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66Y1 -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66Y1
KR200497966Y1 KR2020230001815U KR20230001815U KR200497966Y1 KR 200497966 Y1 KR200497966 Y1 KR 200497966Y1 KR 2020230001815 U KR2020230001815 U KR 2020230001815U KR 20230001815 U KR20230001815 U KR 20230001815U KR 200497966 Y1 KR200497966 Y1 KR 200497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input unit
output uni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동
전호철
전병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2020230001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1Relays in which the armature is maintained in one position by a permanent magnet and freed by energisation of a coil producing an opposing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정전 상태가 복원되었을 때 외부에서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복수의 장치들 각각으로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복수의 전원출력부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자동연결 방지장치는, 전원입력부와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교류전원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간 연결을 제어하는 전원연결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DEVICE FOR AVOIDING AUTO-CONNECTION OF POWER WHEN POWER RESTORING OF MILITARY NETWORKS}
본 고안은 정전 복원 시 외부에서 재 입력된 전원이 군용 네트워크 설비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또는 서버 등과 같은 정보통신장치들을 이용하여 국방 인트라넷 등과 같은 군용 네트워크 설비를 구축하는 경우에,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관리를 위한 관리자를 배치함과 함께 네트워크의 동작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추가로 구축된다.
예컨대, 정보통신장치들은 고온이나 저온에서 동작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설비에는 정보통신장치들의 동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가 추가로 구축된다.
또한, 예기치 못한 정전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정보통신장치들 또는 냉난방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설비에는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또는 비상발전기 등이 추가로 구축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설비에 추가된 UPS나 비상발전기는, 정전이 발생되었을 때 관리자가 네트워크 설비의 정보통신장치들 또는 냉난방장치를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로서 UPS나 비상발전기를 통해 정전 상황을 완전히 극복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네트워크 설비의 관리자는 정전 발생으로 인한 전원공급 중단을 빠르게 인지하여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수행해야 한다.
한편, 최근의 정전 발생은 그 지속시간이 길지 않고, 대부분 빠르게 복원되므로, 관리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정전 상태가 복원되면, 네트워크 설비에 복수의 장치들에 전원이 재 공급되어 장치의 재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의 정보통신장치들은 정전 상태 복원 시 재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는 대부분 버튼을 눌러 동작되는 형태이므로, 정전 상태 복원에 따라 전원이 재 공급되더라도 자동으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상태의 복원을 네트워크 설비의 관리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정보통신장치들의 동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가 정상 동작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군용 네트워크 설비에서 정보통신장치들의 고장 발생 등과 같은 동작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정전 상태가 복원되었을 때 외부에서 군용 네트워크 설비로 재 입력되는 전원이 출력부를 통해 컴퓨터나 냉방장치 등의 외부장치와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는,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교류전원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간 연결을 제어하는 전원연결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연결제어부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가 연결되도록 동작되는 전원릴레이; 상기 전원입력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교류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상기 상태표시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의 정전 복원 상태가 표시된 후, 외부 압력에 의해 턴-온(turn-on)되어 상기 전원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상태를 표시하는 제1LED: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제2LED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전 복원 상태는, 상기 제1LED가 점등되고, 상기 제2LED가 소등된 상태로 표시된다.
본 고안의 자동연결 방지장치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릴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장치에 의한 과부하 시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전원릴레이로 제공되는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전원차단기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차단상태를 표시하는 제3LED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전 복원 상태는, 상기 제1LED 및 상기 제3LED 각각이 점등되고, 상기 제2LED가 소등된 상태로 표시된다.
상기 전원릴레이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및 상기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동안에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제어 스위치는, 상기 정전 복원 상태가 표시된 후, 상기 구동코일에 상기 교류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칭 동작된다.
본 고안은 정전 상태가 복원되어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이 재 입력될 때 전원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입력부와 복수의 전원출력부 각각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전원출력부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일 시점에 동작되도록 하여 군용 네트워크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운용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태표시부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관리자가 상태표시부를 통해 복수의 장치의 과부하에 의한 전원 차단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장치들의 운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군용 네트워크 설비에서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연결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릴레이와 동작제어 스위치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군용 네트워크 설비에서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100)는 전원입력부(110), 전원연결제어부(120),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연결 방지장치(1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전원(10)과 군용 네트워크 설비, 예컨대 복수의 외부장치(200, 300)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 상태가 복원되어 교류전원(10)이 재 인가될 때 상기 교류전원(10)이 복수의 외부장치(200, 300)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교류전원(10)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각각은 제1외부장치(200) 및 제2외부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각각은 전원입력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을 각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는 군용 네트워크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로, 각각이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외부장치(200)는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보통신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스위치 등일 수 있으며, 제1전원출력부(130)로부터 교류전원(10)이 출력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시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외부장치(300)는 전술된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제1외부장치(200)의 동작 안정성을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예를 들어 냉방장치, 난방장치, 습도조절장치 등일 수 있으며, 제2전원출력부(140)에서 교류전원(10)이 출력되면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동작을 시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는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운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동작되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의 자동연결 방지장치(100)는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특정한 상황, 예컨대 정전 복원 시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또는 전원입력부(110)와 제2전원출력부(140)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원연결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제어부(120)는 전원입력부(110),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교류전원(10)의 상태에 기초하여 전원입력부(110)와 복수의 전원출력부(130, 140) 간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연결제어부(120)는 전원입력부(110)의 교류전원(10) 입력상태 또는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의 교류전원(10) 출력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또는 전원입력부(110)와 제2전원출력부(140)의 연결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자동연결 방지장치(100)는 특정 상황, 예컨대 정전 상태가 복원된 경우에, 전원연결제어부(120)에 의해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전원입력부(110)와 제2전원출력부(140)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재 구동되도록 하여 장치 운용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원연결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전원릴레이와 동작제어 스위치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원연결제어부(120)는 전원차단기(121), 전원릴레이(123), 상태표시부(125) 및 동작제어 스위치(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차단기(121)는 일측이 전원입력부(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릴레이(1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차단기(121)는 제1전원출력부(130)에 연결된 제1외부장치(200) 또는 제2전원출력부(140)에 연결된 제2외부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될 경우에,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을 차단하여 상기 교류전원(10)이 제1전원출력부(130) 또는 제2전원출력부(14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릴레이(123)는 일측이 전원차단기(1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릴레이(123)는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가 연결되도록 동작되어 전원입력부(110)에서 전원차단기(121)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이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릴레이(123)는 후술될 상태표시부(125)에 따른 동작제어 스위치(127)의 동작에 따라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릴레이(123)는 제1스위치(SW1), 제2스위치(SW2) 및 구동코일(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는 구동코일(124)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턴-온되어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전원입력부(110)와 제2전원출력부(14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전원입력부(110)에서 전원차단기(121)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이 전원릴레이(123)에 의해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각각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는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도선, 예컨대 전력선(미도시) 및 중립선(미도시) 각각에 연결되어 소정 크기의 교류전원(10)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는 접지선(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입력부(110)는 전력선, 중립선 및 접지선을 통해 외부의 교류전원(10)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접지선은 전원입력부(110)에서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력선 및 중립선 각각은 전원연결제어부(120)를 통해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원릴레이(123)는 전력선 및 중립선 각각에 연결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전원차단기(121)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을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코일(124)은 후술될 동작제어 스위치(127)에 의해 교류전원(10)을 제공받아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코일(124)은 교류전원(10)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이용하여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턴-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코일(124)은 교류전원(10)이 제공되는 동안에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의 턴-온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태표시부(125)는 전원연결제어부(120)로 입력되거나 또는 출력되는 교류전원(10)의 상태를 외부, 예컨대 제1외부장치(200) 및 제2외부장치(3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표시부(125)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예컨대 제1LED(125a), 제2LED(125b) 및 제3LED(125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LED(125a) 내지 제3LED(125c)의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에 따른 점등 및 소등에 따라 교류전원(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표시부(125)의 제1LED(125a)는 전원입력부(110)와 전원차단기(12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LED(125a)는 외부로부터 전원입력부(110)를 통한 교류전원(10)의 입력상태에 따라 턴-온되어 점등되거나 또는 턴-오프되어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상태표시부(125)의 제2LED(125b)는 전원릴레이(123)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LED(125b)는 전원릴레이(123)를 통한 교류전원(10)의 출력상태에 따라 턴-온되어 점등되거나 또는 턴-오프되어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상태표시부(125)의 제3LED(125c)는 전원차단기(1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3LED(125c)는 전원차단기(121)의 동작에 따라 턴-온되어 점등되거나 또는 턴-오프되어 소등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상태표시부(125)는 복수의 LED(125a, 125b, 125c)의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 아래 [표 1]과 같이, 전원연결제어부(120)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교류전원(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1LED 제2LED 제3LED 교류전원 상태
점등여부 정상
X X X 정전
X X 과부하
X 정전 복원
동작제어 스위치(127)는 상태표시부(125)의 교류전원(10) 상태 표시결과에 따라 전원릴레이(1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전원릴레이(123)는 동작제어 스위치(127)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 각각에 교류전원(10)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제어 스위치(127)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인가될 때 소정시간 턴-온될수 있는 푸시(push) 버튼 또는 터치(touch) 버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동작제어 스위치(127)에 의한 전원릴레이(123)의 동작제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자동연결 방지장치(100)의 최초 동작 시 외부 압력에 의해 동작제어 스위치(127)가 소정 시간 턴-온될 수 있다.
이에, 외부로부터 전원입력부(110)에 입력된 교류전원(10)은 전원차단기(121)를 통해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에 제공되고, 구동코일(124)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릴레이(123)의 턴-온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에 의해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전원입력부(110)와 제2전원출력부(140)가 연결되어 교류전원(10)이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 각각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은 턴-온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에 의해 교류전원(10)이 계속 인가되므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릴레이(123)를 통해 전원입력부(110)와 제1전원출력부(130) 및 제2전원출력부(140)가 연결되어 교류전원(10)이 제공되므로, 상태표시부(125)의 제1LED(125a), 제2LED(125b) 및 제3LED(125c)가 모두 점등될 수 있다.
이에,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상태표시부(125)의 모든 LED가 점등된 것을 확인하여 교류전원(10) 입력상태가 정상 상태임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제1외부장치(200) 및 제2외부장치(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정전 등의 상황이 발생되어 전원입력부(110)에 교류전원(10)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태표시부(125)의 제1LED(125a)가 소등되고, 전원차단기(121)가 오프(off)되어 제3LED(125c) 역시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에 교류전원(10)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턴-오프되고, 이로 인해 상태표시부(125)의 제2LED(125b)가 소등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상태표시부(125)의 모든 LED가 소등된 것을 확인하여 정전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 상태가 복원되면, 전원입력부(110)로 재 입력된 교류전원(10)에 의해 전원차단기(121)가 동작될 수 있다. 이에, 상태표시부(125)의 제1LED(125a)와 제3LED(125c)가 점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에는 턴-오프 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에 의해 전원차단기(121)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태표시부(125)의 제2LED(125b)는 이전상태, 즉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상태표시부(125)의 LED 점등 및 소등상태를 확인하여 정전 복원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정전 상태로 인해 동작이 중단된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의 재 구동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표시부(125)에 의해 정전 복원 상태가 표시되면, 동작제어 스위치(127)는 외부 압력에 의해 소정 시간 턴-온될 수 있다. 이에,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에는 턴-온된 동작제어 스위치(127)에 의해 전원차단기(121)를 통해 제공되는 교류전원(10)이 인가되고, 그로 인해 소정의 자력을 발생시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를 턴-온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은 턴-온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에 의해 교류전원(10)을 계속 제공받으므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상태표시부(125)의 제2LED(125b)가 점등되고, 관리자는 상태표시부(125)의 모든 LED가 점등된 것을 확인하여 제1외부장치(200) 및 제2외부장치(300)가 재 구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태표시부(125)를 통해 정상 상태, 즉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제1전원출력부(130)와 제2전원출력부(140)에 교류전원(10)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제1외부장치(200) 또는 제2외부장치(300)의 과부하로 인한 과전류가 발생되면, 전원차단기(121)가 오프되어 전원입력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10)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태표시부(125)에서는 제1LED(125a)를 제외한 제2LED(125b)와 제3LED(125c)가 소등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상태표시부(125)의 LED 점등 및 소등상태를 확인하여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제1외부장치(200)와 제2외부장치(300)의 재 구동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표시부(125)에 의해 과부하 상태가 표시되면, 관리자에 의해 제1외부장치(200) 또는 제2외부장치(300)의 과부하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이에, 전원차단기(121)가 재 동작하여 상태표시부(125)의 제3LED(125c)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 스위치(127)는 외부 압력에 의해 소정 시간 턴-온되고, 이를 통해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에 교류전원(10)이 인가되어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전원릴레이(123)의 구동코일(124)은 턴-온된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에 의해 제공되는 교류전원(10)에 의해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상태표시부(125)의 제2LED(125b)가 점등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태표시부(125)의 모든 LED가 점등된 것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제1외부장치(200) 및 제2외부장치(300)가 재 구동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연결 방지장치(100)는 정전 상태가 복원되어 외부로부터 교류전원(10)이 재 입력될 때 전원릴레이(123)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입력부(110)와 복수의 전원출력부(130, 140) 각각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전원출력부(130, 140)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장치(200, 300)가 실질적으로 동일 시점에 동작되도록 하여 장치 운용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태표시부(125)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교류전원(10)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상태표시부(125)를 통해 복수의 외부장치(200, 300)의 과부하에 의한 전원 차단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장치 운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교류전원
100: 자동연결 방지장치
110: 전원입력부
120: 전원연결제어부
121: 전원차단기
123: 전원릴레이
125: 상태표시부
127: 동작제어 스위치
130: 제1전원출력부
140: 제2전원출력부
200: 제1외부장치
300: 제2외부장치

Claims (5)

  1. 정전 복원 시 재 입력된 전원이 군용 네트워크 설비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로,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군용 네트워크 설비 중 서로 다른 동작 특성을 갖는 제1장치 및 제2장치 각각으로 출력하는 제1전원출력부 및 제2전원출력부;
    상기 교류전원이 상기 제1전원출력부 및 상기 제2전원출력부 각각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전원출력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2전원출력부를 각각 연결하는 전원릴레이;
    상기 전원입력부로의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 상태, 상기 제1전원출력부 및 상기 제2전원출력부 각각에서의 상기 교류전원의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및
    외부에서 발생된 정전 상태가 복원되어 상기 상태표시부를 통해 정전 복원 상태가 표시되면, 외부 압력에 의해 턴-온(turn-on)되어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전원출력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2전원출력부가 동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원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상태를 표시하는 제1LED: 및
    상기 제1전원출력부 및 상기 제2전원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제2LED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 복원 상태는,
    상기 제1LED가 점등되고, 상기 제2LED가 소등된 상태로 표시되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릴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장치 및 상기 제2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과부하 시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전원릴레이로 제공되는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전원차단기에 연결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차단상태를 표시하는 제3LE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 복원 상태는,
    상기 제1LED 및 상기 제3LED 각각이 점등되고, 상기 제2LED가 소등된 상태로 표시되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릴레이는,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1전원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1스위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제2전원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교류전원이 제공되는 동안에,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 각각이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제어 스위치는,
    상기 정전 복원 상태가 표시된 후 턴-온되어, 상기 구동코일에 상기 교류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KR2020230001815U 2023-08-29 2023-08-29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KR200497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815U KR200497966Y1 (ko) 2023-08-29 2023-08-29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815U KR200497966Y1 (ko) 2023-08-29 2023-08-29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66Y1 true KR200497966Y1 (ko) 2024-04-29

Family

ID=9086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815U KR200497966Y1 (ko) 2023-08-29 2023-08-29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6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496U (ko) * 1995-12-07 1997-07-31 엘지반도체주식회사 순간 정전 보상 회로
KR200343076Y1 (ko) * 2003-12-05 2004-02-25 정영세 전원 자동 절체 장치
KR20100012198A (ko) * 2008-07-28 2010-02-08 강차원 상용전원 우선절체 동작 시 노 딜레이를 갖는 전원자동절체장치
KR20150105862A (ko) * 2014-03-10 2015-09-18 주식회사 펠코리아 전원 절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496U (ko) * 1995-12-07 1997-07-31 엘지반도체주식회사 순간 정전 보상 회로
KR200343076Y1 (ko) * 2003-12-05 2004-02-25 정영세 전원 자동 절체 장치
KR20100012198A (ko) * 2008-07-28 2010-02-08 강차원 상용전원 우선절체 동작 시 노 딜레이를 갖는 전원자동절체장치
KR20150105862A (ko) * 2014-03-10 2015-09-18 주식회사 펠코리아 전원 절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838A (en)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power sharing control arrangement
US78888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load center circuits with an auxiliary power source
US78344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load center circuits with an auxiliary power source
US6608403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AC redundant power sources and DC redundant power supplies
US7834560B2 (en) Dimming system powered by two current sources and having an operation indicator module
CN102820638A (zh) 一种过流保护装置及电子设备
KR200497966Y1 (ko) 군용 네트워크 설비의 정전 복원 시 전원의 자동연결 방지장치
CN103683465A (zh) 自动转换开关装置
CN111106595B (zh) 电源的过温保护电路、方法及系统
US9537316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a multi-phase power supply
US6650028B1 (en) Dual isolated input power supply
US20150346808A1 (en) Start-up architecture of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WO2017083034A1 (en) Battery back up lamp using ac wiring activation
KR100543427B1 (ko) 누전시 점호회로 차단기능을 내장한 조광 제어 장치
KR20190104506A (ko)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KR20080049209A (ko) 무정전 전원장치의 입력지연회로
CN217333152U (zh) 冷却器控制装置
TW201415763A (zh) 隔離式備援電力控制系統
CN211479072U (zh) 可控制多台服务器自动开关机的ups电源附加装置
KR20120086557A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및 그 분배전반의 중성선 대체방법
CN213367413U (zh) 一种电气控制结构
CN214504181U (zh) 一种电源切断控制装置以及用电设备
KR101246886B1 (ko) 중성선 보호 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20020052496A (ko) 전원공급 자동 전환장치 및 방법
CN216649307U (zh) 一种智能供电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