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870A -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870A
KR20050000870A KR1020030041451A KR20030041451A KR20050000870A KR 20050000870 A KR20050000870 A KR 20050000870A KR 1020030041451 A KR1020030041451 A KR 1020030041451A KR 20030041451 A KR20030041451 A KR 20030041451A KR 20050000870 A KR20050000870 A KR 2005000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relay device
guest
address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429B1 (ko
Inventor
홍윤환
Original Assignee
(주)닥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닥터소프트 filed Critical (주)닥터소프트
Priority to KR10-2003-004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 지점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중계기기를 연결한 후 중계기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호스트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호스트 PC에 연결된 중계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호스트 PC의 전원상태를 파악한 후 그 온ㆍ오프 상태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랜카드 및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호스트 PC가 일정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호스트 PC와 이격된 원격지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게스트 PC(외부 PC, 노트북 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 등)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를 통해 호스트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호스트 PC에 연결되는 중계기기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로부터 IP 어드레스를 부여받아 설정하는 DHCP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DHCP 클라이언트부가 할당받은 IP 어드레스를 PC 주소저장부 등에 저장시킨 후 상기 게스트 PC의 요구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유동 IP 처리부와, TCP 소켓 데몬 대기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로부터의 연결요청이 들어오면 연결된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게스트 PC의 요청에 따라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PC 온ㆍ오프 수신부와, 상기 PC 온ㆍ오프 수신부의 명령에 따라 소정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호스트 PC를 온ㆍ오프시키거나, 또는 WOL(Wake up on LAN) 신호를 연결된 호스트 PC들에게 브로드캐스팅 하여 상기호스트 PC를 온ㆍ오프시키는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와, 임의의 클라이언트 소켓으로부터 전송된 In/Out 네트웍 패킷들을 1:1 또는 1:N으로 연계 전송하는 패킷 중계 처리부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연결된 PC와 라우팅 하는 패킷 라우팅부 및, 상기 호스트 PC의 구동시에 사설 IP를 분배해 주는 DHCP 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RELAY APPARATUS FOR PC REMOTE DRIVING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장소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중계기기를 연결한 후 그 중계기기를 통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임의의 PC에서 호스트 PC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과 아울러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및 각종 하드웨어 등과 같은 컴퓨터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PC의 고성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그와 상응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래에는 가정이나 학교, 회사 등에서는 각종 문서의 작성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작업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작업을 PC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PC의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짐과 동시에 통신속도의 급격한 상승을 불러왔으며, 상기와 같은 통신속도의 상승은 원격지에서도 일정 지점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원격지에서도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일정 지점에 설치된 호스트 PC를 제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되었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호스트 PC의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일정 지점에 설치된 호스트 PC(20) 및 임의의 게스트 PC(40)에는 각각 소정의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PC(20)는 상기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임의의 게스트 PC(40)로부터의 접속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게스트 PC(40)의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상기 호스트 PC(20)의 IP 어드레스나 호스트 네임 등을 입력하여 상기 호스트 PC(20)에 접속을 행하게 되면, 상기 호스트 PC(20)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의 제어에의해 그 화면상태를 자체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스트 PC(40)의 원격제어 프로그램 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게스트 PC(40)의 원격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호스트 PC(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기초하여 그 상태를 게스트 PC(40)의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므로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하여 호스트 PC(2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격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호스트 PC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호스트 PC 및 게스트 PC에 모두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게스트 PC의 프로그램 인스톨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여 그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의 추가, 보안상의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많은 양의 데이터를 주고 받아할 경우에는 그 시간 및 비용상의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게스트 PC를 이용한 호스트 PC의 원격제어 시에는 상기 호스트 PC가 항상 켜진 상태를 유지해야만 하므로, 그에 따른 전원의 낭비가 초래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부팅 기능을 갖는 랜카드(Wake up on LAN : WOL)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격지에서 호스트 PC의 전원을 제어할 수는 있으나 이는 PC에 부여된 고정 IP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환경 하에서는 전원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정 지점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중계기기를 연결한 후 중계기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지에서 효율적으로 호스트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스트 PC에 연결된 중계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호스트 PC의 전원상태를 파악한 후 그 온ㆍ오프 상태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랜카드 및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호스트 PC가 일정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호스트 PC와 이격된 원격지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게스트 PC(외부 PC, 노트북 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 등)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를 통해 호스트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호스트 PC에 연결되는 중계기기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로부터 IP 어드레스를 부여받아 설정하는 DHCP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DHCP 클라이언트부가 할당받은 IP 어드레스를 PC 주소저장부 등에 저장시킨 후 상기 게스트 PC의 요구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유동 IP 처리부와, TCP 소켓 데몬 대기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로부터의 연결요청이 들어오면 연결된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게스트 PC의 요청에 따라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PC 온ㆍ오프 수신부와, 상기 PC 온ㆍ오프 수신부의 명령에 따라 소정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호스트 PC를 온ㆍ오프시키거나, 또는 WOL(Wake up on LAN) 신호를 연결된 호스트 PC들에게 브로드캐스팅 하여 상기 호스트 PC를 온ㆍ오프시키는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와, 임의의 클라이언트 소켓으로부터 전송된 In/Out 네트웍 패킷들을 1:1 또는 1:N으로 연계 전송하는 패킷 중계 처리부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연결된 PC와 라우팅 하는 패킷 라우팅부 및, 상기 호스트 PC의 구동시에 사설 IP를 분배해 주는 DHCP 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은, 일정 장소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중계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계기기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받는 후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원격지에 설치된 임의의 게스트 PC가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후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를 받아 상기 중계기기에 접속하여 호스트 PC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게스트 PC로부터의 PC 온(ON) 정보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는 호스트 PC의 전원부를 구동시키고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한편, 상기 호스트 PC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게스트 PC를 통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제 3과정 및, 상기 게스트 PC와 호스트 PC의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의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호스트 PC의 DHCP 클라이언트는 IP 어드레스를 해제하고 그 상태정보를 중계기기 측으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 후 상기 중계기기는 PC 오프정보를 상기 게스트 PC 측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지점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중계기기를 연결시킨 후, 상기 중계기기를 매개로 원격지에 설치된 임의의 게스트 PC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PC의 온ㆍ오프를 비롯한 전반적인 원격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제어환경이 구축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호스트 PC의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가 연결된 호스트 PC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가 호스트 PC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가 호스트 PC에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업체의 DHCP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가 임의의 게스트 PC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통하여 접속된 게스트 PC가 호스트 PC를 온 시키고 원격제어를 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통하여 접속된 게스트 PC가 호스트 PC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인터넷망, 12: 통신업체의 DHCP 서버,
20: 호스트 PC, 22: 마더보드,
24: 파워스위치 연결단자, 26: 랜카드,
30: PC 케이스, 32: 파워 스위치,
40: 게스트 PC, 50: 인터넷 연결모뎀,
60: 중계기기, 62: 스위치 릴레이,
64: PC 네트웍 연결포트, 66: WAN 연결 네트웍 포트,
68: 전원부, 70: DHCP 클라이언트부,
72: 유동 IP 처리부, 74: PC 온ㆍ오프 신호수신부,
76: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 78: 패킷 중계처리부,
80: 패킷 라우팅부, 82: DHCP 서버부,
90: PC 주소저장부, 92: 데이터베이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가 연결된 호스트 PC 원격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가 호스트 PC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호스트 PC(20)의 원격구동을 위해 상기 호스트 PC(20)에 연결되는 중계기기(60)에는 상기 호스트 PC(20)의 PC 케이스(30)에 구비된 파워 스위치(32) 및 마더보드(22)에 구비된 파워 스위치 연결단자(24)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PC(20)에 일정 전류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그 온ㆍ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릴레이(62)가 구비됨과 아울러, PC 네트웍 연결포트(64) 및 WAN 연결 네트웍 포트(66)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호스트 PC(20)의 마더보드(22)에 결합된 랜카드(26) 및 인터넷망(10)과의 접속을 위한 인터넷 연결모뎀(50)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계기기(60)를 통한 호스트 PC(20)의 제어가 WOL(Wake up onLAN)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호스트 PC(20)에 자동 부팅 기능을 갖는 랜카드가 지원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부호 12는 상기 중계기기(60)의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할당 가능한 IP를 검색하여 상기 중계기기(60) 측으로 전송하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이고, 참조부호 90은 상기 중계기기(60)가 상기 DHCP 서버(12)로부터 제공받은 IP 어드레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 설치되는 PC 주소저장부이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기(60)의 내부구성에 있어서는 대략 DHCP 클라이언트부 (70), 유동 IP 처리부(72), PC 온ㆍ오프 신호수신부와(74),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76), 패킷 중계처리부(78), 패킷 라우팅부(80), DHCP 서버부(8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DHCP 클라이언트부(70)는 상기 중계기기(60)가 인터넷 연결모뎀 (50)을 매개로 인터넷망(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업체(ISP) DHCP 서버(12)로부터 사용 가능한 IP 어드레스를 제공받아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유동 IP 처리부(72)는 상기 통신업체의 DHCP 서버(12)로부터 상기 DHCP 클라이언트부(70)가 제공받은 해당 IP 어드레스를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연결된 상기 PC 주소저장부 (90) 측에 보고하여 데이터베이스(DB)(92)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PC 온ㆍ오프 신호수신부(74)는 TCP 소켓 데몬으로 대기하고 있다가 임의의 원격지에 설치된 게스트 PC(40)로부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연결 요청이 입력될 시에 상기 중계기기(60)와 연결된 호스트 PC(20)의 온ㆍ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줌과 아울러 상기 게스트 PC(40)로부터 호스트 PC(20)의 온ㆍ오프 요청이 입력될 시에는 그 명령신호를 상기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76) 측으로 전송한다.
또, 상기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76)는 상기 PC 온ㆍ오프 신호수신부(74)로부터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호스트 PC(20) 마더보드(22)의 파워 스위치 연결단자(24)에 스위치 릴레이(62)를 통하여 소정 전류신호를 인가하거나, WOL 신호를 연결된 PC들에게 브로드캐스팅 하여 상기 호스트 PC(20)를 온ㆍ오프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킷 중계처리부(78)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소켓으로부터 전송되는 In/Out 네트웍 패킷들을 1:1 또는 1:N으로 연계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패킷 라우팅부(80)는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연결된 호스트 PC(20)와 라우팅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DHCP 서버부(82)는 상기 호스트 PC(20)가 구동될 시에 사설 IP를 분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기(60)에 PCI 슬롯(도시안됨) 등을 구성한 후 상기 호스트 PC(20)의 마더보드(22)에 장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내장형태로 구성하여 PC 내부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기(60)의 일측에 전원부(68)를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외장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원격지에 구비되는 상기 임의의 게스트 PC(40)에는 상기 호스트 PC(20)의 사용 환경을 원격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채용된 USB 기기(도시안됨) 등의 하드웨어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이용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중계기기(60)를 이용한 PC의 원격제어는 대략 일정 장소에 설치된 호스트 PC(20)에 중계기기(6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계기기(60)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12)와 통신을 수행하여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받는 후 저장하는 과정과, 원격지에 설치된 임의의 게스트 PC(40)가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후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를 받아 상기 중계기기(60)에 접속하여 호스트 PC(20)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게스트 PC(40)로부터의 PC 온(ON) 정보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60)는 호스트 PC(20)의 전원부을 구동시키고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한편, 상기 호스트 PC(20)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게스트 PC(40)를 통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과정 및, 상기 게스트 PC(40)와 호스트 PC(20)의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40)의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호스트 PC(20)의 DHCP 클라이언트는 IP 어드레스를 해제하고 그 상태정보를 중계기기(60) 측으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 후 상기 중계기기(60)는 PC 오프정보를 상기 게스트 PC(40)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일정 장소에 설치된 호스트 PC(20)에 연결된 중계기기(60)가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12)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호스트 PC(20)에 연결된 중계기기(60)에 소정 전원이 공급되면(단계 100), 상기 중계기기(60)는 DHCP 클라이언트부(70)를 구동시켜 인터넷 연결모뎀(50) 및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접속되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12) 측에 가용 IP 어드레스의 할당을 요청하게 되고(단계110), 이에 따라 단계 120에서 상기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12)는 가용 IP 어드레스를 검색하여 상기 중계기기(60) 측에 할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 받은 상기 중계기기(60)는 단계 130에서 할당된 가용 IP 어드레스 정보를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연결된 PC 주소저장부(90) 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PC 주소저장부(90)의 데이터베이스(DB)(92)에 저장되도록 한 후, 단계 140으로 진행하여 신호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PC(20)에 연결된 중계기기(60)를 통하여 임의의 게스트 PC(40)가 초기 접속되어 호스트 PC(20)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 설치된 임의의 게스트 PC(40)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단계 200), 상기 게스트 PC(40)가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연결된 상기 PC 주소저장부(90) 측에 접속되면(단계 210), 상기 게스트 PC(40)는 상기 PC 주소저장부(90) 측에 클라이언트 인증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중계기기(60)의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단계 220).
또한, 단계 220에서의 상기 클라이언트 인증 요청에 따라 단계 230에서 상기 PC 주소저장부(90)는 상기 게스트 PC(40)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게스트 PC(40)가 인증된 클라이언트로 판단되면, 단계 240으로 진행하여 상기 PC 주소저장부(90)는 데이터베이스(DB)(92)에서 해당 중계기기(60)의 IP 어드레스를 독출하여 상기 게스트 PC(40) 측으로 전송한다.
또, 상기 해당 중계기기(60)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 상기 게스트 PC(40)는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중계기기(60)에 네트웍 연결을 요청하게 되고(단계 250), 이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60)는 단계 260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인증된 클라이언트 여부를 판단한 후, 인증된 클라이언트인 경우에는 그 요청을 수락하고 자신의 DHCP 서버부(82)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연결된 호스트 PC(20)의 연결상태에 관한 정보(호스트 PC명 및, 해당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상태 등)를 추출하여 상기 게스트 PC(40) 측으로 전송하게 되며(단계 270), 이에 따라 단계 280에서 상기 게스트 PC(40)는 상기 중계기기(60)로부터 수신된 호스트 PC(20)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게스트 PC(40)가 상기 중계기기(60)에 접속하여 해당 호스트 PC(20)의 상태정보를 수신받은 후 상기 호스트 PC(20)와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300에서 상기 중계기기(6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호스트 PC(20)가 오프(OFF) 상태로 판단되면, 단계 310에서 상기 게스트 PC(40)는 해당 호스트 PC(20)의 온(ON) 요청정보를 송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60)의 PC 온ㆍ오프 신호수신부(74)는 상기 게스트 PC(40)로부터의 PC 온(ON) 요청정보를 수신하여 PC 온(ON)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단계 320 및 단계 330).
이때, 상기 PC 온 방식이 스위치 릴레이 방식인 경우에는 단계 332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기기(60)의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76)는 일정 전류신호를 발생시킨 후 그 전류신호를 스위치 릴레이부(62)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PC(20)의 마더보드(22) 파워스위치 연결단자(24)에 인가하여 상기 호스트 PC(20)를 구동시키게 된다(단계 334).
또한, 상기 단계 330에서 상기 PC 온 방식이 WOL 방식인 경우(단계 340)에는 상기 중계기기(60)의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76)는 해당 호스트 PC(20)의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매직 패킷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므로서(단계 342), 상기 매직 패킷 신호에 의해 상기 호스트 PC(20)를 구동시키게 된다(단계 344).
한편, 상기 단계 334 또는 단계 344를 통하여 호스트 PC(20)가 구동된 후에는 단계 350에서 상기 호스트 PC(20)의 DHCP 클라이언트가 구동되어(단계 350)??상기 중계기기(60) 측에 가용 IP 어드레스를 요청한 후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60)에서 전송되는 가용 IP 어드레스로 세팅된다(단계360).
그리고, 단계 370에서 상기 호스트 PC(20)는 PC 화면 원격제어 및 파일전송 호스트 모듈을 구동시킨 후, 그에 따른 PC 화면 원격제어 가능정보를 상기 중계기기(60)를 통하여 상기 게스트 PC(40) 측으로 전송하고(단계 390), 이에 따라 PC 온 완료정보를 수신한 상기 게스트 PC(40)는 그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 해당 사용자가 상기 게스트 PC(40)의 PC 화면 원격제어 및 파일전송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도록 하므로서(단계 390), 상기 호스트 PC(20)가 게스트 PC(40)를 통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게 된다(단계392).
한편, 상기 게스트 PC(40)와 호스트 PC(20) 상호간의 원격제어가 종료되는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스트 PC(40)의 PC 화면 원격제어 및 파일전송 프로그램이 종료되면(단계 400), 단계 410에서는 상기 호스트 PC(20)의 오프(OFF) 방식을 결정하게 되고, 상기 호스트 PC(20)의 오프 방식이 스위치 릴레이 방식인 경우(단계 420)에는 단계 422로 진행하여 상기 게스트 PC(40)가 오프할 호스트 PC(20)의 선택정보 및 PC 오프요청정보를 중계기기(60) 측으로 송출하게 되고, 상기 중계기기(60)의 PC 온ㆍ오프 수신부(74)는 상기 게스트 PC(4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한 후(단계 424), 단계 426에서 상기 중계기기(60)의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76)는 스위치 릴레이(62)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PC(20) 마더보드(22)의 파워스위치 연결단자(24)를 통하여 소정의 전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계 428에서 상기 호스트 PC(20)는 인가된 전류신호에 의해 PC의 종료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410의 판단결과 상기 호스트 PC(20)의 오프(OFF) 방식이 WOL 방식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430에서 상기 호스트 PC(20)는 시스템 종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428 또는 단계 430에서 상기 호스트 PC(20)의 시스템 종료가 수행된 후에는 단계 440에서 상기 호스트 PC(20)의 DHCP 클라이언트는 IP 어드레스 해제하고, 그에 따라 단계 450에서 상기 중계기기(60)의 DHCP 서버부(82)는 상기 호스트 PC(20)의 IP 어드레스 해제시 호스트 PC의 오프상태 정보를 저장한 후 그 정보를 상기 게스트 PC(40) 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 단계 460에서 상기 중계기기(60)로부터 호스트 PC(20)의 오프완료 정보를 수신한 상기 게스트 PC(40)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종료시킴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60)를 통한 게스트 PC(40)의 호스트 PC(20) 원격제어에 관한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스트 PC(20)의 종료에 따른 PC 오프완료 정보를 송출한 상기 중계기기(60)는 다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호스트 PC 측에 연결한 후 원격지에 있는 개인용 PC나 노트북 컴퓨터 및 개인정보 단말기 등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기에 접속하므로서, 외부에서도 호스트 컴퓨터의 사용 환경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복잡한 인증과정 및 프로그램 설치작업 등을 해소할 수가 있어 기존의 PC 원격제어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계기기는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제어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원격제어에 따라 호스트 PC를 미리 온 시켜 놓아야만 하는 문제점을 극복함은 물론, 이에 따른 PC의 손상 및 전기의 소모 등을 방지하여 경제적으로도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또, 유동 IP 어드레스 사용환경에서도 중계기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매우 간편하게 접속하여 PC의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간편성, 신속성, 편리성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통하여 네트워크 산업상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PC의 내부에 장착하여 PC와 일체가 된 상태로 구성하므로서, 상기 중계기기가 일체로 구성된 PC의 사용자는 일반 PC와 차별화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이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욕구가 증대되어 PC의 판매자 측에는 매출 증대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0)

  1. 랜카드 및 원격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호스트 PC가 일정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호스트 PC와 이격된 원격지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게스트 PC(외부 PC, 노트북 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 등)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를 통해 호스트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호스트 PC에 연결되는 중계기기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로부터 IP 어드레스를 부여받아 설정하는 DHCP 클라이언트부와,
    상기 DHCP 클라이언트부가 할당받은 IP 어드레스를 PC 주소저장부 등에 저장시킨 후 상기 게스트 PC의 요구시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유동 IP 처리부와,
    TCP 소켓 데몬 대기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로부터의 연결요청이 들어오면 연결된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게스트 PC의 요청에 따라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PC 온ㆍ오프 수신부와,
    상기 PC 온ㆍ오프 수신부의 명령에 따라 소정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호스트 PC를 온ㆍ오프시키거나, 또는 WOL(Wake up on LAN) 신호를 연결된 호스트 PC들에게 브로드캐스팅 하여 상기 호스트 PC를 온ㆍ오프시키는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와,
    임의의 클라이언트 소켓으로부터 전송된 In/Out 네트웍 패킷들을 1:1 또는1:N으로 연계 전송하는 패킷 중계 처리부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모든 데이터들을 연결된 PC와 라우팅 하는 패킷 라우팅부 및,
    상기 호스트 PC의 구동시에 사설 IP를 분배해 주는 DHCP 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기에는
    PC 케이스의 파워 스위치 및 마더보드의 파워 스위치 연결단자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스위치 릴레이와,
    상기 마더보드에 결합된 랜카드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PC 네트웍 연결포트 및,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위한 인터넷 연결모뎀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WAN 연결 네트웍 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기는 일정 슬롯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 PC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PC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기는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부가 구성되어 상기 호스트 PC의 외부에 외장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5. 일정 장소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중계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계기기는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받는 후 저장하는 제 1과정과,
    원격지에 설치된 임의의 게스트 PC가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후 해당 IP 어드레스 정보를 받아 상기 중계기기에 접속하여 호스트 PC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게스트 PC로부터의 PC 온(ON) 정보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는 호스트 PC의 전원부을 구동시키고 가용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한편, 상기 호스트 PC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게스트 PC를 통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제 3과정 및,
    상기 게스트 PC와 호스트 PC의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게스트 PC의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호스트 PC의 DHCP 클라이언트는 IP 어드레스를 해제하고 그 상태정보를 중계기기 측으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 후 상기 중계기기는 PC 오프정보를 상기 게스트 PC 측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상기 중계기기의 DHCP 클라이언트부가 구동되어 상기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 측에 가용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업체(ISP)의 DHCP 서버가 가용 IP 어드레스를 검색한 후 검색된 IP 어드레스를 상기 중계기기 측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기의 유동 IP 처리부는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PC 주소저장부 측에 보고한 후 신호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임의의 게스트 PC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인터넷상의 PC 주소저장부에 접속하여 상기 중계기기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PC 주소저장부는 상기 게스트 PC의 인증과정을 거친 후 상기 중계기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 IP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상기 게스트 PC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게스트 PC는 전송된 IP 어드레스의 정보에 따라 중계기기에 접속하는 한편, 상기 중계기기는 DHCP 서버부의 정보에 따라 연결된 호스트 PC의 온ㆍ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게스트 PC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PC 상태를 수신한 게스트 PC는 그 상태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게스트 PC의 PC 온(ON) 요청정보가 상기 중계기기의 PC 온ㆍ오프 수신부에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기는 일정 신호를 발생시킨 후 상기 호스트 PC 측에 전송하여 상기 호스트 PC의 전원 및 DHCP 클라이언트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 PC의 DHCP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기의 DHCP 서버는 가용 IP 어드레스를 상기 호스트 PC측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호스트 PC는 PC화면 원격제어 및 파일전송 호스트 모듈을 구동시키고 그 상태를 상기 중계기기를 통해 게스트 PC 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PC의 상태를 수신한 게스트 PC는 그 상태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PC 화면 원격제어 및 파일전송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호스트 PC와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기를 통한 호스트 PC의 전원 구동방법은, 상기 중계기기의 PC온ㆍ오프 신호처리부가 일정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호스트 PC의 마더보드 파워스위치 단자를 제어하는 스위치 릴레이 방식이나, 또는 상기 중계기기의 PC 온ㆍ오프 신호처리부가 해당 호스트 PC의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매직 패킷신호를 브로드캐스팅시키는 WOL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에서 스위치 릴레이 방식의 경우는, 상기 게스트 PC의 화면 원격제어 및 파일전송 프로그램 종료에 따라 PC 오프정보를 중계기기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기의 PC 온ㆍ오프 신호 수신부는 수신된 정보를 PC 온ㆍ오프 처리부로 전송하여 일정 전류신호가 상기 호스트 PC 마더보드의 파워 스위치 단자에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신호에 따라 상기 호스트 PC는 종료 프로세스를 수행함과 더불어 DHCP 클라이언트는 IP 어드레스를 해제하고 그 정보를 중계기기의 DHCP 서버부로 전송하여 그 상태가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기가 호스트 PC의 오프정보를 상기 게스트 PC 측으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게스트 PC는 그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KR10-2003-0041451A 2003-06-25 2003-06-25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KR10049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451A KR100494429B1 (ko) 2003-06-25 2003-06-25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451A KR100494429B1 (ko) 2003-06-25 2003-06-25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870A true KR20050000870A (ko) 2005-01-06
KR100494429B1 KR100494429B1 (ko) 2005-06-10

Family

ID=3721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451A KR100494429B1 (ko) 2003-06-25 2003-06-25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468A (ko) *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관리 모뎀 및 그 방법
KR100777811B1 (ko) * 2006-05-09 2007-11-26 (주)엘스윈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1117257B1 (ko) * 2009-12-31 2012-03-16 이상훈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5076454A1 (ko) * 2013-11-22 2015-05-28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운용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824B1 (ko) 2008-08-11 2013-09-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기능 제어 시스템 및 단말기능 제어 방법
KR101022514B1 (ko) * 2008-09-22 2011-03-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 원격 부팅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468A (ko) *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관리 모뎀 및 그 방법
KR100777811B1 (ko) * 2006-05-09 2007-11-26 (주)엘스윈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1117257B1 (ko) * 2009-12-31 2012-03-16 이상훈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5076454A1 (ko) * 2013-11-22 2015-05-28 주식회사 쏠리드 중계기 운용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서버
US9906490B2 (en) 2013-11-22 2018-02-27 Solid, Ltd. Relay managing method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serv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429B1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3095B (zh) 便携式存储接口
US7685257B2 (en) Portable thin client for the enterprise workspace
KR101111906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4495410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801151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b Based Storage on Demand
KR100369318B1 (ko) 가정 자동화를 위한 홈 네트웍 룸 브릿지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00262681A1 (en) Remote wake-up method, host to be remotely awaked, and wake-up management server
JP20072338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割当管理方法
CN106506174A (zh) 用于远程设备的控制方法、远程服务器及远程设备
KR100494429B1 (ko) Pc 원격구동을 위한 중계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원격제어방법
TW5542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n autonomous subsystem in a computer based system without involvement of the main operating system
CN111031520A (zh) 一种基板管理控制器监测管理装置
CN104639607A (zh) 远程控制方法和路由器
CN103608771B (zh) 对本地设备的共享访问
KR100502612B1 (ko)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usb 기기 및 그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CN109753472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839101A (zh) 一种设备远程开关机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2201921A (zh) 公共设备、公共设备电力控制系统及其方法
KR100884271B1 (ko)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서비스 방법
KR100457513B1 (ko) 네트웍 문서출력장치의 운용방법
CN101995932A (zh) 计算机主板
KR100289188B1 (ko) 브랜치프로세서의단말기기제어방법및장치
JP4146426B2 (ja) コンピュータ・リソース利用方法および小型電子機器
KR20040086137A (ko) 컴퓨터 네트웍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원격제어방법 및원격제어시스템
JP2020155981A (ja) 通信接続設定装置、通信接続設定システム、通信接続設定方法、及び、通信接続設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