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31Y1 - 식기 건조 매트 - Google Patents

식기 건조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31Y1
KR200497831Y1 KR2020220001680U KR20220001680U KR200497831Y1 KR 200497831 Y1 KR200497831 Y1 KR 200497831Y1 KR 2020220001680 U KR2020220001680 U KR 2020220001680U KR 20220001680 U KR20220001680 U KR 20220001680U KR 200497831 Y1 KR200497831 Y1 KR 20049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mat
drying
mat
length
suppor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103U (ko
Inventor
민보현
Original Assignee
민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보현 filed Critical 민보현
Priority to KR2020220001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31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측에 물체가 지지되는 제1 건조매트; 상기 제1 건조매트의 일 측에 나란히 연결되는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일 측에 나란히 연결되는 제3 건조매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건조매트에는, 상기 제1 건조매트와 상기 제2 건조매트와 3건조매트가 서로 연결되는 가로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리브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지지리브 복수개는 서로 평행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각각에는,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리브 및 제3 지지리브 각각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 각각은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하여, 공간의 사이즈나 식기류의 양에 따라 3개의 매트를 펼쳐서 사용할 수도 있고, 3개의 매트를 와전히 접어서 1단 매트의 형태로 컴팩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건조 매트{FOLDABLE DISH DRYING MAT}
본 고안은 3단으로 접히는 식기 건조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건조대는 스텐이나 철재 재질로 밥그릇이나 접시 등의 식기류가 거치 가능하게 제작되어, 식기류에 부착된 물을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식기류가 건조되도록 하는 용품이다. 보통 싱크대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납장의 하부 또는 싱크대의 개수구 주변의 벽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기도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식기 건조대는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해 주방에 설치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한번 설치한 후에는 설치 위치의 변경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포장과 운송 및 보관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도 1a를 참조하면, 제1 매트(1), 제2 매트(2) 및 제3 매트(3)를 포함하여 3단 형태로 형성되는 기존의 식기 건조 매트는, 식기를 지지하는 리브(4, 5, 6)가 모두 동일하게 세로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도 2와 같이 복수의 매트(1, 2, 3)가 서로 겹쳐진 상태일 때,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리브(4, 5, 6)간에 서로 지지가 되지 않아, 매트(1, 2, 3)간에 평평함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무거운 식기가 건조될 때, 겹쳐져있는 매트(1, 2, 3)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식기 무게에 의해 매트(1, 2, 3)가 눌리면서 겹쳐져있는 매트(1, 2, 3)들이 평평함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건조매트가 평평함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물이 한쪽으로 고이게 되고, 식기 건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b와 같이, 복수의 매트(1, 2, 3)를 연결하는 연결부(7, 8)가 매트(1, 2, 3)의 중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도 2와 같이, 복수의 매트(1, 2, 3)가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중심부에 연결된 연결부(7, 8)에 의해서, 복수의 매트(1, 2, 3) 사이사이에 들뜸현상이 발생한다. 이처럼, 매트(1, 2, 3) 사이에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매트(1, 2, 3)가 평평함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우는 경우, 수저나 젓가락이나 그릇 등을 올리기 불편하고, 물이 한쪽으로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건조가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있는 매트(1, 2, 3)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매트 위에, 플라스틱 소재의 물병과 같은 가벼운 식기류가 올려지는 경우, 평평하지 않은 매트(1, 2, 3) 표면에 의해 식기류가 기울어져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588호(2018.05.23.)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접힘 가능한 3단 형태의 건조매트로 구성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필요시에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건조시켜야하는 식기 양에 따라 3단 매트가 접힘되어 서로 겹쳐진 형태인 1단으로 사용될 때에도,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3단 매트가 접힘 상태가 되어 서로 겹쳐진 형태인 1단 매트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1단 매트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 크기의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은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건조매트와 제2 건조매트를 연결하는 제1 접이부는 상부에 연결되고, 제2 건조매트와 제3 건조매트를 연결하는 제2 접이부는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3단 매트가 모두 접혀진 1단 매트 형태로 사용될 때에도, 접이부의 접힘 부분에 의한 굴곡을 최소화하여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상측에 물체가 지지되는 제1 건조매트; 상기 제1 건조매트의 일 측에 나란히 연결되는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일 측에 나란히 연결되는 제3 건조매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건조매트에는, 상기 제1 건조매트와 상기 제2 건조매트와 3건조매트가 서로 연결되는 가로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리브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지지리브 복수개는 서로 평행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각각에는,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리브 및 제3 지지리브 각각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 각각은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건조매트에는,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리브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복수개는 서로 평행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되는 상기 제1 건조매트와 상기 제2 건조매트를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제1 건조매트의 일 측면과 상기 제2 건조매트의 타 측면에 각각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단 까지의 길이인 상측 높이는 길이 h2로 이루어지고,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제2 건조매트의 하단 까지의 길이인 하측 높이는 길이 h2보다 긴 길이 h1로 이루어져 상측의 높이가 하측의 높이보다 짧은 제1 접이부; 및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되는 상기 제2 건조매트와 상기 제3 건조매트를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일 측면과 상기 제3 건조매트의 타 측면에 각각 연결되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측면에서, 상기 제2 접이부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 h1 길이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높이보다 h2 길이로 이루어지며, h2의 길이가 h1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측의 높이가 하측의 높이보다 길은 제2 접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건조매트는,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가 서로 접힐 때,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면은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상면과 마주보며 맞닿도록 상기 제2 접이부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짧은 h1 부분에 상기 제2 접이부가 벤딩되고, 상기 제2 건조매트의 하면에 상기 제1 건조매트의 하면이 마주보며 상기 제1 접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건조매트에서 h1길이로 이루어진 부분과 상기 제2 건조매트의 h1 길이로 이루어진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 접이부가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건조매트,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각각은, 테두리의 내측 영역에서 상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건조홈, 제2 건조홈 및 제3 건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리브, 상기 제2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 각각은 상기 제1 건조홈, 상기 제2 건조홈 및 상기 제3 건조홈 각각의 영역 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상기 제2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의 상단은, 상기 제1 건조매트,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테두리의 상단과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3 건조매트에는, 상기 제3 건조홈의 꼭짓점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정렬돌부가 형성되며, 접어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면과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상면이 마주보며 맞닿는 경우, 상기 정렬돌부는 상기 제2 건조홈의 꼭짓점 내측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면과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상면이 맞닿을 때, 서로 수직하게 형성 및 배치된 상기 제2 지지리브와 상기 제3 지지리브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맞닿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접힘 가능한 3단 형태의 건조매트로 구성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필요시에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아 매트의 세척 및 세척 후 건조 시 편리하다.
또한, 건조시켜야하는 식기 양에 따라 3단 매트로 펼쳐서 사용하거나, 서로 겹쳐진 형태인 1단 매트 형태로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건조매트와 제2 건조매트를 연결하는 제1 접이부는 상부에 연결되고, 제2 건조매트와 제3 건조매트를 연결하는 제2 접이부는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3단 매트가 모두 접혀진 1단 매트 형태로 사용될 때에도, 접이부의 접힘 부분에 의한 굴곡을 최소화하여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의 식기 건조 매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의 정렬돌부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건조매트와 제3 건조매트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건조매트와 제3 건조매트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건조매트와 제2 건조매트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건조매트가 모두 접힌 상태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른 A부분인 제2 접이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B부분인 제1 접이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14 및 도 1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가 설치된 식기 건조 매트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가 거치부 및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의 정렬돌부(13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는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제3 건조매트(130), 제1 접이부(140), 제2 접이부(150) 및 걸이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는 접힘 및 펼침이 편리하고 보관 및 세척이 편리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는 상측에 물체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물체는 식기류일 수 있다.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는 일 측 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는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는 제1 접이부(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는 제2 접이부(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방향은 제1 건조매트와 제2 건조매트와 3건조매트가 서로 연결되는 가로 방향인 것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세로 방향을 의미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제1 방향과 제2 방향 각각이 가로 세로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은, 제2 건조매트(120)에 형성되는 제2 지지리브(122)가 제1 지지리브(112) 또는 제3 지지리브(132)와 서로 지지되어,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서로 지지되어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 각각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연결된 전체 형상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1 건조매트(110)에는 제1 건조홈(111) 및 제1 지지리브(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건조홈(111)은 제1 건조매트(110)의 테두리의 내측 영역에서 상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건조홈(111)은 제1 건조매트(110)의 내측에서 사각형 형태로 상부가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지지리브(112)는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1 지지리브(112)는 제1 건조홈(111) 영역 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건조홈(111) 영역 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리브(112)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배열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리브(112)는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길이의 제1 지지리브(112)가 서로 번갈아가며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건조홈(111) 내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리브(112)는, 제1 건조매트(110)의 상면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리브(112)의 상단은 제1 건조매트(110) 테두리의 상단과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건조매트(110) 상측에 물체가 놓이게 되면, 제1 지지리브(112)에 의해 물체가 지지될 수 있다. 물체에 묻어있는 액체는 제1 건조홈(111)으로 낙하될 수 있다.
제2 건조매트(120)에는 제2 건조홈(121) 및 제2 지지리브(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건조홈(121)은 제2 건조매트(120)의 테두리의 내측 영역에서 상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건조홈(121)은 제2 건조매트(120)의 내측에서 사각형 형태로 상부가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지지리브(122)는 제1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2 지지리브(122)는 제2 건조홈(121) 영역 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건조홈(121) 영역 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지지리브(122)는 제1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배열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리브는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길이의 제2지지리브가 서로 번갈아가며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건조홈(121) 내에서 돌출되는 제2 지지리브(122)는,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리브(122)의 상단은 제2 건조매트(120) 테두리의 상단과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건조매트(120) 상측에 물체가 놓이게 되면, 제2 지지리브(122)에 의해 물체가 지지될 수 있다. 물체에 묻어있는 액체는 제2 건조홈(121)으로 낙하될 수 있다.
제3 건조매트(130)에는 제3 건조홈(131), 제3 지지리브(132) 및 정렬돌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건조홈(131)은 제3 건조매트(130)의 테두리의 내측 영역에서 상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건조홈(131)은 제3 건조매트(130)의 내측에서 사각형 형태로 상부가 함몰된 부분일 수 있다.
제3 지지리브(132)는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3 지지리브(132)는 제3 건조홈(131) 영역 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건조홈(131) 영역 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 지지리브(132)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배열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리브(132)는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길이의 제3지지리브가 서로 번갈아가며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건조홈(131) 내에서 돌출되는 제3 지지리브(132)는,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리브(132)의 상단은 제3 건조매트(130) 테두리의 상단과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리브(122)와 제3 지지리브(132)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건조매트(130) 상측에 물체가 놓이게 되면, 제3 지지리브(132)에 의해 물체가 지지될 수 있다. 물체에 묻어있는 액체는 제3 건조홈(131)으로 낙하될 수 있다.
정렬돌부(133)는 제3 건조홈(131)의 꼭짓점의 내측 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돌부(133)는 제3 건조홈(131)의 각 꼭짓점의 내측에서 꼭짓점과 밀착되어,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건조홈(111), 제2 건조홈(121) 및 제3 건조홈(131)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과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이 마주보며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히는 경우, 정렬돌부(133)는 제2 건조홈(121)의 꼭짓점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힌 상태가 정렬 고정될 수 있다.
제1 접이부(140)는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이부(140)의 양 단부가 제1 건조매트(110)의 일 측면과 제2 건조매트(120)의 타 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이부(140)는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 상하 높이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이부(140)가 연결된 제1 건조매트(110) 및 제2 건조매트(120)의 측면에서 볼 때, 제1 접이부(140)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접이부(140) 상단에서부터 제1 건조매트(110) 및 제2 건조매트(120)의 상단 까지의 길이인 상측 높이는 길이 h2로 이루어지고, 제1 접이부(140)의 하단에서부터 제1 건조매트(110) 및 제2 건조매트(120)의 하단 까지의 길이인 하측 높이는 길이 h2보다 긴 길이 h1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접이부(140)가 연결된 제1 건조매트(110) 및 제2 건조매트(120)의 측면에서, 제1 접이부(140)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가 하측의 높이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이부(150)는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이부(150)의 양 단부가 제2 건조매트(120)의 일 측면과 제3 건조매트(130)의 타 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이부(150)는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 상하 높이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이부(150)가 연결된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의 측면에서, 제2 접이부(150)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 h1 길이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높이보다 h2 길이로 이루어지며, h2의 길이가 h1의 길이보다 짧다. 즉, 제2 접이부(150)가 연결된 상기 제2 건조매트(120) 및 상기 제3 건조매트(130)의 측면에서, 제2 접이부(150)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가 하측의 높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구(160)는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의 일 측(예를 들어, 제2 방향을 따라 전방)에 설치되는 홀 일 수 있다. 걸이구(160)에는 식기 건조 매트(10)의 보관 또는 거치 가능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건조매트가 모두 접힌 상태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따른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서로 접힐 때,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은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과 마주보며 맞닿도록 위치되며, 제2 접이부(150)가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2 건조매트(120)의 하면에 제1 건조매트(110)의 하면이 마주보며 맞닿도록 위치되며, 제1 접이부(140)가 벤딩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건조매트(130) 위에 제2 건조매트(120)가 접히고, 제2 건조매트(120) 위에 제1 건조매트(110)가 접히면서, 각 건조매트가 적층되는 형태로 접힐 수 있다.
먼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힐 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이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과 마주보며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힐 수 있다.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과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이 맞닿을 때, 서로 수직하게 형성 및 배치된 제2 지지리브(122)와 제3 지지리브(132)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수직한 제2 지지리브(122)와 제3 지지리브(132)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며 서로 지지됨으로써 제2 건조매트(120)가 제3 건조매트(130) 상측에 위치될 때, 서로 평평하게 맞닿은 상태로 접힐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건조매트(120)가 제3 건조매트(130) 상측에 접히게 되면, 제2 접이부(150)가 벤딩된다. 즉, 제2 건조매트(120)가 제3 건조매트(130) 상측으로 접힘에 따라, 제2 건조매트(120)와 연결된 제2 접이부(150)의 일 단부가 타 단부의 상측으로 벤딩되게 된다. 이때, 제2 접이부(150)는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 상하 높이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접이부(150)가 벤딩될 때, 제2 접이부(150)를 기준으로 제2 건조매트(120)에서 h1길이로 이루어진 부분과 제3 건조매트(130)의 h1 길이로 이루어진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힐 수 있다.
이처럼,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에서 제2 접이부(150)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긴 h1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힘으로써, 벤딩되는 제2 접이부(150)의 휘어지는 정도가 낮아지게 된다.
다시 말해,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에서 제2 접이부(150)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짧은 h2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힘으로써 제2 접이부(150)가 벤딩될 때보다,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에서 제2 접이부(150)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긴 h1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힘으로써 벤딩되는 제2 접이부(150)의 휘어지는 정도 및 제2 접이부(150)가 원 상태(펼쳐지는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이 약해지게 된다.
제2 접이부(150)의 탄성 복원력이 약해지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힘으로써, 보다 평평하게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과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이 서로 맞닿도록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만일, 제2 접이부(150)의 탄성복원력이 강해지는 경우, 도 2와 같이, 제2 접이부(1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원고안의 경우에는,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에서 제2 접이부(150)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긴 h1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힘으로써, 벤딩되는 제2 접이부(150)의 휘어지는 정도 및 제2 접이부(150)가 원 상태(펼쳐지는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을 약하게 하여, 서로 접힌 상태의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평평하게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이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과 맞닿도록 접히게 되면, 제3 건조매트(130)의 꼭짓점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정렬돌부(133)가 제2 건조매트(120)의 제2 건조홈(121)의 꼭짓점 내측에 삽입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건조매트(120)와 제3 건조매트(130)가 서로 맞닿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가 접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건조매트(120)가 제3 건조매트(130)와 상면이 마주보도록 접혀서, 제2 건조매트(120)의 하면이 상측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에서, 제2 건조매트(120)의 하면에 제1 건조매트(110)의 하면이 마주보며 맞닿도록 접힐 수 있다.
이처럼,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힌 상태일 때, 가운데 위치되는 제2 건조매트(120)의 제 2 지지리브(122)가 제1 건조매트(110)와 제3 건조매트(130)의 사이에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지지리브(112) 및 제3 지지리브(132)와 수직하게 교차된 제2 지지리브(122)가 중간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여, 제1 건조매트(110) 상측에 무거운 제품을 올려 놓았을 때, 제품 하중에 의해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가 눌려서 푹 꺼지지 않고,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건조매트(120)의 상면과 제3 건조매트(130)의 상면이 맞닿을 때, 서로 수직하게 형성 및 배치된 제2 지지리브(122)와 제3 지지리브(132)와 제1 지지리브(112)의 하단면이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중간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2 지지리브(122)가 제3 지지리브(132)뿐만 아니라 상단의 제1 지지리브(112)도 지지하여, 무거운 물체가 놓여졌을 때 제1 건조매트(110)에서 무너짐 없이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건조매트(110)가 제2 건조매트(120) 상측에 접히게 되면, 제1 접이부(140)가 벤딩된다. 즉, 제1 건조매트(110)가 제2 건조매트(120) 상측으로 접힘에 따라, 제1 건조매트(110)와 연결된 제1 접이부(140)의 일 단부가 타 단부의 상측으로 벤딩되게 된다. 이때, 제1 접이부(140)는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 상하 높이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접이부(140)가 벤딩될 때, 제1 접이부(140)를 기준으로 제1 건조매트(110)에서 h1길이로 이루어진 부분과 제2 건조매트(120)의 h1 길이로 이루어진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가 접힐 수 있다.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에서 제1 접이부(140)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긴 h1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가 접힘으로써, 벤딩되는 제1 접이부(140)의 휘어지는 정도 및 제1 접이부(140)가 원 상태(펼쳐지는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 복원력이 낮아져서, 서로 접힌 상태의 제1 건조매트(110)와 제2 건조매트(120)가 평평하게 접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는 건조해야하는 식기류의 양이 많을 때는,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를 모두 나란히 펼쳐서 사용할 수도 있고, 식기류의 양이 적거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를 접어서, 도 10과 같이 제1 건조매트(110)의 상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하여 제1 건조매트(110)에만 식기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를 접어서 제1 건조매트(110)에만 식기를 건조시킴으로써 건조매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복수의 건조매트들을 접어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예를 들어, 싱크대가 좁은 경우)에서도 세척이 용이하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170)가 설치된 식기 건조 매트(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건조매트(110)에 설치되어 식기류를 살균할 수 있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부(170)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건조매트(110)의 양 단부의 테두리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부(170)는 제1 건조매트(110)의 제1 방향에 따른 길이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부(170)는 사각형 형태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부(170)에는 제1 건조매트(110) 내측 영역을 바라보는 면에 적외선조명부(171)가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 조명부가 제1 건조매트(110) 측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여, 제1 건조매트(110) 상측에 위치된 식기류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살균부(170)의 하면 일 측에는 결합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72)는 후술할 단자부(1341)와 결합되어 적외선조명부(171)가 작동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건조매트(130)에는 전원부(134)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134)는 제3 건조매트(130)의 제1 방향을 따른 일 단부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34)는 제3 건조매트(130)의 우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134)는 단자부(1341) 및 캡부(1342)로 구성될 수 있다. 단자부(1341)는 제3 건조매트(130)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배터리(미도시됨)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류를 전달받아 결합부(172)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단자일 수 있다. 캡부(1342)는 단자부(1341)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단자부(1341)에 씌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단자부(1341)는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힌 상태일 때, 살균부(170)의 결합부(17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건조매트(120)에는 단자부(1341)가 관통될 수 있는 인입홀(123)이 형성되고, 제1 건조매트(110)에는 단자부(1341)가 관통되어 단자부(1341)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는 삽입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건조매트(120)가 제3 건조매트(130)와 접힌 상태가 됐을 때, 단자부(1341)가 제2 건조매트(1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제2 건조매트(120)에 형성되는 인입홀(123)은 제2 건조매트(12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건조매트(110)가 제2 건조매트(120)와 접힌 상태가 됐을 때, 단자부(1341)가 제1 건조매트(1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건조매트(110)에 형성되는 삽입홀(113)은 제1 건조매트(11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접힌 상태일 때, 인입홀(123)과 삽입홀(113)을 통해 제3 건조매트(130)의 단자부(1341)가 제2 건조매트(120)와 제1 건조매트(110)를 관통하여 제1 건조매트(110)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살균부(170)가 제1 건조매트(110)에 설치될 때, 살균부(170)의 결합부(172)가 제1 건조매트(110)의 삽입홀(113)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단자부(1341)가 삽입홀(113)로 관통됨에 따라 단자부(1341)가 살균부(170)의 결합부(172)에 삽입되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결합부(172)에 단자부(1341)가 삽입되어 결합부(172)를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자외선조명부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건조매트(130)의 우측과 같이 단자부(134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 및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가 거치부(180) 및 수납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건조 매트(10)는 거치부(180) 및 수납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80)는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180)에는 세척된 그릇 등이 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거치부(18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부(180)는 건조매트(110, 120, 130) 하나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0과 같이 제1 건조매트(110), 제2 건조매트(120) 및 제3 건조매트(130)가 서로 겹쳐지도록 접혀져서 1단 매트 형태가 된 상태에서 제1 건조매트(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부(180)는 바디프레임(181) 및 분할프레임(18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81)은 건조홈의 좌우방향에 따른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181)은 수직프레임(1811) 및 연결프레임(18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프레임(1811)은 건조홈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건조매트(110, 120, 13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812)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바디프레임(181)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프레임(1812)은 건조홈의 좌우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1812)은 지지리브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프레임(1813)은 바디프레임(181)과 연결프레임(1812)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건조홈의 양 측 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프레임(1813)은 연결프레임(1812)보다 하측으로 절곡된 후 바디프레임(181)과 연결될 수 있다. 끼움프레임(1813)은 건조매트(110, 120, 130)의 테두리 부분과 가장 바깥쪽 좌우 양측에 형성된 지지리브 사이의 건조홈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분할프레임(182)은 양 측의 바디프레임(181) 사이에서 바디프레임(181)과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프레임(1812)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프레임(182) 사이사이에 그릇이 거치될 수 있다.
수납부(19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세척된 수저나 가위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190)의 바닥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수납부(190)는 건조매트(110, 120, 130)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거치부(18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식기 건조 매트
110: 제1 건조매트 111: 제1 건조홈
112: 제1 지지리브 113: 삽입홀
120: 제2 건조매트 121: 제1 건조홈
122: 제2 지지리브 123: 인입홀
130: 제3 건조매트 131: 제3 건조홈
132: 제3 지지리브 133: 정렬돌부
134: 전원부 1341: 단자부
1342: 캡부 140: 제1 접이부
150: 제2 접이부 160: 걸이구
170: 살균부 171: 적외선조명부
172: 결합부 180: 거치부
181: 바디프레임 1811: 수직프레임
1812: 연결프레임 1813: 끼움프레임
182: 분할프레임 190: 수납부

Claims (8)

  1. 상측에 물체가 지지되는 제1 건조매트;
    상기 제1 건조매트의 일 측에 나란히 연결되는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일 측에 나란히 연결되는 제3 건조매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건조매트에는,
    상기 제1 건조매트와 상기 제2 건조매트와 3건조매트가 서로 연결되는 가로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리브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지지리브 복수개는 서로 평행하도록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각각에는,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리브 및 제3 지지리브 각각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 각각은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건조매트에는,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리브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복수개는 서로 평행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되는 상기 제1 건조매트와 상기 제2 건조매트를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제1 건조매트의 일 측면과 상기 제2 건조매트의 타 측면에 각각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단 까지의 길이인 상측 높이는 길이 h2로 이루어지고, 하단에서부터 상기 제1 건조매트 및 제2 건조매트의 하단 까지의 길이인 하측 높이는 길이 h2보다 긴 길이 h1로 이루어져 상측의 높이가 하측의 높이보다 짧은 제1 접이부; 및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되는 상기 제2 건조매트와 상기 제3 건조매트를 연결하며, 양 단부가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일 측면과 상기 제3 건조매트의 타 측면에 각각 연결되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측면에서, 제2 접이부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측의 높이 h1 길이로 이루어지고, 하측의 높이보다 h2 길이로 이루어지며, h2의 길이가 h1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측의 높이가 하측의 높이보다 길은 제2 접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건조매트는,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가 서로 접힐 때,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면은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상면과 마주보며 맞닿도록 상기 제2 접이부가 설치된 높이를 기준으로 길이가 더 짧은 h1 부분에 상기 제2 접이부가 벤딩되고,
    상기 제2 건조매트의 하면에 상기 제1 건조매트의 하면이 마주보며 상기 제1 접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건조매트에서 h1길이로 이루어진 부분과 상기 제2 건조매트의 h1 길이로 이루어진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 접이부가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매트,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각각은, 테두리의 내측 영역에서 상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건조홈, 제2 건조홈 및 제3 건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리브, 상기 제2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 각각은 상기 제1 건조홈, 상기 제2 건조홈 및 상기 제3 건조홈 각각의 영역 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리브, 상기 제2 지지리브 및 상기 제3 지지리브의 상단은, 상기 제1 건조매트, 상기 제2 건조매트 및 상기 제3 건조매트 테두리의 상단과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건조매트에는, 상기 제3 건조홈의 꼭짓점의 내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정렬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면과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상면이 마주보며 맞닿으면, 상기 정렬돌부는 상기 제2 건조홈의 꼭짓점에 삽입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매트의 상면과 상기 제3 건조매트의 상면이 맞닿을 때,
    서로 수직하게 형성 및 배치된 상기 제2 지지리브와 상기 제3 지지리브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맞닿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 매트.
KR2020220001680U 2022-07-07 2022-07-07 식기 건조 매트 KR20049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80U KR200497831Y1 (ko) 2022-07-07 2022-07-07 식기 건조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80U KR200497831Y1 (ko) 2022-07-07 2022-07-07 식기 건조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03U KR20240000103U (ko) 2024-01-16
KR200497831Y1 true KR200497831Y1 (ko) 2024-03-11

Family

ID=8971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80U KR200497831Y1 (ko) 2022-07-07 2022-07-07 식기 건조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31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054A (ja) * 1992-03-06 1993-09-24 Sekisui Chem Co Ltd 折畳式水切りプレート
KR101237463B1 (ko) * 2010-07-14 2013-02-26 최근순 싱크대 개수통의 보조 작업판
KR101844220B1 (ko) * 2011-03-21 201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80053588A (ko) 2016-11-12 2018-05-23 박현지 레일 접이식 식기 건조대
KR20220046928A (ko) * 2020-10-08 2022-04-15 성주현 자가 흡착식 실리콘 건조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03U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676B1 (en) Foldable dish drainer
US8746467B2 (en) Dishwasher
US7100877B2 (en) Collapsible two tier support
US20170172378A1 (en)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US9730571B1 (en) Foldable dish rack
JP2002112943A (ja) 皿水切り器と盆のセット
WO2014093425A1 (en) Drying rack assembly
KR200497831Y1 (ko) 식기 건조 매트
EP3164045A1 (en) A dishwasher wire rack having an improved carrier adaptor structure
CN102525372B (zh) 洗碗机
KR101977580B1 (ko)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20220052150A (ko) 식기건조대
KR200333020Y1 (ko) 접이식 식기건조대
CN218279587U (zh) 一种大容量碗架及家用电器
KR200360929Y1 (ko) 식기 건조대의 받침대
CN103381905B (zh) 一种可堆集容器
CN214608614U (zh) 一种多功能折叠筐
CN203428155U (zh) 一种可拆卸组装式容器
KR101372873B1 (ko) 접이식 용기
CN217772142U (zh) 一种沥水帘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CN210883446U (zh) 一次性手提篮
CN210124744U (zh) 一种水槽洗碗机的碗架
KR102158162B1 (ko) 접이식·걸이식 트랜스포머형 식기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