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578A -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578A
KR20050001578A KR1020030041800A KR20030041800A KR20050001578A KR 20050001578 A KR20050001578 A KR 20050001578A KR 1020030041800 A KR1020030041800 A KR 1020030041800A KR 20030041800 A KR20030041800 A KR 20030041800A KR 20050001578 A KR20050001578 A KR 2005000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olution
nano
nozzle
spinning
nozz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812B1 (ko
Inventor
김학용
고군호
류영준
라영민
이근형
Original Assignee
김학용
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용, 박종철 filed Critical 김학용
Priority to KR10-2003-004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8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ⅰ] 방사액 주탱크(1), 방사액 보조탱크(2), 방사액 드롭장치(3), 노즐블록(5), 상기 노즐블록으로 부터 방사되는 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6) 및 노즐블록(5)과 컬렉터(6)로 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전압발생장치(4)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블록(5)에 설치된 노즐(5a) 출구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렉터(6)가 노즐블록(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방사액 주탱크(1)와 노즐블록(5) 사이에 방사액 드롭장치(3)가 설치되어 있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방사액을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 다음, [ⅱ] 제조된 나노섬유 웹(7)을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 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욕조(8)의 출구부에 설치된 흡입장치(10)로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입하여 나노섬유 웹(7)의 기공에 매트리스용 고분자 용액을 충진시킨 후, 계속해서 스퀴징, 건조, 압착 및 권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간소한 공정으로 물성 및 촉감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A process of preparing for hybrid composites comprising nano fiber}
본 발명은 굵기가 나노수준인 섬유(이하 "나노섬유" 라고 한다)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이하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 라고 한다)는 생활용품, 농업용 재료, 의료용 재료 및 산업용 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인조피혁, 인조스웨드, 일반의류, 생리대, 기저귀, 포장재, 잡화용 소재, 각종 필터 소재, 유전자 전달체와 같은 의료용 소재, 방탄조끼 등의 국방용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2가지 폴리머 성분(해성분과 도성분)들이 해도형으로 복합되어 있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절단하여 단섬유를 제조한 다음, 카딩 공정으로 상기 단섬유들로 웹(Web)을 제조한 후 니들펀칭하여 부직포를 제조한 다음, 폴리우레탄 용액을 함침시킨 후 해도형 복합섬유(단섬유) 내 해성분을 용출하여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은 단섬유 제조공정, 부직포 제조공정 및 해성분 용출공정 등이 모두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 방법으로는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나노섬유의 굵기를 1000nm 이하로 극세화 시킬 수 없어서 최종제품의 촉감 및 외관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향상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함으로서, 초극세화된 나노섬유를 포함하여 촉감이 우수하며, 보강 메트릭스가 충진되어 물성도 우수한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보다 간소한 연속 또는 불연속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 방식으로 나노부직포 웹을 제조한 다음,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제조된 나노부직포 웹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고르게 충진시키는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부직포 웹을 제조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비드(Bead)가 없는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기 위하여 컬렉터(6)가 노즐블록(5)의 상부에 위치하며 노즐의 출구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노부직포 웹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충진시킬때 욕조(8) 내의 메트릭스용 고분자용액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방법과,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이 나노부직포 웹의 기공에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상기 욕조(8)의 출구부에서 흡인장치(10)로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인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1로 제조된 나노섬유 웹의 표면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실시예 1로 제조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표면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실시예 1로 제조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응력-변형률 곡선
도 5는 노즐블록(5)의 모식도
도 6 및 도 8은 노즐(5a)의 측면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 및 도 9는 노즐(5a)의 평면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방사액 주탱크 2 : 방사액 보조탱크 3 : 방사액 드롭장치
4 : 고전압 발생장치 5 : 노즐블록 6 : 컬렉터
7 : 나노섬유 웹 8 :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
9 :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높이 조절 장치 10 : 흡입장치
11 : 스퀴징 로울러 12 : 건조기 13 : 압착기 14 : 권취장치
5a : 노즐 5b : 노즐외경홀 5c : 절연체판
5d: 방사용액 임시공급관 5e : 노즐플레이트 5f: 방사용액 주공급관
5g : 가열장치 5h : 도전체판 θ: 노즐 출구 각도
L : 노즐길이 Di : 노즐내경 Do : 노즐외경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ⅰ] 방사액 주탱크(1), 방사액 보조탱크(2), 방사액 드롭장치(3), 노즐블록 (5), 상기 노즐블록으로 부터 방사되는 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6) 및 노즐블록 (5)과 컬렉터(6)로 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전압발생장치(4)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블록(5)에 설치된 노즐(5a) 출구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렉터(6)가 노즐블록(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방사액 주탱크(1)와 노즐블록(5) 사이에 방사액 드롭장치(3)가 설치되어 있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방사액을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 다음 ;
[ⅱ] 제조된 나노섬유 웹(7)을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 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욕조(8)의 출구부에 설치된 흡입장치(10)로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입하여 나노섬유 웹(7)의 기공에 매트리스용 고분자 용액을 충진시킨 후, 계속해서 스퀴징, 건조, 압착 및 권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조되는 나노섬유 웹을 비드가 없이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나노섬유 제조용 고분자 용액(이하 "방사액" 이라고 한다)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도 1과 같이 방사액을 보관하는 방사액 주탱크(1), 방사액 보조탱크(2), 다수개의 핀으로 구성되는 노즐이 블록형태로 조합되어 있으며 방사액을 섬유상으로 토출하는 상향식 노즐블록(5), 상기 노즐블록 상부에 위치하여 방사되는 단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6),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발생장치(4) 및 상기 방사액 주탱크(1)와 노즐블록(5) 사이에 위치하는 방사액 드롭장치(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노즐블록(5)에 설치된 노즐(5a)의 출구가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컬렉터(6)가 노즐블록(5)의 상부에 위치하여 방사용액을 상부 방향으로 방사한다.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본 발명자가 이미 국내 특허 출원한 바 있는 국내 특허출원 제 2002-5812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블록(5)은 도 5와 같이 [ⅰ] 노즐(5a)이 배열된 노즐플레이트(5e), [ⅱ] 노즐(5a)을 감싸고 있는 노즐외경홀(5b), [ⅲ] 노즐외경홀(5b)과 연결되며 노즐플레이트(5e) 직상단에 위치하는 방사용액 임시공급판(5d), [ⅳ] 방사용액 임시 공급판(5d) 직상단에 설치된 절연체판(5c), [ⅴ] 노즐배열과 동일하게 핀이 배열되어 있고 노즐플레이트(5e) 직하단에 위치하는 도전체판(5h), [ⅵ] 도전체판(5e) 직하단에 위치하는 방사용액 주공급판(5f) 및 [ⅶ] 방사용액 주공급판(5f) 직하단에 위치하는 가열장치(5g)로 구성 된다.
노즐(5a)의 출구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1개 이상의 나팔관 형태로 출구부분이 확대된 현상을 갖는다. 이때 각도(θ)를 90-17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5-150°로 하는 것이 노즐(5a) 출구에서 동일한 형태의 방사용액 방울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데 바람직 하다.
노즐출구의 각도(θ)가 1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즐 부위에서 방울 형성이 크게 되어 표면 장력이 증가 한다. 그 결과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전압이 필요하게 되며, 방울 중앙부위가 아닌 가장자리 부분에서 방사가 시작됨에 따라 방울 중앙부위가 고화되어 노즐을 막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노즐출구의 각도(θ)가 90°미만인 경우에는 노즐 출구 부위에 맺힌 방울이 매우 작아서 순간적인 전기장의 불균일이나 노즐 출구 부위에 약간의 불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면 방울 형태가 정상적이지 못하여 섬유를 형성하지 못하고 드롭렛(Droplet)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노즐길이(L, L1, L2)는 본 발명의 전기방사장치에서 큰 의미가 없다.
노즐내경(Di)은 0.01-5mm, 노즐외경(Do)은 0.01-5mm인 것이 바람직 하다. 노즐 내경 또는 외경이 0.01mm 미만이면 드롭렛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5mm를 초과하면 섬유형성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노즐출구에 1개의 확대부분(각도)이 형성된 노즐을 나타내고, 도 8 및 도 9는 노즐출구에 2개의 확대부분(각도)이 형성된 노즐을 나타낸다. 즉, θ1은 방사용액이 방사되는 부분인 1차 노즐출구의 각도이고, θ2는 방사용액이 공급되는 부분인 2차 노즐출구의 각도 이다.
노즐블록(5) 내의 상기 노즐(5a)들은 노즐플레이트(5e)에 다수 배열되어 있으며, 노즐(5a)의 외부에는 이를 감싸고 있는 노즐외경홀(5b)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외경홀(5b)은 노즐(5a) 출구에서 과량으로 형성된 방사용액이 모두 섬유화 되지 못할 경우 발생되는 드롭렛(Droplet) 현상을 방지하고 흘러 넘치는 방사용액을 회수할 목적으로 설치되며, 노즐출구에서 섬유화 되지 못한 방사용액을 모아 이를 노즐플레이트(5e) 직 상단에 위치하는 방사용액 임시공급관(5d)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즐외경홀(5b)은 노즐(5a) 보다 당연히 직경이 크며, 절연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사용액 임시공급판(5d)은 절연체로 제조되며 노즐외경홀(5b)을 통해 유입되는 잔여 방사용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이를 방사용액 주공급판(5f)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사용액 임시공급판(5d)의 직상단에는 절연체판(5c)이 설치되어 노즐 부위에서만 방사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노즐상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플레이트(5e) 직하단에는 노즐배열과 동일하게 핀이 배열되어 있는 도전체판(5h)이 설치되며, 도전체판(5h)을 포함하고 있는 방사용액 주공급판(5f)이 설치된다.
또한 방사용액 주공급판(5f)의 직하단에는 간접가열 방식의 가열장치(5g)가 설치된다.
상기 도전체판(5h)은 노즐(5a)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역할을 하며, 방사용액 주공급판(5f)은 방사드롭장치(3)에서 노즐블록(5)으로 유입되는 방사용액을 저장 후 노즐(5a)로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방사용액 주공급관(5f)은 방사용액의 저장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공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방사액 드롭장치(3)는 전체적으로 밀폐된 원통상의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어 방사액 주탱크(1)로 부터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방사용액을 노즐블록(5)에 방울 형태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방사액 드롭장치(3)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자가 이미 국내 특허출원한 바 있는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 2001-39789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주탱크(1) 내에 보관중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방사액을 계량하여 정량씩 방사액 드롭장치(3)로 공급한다. 이때 방사액을 제조하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나일론수지, 폴리(글리콜라이드/L-락티드)공중합체, 폴리(L-락티드)수지, 폴리비닐알콜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방사액으로는 상기 수지 용융액 또는 용액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방사액 드롭장치(3) 내로 공급된 방사액은 방사액 드롭장치(3)를 통과하면서 불연속적으로, 다시 말해 방사액의 흐림이 한번 이상 차단되면서, 본 발명의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블록(5)의 방사용액 주공급판(5f)으로 공급된다. 상기 방사액 드롭장치(3)는 방사용액의 흐름을 차단하여 방사용액 주탱크(1)에 전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계속해서 상기 노즐블록(5)에서는 방사액을 상향식 노즐을 통해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상부의 컬렉터(6)로 상향 토출하여 나노섬유 웹(Web)을 제조한다.
방사용액 주공급관(5f)으로 이송된 노즐(5a)을 통해 상부 컬렉터(6)로 토출되어 섬유를 형성한다. 노즐(5a)에서 섬유화 되지 못한 과잉 방사용액은 노즐외경홀(5b)에서 모아져 방사용액 임시공급판(5d)을 거쳐 방사용액 주공급판(5f)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기력에 의한 섬유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노즐블록(5) 하단부에 설치된 도전체판(5h)과 컬렉터(6)에는 전압발생장치(4)에서 발생된 1kV 이상, 더욱 좋기로는 20kV 이상의 전압을 걸어준다. 상기 컬렉터(6)로는 앤드레스 (Endless)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웹(7)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고르게 충진시킨 후 스퀴징, 건조, 압착 및 권취하여 최종제품인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나노섬유 웹(7)을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이 담겨져 있는 욕조(8) 내로 통과시켜 나노섬유 웹(7)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먼저 충진시킨다. 이때, 상기 욕조(8) 내에 담겨져 있는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높이를 회전가능한 캠(Cam) 타입의 높이조절장치(9)로 조절해 주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높이조절장치(9)가 회전하여 캠(Cam)의 돌출부위가 욕조(8) 내로 깊이 담겨지면 욕조(8) 내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높이가 올라가고, 반대로 상기 높이조절장치(9)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캠(Cam)의 돌출부위가 욕조(8) 내로 조금 덜 깊게 담겨지면 욕조(8) 내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높이는 내려 온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섬유 웹을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 내로 통과시킬때 상기 욕조(8)의 출구부에 흡인장치(10)를 설치하여 욕조(8) 내에 담겨져 있는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욕조(8) 내에 담겨져 있는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이 흡인장치(10)로 흡입되기 전에 상기 욕조(8)를 지나가고 있는 나노섬유 웹(7)을 통과하기 때문에 나노섬유 웹(7)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이 보다 균일하게 충진 된다.
메트릭스용 고분자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메트릭스 성분의 충진 공정 중에 나노섬유가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노섬유를 용해시키는 용액을 용매로 사용 해야하는 메트릭스 고분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이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를 통과한 나노섬유 웹(7)은 메트릭스 성분이 좀더 균일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스퀴징 로울러(11)를 통과시키면서 스퀴징 처리되고, 계속해서 잔류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기(12)에서 건조되며, 건조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착기(13)에서 압착된 후 권취기(14)에 권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과, 제조된 나노섬유 웹에 메트릭스 성분을 충진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불연속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N-메틸-2-피롤리돈이 8:2로 혼합된 혼합용액에 수평균 분자량이 18,000g/몰인 폴리에테르이미드수지(GE 회사 제품, Ultem 1000)와 폴리우레탄수지(다우케미칼사 제품, Pellethane 2363-80AE)를 7:3의 중량비로 용해하여 수지고형분이 15 중량%인 나노섬유 제조용 고분자 용액(방사액)을 제조 하였다. 다음으로 도 1의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상기 방사액을 10m/분의 속도로 전기방사하여 폭이 1.5m 이고, 두께가 100㎛인 나노섬유 웹을 제조 하였다. 이때, 직경이 0.9mm인 노즐(5a) 2,000개로 구성된 상향식 방사장치의 노즐블록(5)을 사용 하였다. 연속해서, 제조된 상기 나노섬유 웹을 회전가능한 캠(Cam) 타입의 높이조절장치(9)와 출구부에 흡입장치(10)가 상단부 및 출구부에 각각 설치된 메트릭스용고분자 용액의 욕조(8) 내로 통과시키면서 욕조(8) 출구말단에서 나노섬유 웹(7)의 상단에서 높이조절장치(9)의 하단 까지의 거리가 0.6mm가 되도록 욕조내 용액의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욕조(8)의 출구부에 설치된 흡입장치(10)로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입하면서 나노섬유 웹(7)의 기공내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충진시킨 후, 스퀴징 로울러(11)로 스퀴징하고, 열풍 건조기(12)로 80℃로 열풍건조하고, 압착기(13)로 압착한 후 권취하여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를 제조 하였다. 이때, 메트릭스용 고분자 수지 용액으로는 개미산에 상대점도가 3.2인 폴리아미드 6(유니티카 회사제품)을 고형분 중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용해한 용액을 사용 하였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노섬유 웹의 표면사진 이고, 도 3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표면사진 이다. 제조된 나노섬유 웹 및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물성 평가 결과
구 분 인장강력(MPa) 변형율(%) 초기탄성율(MPa)
나노섬유 웹 1.3 175 12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 22 48 185
본 발명은 종래방법과 비교시 단섬유 제조공정, 니들펀칭과 같은 부직포 제조공정 및 해성분 용출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공정이 간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부직포 웹을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되는 나노섬유 웹은 비드가 없이 나노섬유만으로 이루어 진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촉감 및 외관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 출구부에서 흡인장치(10)로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인함으로 인해, 나노부직포 웹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용액이 보다 균일하게 충진 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물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3)

  1. [ⅰ] 방사액 주탱크(1), 방사액 보조탱크(2), 방사액 드롭장치(3), 노즐블록(5), 상기 노즐블록으로 부터 방사되는 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6) 및 노즐블록(5)과 컬렉터(6)로 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전압발생장치(4)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블록(5)에 설치된 노즐(5a) 출구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렉터(6)가 노즐블록(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방사액 주탱크(1)와 노즐블록(5) 사이에 방사액 드롭장치(3)가 설치되어 있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방사액을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 다음 ;
    [ⅱ] 제조된 나노섬유 웹(7)을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 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욕조(8)의 출구부에 설치된 흡입장치(10)로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흡입하여 나노섬유 웹(7)의 기공에 매트리스용 고분자 용액을 충진시킨 후, 계속해서 스퀴징, 건조, 압착 및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2.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욕조(8) 내에 담겨져 있는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높이를 회전 가능한 캠(cam) 타입인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의 높이 조절장치(9)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3. 1항에 있어서, [ⅰ]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과, [ⅱ] 나노섬유 웹의 기공에 메트릭스용 고분자 용액을 충진시킨 후 계속해서 스퀴징, 건조, 압착 및 권취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2003-0041800A 2003-06-26 2003-06-26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47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800A KR100474812B1 (ko) 2003-06-26 2003-06-26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800A KR100474812B1 (ko) 2003-06-26 2003-06-26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78A true KR20050001578A (ko) 2005-01-07
KR100474812B1 KR100474812B1 (ko) 2005-03-14

Family

ID=3721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800A KR100474812B1 (ko) 2003-06-26 2003-06-26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8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71B1 (ko) * 2013-04-23 2014-10-06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양산형 나노섬유 건조장치
CN115323611A (zh) * 2022-09-02 2022-11-11 南通大学 一种自灭菌高效防寒保暖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74B1 (ko) 2009-02-27 2012-0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융 전기방사에 의해 구현된 활성탄소섬유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3066A1 (en) * 2017-07-28 2019-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HUMIDITY LEV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71B1 (ko) * 2013-04-23 2014-10-06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양산형 나노섬유 건조장치
CN115323611A (zh) * 2022-09-02 2022-11-11 南通大学 一种自灭菌高效防寒保暖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323611B (zh) * 2022-09-02 2023-12-08 南通大学 一种自灭菌高效防寒保暖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812B1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2050B2 (en)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KR100491228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US20080102145A1 (en) Conjugate Electrospinning Devices, Conjugate Nonwoven and Filament Comprising Nanofibers Prepared by Using the Same
KR100422459B1 (ko) 섬유기재 상에 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는 방법
KR20070047872A (ko) 나노섬유층을 갖는 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0702866B1 (ko) 전기방사 장치
CN102341536A (zh) 长纤维非织造布的制造方法
KR100665608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KR100422460B1 (ko)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KR100429446B1 (ko)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702864B1 (ko) 전기방사 장치
KR100562006B1 (ko)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KR100474812B1 (ko)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0595485B1 (ko) 복합 전기방사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나노섬유부직포 및 복합 나노섬유 필라멘트
KR100595486B1 (ko) 상향식 다성분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다성분 나노섬유
KR100696285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이로 제조된 필라멘트
KR20060009511A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62010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060022406A (ko) 발수성 및 발유성이 우수한 나노섬유 부직포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02870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KR100679073B1 (ko)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0463874B1 (ko) 문양을 갖는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459949B1 (ko) 문양을 갖는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763872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KR100595490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