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553A - 휴대용 자동기록계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동기록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553A
KR20050001553A KR1020030041755A KR20030041755A KR20050001553A KR 20050001553 A KR20050001553 A KR 20050001553A KR 1020030041755 A KR1020030041755 A KR 1020030041755A KR 20030041755 A KR20030041755 A KR 20030041755A KR 20050001553 A KR20050001553 A KR 2005000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time
input
portable automatic
automatic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508B1 (ko
Inventor
김정회
조현화
Original Assignee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김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김정회 filed Critical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3-004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5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01D9/20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the recording element, e.g. stylus, being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ime and the recording medium, e.g. paper roll, being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vari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07C5/04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사건의 발생 시간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으로서, 이 기록계는 목표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이 사건이 발생한 사건시간(event time)을 입력하기 위한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 디지털 시계 ;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가 온(on)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디지털 시계로부터 이 때의 시간을 전송받아 기록하는 메모리부 ;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 경로 중 적어도 한 통신경로를 통해 외부의 소정 서버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디지털 시계, 메모리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사건시간은 절대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자동기록계{PORTABLE AUTOMATIC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다목적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측정하고자 목표하는 사건(event)이 발생한 경우에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이 때의 시간 및 관련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이다.
어떤 특정한 사건(event)이 발생했을 때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측정 중 하나이다. 가장 간단한 시간 측정 방법은 시계를 측정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기록하는 방식이지만, 좀 더 미세하거나 빠른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스톱워치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복잡한 사건에 대한 측정에서는 단순한 시간 측정 외에 특정 사건의 진행 시간(duration time)이나 특정 사건이 발생한 시간에 대한 통계분석을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시간만을 알 수 있는 시계나 스톱워치보다 좀 더 정밀하고 복잡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시간측정 도구가 필요하다.
복잡하면서 번거로운 시간 측정의 한 예로는 환자의 병 상태를 체크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가령 편두통을 가진 환자의 경우, 그 사람이 언제 어느 정도의 두통을 겪었는지, 현기증은 언제 발생하였는지를 기록하는 일지가 있는데, 이는 병의 특성상 환자가 입원한 상태에서 의사나 간호사가 기록하기보다는 통원 치료를 하는 환자 스스로가 내원 며칠 전부터 스스로 작성해서 의사에게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환자 입장에서는 매번 두통이 발생할 때마다 그 시간을 측정하고 적는 것이번거롭고 불편한 일이다.
따라서 이처럼 측정자 스스로가 번거롭게 느끼는 시간 측정 및 기록의 경우에는 그 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많아진다. 측정할 시간 및 데이터들이 많아질수록 기록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여지는 더욱 높아지므로, 환자가 간단하게 시간 및 기타 데이터를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필요성이 증대한다.
또한, 단순한 시간 측정에 더하여 각 측정된 데이터들을 이용한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할 경우에는, 분석 프로그램에 일일이 각 측정된 사건의 성격에 따라 데이터들을 분리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동적으로 각 데이터들을 구분하여 분석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단순한 수치상의 데이터에 더하여 좀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각 데이터들을 취득한 때의 상황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계나 스톱워치, 기타 전문적인 측정 장비라 할지라도 전술한 여러가지 유기적인 측정 변수들을 한꺼번에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들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며, 특히 하나의 측정계로 이러한 모든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은 더더욱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여러가지 시대적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범용적인 시간측정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 사건의 발생 시간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자동기록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사건의 발생 시간에 더하여 각 사건에 수반되는 량을 입력할 수 있는 자동기록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사건의 발생 시간에 더하여 각 사건에 수반되는 시각적, 청각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자동기록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사건에 관해 기록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분석 프로그램이나 분석용 서버에 전달할 수 있는 자동화된 출력 기능을 갖춘 기록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자동기록계를 이용하여 환자의 증상일지 기록, 기계류의 오작동 측정, 기타 자연계나 사회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시간 데이터 및 이에 수반되는 연관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다수 개의 보조사건 입력스위치가 추가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량 입력수단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사운드 및 이미지 입력수단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데이터 입력수단이 추가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데이터 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휴대용 자동기록계의 외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휴대용 자동기록계의 외관에 대한 실시예의 후면도.
도 9는 목걸이 형태의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대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시계 형태의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대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메뉴화된 데이터 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120: 제어부
130: 디지털 시계 140: 메모리부
150: 출력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기록계는, 목표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이 사건이 발생한 사건시간(event time)을 입력하기 위한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 디지털 시계 ;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가 온(on)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디지털 시계로부터 이 때의 시간을 전송받아 기록하는 메모리부 ;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 경로 중 적어도 한 통신경로를 통해 외부의 소정 서버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디지털 시계, 메모리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사건시간은 절대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건시간은 상기 사건이 발생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는 상기 사건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입력하기 위해서 토글 기능을 갖거나 서로 다른 두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기록계는 상기 사건에 수반하는 량(量)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량(量) 입력수단, 상기 사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사건이미지 입력수단, 상기 사건에 대응하는 음향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사건사운드 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는, 상기 사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사건 발생시간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보조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상기 메모리부에 입력될 데이터의 메뉴 구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사건시간 입력시 입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USB, IEEE1394, 모뎀, 메모리 슬롯, PS/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서버에 대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자동기록계(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휴대용 자동기록계(100)는 목표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이 사건이 발생한 사건시간(event time)을 입력하기 위한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110)를 구비한다.
특정한 사건이 발생하면 이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 때의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서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110)를 이용하여 시간을 입력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의 입력을 인지하면, 연결된 실시간 디지털 시계(130)로부터 이 때의 절대 시간, 또는 실시간(real time)을 제공받아 메모리부(140)에 기록한다.
그 후, 일정량의 기록이 누적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사용자가 기록된 사건시간 및 이에 연관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필요한 통계 내지는 분석을 실시하고자 할 때, 연결된 외부 서버나 자체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140)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출력부(15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자동기록계는 작동한다. 그 후 전송된 데이터들은 분석 서버에서 분석되어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스위치부라 함은 자동기록계(100)의 메모리부(140)에 사건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간단히 눌러서 입력하는 버튼(button) 방식뿐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도 스위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운영체제와 바이오스 등을 탑재한 ROM 및 RAM과, 후술하는 사건시간 및 기타 데이터를 기록하는 보조기억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건(event)이란, 자동기록계(100)로 기록할 필요가 있는 모든 사건을 말한다. 즉, 시간적 기록이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생물체의 신체적 징후, 자연계의 특정 현상, 기계류의 작동 현황, 인간 및 생물체 등이 이루는 군집사회가 갖는 군집 현상 등 모든 자연과학적 및 사회과학적 현상에 대해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가령 특정 개인의 수면시간, 특정 지역의 강우시간, 특정 기계의 오작동 시간, 특정 직업군의 근무 시간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건은 사용자가 무엇을 측정하는냐에 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는 동일한 성격을 가진 특정한 사건들이 어느 때에 발생하였는지를 기계적으로 기록한 후에, 이 시간들을 그 사건에 대한 분석이나 통계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시간은 실제시간 또는 절대 시간이며 이는 년월일과 함께 하루를 오전, 오후 또는 24시간으로 분할하여 적어도 시분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초(second)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측정되는 사건의 절대시간은, 특정 시작시점부터 얼마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측정하는 상대 시간과는 분명하게 대비되고 구별되는 개념이며, 그 용도도 서로 다른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사건시간을 기록한 후, 분석 시스템인 외부 서버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매 사건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110)는 하나의 스위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특정 사건이 발생한 시작시간만을 기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입력스위치를 한 번씩 눌러주는 것만으로 해당 사건이 발생한 실제 시간이나 절대 시간이 내부의 디지털 시계(130)로부터 메모리부(140)에 전송되어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한 개의 입력스위치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사건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연동시켜 기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해당 사건의 발생 시점 뿐 아니라 소요시간까지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지만, 종료시점 자체가 독자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에도 이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가령, 특정 개인의 수면 종료시간이 일출 전인지, 아니면 일출 후인지를 분석하는 경우에 해당 사건의 종료시간을 일출시간과 비교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종료시간도 측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본 발명의 측정계가 절대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종료시점까지 측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110)는 토글(toggle)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110)의 스위치가 한 번 눌러지거나 입력되었을 때 이를 시작시간으로, 두 번째 입력되었을 때는 이를 종료시간으로 인식하여 메모리부(140)에 두 시간을 각각 구분하면서 연동시켜 기록하는 것이다. 토글 방식의 스위치로는 플립-플롭(flip-flop)이나 그 밖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회로 등으로 구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역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경우 플립-플롭의 작동에 필요한 펄스를 제공하는 내부 타이머 클록은 별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 다른 방식은, 사건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입력하는 두 개의 스위치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다. 즉, 시작시점 입력스위치와 종료시점 입력스위치를 기계적으로 구분하여 따로이 배치하고 작동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토글 방식으로 구성된 단일 스위치로 인해서 사용자 또는 측정자가 잘못된 입력을 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 정확한 스위치 조작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중 하나는,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사건(이하 주(主)사건)에 연동된 제2의 사건(이하 보조사건)에 대한 시간을 상기 주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사건시간 입력장치를 추가로 구비한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조사건이란 주 사건의 사건시간에 영향을 주거나 받는 사건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예로서는, 가령 특정 환자의 편두통시간이 주 사건일 경우, 이 환자가 약을 복용한 시간이 보조사건이 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는 온도가 올라가면 이상작동을 보이는 특정 기계의 이상 작동이 측정할 주 사건의 시간이라면, 일정 온도 이상에 도달한 시점이 보조사건 시간이 될 수가 있다. 즉, 주 사건이 발생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는 모든 사건들이 보조사건이 될 수 있다.
도 2는 주 사건시간의 입력스위치(210)와 보조사건 입력스위치(220)가 인터페이스인 스위치 콘트롤러(230)와 함께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110)내에 함께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 콘트롤러(230)는 저장될 사건시간들을 각 입력된 스위치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보조한다.
주 사건시간에 연관된 보조 사건시간은 여러 개가 있을 수 있다. 가령, 특정인의 편두통 발생시간이 측정할 주 사건이라면 약물 복용시간이 보조사건 시간 중 하나이고 동시에 현기증이 발생한 시간이 또 다른 보조사건 시간이 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것들은 서로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하나의 보조사건 시간만이 입력될 필요는 없으며 여러 개의 보조사건 시간을 해당 주 사건의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도 2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n개의 보조 사건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 측정계의 블록 모듈도를 나타낸 것이다.
보조사건시간 입력스위치(220)가 구성된 본 발명 측정계의 또 다른 장점은, 주 사건에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여러 보조사건의 사건시간을 측정한 후, 이들을 주 사건시간과 비교하면 어떤 보조사건이 주 사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본 발명을 이용한 새롭고도 유용한 분석 방법 중 하나로서 여러가지 자연과학적, 사회과학적 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중 하나는, 상기 측정하고자 하는 사건에 수반하는 량(量)을 상기 사건시간의 기록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량(量)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이에 대한 블록 모듈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건이 발생한 시간과 해당 사건에 수반되는 량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자연계 현상에 수반하는 중요한 량으로서는 강도(强度), 길이, 질량, 부피, 밀도, 온도, 각도, 전류량, 전압, 광도, 면적, 압력, 유량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측정자가 사건시간에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량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량 입력수단(310)에는 스위치나 키패드 또는 다이얼 형태 등의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량 입력수단(310)이 스위치 형태일 경우에는, 량을 입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량 입력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메모리부에 기록될 량이 일정량씩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기록 방식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량을 대,중,소로만 구분하여 3단계 중 어느 하나만으로 기록한다든지, 또는 5단계로 좀 더 세분화하여 입력토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중 하나는, 상기 측정하고자 하는 사건에 수반하는 음향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사건사운드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사건시간과 음향을 연동시켜 기록해야 하는 경우로는, 가령 특정 종류의 동물이 우는 소리가 주간과 야간에 서로 다를 경우에 이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서 그 울음 소리가 발생한 사건시간과 울음소리 자체를 연동시켜 기록하는 경우 등이다. 이는 사건에 대한 좀 더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필요한 분석 방법 중 하나로서,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를 이용하면 이를 편리하면서도 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이에 대한 블록 모듈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사건사운드(event sound) 입력 수단(410)은 일반적인 마이크로 폰(412) 및 사운드 인터페이스(414)로 구성되고, 사운드 인터페이스(414)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CODEC) 기능 외에 증폭 및 필터링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폰(412)은 장치 내부에 내장된 형태이거나 또는 외부 입력단자(예컨데, IN LINE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촬상장치(422)로 촬영하여 이를 사건시간과 연동시켜 기록할 수 있도록 사건이미지 입력수단을(420) 그 인터페이스(424)와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서 MPEG이나 기타 이미지 전용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기록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상기 사건사운드 입력수단과 유사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중 하나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그 표면에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부는 입력스위치 등의 조작을 좀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각 입력을 메뉴화시켜 구성한 경우에 이 메뉴들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시각창의 기능을 하거나, 상기 량 입력스위치의 조작시에 현재 입력되는 량이 얼마정도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및 전송 등의 현재 수행되는 작업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뉴에 대한 상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중 하나는, 외부의 컴퓨터에서 상기 메뉴를 구성한 후, 이 메뉴 구조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데이터 헤더(header)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데이터 입력수단(510)이 제어부에 연결된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부는 자동기록계 표면에 입력 패널이나 키패드 형태로 직접 장착될 수도 있지만, 외부의 데이터 입력수단이 입력 포트를 통해 내부의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한 후,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되는 사건시간은 서로 무관한 두 종류 이상이 한꺼번에 기록될 수도 있는데, 가령 동일한 휴대용 자동기록계를 두 사람 이상이 서로 다른 측정에 사용한다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이지만 연관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두 사건을 각각 측정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두 그룹에 속한 데이터가 분석 중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각 사건시간 및 보조사건시간, 그리고 기타 이에 연동되는 데이터들은 헤더(header)를 가지도록 하여 이 헤더를 기준으로 두 그룹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헤더란, 데이터가 어느 사건의 것인지를 구분짓는 데이터 ID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데이터들은 이 헤더에 따라 그룹지어져 분석에 이용된다. 이러한 헤더를 입력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510)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수단을 이용하는 또 다른 경우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입력 메뉴나 기록되는 각 사건시간 등의 데이터 구조를 외부에서 작성하여 이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510)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는 그 용도가 다양하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사건마다 그 보조사건의 이름과 갯수, 기타 입력해야 할 데이터 구성이 다를 수 있다. 가령, 병원에서 환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측정되는 사건시간 데이터의구조와 교통 신호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측정되는 사건시간 데이터의 구조가 아주 다른 경우 등이다.
이에 대해 본 자동기록계의 제작 단계에서 임베딩된 하나의 범용적인 데이터 입력 구조를 이용하여 이 모든 측정 사건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사건에 따라 제작된 전용 메뉴 구조나 전용 데이터 입력 구조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측정사건 그룹마다 그에 적절한 메뉴 또는 데이터 구조를 외부 컴퓨터, 가령 분석 서버에서 구성한 후 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510)을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시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시간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또한 전원부의 파워가 약해지면 시간이 느려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기 디지털 시계(130)의 시간 오차를 재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5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전술한 여러 실시예를 포함하여 구성된, 사건시간 데이터 구조의 한 예를 모식적으로 도안화 한 것이다. 도 6에서, 측정되는 사건이 두 종류이고 각각이 전혀 무관한 것일 경우에 각 데이터들의 헤더(610)에는 두 사건을 구분할 구분 번호나 그룹 이름 등이 기록된다. 그리고 시작시간(620)과 종료시간(63)이 순서대로 기록되고 각 사건에 대한 보조사건 시간들(640, 650), 량 데이터(660), 사운드 데이터(670) 및 이미지 데이터(680)가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데이터들은 전기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다는 것이 아니라, 각 데이터들이 이러한 구조로 연동되어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헤더 1을 가진 한 그룹의 사건과 헤더 2를 가진 또 다른 그룹의 사건들이 하나의 기록계로 동시간대에 측정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 6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술한다.
상기 헤더 1의 사건이 특정인 A의 편두통 발생 시간을 측정한 것이고, 헤더 2의 사건은 그 A의 수면시간을 측정한 것이라 가정해 보자. 둘은 일단 독립적인 사건이므로 별개의 헤더를 갖도록 데이터 구조를 형성하고 또 입력시에는 혼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술한 메뉴 방식으로 사건 종류를 선택하여 시작시간과 종료시간 등을 입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헤더 1과 헤더 2의 사건은 모두 시작시간(620)과 종료시간(630)을 가지지만 그 량의 측정(660)에서 헤더 1의 사건은 그 강도의 크고 작음을(SEVERE/MIDDLE/WEAK), 헤더 2의 사건은 깊고 얕음(DEEP/SHALLOW)을 측정하고 있다. 또한 헤더 2의 사건은 사운드 데이터인 SN21.WAV 파일(672)을 추가로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N/A는 해당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해당 파일이 없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 자동기록계의 출력부(15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외부의 분석용 컴퓨터 서버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출력부는 출력시 사용될 연결 수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령, USB, IEEE1394, 또는 PS/2 방식의 출력 포트에 케이블이 연결되어 P2P로 분석용 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기 랜카드 등의 유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인터넷이나 완(WAN), 랜(LAN)으로 원거리의 분석용 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컴팩트 플래쉬 카드(COMPACT FLASH MEMORY CARD), 마이크로 드라이브(MICRO-DRIVE), 스마트 미디어카드(SMART-MEDIA CARD), 메모리 스틱(MENORY STICK)이나 USB 드라이브(USB FLASH MEMORY DRIVE) 등의 휴대용 메모리카드 접속 슬릿을 구비하여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 후, 이를 분석서버로 넘겨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부(140)는 상기 휴대용 메모리카드가 되지만, 자동기록계의 운영체제나 바이오스(BIOS) 등을 기록하기 위한 ROM 및 RAM은 내부의 다른 메모리에 따로이 존재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출력부의 또 다른 형태로는 무선통신 방식이다. 즉, 모선통신 모듈이 출력부에 포함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분석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 모듈로는 RF통신모듈, 적외선통신 모듈, 무선랜 등 다양한 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서 블루투스나 IEEE 802.11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만약 상기 출력부(150)의 통신모듈이 무선통신 모듈이라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때마다 상기 출력부(150)를 통해 이 새 데이터를 분석 서버로 무선 송신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는 분석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실시간으로 분석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일단 무선통신으로 데이터가 스테이션이나 중계기에 전달된 다음, 유선통신망을 거쳐 분석 서버에 전달되는 방식도 이에 포함된다.
상기 사건시간이 사건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있어 상기 사건의 시작 시간이 입력된 후 사건의 종료 시간이 입력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종종 사건종료 스위치를 누르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종료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이 데이터들을 처리하지 않은 채로 두거나 뒤늦게 종료시간을 입력하면 전체적인 분석의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 조치가 필요한 바, 이 경우에는 상기 시작시간 후 소정시간, 가령 측정하고자 하는 사건의 평균적인 진행시간이 지난 후에도 종료시간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소정시간이 흐른 후의 시간을 종료 시간으로 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종료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데이터를 아예 분석에서 제외하는 것으로서, 가령 시작시간 데이터 입력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종료시간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상기 종료시간이 입력되지 않은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에 대한 데이터 구조가 메뉴화될 경우, 가능한 메뉴 구조의 한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이 메뉴 구조는 메모리부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계층 및 성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도시된 것이므로, 실제 데이터는 이와는 달리 입력되고 저장될 수 있다.
메뉴의 최상층은 현재 기록할 사건이 어떤 그룹인지를 구분해주는 사건선택 단계(1100)이다. 이는 전술한 헤더를 기준으로 하는 것인데, 만약 기록할 주사건이 하나 뿐일 경우에는 이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사건의 시간을 입력하는 단계로서 우선 입력할 시간이 시작시간인지 종료시간인지를 구분해 주는 단계(1110)를 거쳐 시작시간만 입력하거나(1120) 또는 종료시간을 순차적/선택적으로 입력해 준다(1130). 데이터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지만 실제 입력단계에서는 이 메뉴들이 나타나지 않고, 전술한 스위치부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는 사항들이다. 따라서 이 메뉴들이 디스플레이 부 등에 표시되는 경우는 입력스위치를 한두개로 극히 단순화시킨 경우에 한한다.
보조사건 입력(1210~1230)의 경우에도 상기 주사건 입력(1110~1130)과 유사하다. 다만, 보조사건 선택단계에서, 어느 주사건에 연동되는 보조사건인지를 입력할 수 있다.
량 입력단계(1310~1330) 또한, 량이 수치나 대/중/소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일정량씩 증가하거나 감소할 경우에 음향 사운드로 그 눌러진 횟수를 알려주는 것 등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입력들과 유사하다.
기타 데이터로서는 전술한 이미지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지만(1410~1430), 향후 디지털 기술이 더 발전할 경우 냄새 등도 입력할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 구조는 측정할 사건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된 데이터 구조는 전술한 데이터 입력수단(510)을 이용하여 메모리부에 기록된다. 또한, 각 입력될 데이터마다 입력 수단이 별개로 구성될 경우에 상기 메뉴 구조는 입력방식과 일치하지 않음은 당연한 일이다.
본 자동기록계는 사용자의 매뉴얼 조작에 의존하므로 각 스위치의 조작이 제대로 되었음을 사용자가 자신의 오감으로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종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르거나 작동시킬 때마다 그 작동을 알려주기 위한 알람수단으로서, 가령 스피커 및/또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소리나 빛을 내는 방법 등이 이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내부에 진동기를 두어 진동에의한 촉감으로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는 그 기록 특성상, 휴대용의 형태로 사용된다. 즉, 어떤 사건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항상 들고 다닐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는 전술한 입력 스위치, 디지털 시계, 메모리부, 출력부, 제어부를 모두 내부나 표면에 수납하는 케이스나 하우징(housing)으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고 그 크기나 무게가 비교적 작고 가벼워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휴대용 자동기록계의 외장인 하우징(700)에 대한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 표면의 상부에는 사건의 시작시간 입력스위치(710)와 종료시간 입력스위치(720)가 각각 구비되고, 그 오른쪽에는 보조사건 입력스위치들(7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하부의 디스플레이부(740)는 스크롤 스위치(750) 등을 통해 메뉴방식의 입력에서 해당 메뉴를 표시하거나, 량 입력수단인 다이얼(745)을 통해 입력할 양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저장 및 전송되는 데이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롤 스위치(750)는 입력 및 저장되는 정보를 찾거나 수정할 때 사용된다. 가령 이전에 입력된 시간이나 량 등을 수정해야 할 경우, 스크롤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정할 데이터를 찾아내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 량 입력수단이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그 정도를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메뉴화된 입력의 경우에는 이 메뉴를 찾기 위해서 스크롤 스위치(750)가 이용될 수도 있다. 스크롤 스위치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760)가 배치되어 있다.
좌측 하부에는 사운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운드 입력수단으로서, 가령 마이크로폰 입력부(780)가 있으며 하단부 중앙에는 사건이미지 입력수단인, 가령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부(77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치부(710, 720, 730)의 하단에는 각 스위치의 동작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 등의 발광소자(715, 725, 735)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음향으로 스위치 동작 여부나 기타 알람기능을 수행할 때 필요한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스피커 음향 출력부는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부(780)와 동일, 유사한 형태를 가지거나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부(780)에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의 출력 포트에는 기록된 데이터를 외부 분석용 서버(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기 위한 유선 케이블(79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외장의 구성들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그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기록계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서 사용자의 허리띠나 기타 부위에 걸 수 있는 걸림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형태도 가능한데, 도 8은 걸림구(810)가 뒷부분에 장착된 휴대용 자동기록계(700)의 형태를 보여주는 한 실시예이다. 하부에는 배터리 등의 전지부를 착탈하는데 필요한 전지부 캡(820)이 도시되어 있지만, 2차전지나 태양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부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상기 걸림구는 허리띠 등에 걸 수 있는 형태 외에도 목걸이 형태나 손목시계 줄 형태로 만들어 손목이나 발목 등에 착용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목걸이나 손목시계 형태를 가진 휴대용 자동기록계의 한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사건시간 측정의 예들을 설명한다.
<자동 편두통 기록일지>
일반적으로 편두통 환자들은 그 편두통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 증상일지를 기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편두통 증상일지란, 환자가 언제 얼마 정도의 편두통을 겼었는지를 기록하는 시트를 말하는데, 지금까지는 이를 수기(手記)로 작성해 왔기 때문에 환자들이 대단히 불편해 하던 사항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불편은 특히 고통이 심하거나 외출시에 배가되는데 이는 기록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도 기록시트를 갖고 다니며 그때마다 기록해야 하기 때문이다.
증상일지는 보통 병원에 오기 며칠 전부터 기록하도록 하고 있지만, 환자들이 상기 불편함으로 인해서 이를 제대로 기록하지 않고, 이에 따라 의사들도 환자들이 자가로 적어온 증상일지를 신뢰하지 못하던 상황이다.
본 발명의 자동기록계를 이용하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즉, 환자는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기록계를 휴대하고 다니며 자신의 편두통 발생 시간과 그 정도를 간단하게 스위치 조작만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약물을 복용한 시간 및 현기증이 발생한 시간도 보조사건 시간으로서 기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에 기록된 데이터의 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 분석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의 헤더 1의 사건이 특정인 A의 편두통 시간을 기록한 것이라 가정해 보자. 첫째 줄의 데이터에서 A는 2003년 06월 21일 13시 54분 21초부터 13시 55분 34초까지 편두통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보조사건시간 1(AUX 1 TIME)이 약물을 복용한 시간이라 할 때, 상기 환자는 동일 13시 12분 45초에 약을 복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보조사건시간 2(AUX 2 TIME)는 해당 환자가 현기증을 겪은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때, 해당 시간대에 A는 현기증이 없었으며 사운드 데이터와 시각 데이터는 따로 기록된 것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데이터들 간의 연동(LINK)여부는 로직에 따라 동일한 시간대를 기준으로 연동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시간대란 같은 1시간 내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하루를 몇 개의 시간 구분으로 나누거나 또는 며칠을 하나의 시간대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주 사건시간 발생을 전후하여 가장 가까운 보조사건 시간을 이에 연동하여 기록토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편두통의 정도에 대해 환자 자신이 판단컨데 비교적 고통이 컸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도 6에 따르면 A는 6월 21일 하루에 세 번 편두통을 겪었고, 한 번의 현기증이 발생하였으며 이튿날 새벽에도 한 번의 편두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불면증 원인 분석>
도 6에서, 헤더 2를 가진 사건이 상기 환자 A의 수면시간 측정을 나타내는 것이고 보조사건시간 1과 보조사건시간 2는 해당하는 날의 낮잠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면, A의 불면증이나 수면버릇에 대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수면시에 A의 코고는 소리를 사운드 데이터(가령, SN21.WAV 등)로 기록하여 수면 분석에서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식의 복합적인 데이터 측정은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환자 상태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환자 A가 불면증을 겪는 환자라고 할 경우, 그 불면증의 원인이 낮잠이나 코골이 등의 잠 버릇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함께 기록된 헤더 1의 편두통이나 기타 다른 신체적 이상에 따른 정신적 민감함에 기인한 것이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가령, A가 불면증을 호소한 날을 전후한 기록을 통해, 낮잠 여부, 편두통 여부, 코고는 소리의 분석 등을 복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분석을 가능토록 하는 여러 복잡한 기록을 환자 스스로가 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무엇보다 매번 사건 발생 때 마다 스톱워치나 시계를 들여다보며 해당 시간을 기억해 두었다가 종이에 써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므로 외출할 경우에는 아예 기록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록계를 이용하면 약간의 기계 조작만으로 이것이 가능해진다.
<기계류의 오작동 측정>
도 6에서, 헤더 1의 사건이 특정 컴퓨터 서버의 다운(down)시간 또는 오작동지속시간을 측정한 것이고, 보조사건시간 1은 해당 오작동을 전후한 CPU의 과열(over-heating) 시간, 보조사건시간 2는 해당 오작동을 전후하여 서버에 소정값 이상의 접속량이 계속되는 시간이라 할 때, 상기한 분석을 통해 특정 서버의 오작동이 CPU의 과열에 기인하는지 아니면 접속량의 폭증에 따른 것인지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다른 컴퓨터 서버의 동일 사건 측정 데이터를 헤드 2의 기록 데이터로 함께 기록하면, 두 서버의 현상이 동일한 원인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서버 1에만 상기 원인이 적용되는 것인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자연계의 특정 현상 측정>
특정 해변지역의 강우(降雨 )시간 및 강우량을 주사건 시간으로 측정하고 해당 지역의 해수(海水) 온도가 정해진 소정의 임계값을 넘어간 시간을 보조사건시간 1로, 해당 지역에 적조 현상이 나타난 시간을 보조사건시간 2로 측정하면 강우량 및 해수 온도, 그리고 그에 따른 적조 발생과의 관계를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해당 지역의 강우량만으로도 적조 발생 위험을 경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사회나 군집의 특정 현상 측정>
특정 도로의 교통 정체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서 해당 도로의 교통신호 중 파란 신호의 지속시간과, 좌회전 지속시간 기타 횡단보도가 켜지는 시간, 해당 시간대에 사거리를 건너간 차량 댓수의 대소 등을 주 사건 및 보조사건, 량 등으로 측정할 경우 정체가 어디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측정계는 응용하기에 따라서 여러가지 병, 가령 당뇨병, 심장병, 요실금 등 시간기록이 중요한 병에 대한 환자 상태의 측정, 운동장이나 체육관에서 선수의 운동능력 측정, 공장 라인에서의 공정 변수나 작업효율 측정, R&D 연구에서 실험 변수의 측정, 물류 체계에 있어 병목현상(bottle neck) 분석, 군대에서 포탄의 온도와 비거리(飛距離)의 측정 등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종래에는 일일이 손으로 기록해야만 했던 사건의 발생 시간을 간단한 스위치나 버튼 조작만으로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을 동원해서 측정해야 했던 여러 복잡다단한 사건들을 본 발명의 자동측정계가 가진 복합적이면서 유기적인 측정 기능을 이용하여 일목요연하게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마치 복사기나 자동차처럼 인간의 노동을 덜어주고 좀 더 인간을 편리하게 해 주는 기술발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어느 한 가지 사건에 국한된 전문 측정 기구를 고가에 운영해야 했지만, 본 발명의 측정계는 다양한 상황을 염두에 둔 범용의 디지털 측정계이기 때문에 단 한대만으로도 다양한 사건에 효율적인 측정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측정계를 이용하면 해당 사건에 연관된 음향이나 비디오 신호를 해당 사건시간에 연동시켜 기록할 수 있으므로, 후에 좀 더 복합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을 이해한 후, 이에 따른 다양한 변형례를 손쉽게 창작해 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례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결정되어진다.

Claims (29)

  1. 목표한 사건이 발생한 경우 이 사건이 발생한 사건시간(event time)을 입력하기 위한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
    디지털 시계 ;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가 온(on)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디지털 시계로부터 이 때의 시간을 전송받아 기록하는 메모리부 ;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 경로 중 적어도 한 통신경로를 통해 외부의 소정 서버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 디지털 시계, 메모리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사건시간은 절대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시간은 상기 사건이 발생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는 상기 사건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입력하기 위해서 토글 기능을 가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시간은 상기 사건이 발생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는 상기 사건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입력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에 수반하는 량(量)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량(量)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사건이미지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에 대응하는 음향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사건사운드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는, 상기 사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사건 발생시간을 상기 사건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하기 위한 보조사건시간 입력스위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입력될 데이터의 메뉴 구조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시간 입력시 입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USB, IEEE1394, 모뎀, 메모리 슬롯, PS/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통신 모듈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때마다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소정 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시간은 상기 사건이 발생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건의 시작 시간이 입력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건의 종료 시간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종료 시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시간은 상기 사건이 발생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건의 시작 시간이 입력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건의 종료 시간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사건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량(量)은 그 정도에 따라 5단계 이내의 단계로만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량 입력수단은 스위치, 키패드, 다이얼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한 형태의 입력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량 입력수단이 스위치일 경우,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기록될 량이 일정량씩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량 입력수단이 스위치일 경우,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기록될 량이 일정량씩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스위치, 디지털 시계, 메모리부, 출력부, 제어부 및 전원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하우징을 사용자에 목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걸이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하우징을 사용자의 손목 및 발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계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은 사람을 포함한 개별 생명체의 특정한 신체적 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3.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은 기계류의 작동에 관련된 특정 사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4.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은 자연계의 특정 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5.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건은 군집(群集)의 특정 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적 현상은 생명체의 이상기능, 통증, 배뇨, 배변, 식사, 운동, 수면 중 어느 한 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7.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작동할 때마다 그 작동을 알려주기 위한 알람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은 스피커, 발광소자, 진동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2차전지, 태양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기록계.
KR10-2003-0041755A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자동기록계 KR10052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55A KR100525508B1 (ko)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자동기록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55A KR100525508B1 (ko)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자동기록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553A true KR20050001553A (ko) 2005-01-07
KR100525508B1 KR100525508B1 (ko) 2005-11-02

Family

ID=3721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55A KR100525508B1 (ko)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자동기록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790B1 (ko) * 2005-08-1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발생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
US7710934B2 (en) 2005-05-11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information in routing tables consistent throughout wireless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0934B2 (en) 2005-05-11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information in routing tables consistent throughout wireless network
KR100703790B1 (ko) * 2005-08-1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발생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508B1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9414T2 (de) Tragbare Vorrichtung zur Lebensunterstützung
Hodges et al. SenseCam: A wearable camera that stimulates and rehabilitates autobiographical memory
CN103892801B (zh) 装置状态相依的用户接口管理
CN104095621B (zh) 生理测量平台装置
US200500549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rt rate variability
US20160246259A1 (en) Method, appararus and wearabl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minding user to sleep
CN105078437A (zh) 一种穿戴式人体异常监测告警系统及其工作方法
CN205597903U (zh) 一种穿戴式体温感测装置
CN105260973A (zh) 一种基于大数据和互联网的老年健康监护系统
CN105919569A (zh) 健康监测系统
CN102715896A (zh) 一种具血压数据分析和管理功能的电子血压计
CN108154923A (zh) 一种基于健康管理的实时不间断的智能监测设备及其系统
CN107019498A (zh) 看护机器人
CN204218891U (zh) 智能电子体温计
CN106657415A (zh) 一种智能健康终端系统
KR20190062148A (ko) 수면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면 분석 디바이스
CN113274583A (zh) 一种具备多参数配置的注射管理系统
CN206214100U (zh) 一种人体智能监控系统
KR100525508B1 (ko) 휴대용 자동기록계
WO2014133146A1 (ja) 生体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949184A (zh) 腕式脉搏异常警示器
CN206542449U (zh) 一种智能健康终端系统
TW201143712A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health management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US20050228698A1 (en) Wrist-worn data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