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942A - 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 Google Patents

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942A
KR20050002942A KR1020030042291A KR20030042291A KR20050002942A KR 20050002942 A KR20050002942 A KR 20050002942A KR 1020030042291 A KR1020030042291 A KR 1020030042291A KR 20030042291 A KR20030042291 A KR 20030042291A KR 20050002942 A KR20050002942 A KR 2005000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user
web
service provider
tr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5616B1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03004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616B1/en
Publication of KR2005000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6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using personal handwriting on an on/offline computer is provided to offer a distinctive computer use environment by enabling a user to freely use the personal handwriting on the on/offline. CONSTITUTION: A web font and a true font based on the personal handwriting are made by using a handwriting making form returned from a user after the user makes the form received from a service provider with the handwriting(St9). The web font is stored in a database by each user, and the true fo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 order to use it on the offline(St11). Recorded contents received from the user are transformed into the web font of the user(St13). The transformed recorded contents are transmitted to a receiver as a mail or displayed to a writable web page of an URL(Uniform Resource Locator) fixed by the user(St14).

Description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 / off line}

본 발명은 개인의 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개인의 서체를 오프라인의 컴퓨터 상에서 자유로이 사용가능토록 함은 물론 메일을 비롯한 웹페이지 등의 온라인 상에서도 자유로이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king an individual's font available online or offline. More specifically, the personal font can be freely used on an offline computer as well as freely used online, such as a web page, including mail. It is about how to make it possible.

근래에 들어 시대가 본격적인 정보화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상기 저장된 정보의 사용에 편의를 주는 워드프로세서 등의 여러 가지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era has become a full-fledged information society, the spread of computers that can store and process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has spread rapidly, an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word processors, which facilitate the use of the stored information, have been introduced. It is developed and actively used.

더 나아가 유/무선 통신망 구축에 힘입어 전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로서 소위 정보의 바다라 불리는 인터넷 사용이 일반화되었고, 이를 통해 컴퓨터 사용자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이나 온라인 게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Furthermore, with the establishment of wired / wireless networks, the use of the Internet, the so-called sea of information, has become commonplace as a huge network of networks all over the world, allowing computer users to e-mail and remote computer connections (telnet). , File transfer (FTP), Usenet News, Internet information search (Gopher), Internet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IRC), electronic bulletin boards (BBS), hypertext information viewing (WWW: World Wide Web) and online games. You can enjoy a variety of services.

이와 같은 컴퓨터의 활용에 있어서 각종 정보를 가독(readability) 및 판독성(egibility) 있는 문자 또는 그림의 특별한 스타일로 디자인하여 사용자에게 표시 및 인쇄 가능하도록 하는 폰트(font)가 사용되는데, 이를 통해 비로소 사용자는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를 읽거나 처리할 수 있고, 오프라인의 각종 응용프로그램 상에서 원하는 명령어의 입력 및 처리와 더불어 온라인 상에서 인터넷을 통한 유/무선 정보통신이 가능하다.In the use of such a computer, a font is used for design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special style of readability and legibility of characters or pictures, which can be displayed and printed to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puter can be read or processed, wired / wireless information communication via the Internet is possible online, along with input and processing of desired commands on various offline applications.

다시 말해 폰트는 온/오프 라인의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통일된 디자인의 문자 세트라 할 수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된 운영체제로서 윈도우 환경 하에서는 ttf 확장자를 가진 트루타입폰트(true type font : 이하 트루타입이라 한다.)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다. 일례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굴림, 돋음, 바탕, 궁서 등의 기본글꼴은 각각 굴림.ttf, 돋음.ttf, 바탕.ttf, 궁서.ttf 파일로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들을 선택하여 해당 서체를 각종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ont is a unified design character set that can be used in on / offline computers. Currently, the most popular operating system is a true type font with a ttf extension under the Windows environment. .) Is built in by default. For example, the basic fonts that we commonly use are Arial, Prim, Base, and Archery, respectively, which are stored on the computer as Arial.ttf, Rim.ttf, Basi.ttf, and Archer.ttf files. Fonts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근래에는 다양하고 독특한 여러 가지 글꼴이 트루폰트로 제작되어 유/무료 다운로드 서비스되고 있는 바, 사용자는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체의 글꼴이 내장된 트루폰트를 다운받아 컴퓨터 내에 저장시킴으로서 필요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and unique fonts have been created as True Fonts and are available for free / free download service. Users can access the Internet and download True Fonts with the fonts of the desired fonts and save them in their computers. have.

하지만 어느 임의의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만 저장된 독특한 트루폰트를 사용하여 온라인 상의 웹페이지나 메일을 작성한 경우, 이를 보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수신자의 컴퓨터에 이와 동일한 트루타입글꼴이 저장되어 있지 않는 한 이들은 원문 서체와는 다른 굴림, 돋음, 바탕, 궁서 등의 기본글꼴의 형태로 판독할 수 밖에 없다.However, if any user composes an online web page or mail using a unique TrueFont that is stored only on his or her computer, the original typeface is not stored on the computer of the visitor or recipient who wants to see it. It can only be read in the form of basic fonts such as rolls, shoots, backgrounds, and archery.

이를 위해 웹폰트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웹폰트란 트루폰트를 웹이나 메일 등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한 것으로, 해당 웹폰트가 적용될 웹 페이지 경로 및 적용범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웹폰트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나 메일을 작성하면, 방문자 또는 수신자가 이에 접속할 경우 상기 방문자의 브라우저 등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이 해당 웹폰트를 요구하고, 이를 다운로드받아 임시 저장함으로서 마치 해당 웹폰트가 방문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o this end, web font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Web font is a conversion of True Font to be usable online, such as the web or mail, and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web page path and scope of application of the web font. Therefore, when a user writes a web page or mail using a web font, when a visitor or recipient accesses it, an Internet access program such as the visitor's browser requests the web font, downloads it, and temporarily stores the web font. The effect is the same as that installed on the visitor's computer.

한편, 근래에 들어 개개인의 독특한 개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반면 운영체제에서 제공되는 트루폰트는 매우 한정적이며, 비록 몇몇 서비스 제공자가 독특한 트루폰트를 제공하고 있다 하더라도 이는 여전히 개개인의 개성을 고려치 못한 획일화된 서체에 지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unique personality of the individual is very important, while the true font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is very limited, even though some service providers provide the unique true font, it is still uniform. It's just a typeface.

이에 많은 사용자들이 컴퓨터의 온/오프 라인에서 자신의 개성이 담긴 친필 서체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기를 고대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many users are looking forward to freely using their own handwritten fonts on and off the compu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온/오프 라인을 불문하고 개인의 서체를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above demand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freely utilize the typeface of the individual regardless of on / off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도.1 is a network diagram of a method for making a personal font available on / off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king a personal font available on / offlin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서체작성양식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typeface creation sty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서비스제공자 14 : 서버10: service provider 14: server

18 : 데이터베이스 20 : 인터넷18: Database 20: Internet

30 : 사용자30: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서버 및 이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발신되어 사용자의 서체로 작성된 후 회신되는 서체작성양식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서체에 따른 웹폰트와 트루폰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웹폰트를 각 사용자 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트루폰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오프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기록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웹폰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웹폰트로 변환된 기록내용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수신자에게 메일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URL의 쓰기 가능한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personal fonts on / offlin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nt is sent from the service provider provided with a server and a database linked to it is written in the user's font and returned Making web fonts and true fonts according to a personal font of the user based on a form; Storing the web font in the database for each user and transmitting the true font to the user for offline use; Converting the recording contents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 web fon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recorded content converted into the web font is mailed to a recipient designated by the user or displayed on a writable web page of the URL designated by the user on / off the personal font Provides a way to make it available on line.

이때 상기 웹폰트와 트루폰트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서체작성양식을 용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지에 출력된 서체작성양식을 자신의 서체로 재 작성한 후 우편이나 팩스 또는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에게 회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상기 서체작성양식에 포함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서체를 추출하여 상기 웹폰트 및 트루폰트로 문자 코드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of the web font and the true font may include the step of the user connecting to the service provider's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outputting a font writing 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on a sheet of paper; The user rewriting the font creation form output on the paper into his or her own font and converting it into a mail, a fax, or a picture file and returning it to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provider extracts the font of the user included in the font creation form and the character code to the web font and true font.

또한 상기 서체작성양식은 특수문자와, 한글의 각 자음과 모음 및 이들의 조합과, 외국어의 각 음절문자와, 알파벳과, 숫자와, 그림과, 기호 중 선택된 다수가 보기로 기재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서체로 상기 보기 각각을 재기록하여 재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nt writing form includes a number of special characters,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ombinations thereof, each syllable of foreign languages, alphabets, numbers, pictures, and symbols as examples. Rewrite each of the views in their own font.

또한 상기 사용자의 웹폰트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해당사용자의 웹폰트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기록내용에 대응하는 것을 검색하여 재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converting the user's web font sent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rieval and recombin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contents received from the user of the web font of the user recorded in the database,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서비스제공자(10)는 인터넷(20)을 통해서 다수의 사용자(30)와 연결될 수 있는 서버(14) 및 이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18)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thod for enabling personal fonts to be utilized on / off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ervice provider 1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s 30 through the Internet 20. 14 and a database 18 linked thereto.

이때 서버(14)에는 사용자(30)가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 그리고 각 사용자(30) 별 서체를 토대로 트루폰트와 웹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고, 특히 각 사용자(30)가 지정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웹폰트로 작성된 내용을 기록하는 웹서버(14b) 및 메일을 송수신 할 수 있는 메일서버(14a)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14 may include a web page accessible to the user 30 and a program for generating true fonts and web fonts based on fonts for each user 30. It may include a web server 14b for recording the contents created by the web font with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to designate, and a mail server 14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il.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8)는 사용자(30) 별 간단한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DB(18c)와, 각 사용자(30) 별 서체정보를 저장하는 서체정보DB(18b)와, 이들 서체정보를 기초로 제작되는 트루폰트와 웹폰트를 각 사용자(30) 별로 구분 저장하는 폰트DB(18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8 includes a member information DB 18c for storing simpl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 30, a font information DB 18b for storing font information for each user 30, and the typefac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font DB (18a) for storing the produced fonts and web fonts for each user (30).

첨부된 도 2는 상기한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tilizing a personal fo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 offline through the above-described network configu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먼저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하기 원하는 사용자(30)는 인터넷(20)을 통해서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로 접속하여 로그인(log-in)한다.(St1, St4)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에는 고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로그인 창이 구비될 수 있는데, 서비스제공자(10)는 이 로그인 창에 기록되는 내용을 통해서 최초사용자 여부를 판단한다.(St2)First, the user 30 who wants to utilize his / her personal font on / offline logs in by logging into the web page of the service provider 10 through the Internet 20 (St1, St4). The web page of the provider 10 may be provided with a login window for inputting a unique ID and password, and the service provider 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the first user through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login window. (St2)

다시 말해 최초사용자인 경우에 로그인(S2) 이전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비롯한 간단한 신상정보를 입력함으로서 회원으로 가입한 후 로그인 할 수 있는 바, 이때 사용자(30)가 기록한 신상정보는 회원정보DB(18c)에 각 사용자(30) 별로 구분 저장된다.(St3, St4)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first user, the user can log in after entering as a member by entering simpl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n ID and a password before login (S2),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recorded by the user 30 is the member information DB (18c). ) Are stored separately for each user 30. (St3, St4)

따라서 이전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30)가 로그인 창에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서비스제공자(10)는 그 내용이 회원정보DB(18c)에 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중 하나와 동일한가를 검색함으로서 최초사용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일 일치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재차의 회원가입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다.(St4)Therefore, if the user 30 who previously registered as a member enters his or her ID and password in the login window, the service provider 10 searches whether the contents are the same as one of the ID and password stored in the member information DB 18c. The first user can be judged, and if there is a match, the user can skip the registration process again and log in immediately. (St4)

반면 일치되는 내용이 없을 경우에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그 사실을 공지하고 사용자(30)는 회원가입의 단계를 거쳐 로그인 할 수 있다.(St3, St4)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match, the user is notified of the fact through the web page and the user 30 can log in through the steps of membership registration (St3, St4).

다음으로 서비스제공자(10)는 웹페이지에 로그인 한 사용자(30)에 대하여 이전에 자신의 서체로 서체작성양식을 완성하여 회신한 사실이 있는가를 묻게 되는데(St5), 그러한 사실이 없거나 또는 이미 자신의 서체로 서체작성양식을 완성하여 회신한 사실은 있지만 재 작성을 원하는 사용자(30)는 웹페이지에 구비된 내려받기 창을 클릭하여 서체작성양식을 다운로드 받는다.(St7)Next, the service provider 10 asks the user 30 who has logged in to the webpage whether the user has completed and returned a font writing form in his or her own font (St5). The user 30 who wants to rewrite the font writing form is returned after completing the font writing form in the font. However, the user 30 clicks the download window provided on the web page to download the font writing form. (St7)

이때 상기 서체작성양식은 다양한 특수문자, 한글의 각 자음과 모음 및 이들의 조합, 외국어의 각 음절문자, 알파벳, 숫자, 기호, 그림 등이 보기로 기재되어 있고, 사용자(30)의 서체로 이들 각각을 재 기록할 수 있는 공란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30)는 자신의 서체로 공란에 보기 각각을 재 기록함으로서 서체작성양식을 완성하여 사용자(30)에게 회신하는데, 이 서체작성양식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St8)In this case, the font writing style includes various special characters,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combinations thereof, syllable characters, alphabets, numbers, symbols, pictures, etc. of foreign languages. Include spaces to rewrite each. Accordingly, the user 30 completes the font writing form by re-recording each view in the blank in his or her own font, and returns to the us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orresponding part.

참고로 이때 사용자(30)가 서비스제공자(10)에게 서체작성양식을 회신하는 방법은 우편이나 팩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완성된 서체작성양식을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로 제작한 후 메일 등의 유/무선 인터넷(20) 파일전송 서비스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reference, in this case, the user 30 may return the font writing form to the service provider 10 by using mail or fax, or by scanning the completed font writing form and making it as an image file. (20) It is also possible to transfer to a file transfer service.

다음으로 서비스제공자(10)는 수신된 서체작성양식에 기재된 서체정보를 각 사용자(30) 별로 서체정보DB(18b)에 저장한 후, 상기 서체정보를 기초로 하여 트루폰트를 제작한다.(St9)Next, the service provider 10 stores the font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received font creation form in the font information DB 18b for each user 30, and then produces a true font based on the font information. )

이때 트루폰트의 제작방법으로서는 직선, 곡선, 원호 등의 수학적인 요소들을 매개로 서체작성양식에 기록된 사용자(30)의 서체로부터 각 기호 또는 글자의 위상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기하학적으로 표현되는 각 기호 또는 글자의 윤곽선 정보를 재현하여 문자코드화 하는 통상의 트루폰트 제작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작된 트루폰트를 통해서 웹폰트를 생성하는 바, 그 방법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WEFT와 같은 상용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True Font, the phase of each symbol or letter is extracted from the typeface of the user 30 recorded in the font creation form through mathematical elements such as straight lines, curves, arcs, and the like, and geometrically represented through the font. A conventional true font manufacturing method of reproducing character code by reproducing outline information of a symbol or letter can be used. In addition, a web font is generated through the True Font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a commercial program such as WEFT provided by Microsoft may be used.

또한 사용자(30)의 서체에 기초한 트루폰트와 웹폰트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서버에 내장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고, 이와 같이 제작된 트루폰트와 웹폰트는 각 사용자(30)별로 폰트DB(18a)에 구분 저장된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a program for manufacturing a true font and a web font based on a font of the user 30 may be embedded in the server. The true font and the web font thus produced are fonts for each user 30. It is stored separately in the DB 18a.

다음으로 서비스제공자(10)는 완성된 트루폰트를 사용자(30)에게 다운로드 서비스하여 전송하는데, 그 형태는 일례로 '사용자명.ttf' 파일이 될 수 있어 사용자(30)는 오프라인에서 이를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다.(St10, St11)Next, the service provider 10 downloads and transmits the completed true font to the user 30. The form may be, for example, a 'user name.ttf' file, so that the user 30 may freely use it offline. (St10, St11)

한편 상기한 트루폰트 및 웹폰트 제작에는 소정의 시간이 요구되므로 사용자(30)는 다운로드받은 서체작성양식을 완성하여 서비스제공자(10)에게 회신한 후 안내된 기일이 경과한 후 다시 웹페이지로 접속하게 되는데, 로그인 이후에 서비스제공자(10)는 사용자(30)에 대하여 이전에 자신의 서체로 서체작성양식을 완성하여 회신한 사실이 있는 가를 다시 묻는다.(St1, St4, St5)Meanwhile, since the predetermined time i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true font and the web font, the user 30 completes the downloaded font writing form and returns it to the service provider 10, and then accesses the web page again after the guided date elapses. After the login, the service provider 10 again asks the user 30 whether the user has completed and returned a font writing form in his or her own font before. (St1, St4, St5)

이때 사용자(30)가 자신의 서체로 서체작성양식을 완성하여 회신한 사실이 없다고 판단하면 다시 서체작성양식을 다운로드받아 완성한 후 서비스제공자(10)에게 회신하게 되며(St7, St8), 그렇지 않을 경우 서비스제공자(10)는 사용자(30)의 컴퓨터 단말기에서 '사용자명.ttf 파일'을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다운로드 서비스한다.(St6, St10)At this time, if the user 30 judges that there is no fact that the user completes the font creation form and returns it in his own font, the font preparation form is downloaded and completed again and returned to the service provider 10 (St7, St8). The service provider 10 searches for the 'user name.ttf file' on the computer terminal of the user 30 and downloads it if it does not exist. (St6, St10)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30)는 자신의 서체로 제작된 트루폰트를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시킬 수 있고, 이후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로의 접속여부를 불문하고 오프라인의 각종 응용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사용자명.ttf'의 트루폰트를 자유로이 사용하며 인쇄 및 표시할 수 있다.(St11)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ser 30 can store the True Font produced in his or her own font in a computer terminal, and then the service provider 10 can access the web page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accesses the web page on offline various applications. Freely use True Font of 'user name.ttf' and print and display (St11)

또한 이미 컴퓨터 단말기에 '사용자명.ttf'의 파일이 존재하는 사용자(30)나 또는 상기한 파일을 다운로드받은 사용자(30)는 의사에 따라 자신의 서체로 작성된 웹폰트로 메일을 전송하거나 웹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에는 메일쓰기 및 웹페이지쓰기창이 구비되어 메일 또는 웹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다.(St6, St12)In addition, the user 30, which already has a file of 'user name.ttf' on the computer terminal, or the user 30 who has downloaded the above file, sends a mail or a web page to a web font written in his or her own font according to a will. For this, a web page of the service provider 10 is provided with a mail writing and web page writing window, so that a mail or a web page can be written. (St6, St12)

먼저 메일의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30)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메일쓰기창을 클릭한다.First, in the case of the mail, the user 30 clicks the mail writing window as desired.

그러면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로 메일수신자의 주소를 기재할 수 있는 메일주소란 및 메일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메일내용란 그리고 전송창 및 미리보기창을 포함하는 메일작성양식이 나타나고, 사용자(30)는 메일내용과 메일주소를 기재한 후 전송창 또는 미리보기 창을 클릭한다.(St12)Then, an e-mail address field in which the address of the mail recipient can be entered into the web page of the service provider 10, an e-mail content field in which the e-mail contents can be written, and a mail compose form including a transmission window and a preview window appear. 30) fill in the mail contents and mail address and click on the transfer window or the preview window (St12).

이때 사용자(30)가 작성한 메일내용은 기호 또는 숫자나 글자 등 사용자(30)의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트루폰트로 기재되는데, 서비스제공자(10)는 폰트DB(18a)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30)의 웹폰트에서 상기 기호 또는 숫자나 글자에 대응되는 것을 검색하여 재조합한 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30) 자신의 서체로 쓰여진 메일 내용을 전송하거나 미리보기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된 수신자는 사용자(30) 자신의 서체로 쓰여진 웹폰트로 작성된 메일 내용을 받게 되는 것이다.(St13, St14)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mail created by the user 30 are described as true fonts stored in the computer terminal of the user 30 such as symbols, numbers or letters, and the service provider 10 is stored in the font DB 18a of the corresponding user 30. By searching for and recombining the symbols, numbers, or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web fonts, the user 30 may transmit or preview mail contents written in his or her own font. Therefore, the designated recipient receives the contents of the mail written in the web font written in the user's own font (St13, St14).

한편 사용자(30)가 자신의 서체를 사용하여 게시판과 같은 쓰기 가능한 특정 웹페이지에 기록 하고자 할 경우에 웹페이지쓰기창을 클릭하게 되고, 그러면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에는 사용자(30)가 쓰기를 원하는 웹페이지의 URL을 기재할 수 있는 URL란 및 기재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웹페이지내용란 그리고 전송창 및 미리보기창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작성양식이 나타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30 wants to write to a specific writable web page such as a bulletin board using his or her font, the user clicks on the web page writing window. Then, the user 30 on the web page of the service provider 10 A web page creation form including a URL field for describing the URL of a web page to be written, a web page contents field for describing the contents, and a transmission window and a preview window appears.

이에 사용자(30)는 작성하고자 하는 내용 및 해당 내용을 남기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URL, 일례로 해당 게시판의 URL을 기재한 후 전송창 또는 미리보기창을 클릭한다. 이때 마찬가지로 사용자(30)가 서비스제공자(10)의 웹페이지내용란에 작성한 내용은 기호 또는 숫자나 글자 등 사용자(30)의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트루폰트로 기재되지만, 서비스제공자(10)는 폰트DB(18a)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30)의 웹폰트에서 상기 기호 또는 숫자나 글자에 대응되는 것을 검색하여 재조합한 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30) 자신의 서체로 쓰여진 내용을 해당 웹페이지에 기록하거나 미리보기 할 수 있다.(St12, St13, St14)Accordingly, the user 30 enters the contents to be written and the URL of the web page to leave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URL of the bulletin board and clicks the transmission window or the preview window. In this case, the contents written by the user 30 in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of the service provider 10 are described as true fonts stored in the computer terminal of the user 30 such as symbols, numbers, or letters, but the service provider 10 may use font DB ( In the web font of the user 30 stored in 18a), the corresponding text, numbers, or letters are searched for, recombined, and displayed, and the contents written in the user's own font can be recorded or previewed on the web page. (St12, St13, St14)

따라서 해당 URL에 접속하는 모든 사람은 사용자(30) 서체로 쓰여진 웹폰트로 작성된 내용을 볼 수 있다.Therefore, anyone who accesses the URL can see the contents written in the web font written in the user 30 font.

한편, 첨부된 도 3은 서체작성양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한글의 기역을 초성으로 하는 글자들이 보기로 예시된 일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art to explain an example of the typeface writing style, and in particular, only a part of the example of the first example of the characters of the Korean Hangul.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서체작성양식은 기역을 초성으로 하는 거의 모든 글자가 보기(50)로 기재되어 있고, 각 글자의 하단으로는 공란(6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서체로 각 보기(50)의 글자를 그 하단의 공란(60)에 반복하여 재기록 하는데, 다소 많은 양을 작성해야 하지만 이는 보다 사용자의 서체에 근접한 트루폰트 및 웹폰트를 얻기 위함이다.As can be seen in the figure, the typeface writing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lmost all letters to the base of the base (50), the bottom of each letter is provided with a blank (60). Therefore, the user repeatedly rewrites the text of each view 50 in the blank space 60 at the bottom of his or her own font,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writing, but in order to obtain true fonts and web fonts closer to the user's font. to be.

즉, 통상적으로 일반 사람들이 글씨를 쓸 경우에 동일한 자음 또는 모음이라 할 지라도 그 위치에 따라 형태가 변화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일례로 '각' 자를 쓸 경우에 초성의 기역과 종성의 기역은 그 형태가 서로 다르며, '깍' 또는 '??' 과 같은 각자병서 또는 '굵' 등의 합용병서를 필기할 경우 같은 기역이라도 서로 다른 형태로 기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체작성양식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모든 경우를 보기로 예시함으로서 보다 개인의 서체에 근접한 트루폰트 및 웹폰트를 구현하게 된다.That is, in general, when people write letters, even if they are the same consonants or vowels, the form is generally changed according to their loc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common to write a different form, even if the same base when writing a separate document such as or a combination of such 'bold'. Therefore, the typeface writing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ll cases made of consonants, vowels, and combinations of Hangul as examples, thereby implementing true fonts and web fonts closer to the typefaces of individual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서체작성양식에 보기로 기재될 수 있는 것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이들의 조합 뿐만이 아니라 각종 특수문자, 일본어나 중국어 등의 음절문자 및 이들의 조합, 음소문자 및 이들의 조합, 영미권의 알파벳, 숫자, 그림, 기호 등 모든 종류가 가능하며, 특히 해독이 불가능한 고대어나 영화 또는 만화등에 나오는 창작기호 및 이모티콘 등 기록될 수 있는 모든 종류가 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what can be described in the typeface writing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onsonants and vowels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also various special characters, syllable characters such as Japanese or Chinese, combinations thereof, lower and lower case letters, combinations thereof, All kinds of alphabets, numbers, pictures, symbols, et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re possible, and in particular, it can be any kind that can be recorded, such as non-decipherable ancient words, creative symbols and emoticons in movies or cartoons.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실제 구현에 있어서 다소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 및 이에 대한 서술내용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 바, 이하의 청구범위에 적힌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method of making a personal fo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vailable on / offline may have some variation in actual implementa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s thereof are only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은 개인의 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자유로이 사용 가능하게 하여 개성을 드러내는 등의 현저히 차별화된 컴퓨터 사용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온라인 상의 메일이나 웹페이지 등에 개인의 서체를 이용하여 내용을 작성할 수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신선하고 재미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고, 오프라인에서도 자유로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각종 인쇄물이나 기록에 개인적인 개성을 보다 깊게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provides a remarkably differentiated computer use environment, such as revealing individuality by allowing the user's typeface to be freely available on / off lin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content using personal fonts such as online mails or web pages, which can give viewers a fresh and fun feeling, and can be used freely offl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pressed deeper.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보다 개인의 서체에 근접하도록 모든 경우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작성된 초기서체양식을 제공하는 바, 자연스럽고 미려한 서체를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itial typeface that is written to satisfy all cases to be closer to the typeface of the individual in this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o implement a natural and beautiful typeface.

Claims (4)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As a way to make personal fonts available on and offline, 서버 및 이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발신되어 사용자의 서체로 작성된 후 회신되는 서체작성양식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서체에 따른 웹폰트와 트루폰트를 제작하는 단계와;Producing a web font and a true font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font based on a font creation form that is sent from a service provider having a server and a database linked thereto, and then written in a user's font; 상기 웹폰트를 각 사용자 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트루폰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오프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Storing the web font in the database for each user and transmitting the true font to the user for offline use;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기록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웹폰트로 변환하는 단계와;Converting the recording contents received from the user into a web font of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웹폰트로 변환된 기록내용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수신자에게 메일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지정하는 URL의 쓰기 가능한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recorded content converted into the web font is mailed to a recipient designated by the user or displayed on a writable web page of the URL designated by the user on / off the personal font How to make it available on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웹폰트와 트루폰트를 제작하는 단계는,Producing the web font and the true font,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서체작성양식을 용지에 출력하는 단계와;Connecting the user to the service provider's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outputting a font writing form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on a sheet of paper;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지에 출력된 서체작성양식을 자신의 서체로 재 작성한 후 우편이나 팩스 또는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서비스제공자에게 회신하는 단계와;The user rewriting the font creation form output on the paper into his or her own font and converting it into a mail, a fax, or a picture file and returning it to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상기 서비스제공자가 상기 서체작성양식에 포함된 상기 해당 사용자의 서체를 추출하여 상기 웹폰트 및 트루폰트로 문자 코드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Wherein the service provider extracts the user's font included in the font creation form and character codes the web font and the true font. .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서체작성양식은 특수문자와, 한글의 각 자음과 모음 및 이들의 조합과, 외국어의 각 음절문자와, 알파벳과, 숫자와, 그림과, 기호 중 선택된 다수가 보기로 기재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서체로 상기 보기 각각을 재기록하여 재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The font writing form includes a list of special characters,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a plurality of selected syllable characters, alphabets, numbers, pictures, and symbols of foreign languages. Rewriting and rewriting each of the views in its own fon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사용자의 웹폰트 문장으로 변환하는 단계는,Converting the user's web font sentence,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해당사용자의 웹폰트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기록내용에 대응하는 것을 검색하여 재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서체를 온/오프 라인에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A method of making a personal font available on / offline, wherein the personal font is searched and recombined from the web font of the corresponding user recorded in th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recorded contents received from the user.
KR1020030042291A 2003-06-27 2003-06-27 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KR100985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91A KR100985616B1 (en) 2003-06-27 2003-06-27 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91A KR100985616B1 (en) 2003-06-27 2003-06-27 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942A true KR20050002942A (en) 2005-01-10
KR100985616B1 KR100985616B1 (en) 2010-10-05

Family

ID=3721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291A KR100985616B1 (en) 2003-06-27 2003-06-27 method of using one'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6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55B1 (en) * 2008-03-26 2010-03-18 주식회사 릭스코 System for providing font watermark service
KR20220005781A (en)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A font production sheet used to provide user-customized fonts, a smart pen used to provide user-customized font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fo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84A (en) * 2000-07-11 2002-01-19 박영수 Business method for providing mail applied individual handwriting using the internet transmission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00063895A (en) * 2000-08-09 2000-11-06 윤웅철 Pswco
KR100482270B1 (en) * 2002-02-23 2005-04-13 최석천 E-mail service method using autograp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55B1 (en) * 2008-03-26 2010-03-18 주식회사 릭스코 System for providing font watermark service
KR20220005781A (en)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A font production sheet used to provide user-customized fonts, a smart pen used to provide user-customized font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fo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616B1 (en)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94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mplex scripts with a cloud computing architecture
RU2245577C2 (en) Electronic message board and mail server
Posteguillo Netlinguistics: an analytical framework to study language, discourse and ideology in Internet
US20020123879A1 (en) Translation system &amp; method
US7272792B2 (en) Kana-to-kanji convers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H11328076A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ternet
JP2008305406A (en) Electronic mail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information area instruction, and system for it
TW200821867A (en) Program, character input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CN100444150C (en) Electronic mail equipment
CN102713884A (en) Remote printing
KR100985616B1 (en) method of using one&#39;s private style of writing on computer in on/off line
Sakaguchi et al. A browsing tool of multi-lingual documents for users without multi-lingual fonts
WO2005116916A1 (en) Information encoding
KR20000036448A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user type face
Engholm Design history of the WWW: websit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re and style theory
Carlsson et al. Future Potentials for ASCII art CAC. 3, Paris, France
AU7690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ternate internet resource identifiers and addresses
Taylor Computer Typesetting or Electronic Publishing? New trends in scientific publication
Hsu Chinese cultures and e-commerce
KR20010090275A (en) A multi language notice shed system of world wide web
Fuller et al. HTML in 10 Simple steps or Less
Armean New Media Typography
KR20020006084A (en) Business method for providing mail applied individual handwriting using the internet transmission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method
Ayesh Essential Dynamic HTML fast
Gligorov et al. The Role of the Local Alphabet in Enhancing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the Associated Probl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