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813A -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813A
KR20050002813A KR10-2004-7010638A KR20047010638A KR20050002813A KR 20050002813 A KR20050002813 A KR 20050002813A KR 20047010638 A KR20047010638 A KR 20047010638A KR 20050002813 A KR20050002813 A KR 2005000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conduit
cross
rece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르딥 싱
츠 킨 라우
콕 콩 탄
루이스 헹 혹 테이
스테펜 지아 준 호
비 렝 리오
키아 기 토니 푸
Original Assignee
크레센다스 엠이시 (에스) 피티이. 리미티드
수르바나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센다스 엠이시 (에스) 피티이. 리미티드, 수르바나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크레센다스 엠이시 (에스)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0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81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01R13/504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different pieces being assembled by press-f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이 다른 전선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1, 2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도관의 제1 구획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연결부(5a, 25)와, 상기 전선을 수용하는 도관의 제2 구획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연결부(5b, 25)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교차부(7, 도 5)를 구비한다. 상기 교차부는, 도관의 상기 구획부들에 비하여 높이가 보다 작도록 형성된다(도 2, 도 11).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1, 21) for receiving a wire at a position where the wire crosses another wire. The connector includes first connection portions 5a, 25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mpartment of the conduit for receiving the wires,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 5b configured for connection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conduit for receiving the wires; 25) and an intersection 7 (FIG. 5)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s. The intersection is formed to be smaller in height than the compartments of the conduit (FIGS. 2 and 11).

Description

케이블들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케이블 수용 도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건설 산업에서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선과 전화선용 도관을 부설한 후에 도관을 콘크리트 바닥 내에 매설한다. 밀집형 다층 건축물의 경우에 이러한 기술이 가장 일반적으로 채용된다.As is well know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duits are embedded in concrete floors after laying conduits for wires and telephone lines. This technique is most commonly employed in the case of dense multi-story buildings.

전형적인 시공에 있어서는, 소정 위치에 프리캐스트 슬라브(pre-cast slab)를 배치하여 바닥의 일부를 형성시킨다. 그 후, 전선과 전화선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의 도관을 부설한다. 보강용 금속망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덮고, 상층에 시멘트를 타설하여 도관과 금속망을 매설함으로써, 바닥 시공을 완료한다.In typical construction, pre-cast slabs are placed at predetermined locations to form part of the floor. Thereafter, conduits for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wires and telephone lines are laid. The flooring is completed by covering the cable with a reinforcing metal net, placing cement in the upper layer, and embedding the conduit and the metal net.

시멘트 상층은 도관과 금속망을 충분히 매설할 수 있을 정도로 두꺼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닥의 두께는 도관의 두께에 따라 변한다. 도관은 통상 여러 위치에서 다른 도관들과 교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바닥 상층은, 하나의 도관이 아니라 한 쌍의 도관을 충분히 매설할 수 있을 정도로두꺼울 필요가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upper cement layer needs to be thick enough to bury the conduit and the metal mesh sufficiently. Thus, the thickness of the bottom varies with the thickness of the conduit. Since the conduit typically needs to intersect with other conduits at various locations, the bottom top layer needs to be thick enough to bury a pair of conduits rather than one conduit.

따라서, 도관들이 교차하는 곳에서 도관의 적층 두께를 감소시킨다면 바람직할 것이다.Thus, it would be desirable to reduce the stack thickness of the conduits where the conduits intersect.

본 발명은, 전선과 같은 케이블들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케이블을 수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receiving a cable in a position where cables such as electric wires cross each oth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1 shows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커넥터의 반쪽 부재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lf member of the connector.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2개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connecto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ross each other.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도.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반쪽 부재들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half member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커넥터들이 사용된 배선도.Fig. 7 is a wiring diagram in which the connector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used.

도 8은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8 shows a modification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반쪽 부재들 중 하나의 상면도.9 is a top view of one of the half member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 단면 확대도로서 덮개의 방수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Fig. 10 is an enlarged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waterproof feature of the cover;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11 is a 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12 shows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이 다른 전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위치에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며,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for receiving a cable at a position where the cable is arranged to cross another wire,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관의 제1 구획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관의 제2 구획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교차부(cross-over)를 구비하고,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mpartment of the conduit that receives the cabl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conduit that receives the cable,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Having a cross-over between the two connections,

상기 교차부는, 상기 케이블이 다른 케이블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도관의 상기 구획부들에 비하여 높이가 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과열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내측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 section is formed to have a height smaller than the compartments of the conduit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 intersects the other cable, and has an inner cross-sectional area sufficient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cable.

따라서, 커넥터와 교차하는 다른 도관은,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도관의 윤곽(profile)에 비하여 감소된 윤곽을 제공한다.Thus, another conduit that intersects the connector provides a reduced profile compared to the profile of two conduits that intersect each other.

상기 교차부의 내측 단면적은 도관의 상기 구획부들의 내측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section is preferably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partments of the conduit.

각 연결부는 도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상기 도관의 일부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connection preferably includes a socket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conduit, thereby connecting the connector to the portion of the conduit.

상기 교차부의 외측 단면은, 다른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른 커넥터의 교차부의 외측 단면과 상보적인 관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end face of the cross section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outer end face of the cross section of another connector for receiving another cable.

상기 커넥터는,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및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3 연결부와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교차부는 상기 방향들 중 하나에 각각 상응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2개의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is furth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able in two directions that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or hav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ac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fac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crossing The unit preferably has two layers of layers each corresponding to one of the above directions.

상기 커넥터는 각 방향으로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여러 쌍의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is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cables in each direction, preferably having several pairs of first and second connections suitable for receiving cables.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 구조물(101)을 나타낸다. 바닥 구조물(101) 시공시에, 우선 프리캐스트 슬라브(103)를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화살표(111)로 나타낸 바와 같은 프리캐스트 슬라브의 두께는 약 70mm이다. 그 후, 전선과 같은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도관(105)을 프리캐스트 슬라브(103) 위에 부설한다. 필요하다면, 제1 도관(105a)과 교차하는 또 다른 도관(105b)을 부설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그와 같은 도관은 직경이 전형적으로 20mm이다. 따라서, 두 개의 도관들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도관들의 적층 높이는 40mm이다. 그 후, 도관(105) 상부에 망(107)을 배치한다. 이 모든 작업들이 현장에서 이루어질 경우, 상층에 콘크리트(109)를 타설하여 바닥 구조물(101)의 시공을 완료한다.1 shows a floor structure 10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floor structure 101, the precast slab 103 is first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precast slab as indicated by arrow 111 is about 70 mm. Thereafter, a conduit 105 for receiving a cable such as an electric wire is placed on the precast slab 103. If necessary, another conduit 105b should be laid which intersects with the first conduit 105a. In the prior art, such conduits are typically 20 mm in diameter. Thus, the stack height of the conduits is 40 mm at the location where the two conduits intersect. The net 107 is then placed over the conduit 105. When all these operations are made in the field, the concrete 109 is poured on the upper floor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structure 101.

상층의 콘크리트(109)는 도관(105a, 105b)과 망(107) 층을 충분히 매설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또한, 바닥이 평탄하기 위해서는, 상층 콘크리트의 두께가 바닥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상층은 화살표(113)로 나타낸 바와 같은 두께가 전형적으로 약 80mm이다. 결국, 바닥 전체의 두께는 약 150mm가 된다.The upper concrete 109 should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sufficiently bury the layers of the conduits 105a and 105b and the mesh 107. In addition, for the floor to be fl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concrete must be constant throughout the floor. In the prior art, such an upper layer is typically about 80 mm thick as indicated by arrow 113. As a result, the entire floor is about 150 mm thick.

상층의 콘크리트(109)의 두께(103)가 감소하면, 시공 비용이 감소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장에서 타설될 상층의 두께가 15mm만큼 감소한다면,상층에 필요한 콘크리트를 20% 절약할 수 있고 양생 시간이 단축되므로, 시공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바닥의 중량 감소에 의하여 기둥과 하중 지지 벽에 가해지는 부하도 감소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as the thickness 103 of the upper concrete 109 is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If the thickness of the upper layer to be cast on site is reduced by 15 mm, construction time can be reduced by saving 20% of the concrete required for the upper layer and reducing curing time. In addition, the weight on the floor also reduces the load on the columns and the load bearing walls.

따라서,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교차점에서 형태가 보다 납작하고 따라서 높이가 보다 낮도록 설계되며 케이블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커넥터(1)를 제공한다.Thus,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connector 1 which is designed to be flatter at the intersection and therefore lower in height and capable of efficiently dissipating heat from the cable.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는, 도관의 일부 구획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소켓(11)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연결부(5a, 5b)들을 구비하고, 그에 따라 연결부는 도관의 상기 두 구획부들을 연결시키고 도관의 상기 구획부에 의해 수용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or 1 has a pair of connections 5a, 5b, each having a socket 11 suitable for receiving some compartment of the conduit, whereby the connection is made of the above conduit. It is possible to connect two compartments and to receive a cable received by said compartment of the conduit.

이음선(9)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반쪽 부재(3a, 3b)들이 스냅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커넥터(1)를 형성한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seam 9, the first and second half members 3a, 3b are joined together in a snap fashion to form the connector 1.

연결부(5)는 외측 단면이 일반적으로 원형이고, 연결부(5)들 사이에 위치하는 교차부(7)는 일반적으로 사다리꼴이다. 교차부는, 연결부(5a, 5b) 및 연결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도관보다도 높이가 낮다. 도관(15)의 단부가 소켓(11) 내에 가압되어 삽입되고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소켓(11)의 크기가 설정된다. 소켓(11)은 도관(15)의 벽과 치수가 동일하도록 설계된 계단형 부위(10)를 구비하며, 따라서 도관(33)의 내면은 커넥터의 내면과 연속적으로 인접함으로써, 케이블이 도관으로부터 중간 영역을 지나 커넥터로 이송될 때에 순조롭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4)의 내면은, 커넥터(1)를 통해 케이블(8)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만곡되어 있다.The connection part 5 is generally circular in cross section, and the intersection 7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5 is generally trapezoidal. The intersection portion is lower in height than the conduit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ng portions 5a and 5b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size of the socket 11 is set such that the end of the conduit 15 is pressed into the socket 11 and fixed in position. The socket 11 has a stepped portion 10 designed to have the same dimensions as the wall of the conduit 15,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it 33 is continuously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cable is in the middle region from the conduit It can pass smoothly when it is passed to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34 is curved so that the cable 8 can be easily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1.

도 3은 커넥터를 관통하는 통로(13)가 교차부에서 수직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 넓이는 증가한다. 따라서, 통로가 커넥터의 통과함에 따라, 통로의 형상이 변하지만, 통로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로의 단면적은 전반적으로 도관의 내측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FIG. 3 shows that the passage 13 through the connector decreases the vertical height at the intersection, but the horizontal width increases as shown in FIG. 9. Thus, as the passage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the shape of the passage changes, bu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is substantially uniform.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passageway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cross sectional area of the conduit as a whole.

도 4는 한 쌍의 커넥터(1)들을 사용하여 한 쌍의 도관들보다도 두께가 감소한 교차 연결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각 커넥터(1)를 도관(15a, 15b)들의 제1 및 제2 구획부에 연결하고, 커넥터들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 반전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교차부의 외면이 서로 접하게 된다. 화살표(17)로 나타낸 2개의 커넥터의 적층 두께는 도관의 두께보다도 약간 클 뿐이다. 제1 실시예에서, 2개의 커넥터의 적층 두께는 25mm로서, 2개의 20mm 도관을 적층한 두께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한다.4 shows how a pair of connectors 1 is used to form a cross connect with a reduced thickness than a pair of conduits. By connecting each connector 1 to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s of the conduits 15a and 15b and arranging one of the connectors upside down with respect to the other, the outer surfaces of the intersection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aminated thickness of the two connectors indicated by the arrow 17 is only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dui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ack thickness of the two connectors is 25 mm, which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stack thickness of two 20 mm conduits.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교차부 두께는 각 도관 두께의 약 62.5%이다. 교차부는 도관에 비하여 60% ~ 80%인 것이 바람직하다.Thus, 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intersection thickness is about 62.5% of each conduit thickness. The intersection is preferably 60% to 80% relative to the conduit.

도 6은 2개의 반쪽 부재(3a)들 조립하여 커넥터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다. 각 반쪽 부재는 일 단부에 돌기(12)를 구비하고 타 단부에 구멍(14)을 구비하므로, 커넥터의 반쪽 부재들을 스냅 방식으로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각 반쪽 부재의 구멍 내에 돌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2개의 반쪽 부재(3a, 3b)들은 한 쌍의 포착부(51)들과 오목부(53)들을 또한 구비하므로, 2개의 반쪽 부재들을 서로 확고히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1)는 계단부(10)를 포함하지만, 계단부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계단부를 구비하지 않는 커넥터도 가능하다.6 shows in more detail a method of assembling two half members 3a to form a connector. Each half member has projections 12 at one end and holes 14 at the other end, so that projections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of each half member in order to connect the half members of the connector to each other in a snapping manner. . The two half members 3a, 3b also have a pair of catches 51 and recesses 53, so that the two half members can b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or 1 shown in FIG. 6 includes a step 10, but the step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As a variant of the illustrated preferred embodiment, a connector without a step is also possible.

도 5는 제2 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21)는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으로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12개의 연결부(25)들(각 방향에 대하여 6개씩)을 구비하는 기부(23)를 구비하는 연결 박스(junction box)(21)의 형태이며, 따라서 각 방향으로 전선을 수용하는 3개의 도관들이 연결될 수 있다. 기부는, 만곡형 단부를 구비하는 중간 리브(29)들 및 직선형 측부 리브(30)들에 의하여 3개의 구획부(27)들로 분할된다. 리브는 전선들을 분리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 상자(21)를 통해 케이블이 이송될 때에 연결부(25)를 통과하는 전선을 안내한다. 따라서, 리브(29, 30)들은, 손상된 케이블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안내 수단(13)이 기부(23), 덮개(33) 및 격리판(31)에 구비된 만곡형 케이블 안내부(32, 35)에 의하여 제공되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어 용이하게 연결 박스(2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만곡형 안내부(32, 35)가 케이블(8)을 개구부(38) 내로 안내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도 12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8)에 의하여 연결부(25)가 연결 박스의 하층에 연결되어 있다.Fig. 5 shows the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21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able in two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is in the form of a junction box 21 having a base 23 having twelve connections 25 (six in each direction) and thus wires in each direction. Three conduits may be connected to receive the conduits. The base is divided into three compartments 27 by intermediate ribs 29 and straight side ribs 30 with curved ends. The ribs not only separate the wires, but also guide the wires through the connection 25 when the cable is transported through the connection box 21. Thus, the ribs 29 and 30 serve as guide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damaged cable. Another guiding means 13 is provided by the curved cable guides 32, 35 provided in the base 23, the cover 33 and the separator 31, the cable being guided by the cable guides. It can be easily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box 21. This configuration is best illustrated in FIG. 12, which shows how the curved guides 32, 35 guide the cable 8 into the opening 38, whereby the connection 25 is defined by the opening 38. Is connected to the lower level of the connection box.

리브(29, 30)들은, 교차부를 2개의 층으로 분할하는 격리판(31)을 또한 지지한다. 제1 방향으로 향한 케이블은 제1층(하층)에 의해 수용되고, 제2 방향으로 향한 케이블은 제2층(상층)에 의해 수용된다. 격리판(31)은 또한 여러 구획부(27)들로 분할되고, 하나의 구획부는 각 도관에 상응한다. 격리판(31)은, 기부의 리브(29, 30)들과 마찬가지로 안내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덮개(33)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리브(29, 30)들을 구비한다. 덮개(33)는 연결 박스의 기부(23)의 외벽 상에 놓이고, 나사(45) 및 못(46)에 의하여 기부(23)에 고정된다. 리브(29, 30)들에 의하여 지지력이 제공되어, 연결 박스(21) 상에 타설된 콘크리트 중량에 의하여 연결 박스(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한다.The ribs 29, 30 also support a separator 31 that divides the intersection into two layers. The cable fac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received by the first layer (lower layer), and the cable facing in the second direction is received by the second layer (upper layer). The separator 31 is also divided into several compartments 27, one compartment corresponding to each conduit. The separator 31 has ribs 29, 30 that serve as guide means as well as ribs 29, 30 of the base, as well as partially support the lid 33. The lid 33 rests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23 of the connection box and is fixed to the base 23 by screws 45 and nails 46. Supporting force is provided by the ribs 29, 30, which contributes to preventing the connection box 21 from being damaged by the weight of concrete cast on the connection box 21.

도 10은 연결 박스(21)의 방수 특성을 나타낸다. 상층의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수분이 덮개(33)와 기부(21) 사이의 연접부(40)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분이 나사공(41)의 영역에 침투할 가능성도 있다. 수분이 연결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단 형상부(42, 44)가 제공되어 있다.10 shows waterproof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box 21.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isture is likely to penetrate into the junction 40 between the cover 33 and the base 21 before the upper concrete is cured.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oisture may penetrate the region of the screw hole 41.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connection box, stepped portions 42 and 44 are provided.

도 7은 다수의 커넥터(1)들과 연결 박스(21)들을 사용한 배선 설계 방법을 나타낸다.7 shows a wiring design method us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1 and connection boxes 21.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여러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은 각 방향으로 4개의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8-케이블 연결 박스를 나타낸다. 또한, 만곡형 안내부가 제공되지 않고 따라서 리브(29)의 형상도 달라지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모든 리브(29)들이 격리판에 형성되어 지지되는 또 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are possible. For example, Figure 8 shows an eight-cable connection box that can accommodate four cables in each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for embodiments in which the curved guides are not provided and therefore the shape of the ribs 29 also varies. Another variant is also possible in which all the ribs 29 are formed and supported on the separator.

또한,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적절한 크기가 연결되는 도관의 크기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도관의 적절한 크기는, 예를 들면 수용되는 케이블의 형태에 따라 변한다. 세 가닥의 와이어[통전선(live), 중성선(neutral) 및 접지선(earth)]로 이루어진 전선이 수용될 경우에, 각 와이어는 전형적으로 단면적이 2.5mm2이고 외경이 약 3.4mm이다. 와이어들이 함께 결속되면, 유효 높이는 약 6.34mm이다. 와이어의 국부 과열 방지를 위하여, 교차부의 높이는 세 가닥의 와이어의 조합 높이의 적어도 1.5배, 예를 들면 약 9.5mm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교차부(7)의 최소 높이가 결정된다.It will also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ppropriate siz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duit to which it is connected. The appropriate size of the conduits varie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 of cable received. When a wire consisting of three wires (live, neutral and earth) is accommodated, each wire typically has a cross section of 2.5 mm 2 and an outer diameter of about 3.4 mm. When the wires are tied together, the effective height is about 6.34 mm. In order to prevent local overheating of the wire, the height of the intersection should be at least 1.5 times the combined height of the three strands of wire, for example about 9.5 mm. Thus, the minimum height of the intersection 7 is determined.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른 변형예들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variation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Claims (17)

케이블이 다른 전선과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위치에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수용 커넥터로서,A cable receiving connector for receiving a cable in a position where the cable i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with each other,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관의 제1 구획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관의 제2 구획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교차부를 구비하고,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mpartment of the conduit that receives the cabl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partment of the conduit that receives the cable,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 having an intersection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상기 교차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다른 케이블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위치에서 도관의 상기 구획부들에 비하여 높이가 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의 과열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내측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The cross sec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height than the compartments of the conduit at a position where the cable intersects the other cable, and has an inner cross-sectional area sufficient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cable; Cable-receiv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교차부는, 내측 단면적이 도관의 상기 구획부의 내측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wherein said cross section has an inner cross-sectional area substantially equal to an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said partition of said condu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각 연결부는, 도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상기 도관의 일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Each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connector to a portion of the conduit by providing a socket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condu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교차부의 외측 단면은, 상기 다른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른 커넥터의 교차부의 외측 단면과 상보적인 관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The outer end surface of the said intersection part is formed so that it may become complementary with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intersection part of the other connector which accommodates the said other cab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연결부는 외측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고,The connection is substantially circular in outer cross section, 상기 교차부는 외측 단면이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wherein said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trapezoid in outer se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여러 세트의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교차부를 구비하며,The connector is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cables and has several sets of first connections, second connections and crossovers, 각 세트는 전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Wherein each set is configured to receive wire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연결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t least one of said connecting portions comprises connecting means for allowing said connector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another connecto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커넥터는 서로 교차하는 2 방향으로 케이블들을 수용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제1 방향으로 향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및 제2 방향으로 향한 제3 연결부와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The connector is furth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ables in two directions that cross each other, the connector hav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ac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facing the second direction, 상기 교차부는 2개의 층들을 구비하고,The intersection has two layers, 상기 층들 각각은 상기 방향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Each of said layers corresponding to one of said direction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커넥터는 각 방향으로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여러 쌍의 제1 및 제2 연결부들을 구비하며,The connector is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cables in each direction, and has several pairs of first and second connections, 각 쌍은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Wherein each pair is configured to receive a cabl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교차부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교차부 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said cross section includes guide means for guiding said cable into said cross secti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안내 수단은 각 케이블을 다른 모든 전선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the guiding means separates each cable from all other wires.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커넥터에 구조상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리브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the guide means is provided by a rib that provides structural support to the connector.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교차부는 두께가 상기 도관의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wherein the crossover portion is between 60% and 80% of the thickness of the conduit.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교차부는 두께가 상기 도관의 두께의 약 6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wherein the crossover portion is about 62.5% of the thickness of the conduit.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상기 교차부는 두께가,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도관들의 적층 두께의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wherein the crossover portion has a thickness of 60% to 80% of the laminated thickness of the pair of conduits crossing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교차부는 두께가 상기 한 쌍의 도관들의 적층 두께의 약 6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nd wherein the crossover portion is about 62-5% of the laminated thickness of the pair of conduits.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전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커넥터.A cable receivin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a wire.
KR10-2004-7010638A 2002-01-07 2003-01-07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KR2005000281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9863 2002-01-07
AUPR9863A AUPR986302A0 (en) 2002-01-07 2002-01-07 A connector
PCT/SG2003/000002 WO2003061072A2 (en) 2002-01-07 2003-01-07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813A true KR20050002813A (en) 2005-01-10

Family

ID=383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638A KR20050002813A (en) 2002-01-07 2003-01-07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050002813A (en)
CN (1) CN1639936A (en)
AU (1) AUPR986302A0 (en)
TW (1) TWI256446B (en)
WO (1) WO2003061072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26B1 (en) * 2005-12-01 2007-06-29 가온전선 주식회사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5866A (en) * 2013-09-30 2014-01-15 无锡市神力通信工程有限公司 Cross connector for laying cables
RU2717311C1 (en) 2016-08-18 2020-03-20 Токуяма Дентал Корпорейшн Two-component dental adhesive product
CN109462200A (en) * 2018-11-26 2019-03-12 浙江省三建建设集团有限公司 A kind of pre-buried electric conduit overlapping connector
DE102020006553B3 (en) * 2020-10-26 2021-12-30 Sew-Eurodrive Gmbh & Co Kg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electrical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3851B (en) * 1986-08-14 1990-06-13 Ackermann Electrical Sys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runking
WO1988003207A1 (en) * 1986-10-22 1988-05-05 Michael David Boyd Modular hollow floor panels with integral ducting
WO1990010966A1 (en) * 1989-03-14 1990-09-20 Baker & Stickland (Raised Floors) Limited Trunking for use in a raised floor and a raised floor incorporating said trunking.
US5171159A (en) * 1990-08-22 1992-12-15 Byrne Norman R Electrical interconnection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26B1 (en) * 2005-12-01 2007-06-29 가온전선 주식회사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61072A2 (en) 2003-07-24
WO2003061072A3 (en) 2004-03-25
TW200306388A (en) 2003-11-16
CN1639936A (en) 2005-07-13
TWI256446B (en) 2006-06-11
AUPR986302A0 (en)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447B1 (en) Hollow floor panel
KR101220128B1 (en) Module for wire arrangement in light weight body for hollow slab
KR100633457B1 (en) Switch box laid for electric wires
KR20050002813A (en) Connector for connecting conduits carrying cables at a location where the cables cross each other
JPS62104417A (en) Wiring apparatus of floor panel
KR100736752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i-slabs and asymmetric slimflor beam
US8661666B2 (en) Methods of installing wiring in poured concrete
KR20050009086A (en) Constructing method of prefabricated bearing wall and wall member therefor
GB2248077A (en) Flooring tiles
JP6255041B2 (en) Unit house
KR19990030579A (en) Electrical piping box for ceiling slab
JP4182425B2 (en) Embedded electric circuit for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KR102529538B1 (en)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EP0493620A1 (en) Free access floor structure
JP2570833B2 (en) Indoor wiring method
KR102270664B1 (en) Connection box for vertical cable tray
CN213425703U (en) Novel prefabricated wallboard of strong and weak electronic box
CN212506889U (en) T-shaped precast concrete wall connecting structure
JP3512991B2 (en) Heat storage floor heating construction unit
KR900001107B1 (en) Floor wiring structure
KR100407038B1 (en) Full wiring floor system for office building
JPH01226961A (en) Hollow slab
KR200236416Y1 (en) Full wiring floor system for office building
CN117738359A (en) Building wall, build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364051B2 (en) Substrate for concrete slab partially lacking embedding material,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ubstrate, and its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