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64Y1 -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64Y1
KR200497864Y1 KR2020230001551U KR20230001551U KR200497864Y1 KR 200497864 Y1 KR200497864 Y1 KR 200497864Y1 KR 2020230001551 U KR2020230001551 U KR 2020230001551U KR 20230001551 U KR20230001551 U KR 20230001551U KR 200497864 Y1 KR200497864 Y1 KR 200497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protrusion
longitudinal direc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찬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이형찬
이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찬, 이경철 filed Critical 이형찬
Priority to KR202023000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형 등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 상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부(1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수평부(112)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1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이 홈부(114)사이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1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는 프레임(110);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수평부(112)의 상면, 하면에 모두 부착되거상기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112)의 상면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120); 및
상향(上向)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32) 및 돌기부(134)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Assembly for lighing device of ceiling}
본 고안은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에 결합하거나 매입한 케이스에 광원을 설치한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프레임의 수평부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가 조명등기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내 조명등으로서 상자 형상으로 된 케이스를 천장에 결합하거나 매입하여 설치하고, 이 케이스에 형광등과 같은 광원을 설치한 천장 등기구, 이른바 천장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등은 케이스의 실내 측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부드러운 실내 조명을 위해 광확산판이나 광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이 설치되는 예도 있다.
근래에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등이 주목받고 있는데, 엘이디 조명장치는 복수의 엘이디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백열등, 할로겐 등과 같은 광원에 비하여 소형이고 수명이 길며 효율이 높고 빠르게 응답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엘이디 조명등 중 방향성이 요구되는 조명등은 렌즈유닛과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엘이디 소자에서 나오는 빛에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원하는 조사영역에 조사되도록 하며, 방향성이 요구되지 않는 엘이디 조명등은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표적인 일 예가 평판형 엘이디 조명등이며, 이러한 엘이디 조명등은 확산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frame)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천장에 설치되는 면광원 형태의 종래 조명기기는 통상 알루미늄 재질을 갖는 4개의 측면 프레임의 각 단부 즉, 모서리부에 홀을 가공한 후 사각형태로 조립하되, 가공된 홀에는 확산판이 별도 구성의 고정용 캡(cap)으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프레임의 각 단부를 역시 별도 구성의 모서리부재를 통해 결합시켜 대략 사각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확산판은 빛을 산란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LED 조명등은 확산판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프레임(frame)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조명기기는 캡을 이용한 고정방식의 경우, 조립방식이 복잡하여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립 비용이 높으며, 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통해서만 광이 확산되므로 광의 확산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서리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측면 프레임과 모서리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측면 프레임과 모서리부재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 및 조립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고정을 위한 고정볼트가 프레임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등기구 바디 구조물이 필요하게 되는 바, 상기 바디를 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조사형 조명등기구용 보강부재가 선보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프레임을 다양한 각도로 절곡하여 구성하되, 절곡된 부위의 모서리 부분에는 프레임의 탄성복원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보강부재(50)를 결합함으로써 모서리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강부재(50)는 조명등기구의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부(42)에 결합되는 절곡부(51)와, 이 절곡부의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조명등기구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강부재(50)는 합성수지제 사출물로서 조명등기구의 모서리에 구비된 절개부(42)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안착시켜야 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보강부재(50)의 안착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을 경우, 보강부재(50)가 조명등기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89540호(2019.06.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69726호(2011.1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33246호(2015. 07. 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53855호(2015. 09. 1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23-0000220호(2023. 01. 27)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프레임의 수평부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가 조명등기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 상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부(1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수평부(112)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1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이 홈부(114)사이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1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는 프레임(110);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수평부(112)의 상면, 하면에 모두 부착되거상기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112)의 상면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120); 및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32) 및 돌기부(134)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 상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2단 형태의 수평부(2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수평부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2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이 홈부(214) 사이에는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2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는 프레임(210);
상기 홈부(214) 및 돌기부(2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220); 및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32) 및 돌기부(134)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홈부(214) 및 돌기부(2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서로 밀접된 상태에서 이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하거나,
상기 프레임(210)의 홈부(214) 및 돌기부(2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임(110)의 수평부(112)에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112)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상,하면에 모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120) 또는 프레임(210)의 일측면 상단에서 상기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2단 형태의 수평부(212)에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홈부(214) 및 돌기부(2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상,하면에 모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220)를 통해 상기 홈부(114)(214) 및 돌기부(116)(216)가 상기 프레임(110)(2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구조물을 수작업으로 안착시키는 불편함이 없이 프레임(110)(2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둘째, 상기 홈부(114)(214) 및 돌기부(116)(216)와 매칭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상기 팽창감소부재(120)(220)와 함께 상기 홈부(114)(214) 및 돌기부(116)(216)가 상기 프레임(110)(2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조명등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등기구에 있어서의 보강부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것으로서,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며, 일측면(내측면) 상단에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112)에 대략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1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홈부(114)사이에는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1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프레임(110)이 절곡된 상태에서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부(112)의 상면에 팽창감소부재(120)가 부착되어지되, 이 팽창감소부재는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수평부(112)의 상면, 하면에 모두 부착되거나, 수평부(112)의 상,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팽창감소부재(120)는 프레임(110)의 절곡된 부위에서 홈부(114) 및 돌기부(116)를 모두 가리도록 구비되어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여서 프레임(1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하며, 별도의 부착 공정을 회피하기 위해 수평부(11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이 절곡된 상태에서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서로 밀접된 상태이며, 이 경우 별도의 팽창감소부재(120)를 부착하지 않고,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30)가 상기한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매칭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지되, 이 연결부재(130)는 상향(上向)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일측(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32) 및 돌기부(134)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연결부재(130)가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끼우거나 분리시킴에 따라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연결부재(130)는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끼우는 경우 상기한 팽창감소부재(120)와 함께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여서 프레임(1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하다.
이때,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팽창감소부재(120)를 부착하지 않고,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한 후에 연결부재(130)를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매칭되게끔 착탈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110)의 수평부(112)에 대략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14-1)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홈부(114-1)사이에는 대략 삼각 형태를 갖는 돌기부(116-1)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홈부(114-1) 및 돌기부(116-1)가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즉, 도 9에 도시된 홈부(114-1)는 도 6에 도시된 'ㄷ'자 단면 형태외에 삼각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도 9에 도시된 돌기부(116-1) 또한 도 6에 도시된 'ㄷ'자 단면 형태외에 삼각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 도면에는 도시가 되지 않았으나 1쌍의 사선이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서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등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프레임(110)이 절곡된 상태에서 홈부(114-1) 및 돌기부(116-1)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부(112)의 상면에 팽창감소부재(120)가 부착되어지되, 이 팽창감소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부(112)의 상면, 하면에 모두 부착되거나, 수평부(112)의 상,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팽창감소부재(120)는 프레임(110)의 절곡된 부위에서 홈부(114-1) 및 돌기부(116-1)를 모두 가리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110)의 수평부(112)에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홈부(114)와 돌기부(1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부(112)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상,하면에 모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120)를 통해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과정에서 도 2의 보강부재(50)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수작업으로 안착시키는 불편함이 없이 프레임(1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팽창감소부재(120)가 조명등기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매칭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상기한 팽창감소부재(120)와 함께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210)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것으로서, 상기한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며, 일측면(내측면) 상단에서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2단 형태의 수평부(212)에 대략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2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홈부(214)사이에는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2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홈부(214) 및 돌기부(216)가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프레임(210)이 절곡된 상태에서 홈부(214) 및 돌기부(2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부(212)의 상면에 팽창감소부재(220)가 부착되어지되, 이 팽창감소부재(220)는 수평부(212)의 상면, 하면에 모두 부착되거나, 수평부(212)의 상,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팽창감소부재(220)는 프레임(210)의 절곡된 부위에서 홈부(214) 및 돌기부(216)를 모두 가리도록 구비되어 홈부(214) 및 돌기부(216)가 프레임(2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여서 프레임(2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하며, 이 또한 별도의 부착 공정을 회피하기 위해 수평부(21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홈부(214) 및 돌기부(216)에 상기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130)가 상기한 홈부(214) 및 돌기부(216)와 매칭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가능하며, 이러한 연결부재(130)는 프레임(210)의 홈부(214) 및 돌기부(216)에 끼우는 경우 홈부(214) 및 돌기부(216)가 프레임(2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여서 프레임(2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프레임(210)의 수평부(212)에 대략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214-1)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 홈부(214-1)사이에는 대략 삼각 형태를 갖는 돌기부(216-1)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홈부(214-1) 및 돌기부(216-1)가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즉, 도 13에 도시된 홈부(214-1) 및 돌기부(216-1)는 'ㄷ'자 단면 형태외에 삼각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 도면에는 도시가 되지 않았으나 1쌍의 사선이 서로 마주 보는 형태로서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등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210)의 내측면 상단에서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2단 형태의 수평부(212)에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홈부(214)와 돌기부(2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부(212)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상,하면에 모두 구비된 팽창감소부재(220)를 통해 홈부(214) 및 돌기부(216)가 프레임(2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과정에서 도 2의 보강부재(50)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수작업으로 안착시키는 불편함이 없이 프레임(210)의 탄성복원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팽창감소부재(220)가 조명등기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214) 및 돌기부(216)와 매칭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통해 상기한 팽창감소부재(220)와 함께 홈부(214) 및 돌기부(216)가 프레임(210)의 각 모서리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프레임 조립체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좌측 그림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의 수평부(112)에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3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 홈부(314) 사이에는 대략 'V'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3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에 따라 홈부(314) 및 돌기부(316)가 연속으로 반복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 14의 우측 그림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이 절곡된 상태에서 홈부(314) 및 돌기부(316)가 서로 밀착되어 일자 형태로 겹쳐진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 별도의 팽창감소부재(120)(220)(320)를 부착하지 않고, 홈부(314) 및 돌기부(316)에 상기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홈부(314) 및 돌기부(316)가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별도로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프레임(110)의 수평부(112)에 평면에서 보아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를 형성함에 따라 프레임(110)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손쉽게 구부러져 절곡된 상태에서 이 홈부가 밀착되어 일자 형태로 겹쳐진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별도의 팽창감소부재(120)(220)(320)를 부착하지 않고, 상기 홈부에 상기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홈부가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프레임 조립체 110 : 프레임
112 : 수평부 114,132 : 홈부
116,134 : 돌기부 120,220,320 : 팽창감소부재
130 : 연결부재

Claims (5)

  1. 일측면 상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부(1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12)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1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홈부(114) 사이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1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는 프레임(110);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상기 홈부(114) 및 돌기부(1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112)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절곡된 부위에서 상기 홈부(114) 및 돌기부(116)를 모두 가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홈부(114) 및 돌기부(116)가 상기 프레임(110)의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팽창감소부재(120); 및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32) 및 돌기부(134)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프레임(110)의 홈부(114) 및 돌기구(116)가 서로 밀접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114) 및 돌기부(1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110)의 수평부(112)에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3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홈부(314) 사이에 'V'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3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홈부(314) 및 돌기부(3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일측면 상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2단 형태의 수평부(21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212)에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홈부(21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홈부(214) 사이에는 'ㄷ'자 단면 형태를 갖는 돌기부(216)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프레임 조립체(100)의 모서리 부분에서 절곡되는 프레임(210);
    상기 홈부(214) 및 돌기부(216)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210)의 절곡된 부위에서 상기 홈부(214) 및 돌기부(216)를 모두 가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홈부(214) 및 돌기부(216)가 상기 프레임(210)의 절곡된 부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팽창감소부재(220); 및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삼각 형태를 갖는 홈부(132) 및 돌기부(134)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210)의 홈부(214) 및 돌기부(2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프레임(210)의 홈부(214) 및 돌기부(21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5. 삭제
KR2020230001551U 2023-07-25 2023-07-25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KR200497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551U KR200497864Y1 (ko) 2023-07-25 2023-07-25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551U KR200497864Y1 (ko) 2023-07-25 2023-07-25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64Y1 true KR200497864Y1 (ko) 2024-03-19

Family

ID=9047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551U KR200497864Y1 (ko) 2023-07-25 2023-07-25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64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26B1 (ko) 2011-01-28 2011-10-04 탑라이팅 주식회사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등기구 바디 프레임
KR20140002874A (ko) * 2012-06-28 2014-01-09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533246B1 (ko) 2014-11-06 2015-07-03 (주) 코콤 조명기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53855B1 (ko) 2014-11-11 2015-09-18 (주) 코콤 조명기기
KR101989540B1 (ko) 2019-02-01 2019-06-14 이경철 라운드 형상의 측면조사형 조명등기구
KR102193121B1 (ko) * 2019-09-24 2020-12-18 이경철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곡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명등기구
KR20230000375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엠엘비에스 트러블 방지 기능을 가지는 엣지형 면발광 장치 및 면발광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외곽 프레임의 제조방법
KR20230000220U (ko) 2021-07-20 2023-01-27 이영규 조명등기구의 프레임 모서리 보강용 구조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26B1 (ko) 2011-01-28 2011-10-04 탑라이팅 주식회사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등기구 바디 프레임
KR20140002874A (ko) * 2012-06-28 2014-01-09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533246B1 (ko) 2014-11-06 2015-07-03 (주) 코콤 조명기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53855B1 (ko) 2014-11-11 2015-09-18 (주) 코콤 조명기기
KR101989540B1 (ko) 2019-02-01 2019-06-14 이경철 라운드 형상의 측면조사형 조명등기구
KR102193121B1 (ko) * 2019-09-24 2020-12-18 이경철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곡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명등기구
KR20230000375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엠엘비에스 트러블 방지 기능을 가지는 엣지형 면발광 장치 및 면발광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외곽 프레임의 제조방법
KR20230000220U (ko) 2021-07-20 2023-01-27 이영규 조명등기구의 프레임 모서리 보강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1368B2 (en) Edge-lit light guide panel
US20100220497A1 (en) Luminaire having floating luminous light source
US8439550B2 (en) Frame connecting member and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fabricated by using the same
KR101989540B1 (ko) 라운드 형상의 측면조사형 조명등기구
KR102193121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곡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명등기구
KR101143344B1 (ko) 천장매입형 다운라이트 조명기구
KR102188325B1 (ko) 엣지형 직하등의 천장 결합구조
JP5723539B2 (ja) 高効率照明装置
KR102117794B1 (ko) Led조명등
KR102018796B1 (ko) 보강된 프레임 연결부를 갖는 평판형 엣지 조명등
KR200497864Y1 (ko) 천장 등기구용 프레임 조립체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KR101502576B1 (ko) 눈부심 방지 엘이디 조명등기구
KR20230000220U (ko) 조명등기구의 프레임 모서리 보강용 구조체
KR200480130Y1 (ko) 등기구
KR20170006083A (ko) 조명기구용 확산 커버 고정 구조
KR200469695Y1 (ko) 평판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87785Y1 (ko) 천정 등기구 프레임
KR101128769B1 (ko) 루버형 매입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65487B1 (ko) 조명등의 전선 고정스토퍼
KR102049325B1 (ko)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평판형 엣지 조명등
CN210567749U (zh) 防眩光教室用线形灯
KR102387800B1 (ko) 평판형 조명장치
KR102136964B1 (ko) Led 평판 천장등
JP2020140815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