은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50% 또는 6dB의 부하로 작용한다. 비록 임피던스 레벨이 모뎀의 규격 임피던스의 두 배라고 하더라도 변압기(255)의 변환 동작은 수신된 신호의 진폭을 원래의 크기로 복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압기(250, 255)의 2차 권선들은: (i) 송신기 회선구동기(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쇄(cancel)시키고 (ii)통신선(예를 들어, 단자들(220))으로부터 수신기(125)로의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반대 위상끼리 직렬로 연결된다.
도 3은 전력선 임피던스 ZL(115)의 폭넓은 변화에 대한 영향을 개선하기 위해, 모뎀 하이브리드(270)에서 본 임피던스 ZL Modem(365)를 안정시키는 방법이 적용된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3의 회로는 모뎀의 규정 임피던스와 동일한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H-네트워크 감쇄기로 설계된, 저항성 감쇄 패드(360)의 임피던스 안정화 특성을 이용한다. 저항성 감쇄 패드(360)가 모뎀선 단자(323) 및 전력선 단자(320)의 사이에 설치되면, 하이브리드(270)에서 바라본 종단 임피던스 ZL Modem(365)의 변화는 크게 감소하고, 송신기 회선구동기(100) 및 수신기(125)간의 누설을 최소화하는 하이브리드(270)의 능력은 매우 강화된다.
저항성 감쇄 패드(360)와 같은 저항성 감쇄기는, ZL Modem(365)과 같은 종단 임피던스를 가지며, 이는 저항성 감쇄 패드(360)의 저항값 및 부하 임피던스 ZL(115) 모두에 의존적이다. 간략화하여 나타내면, 단락된 부하 임피던스 ZL(115)은 ZL Modem(365)를 감소시키나, 0으로 만들지는 않는다. 한편, 접속되지 아니한 부하 임피던스 ZL(115)은 ZL Modem(365)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무한한 값을 갖도록 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ZL(115)이 급격히 변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 ZL Modem(365)은ZL(115)보다 완만하게 변화할 것이다. 이는, 전력선 부하 임피던스 ZL(115)의 변화에 대해 단자(323)에서 바라본 임피던스 ZL Modem(365)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 장점은 신호레벨의 대가로 얻을 수 있으며, 신호레벨의 감소는 손실로 불린다.
저항성 감쇄 패드(360)의 안정화 효과는 패드 감쇄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다. 그러나, 이는 부하 ZL(115)인 전력선에 이르는 송신기 전력 레벨과 수신기(125)의 수신신호 모두를 감소시키게 된다. 부하 ZL(115)로 송신된 모뎀 출력전력 레벨은, 상호변조 왜곡의 레벨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감쇄기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회선구동기(100)으로부터의 출력단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전 레벨로 복원될 수 있다.
신호대 상호변조 누설 잡음의 수신기 비율에 대한 효과는 보다 복잡하다. 한편, 상기 신호레벨은 저항성 감쇄 패드(360)에 의해 감쇄된다. 그러나, 자주 발생하는, 상기 규격 모뎀 임피던스와 회선 임피던스가 상당히 다른 경우에 있어서, 하이브리드(270)에서 바라본 임피던스 정합을 개선하기 위한 저항성 감쇄기 패드(360)의 효과는, 수신기에서의 신호 대 상호변조 노이즈 비의 전체적 개선을 제공하면서 송신기 상호변조 기생신호 피드쓰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회로에 대한 일련의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이하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냈다.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저항성 감쇄 패드(360)에 의한 10dB의 감쇄는, 규격과는 다른 전력선 임피던스에 대해, 송신기에서의 수신기 신호 누출에 대한 다음과 같은 개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 1의 첫 번째 줄에 따르면, 전력선 부하 저항이 12.5Ω또는 규격 모뎀 임피던스의 4분의 1인 경우, 도 2의 하이브리드 회로(270)는 상기 수신기 입력 단자들에서 송신기 신호를 단지 5.9dB 감소시킨다. 반면에, 도 3에서와 같은 10dB 저항성 감쇄 패드(360)의 추가는 상기 수치를 26dB로 개선하여, 20.1dB이 향상된다. 표 2는 평균 수신 전력이 -33.1-(-19.1) 또는 14dB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난 송신기에서의 수신기로의 피드쓰루에 대한 표 2의 수신 전력 손실의 비는 -33.1-(-13.7)=19.6dB 에서 -19.1-(-31.1)=12dB 또는 19.6-12=7.6dB 향상 되었음을 나타낸다. 표 3은 평균 송신전력이 5.2-(-4.6)=9.8dB 감소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회선구동기(line driver)(200)의 출력을 1W로 증가시킴으로써 보상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고선형 송신기 회선구동기(100)는 반송파(carrier)로부터 45dB 감소된 상호변조 기생신호를 갖는다. 추가 26dB의 분리(isolation)가 상기 수신기 단자에서의 상호변조 기생신호를 상기 송신기보다 71dB 낮도록하며, 강한 감쇄가 있었던 전력선 상의 다른 곳의 모뎀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크기의 순서. 상호변조 누설 감쇄가 단지 5.9dB로만 기록되면(표 1의 첫 번째 줄 참조), 상호변조 기생신호는 상기 수신 신호보다 -5.9-45+71=20.1dB 강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이 명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한다.

Claims (18)

  1.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연결된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갖는 제1 변압기;
    통신선에 연결된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갖는 제2 변압기; 및
    상기 제1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의 단자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의 단자 간의 저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변압기의 상기 2차 권선들은 반대 위상끼리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도달하는 신호의 레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회로는,
    (i)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제1 신호를 상기 통신선에 커플링시키고;
    (ii) 상기 통신선으로부터의 제2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압기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가 1:1이고, 상기 제2 변압기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압기는 상기 제1 변압기의 권선비의 두 배의 권선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과 상기 통신선 사이에 연결되는 감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임피던스와 상기 통신선의 임피던스가 부정합인 조건하에, 상기 감쇄 패드가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 간의 피드쓰루 차단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통신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7.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의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에 걸쳐 1차 권선이 연결되어 있고, 2차 권선 대 상기 1차 권선의 권선비가 1:1인 상기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갖는 제1 변압기;
    상기 제1 출력 단자 및 통신선의 제1 컨덕터와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 및 상기 통신선의 제2 컨덕터와 직렬로 연결된 제2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의 값의 합이 상기 모뎀의 임피던스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저항; 및
    상기 통신선의 상기 제1 및 제2 컨덕터에 걸쳐 병렬로 연결된 1차 권선을 포함하고, 2차 권선을 포함하며, 정합된 부하 조건하에서, 상기 송신기의 상기 출력 단자들 및 상기 통신선의 상기 컨덕터들간의 전압의 비율에 상당하는 제2 권선 대 제1 권선의 권선비를 갖는 제2 변압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변압기들의 상기 2차 권선들은,
    (i)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쇄시키기 위해,
    (ii)상기 통신선으로부터 상기 수신기로의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반대의 위상끼리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과 상기 통신선 사이에 연결된 감쇄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임피던스와 상기 통신선의 임피던스가 부정합인 조건하에, 상기 감쇄 패드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간의 피드쓰루 차단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을 위한 커플링회로.
  10.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에 있어서,
    제1 변압기의 1차 권선을 송신기에 연결하는 단계;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을 통신선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의 단자 및 상기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의 단자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변압기의 2차 권선과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 권선을 반대의 위상끼리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에 도달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 변압기와 상기 제2 변압기의 2차 권선들을 상기 수신기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회로는;
    (i)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제1 신호를 상기 통신선으로 커플링시키고;
    (ii) 상기 통신선으로부터의 제2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압기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가 1:1이고, 상기 제2 변압기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압기는 상기 제1 변압기의 권선비의 두 배인 권선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과 상기 통신선 사이에 감쇄 패드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임피던스와 상기 통신선의 임피던스가 부정합인 조건하에, 상기 감쇄 패드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간의 피드쓰루 차단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6.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의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에 걸쳐 제1 변압기의 1차 권선을 연결하되, 상기 1차 변압기는 2차 권선을 갖고, 상기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가 1:1인 단계;
    상기 제1 출력 단자 및 통신선의 제1 컨덕터와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2 출력 단자 및 상기 통신선의 제2 컨덕터와 직렬로 연결된 제2 저항을 포함한 한 쌍의 저항들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신선의 상기 제1 및 제2 컨덕터들에 걸쳐 병렬로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을 연결하되, 상기 2차 변압기는 2차 권선을 가지며, 정합된 부하 조건하에 상기 송신기의 상기 출력 단자들과 상기 통신선의 상기 컨덕터들 사이의 전압의 비율에 상당하는 2차 권선 대 1차 권선의 권선비를 갖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변압기의 2차 권선들을
    (i)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쇄시키기 위해,
    (ii)상기 통신선으로부터 상기 수신기로의 신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반대의 위상끼리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압기의 1차 권선과 상기 통신선 사이에 감쇄 패드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임피던스와 상기 통신선의 임피던스가 부정합인 조건하에, 상기 감쇄 패드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간의 피드쓰루 차단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양방향 모뎀의 커플링 방법.
KR10-2004-7017391A 2002-04-29 2003-04-29 전력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 KR20050006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610902P 2002-04-29 2002-04-29
US60/376,109 2002-04-29
PCT/US2003/013237 WO2003094283A2 (en) 2002-04-29 2003-04-29 Full duplexing for power line data commun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207A true KR20050006207A (ko) 2005-01-15

Family

ID=2940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391A KR20050006207A (ko) 2002-04-29 2003-04-29 전력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30201759A1 (ko)
EP (1) EP1500204A4 (ko)
JP (1) JP2005524321A (ko)
KR (1) KR20050006207A (ko)
CN (1) CN1650534A (ko)
AU (1) AU2003234279A1 (ko)
BR (1) BR0309615A (ko)
CA (1) CA2483586A1 (ko)
IL (1) IL164871A0 (ko)
MX (1) MXPA04010733A (ko)
WO (1) WO20030942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5472B2 (en) 2001-05-18 2007-07-17 Curretn Grid, Llc Medium voltage signal coupling structure for last leg power grid high-speed data network
US7102478B2 (en) * 2002-06-21 2006-09-05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coup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312694B2 (en) 2003-03-14 2007-12-25 Ameren Corporation Capacitive coupler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ata over an electrical power delivery system
US7852837B1 (en) 2003-12-24 2010-12-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Wi-Fi/BPL dual mode repeaters for power line networks
US8938021B1 (en) 2004-05-06 2015-01-20 Paul Shala Henry Outbound interference reduction in a broadband powerline system
US7330545B2 (en) 2004-09-08 2008-02-12 Analog Devices Inc. Dual transformer hybrid system and method
US9172429B2 (en) 2004-12-01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Interference control in a broadband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
US8462902B1 (en) 2004-12-01 2013-06-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Interference control in a broadband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
KR100840685B1 (ko) * 2007-01-26 2008-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라이버,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적어도하나 이상의 로드를 구동시키는 방법
US7795994B2 (en) 2007-06-26 2010-09-14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coupling device and method
US7876174B2 (en) 2007-06-26 2011-01-25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coupling device and method
FR2993106B1 (fr) * 2012-07-06 2014-08-01 Sagem Defense Securite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 organe electrique a une ligne de communication
EP2903170B1 (en) * 2014-02-04 2020-01-08 U-blox AG Duplexing apparatus,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WO2016036845A1 (en) * 2014-09-02 2016-03-10 Ikanos Communications, Inc. Dual-source hybrid cancellation scheme
EP3270518B1 (en) * 2016-07-14 2019-08-07 Intel IP Corporation Time division duplexing receiver with constant impedance for a broadband line terminal with asynchronous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963B2 (ko) * 1973-11-12 1978-07-06
JPS6041898B2 (ja) * 1977-12-31 1985-09-19 株式会社リコー 送受信回路
US5274704A (en) * 1989-01-19 1993-12-28 Northern Telecom Limited Transformer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
US6104707A (en) * 1989-04-28 2000-08-15 Videocom, Inc. Transformer coupler for communication over various lines
US5301208A (en) * 1992-02-25 1994-04-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Transformer bus coupler
DE19640172A1 (de) * 1996-09-28 1998-04-23 Daimler Benz Ag Übertrager-Leistungskopplung
US5943392A (en) * 1997-01-24 1999-08-24 Southwestern Bell Telephone Company Device for measuring echo return loss in a two-two wire line system
US6653848B2 (en) * 2000-09-18 2003-11-25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characterization of multi-terminal single-ended or balanced devices
EP1391055B1 (en) * 2001-02-01 2006-12-27 Analog Devices, Inc. Line interface with a matching impedance coupled to a feedback path
US7065143B1 (en) * 2001-02-26 2006-06-2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design for increasing signal to noise ratio in xDSL mod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0534A (zh) 2005-08-03
US20030201759A1 (en) 2003-10-30
JP2005524321A (ja) 2005-08-11
MXPA04010733A (es) 2005-03-07
CA2483586A1 (en) 2003-11-13
EP1500204A2 (en) 2005-01-26
WO2003094283A3 (en) 2004-03-11
WO2003094283A2 (en) 2003-11-13
BR0309615A (pt) 2005-06-28
AU2003234279A1 (en) 2003-11-17
IL164871A0 (en) 2005-12-18
EP1500204A4 (en)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208A (en) Transformer bus coupler
KR20050006207A (ko) 전력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
CN101056113B (zh) 中频接收电路及接收方法
US20060029215A1 (en) Lightning protection circuit
CN111510108A (zh) 一种宽带低噪声高功率容限的准环形器
CN113206677B (zh) 一种自干扰抵消器
US4885557A (en) Broadband constant voltage multicoupler
EP3361644A1 (en) Front-end module comprising an ebd circuit, tele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front-end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m
US8570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mitter AC-coupling droop
EP1675288B1 (en) An arrangement for the transmission of a data signal in a cable television network
US11949536B2 (en) Transferring digital subscriber connection signals via a coaxial cable
CN103457633B (zh) 一种回波噪声消除全混合线接口
CA2356952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nalog echo canceller
US10985788B2 (en) Full duplex transmission arrangement
CN1150690C (zh) 包括低噪声放大器的同时接收/发送信号的装置
CN103427875B (zh) 同轴电缆宽带接入的模拟前端系统
CN116743270A (zh) 一种基于耦合器合路的全双工射频消干扰装置
KR20040032781A (ko) 브리지 회로 및 통신 디바이스
CN116632488B (zh) 一种差分功分器、发射链路系统及接收链路系统
US6930567B2 (en) Transmission system
US20060133600A1 (en) Flexible hybrid structure tunable for different telecom market solutions
CN112332783A (zh) 一种超线性低噪声短波放大器
CA3209968A1 (en) Cable network device with low loss measurement port
JP3302061B2 (ja) 光空間通信装置
JPH11191740A (ja) 信号調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