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690Y1 - Functional Mat - Google Patents

Functional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690Y1
KR200497690Y1 KR2020230000950U KR20230000950U KR200497690Y1 KR 200497690 Y1 KR200497690 Y1 KR 200497690Y1 KR 2020230000950 U KR2020230000950 U KR 2020230000950U KR 20230000950 U KR20230000950 U KR 20230000950U KR 200497690 Y1 KR200497690 Y1 KR 200497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body
central
pair
fl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9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응석
홍예지
한동우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그래피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그래피디자인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그래피디자인
Priority to KR2020230000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9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9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기능성 매트는 판상의 중앙본체, 중앙본체 판면의 일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앙본체에 대하여 판면이 평행한 평행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지지본체, 중앙본체 판면의 타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앙본체에 대하여 판면이 중첩된 중첩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바닥본체, 일측이 중앙본체 및 바닥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측이 지지본체의 연장말단영역에 결합 가능한 연결지지부를 포함한다.The functional mat is formed by extending from a plate-shaped central body, an edge of one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 plate-shaped support body that can rotate between a parallel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parallel to the central body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inclined, and an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 plate-shaped floor body that extends from the central body and can rotate in an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overlap with the central body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are inclined. One sid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ral body and the floor body, and the other side is an extension of the support body. It includes a connection support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distal region.

Description

기능성 매트{Functional Mat}Functional Mat

본 고안은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mat,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nctional mat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하거나 그 위에서 여러 가지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다양한 종류의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보관 및 형상변형을 위해서 접을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렇게 접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매트는 보관을 위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ㄴ'자 형상으로 접어서 의자처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Various types of mats are used to allow multiple people to sit on them or play various games on them. They are sometimes made to be foldable for storage and shape change, and by folding them this way, they can be transformed into shapes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These mats may be configured to be foldable for storage,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into an 'ㄴ' shape and used like a chair.

그러나 이렇게 접어서 형상을 변형할 수는 있지만 접이식 매트를 좌식 의자처럼 사용할 경우 등받이 부분이 항상 벽면에 의해 지지되어야 했기에, 벽면에 기대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편안하게 기대면서 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접이식 매트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무늬나 색채, 또는 간단한 학습 내용이 부가되어 있기만 할 뿐 또 다른 식사 혹은 보드게임 등의 다양한 활동을 끌어낼 수 있는 놀이의 용도나 휴식의 용도 등으로 사용되기 어려워 그 활용도에 있어서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shape can be changed by folding in this way, when the folding mat is used as a chair, the backrest must always be supported by the wall,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used by leaning against the wall, making it impossible to sit comfortably. In addition, these foldable mats only have patterns or colors that the user likes, or simple learning content, and are difficult to use for play or relaxation that can lead to various activities such as another meal or board game. There is a problem with its usabilit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사 혹은 보드게임 등의 다양한 활동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mat that can perform various roles by being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to enable various activities such as eating or board gam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매트는 판상의 중앙본체; 상기 중앙본체 판면의 일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판면이 평행한 평행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지지본체; 상기 중앙본체 판면의 타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판면이 중첩된 중첩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바닥본체; 및 일측이 상기 중앙본체 및 상기 바닥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지지본체의 연장말단영역에 결합 가능한 연결지지부를 포함한다. 중앙본체, 지지본체, 바닥본체가 회전 및 절곡 가능하여 형상을 배치한 후 연결지지부를 이용하여 형상을 고정하며, 식사 혹은 보드게임 등의 다양한 활동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접어서 휴대하기 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및 휴대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function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ate-shaped central body; A plate-shaped support body extending from an edge of one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nd rotatable between a parallel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parallel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 plate-shaped bottom body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nd rotatable to an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overlap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nd a connection support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ral body and the bottom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can be coupled to an extended end region of the support body. The central body, support body, and bottom body can be rotated and bent, so after arranging the shape, the shape is fixed using the connecting support, and various activities such as eating or board games can be carried out. It can play a variety of roles and can be folded. Because it can be convenient to carry, user convenience and portability can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중앙본체 판면의 일면과 타면에 수직한 측면 양측 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를 더 포함하면 형상을 테이블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by further including a pair of table supports extending from edges on both sides perpendicular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body plate surface, the shape can be made into a table shape, and the pair of table supports can act as legs. desirable.

그리고 상기 바닥본체는 상기 중앙본체로부터 연장방향의 중앙 가로방향을 따라 회전 및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 바닥본체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를 보조하여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floor body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bendable along the central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entral body, when the pair of table supports acts as legs, the floor body can assist and support the pair of table supports. desirable.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의 연장 중앙영역과 상기 바닥본체의 연장 모서리영역에는 상호 결합되기 위한 부착결합부를 더 포함하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와 바닥본체가 부착결합되어 다리 역할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if the extended central area of the pair of table supports and the extended corner area of the floor body further include attachment joints for mutual coupling, the pair of table supports and the floor body can be attached and coupled to firmly serve as a bridge. It is desirable because it can be done.

그리고 상기 중앙본체의 중앙영역과 상기 지지본체의 연장말단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결합부와 상기 연결지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안착결합부를 더 포함하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중앙본체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연결지지부가 지지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t further includes a seating coupling part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entral body and the extended end region of the supporting body to couple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so that a pair of table supports are fixed to the central body in an overlapping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support part can be fixed to the support body.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본체, 지지본체, 바닥본체가 회전 및 절곡 가능하여 형상을 배치한 후 연결지지부를 이용하여 형상을 고정하며, 식사 혹은 보드게임 등의 다양한 활동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어서 휴대하기 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및 휴대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body, support body, and bottom body can rotate and bend, so that the shape can be arranged and then fixed using the connecting support, allow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eating or board games to be performed, and playing various roles. It can be folded and easily carried,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portability.

또한, 형상을 테이블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다리 역할을 할 수 있고,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 바닥본체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를 보조하여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hape can be made into a table shape, and a pair of table supports can act as legs, and when a pair of table supports act as legs, the floor body can assist and support the pair of table supports. It works.

또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와 바닥본체가 부착결합되어 다리 역할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중앙본체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연결지지부가 지지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air of table supports and the floor body can be attached and combined to solidly serve as legs, a pair of table supports can be fixed in an overlapped state with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ng supports can be fixed to the support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능성 매트가 펼쳐진 전개도이다.
도 3은 기능성 매트의 등받이 매트가 되는 동작도이다.
도 4는 기능성 매트의 테이블이 되는 동작도이다.
도 5는 주머니수납부의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unctional mat unfolded.
Figure 3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functional mat becoming a backrest mat.
Figure 4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table of functional mats.
Figure 5 is an example of a pocket storage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매트(1)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al mat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매트(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기능성 매트(1)가 펼쳐진 전개도이고, 도 3은 기능성 매트(1)의 등받이 매트가 되는 동작도이며, 도 4는 기능성 매트(1)의 테이블이 되는 동작도이고, 도 5는 주머니수납부(32)의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ma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unctional mat (1), Figure 3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unctional mat (1) becoming a backrest mat, and Figure 4 is a functional mat (1).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mat 1 becoming a table, and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pocket storage unit 32.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기능성 매트(1)의 구성을 설명한다.1 to 5,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mat 1 will be described.

기능성 매트(1)는 중앙본체(10), 지지본체(20), 바닥본체(30), 연결지지부(40), 테이블지지부(50), 결합부(60) 및 연결고리(70)를 포함한다. The functional mat (1) includes a central body (10), a support body (20), a floor body (30), a connection support part (40), a table support part (50), a coupling part (60), and a connection ring (70). .

중앙본체(10)는 판상의 형태이다. The central body 10 has a plate shape.

지지본체(20)는 중앙본체(10) 판면의 일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앙본체(10)에 대하여 판면이 평행한 평행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형태이다. The support body 20 extends from the edge of one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0, and has a plate-shaped shape that can be rotated between a parallel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parallel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바닥본체(30)는 중앙본체(10) 판면의 타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중앙본체(10)에 대하여 판면이 중첩된 중첩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형태이다. 바닥본체(30)는 바닥절곡부(31) 및 주머니수납부(32)를 포함한다. The floor body 30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0, and has a plate-shaped shape that can be rotated to an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overlap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The bottom body 30 includes a bottom bending portion 31 and a bag storage portion 32.

바닥절곡부(31)는 중앙본체(10)로부터 연장방향의 중앙 가로방향을 따라 회전 및 절곡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절곡부(31)에 의해 바닥본체(30)는 일부가 회전 및 절곡될 수 있다.The bottom bending portion 31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and bendable along the central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entral body 10. The bottom body 30 may be partially rotated and bent by the bottom bending portion 31.

주머니수납부(32)는 바닥본체(30)의 외측에 주머니 형상을 갖고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The bag storage portion 32 is formed in a bag shape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body 30 and can accommodate items.

연결지지부(40)는 일측이 중앙본체(10) 및 바닥본체(3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측이 지지본체(20)의 연장말단영역에 결합 가능하다.One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4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bottom body 30, and the other side can be coupled to the extended end region of the support body 20.

테이블지지부(50)는 중앙본체(10) 판면의 일면과 타면에 수직한 측면 양측 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구성이다. 테이블지지부(50)는 좌테이블지지부(51) 및 우테이블지지부(52)를 포함한다. The table support portion 50 is a pair of components extending from edges on both sides perpendicular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0. The table support part 50 includes a left table support part 51 and a right table support part 52.

좌테이블지지부(51)는 중앙본체(10) 좌판면에 연결된다.The left table support portion 51 is connected to the seat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0.

우테이블지지부(52)는 중앙본체(10) 우판면에 연결된다.The right table support portion 52 is connected to the right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0.

결합부(60)는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0)의 연장 중앙영역과 바닥본체(30)의 연장 모서리영역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60)는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 좌바닥부착결합부(63), 우바닥부착결합부(64), 중앙안착결합부(65), 연결안착결합부(66), 지지결합부(67) 및 바닥결합부(68)를 포함한다. The coupling portion 60 allows the extended central area of the pair of table supports 50 and the extended corner area of the floor body 3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ortion 60 includes a lef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1, a righ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2, a left floor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3, a right floor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4, a central seating coupling portion 65, It includes a connection seating coupling portion (66), a support coupling portion (67), and a bottom coupling portion (68).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는 좌테이블지지부(51)의 연장말단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는 벨크로로 마련될 수 있다.The lef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1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extended end of the left table support portion 51. The lef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1 may be provided with Velcro.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는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의 연장말단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는 벨크로로 마련될 수 있다.The right table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2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extended end of the right table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2. The righ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2 may be provided with Velcro.

좌바닥부착결합부(63)는 바닥본체(30)의 연장 모서리영역에 형성된다. 좌바닥부착결합부(63)는 벨크로로 마련되며,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 또는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와 결합될 수 있다.The left bottom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3 is formed in the extended corner area of the bottom body 30. The left bottom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3 is provided with Velcro and can be coupled to the left table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1 or the right table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2.

우바닥부착결합부(64)는 바닥본체(30)의 연장 모서리영역에 형성된다. 우바닥부착결합부(64)는 벨크로로 마련되며,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 또는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와 결합될 수 있다.The right bottom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4 is formed in the extended corner area of the bottom body 30. The right bottom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4 is provided with Velcro and can be coupled to the left table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1 or the right table attachment and coupling portion 62.

중앙안착결합부(65)는 중앙본체(10)의 중앙영역과 지지본체(20)의 연장말단영역에 형성되어 부착결합부(60)와 연결지지부(4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entral seating coupling portion 65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extended end region of the support body 20 to allow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0 and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40 to be coupled.

연결안착결합부(66)는 지지본체(20)의 연장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연결지지부(40)와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eating coupling portion 66 may be formed in the extended central area of the support body 20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40.

지지결합부(67)는 지지본체(20)에 형성되어 지지본체(20)가 절첩되는 경우 부착될 수 있는 결합부이다.The support coupling portion 67 is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body 20 and can be attached when the support body 20 is folded.

바닥결합부(68)는 바닥본체(30)의 연장 말단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중앙본체(10), 지지본체(20) 및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bottom coupling portion 68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extended end of the floor body 30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central body 10, the support body 20, and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

연결고리(70)는 어깨끈(72)이 연결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중앙본체(10) 및 지지본체(20)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 영역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ings 70 may be form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at least on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support body 20 so that the shoulder strap 72 can be connected and carried.

어깨끈(72)은 한 쌍의 연결고리(7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oulder strap 72 may be coupled to a pair of connecting rings 70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the shoulder.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에 중첩되고, 바닥본체(30)와 지지본체(20)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의 상측과 하측에 중첩시킨 후 지지결합부(67)와 바닥결합부(68)를 결합시켜 휴대하기 쉬운 형상이 될 수 있다.After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52) overlaps the central body (10), and the bottom body (30) and the support body (20) overlap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52). By combining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67 and the bottom coupling portion 68, a shape that is easy to carry can be created.

도 2는 기능성 매트(1)가 펼쳐진 전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unctional mat 1 unfolded.

도 2 (a) 기능성 매트(1)의 일면을 바라본 전개도이고, 중앙본체(10)의 상측에는 지지본체(20)가 연결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바닥본체(30)가 연결되어 있다. 중앙본체(10)의 양 측부에는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연결되어 있으며, 부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Figure 2 (a) is an exploded view of one side of the functional mat 1, and the support body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floor body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10, and an attachment portion 60 is formed.

도 2 (b) 기능성 매트(1)의 타면을 바라본 전개도이고, 중앙본체(10)와 지지본체(20)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위에 한 쌍의 연결고리(70)가 좌우측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연결고리(70)에는 어깨끈(72)이 결합되어 있다. 중앙본체(10)와 바닥본체(3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연결지지부(40)의 일측이 결합되어 중앙본체(10)의 중앙영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Figure 2 (b) is an exploded view looking at the other side of the functional mat (1), and a pair of connecting rings (70)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central body (10) and the support body (20) are connected at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done. A shoulder strap (72) is coupled to this pair of links (70). One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central body 10 and the floor body 30 are connected and extends to the central area of the central body 10.

도 3은 기능성 매트(1)의 등받이 매트가 되는 동작도이다.Figure 3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unctional mat 1 becoming a backrest mat.

도 3 (a) 중앙본체(10)의 상측에는 지지본체(20)가 연결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바닥본체(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양 측부에는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연결되어 있으며, 부착부(6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Figure 3 (a) A support body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 bottom body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located on both sides. It is connected and the attachment portion 60 is formed.

도 3 (b) 사용자가 중앙본체(10)의 양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를 접어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에 형성된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와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가 중앙본체(10)에 형성된 중앙안착결합부(65)에 결합되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에 절첩되어 중첩된다.Figure 3 (b) When the user folds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10, the lef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1 formed on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is formed. The righ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2 is coupled to the central seating coupling portion 65 formed on the central body 10, so that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folded and overlapped with the central body 10.

도 3 (c) 사용자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절첩되어 중첩된 중앙본체(10)를 바닥본체(30)가 바닥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으로 밀어서 들어올린다. 이에 지지본체(20)가 중앙본체(10)에 대하여 회전 및 절곡되면서 세워지게 된다.Figure 3 (c) The user lifts the central body 10, in which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folded and overlapped, by pushing it to the left while the bottom body 30 is attached to the floor. Accordingly, the support body 20 is erected by rotating and bending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도 3 (d) 지지본체(20)가 연결지지부(40)와 결합될 수 있는 간격까지 절곡되면서 세워지게 되면 연결지지부(40)와 연결안착결합부(66)를 연결하여 중앙본체(10)와 지지본체(20)가 세워져 등받이가 고정될 수 있다.Figure 3 (d) When the support body 20 is bent and erected to a gap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40,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40 and the connection seating coupling portion 66 are connected to form the central body 10 and the central body 10. The support body 20 is erected so that the backrest can be fixed.

이렇게 중앙본체(10)와 지지본체(20)가 세워져 고정되면 사용자는 바닥본체(30)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중앙본체(10)에 기대어 편안할 수 있다. When the central body 10 and the support body 20 are erected and fixed in this way, the user can comfortably lean his back on the central body 10 while sitting on the floor body 30.

도 4는 기능성 매트(1)의 테이블이 되는 동작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mat 1 as a table.

도 4 (a) 중앙본체(10)의 상측에는 지지본체(20)가 연결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바닥본체(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양 측부에는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연결되어 있으며, 부착부(6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Figure 4 (a) A support body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 floor body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nd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provided on both sides. It is connected and the attachment portion 60 is formed.

도 4 (b) 사용자가 중앙본체(10)의 양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를 접어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된다.Figure 4 (b) When the user folds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10,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vertically direc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is placed as

도 4 (c)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바닥본체(30)를 중앙본체(10)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중앙본체(10)의 하방으로 배치된다. 지지본체(20)는 중앙본체(10)에 대하여 회전되어 중앙본체(10)와 바닥본체(30)의 상측에 절첩된다.Figure 4 (c) The bottom body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 As a result, the bent portion of the bottom body 30 is disposed below the central body 10 in a perpendicular stat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The support body 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and is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bottom body 30.

도 4 (d)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중앙본체(10)의 하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바닥본체(30)의 좌바닥부착결합부(63)와 우바닥부착결합부(64)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에 형성된 좌테이블부착결합부(61)와 우테이블부착결합부(62)에 결합되어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렇게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중앙본체(10)와 바닥본체(30)의 상측에 절첩된 지지본체(20)를 하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테이블이 형성될 수 있다.Figure 4 (d) shows the left side of the floor body 30 in a state in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floor body 30 is disposed downward of the central body 10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The bottom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3 and the right bottom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4 are coupled to the lef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1 and the right tabl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62 formed on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nd bent. The bottom body 30 of the part is fixed in a perpendicular stat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Since the floor body 30 of the bent portion in this way is fixed in a perpendicular stat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the support body 20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floor body 30 can be firmly supported from below. Thereby, a table can be formed.

도 5는 주머니수납부(32)의 예시도이다.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pocket storage unit 32.

주머니수납부(32)는 바닥본체(30)의 외측에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천재질로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닥본체(30)가 절곡되는 것을 고려하여 주머니수납부(32)는 바닥절곡부(31)의 위치보다 적어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cket storage portion 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cket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body 30 and is made of fabric to accommodate items. Considering that the bottom body 30 is bent, the bag storage portion 32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at least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bottom bent portion 31.

기능성 매트(1)는 내부에 철판과 같은 판상이 내부에 수용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nctional mat 1 may be made of cloth with a plate shape, such as an iron plate, accommodated therein.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Modifiable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테이블이 형성되는 경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와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맞닿는 부분에는 부착부가 형성되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와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a table is formed, an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52 and the bent portion of the floor body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52 and the bent portion of the floor body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30) can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지지본체(20)는 중앙본체(10)에 대하여 회전되어 중앙본체(10)와 바닥본체(30)의 상측에 절첩된 상태에서 연결안착결합부(66)는 바닥결합부(68)와 결합되는데 지지본체(20)의 테두리영역에는 부착부가 형성되며 중앙본체의 테두리영역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지지본체(20)가 중앙본체(10)에 대하여 회전되어 중앙본체(10)와 바닥본체(30)의 상측에 절첩된 상태에서 지지본체(20)와 중앙본체(10)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절곡된 부분의 바닥본체(30)가 상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and is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bottom body 30, and the connection seating coupling portion 66 is coupled to the bottom coupling portion 68. An attachment part is formed in the border area of the support body 20, and an attachment part is formed in the border area of the central body, so that the support body 2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so that the central body 10 and the floor body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support body 20 and the central body 10 are firmly coupled in a folded state on the upper side. As a result, the bottom body 30 of the bent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upward.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는 중앙본체(10)로부터 연장방향의 중앙 가로방향을 따라 회전 및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테이블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may be formed with a table bending portion that can be rotated and bent along the central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entral body 10.

테이블절곡부에 의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는 일부가 회전 및 절곡될 수 있다. 중앙본체(10)와 연결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의 일부보다 연장방향으로 테이블절곡부 이후의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에 대하여 중앙본체(10)의 양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를 접어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장방향으로 테이블절곡부 이후의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51, 52)가 중앙본체(10)의 하부 중앙에서 상호 기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앙본체(10)와 바닥본체(30)의 상측에 절첩된 지지본체(20)를 하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may be partially rotated and bent by the table bending portion.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fter the table bending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ortion of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connected to the central body 10. As a result, a pair of table supports (51, 5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1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by folding the pair of table supports (51, 52). 52) is arranged perpendicular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10, and a pair of table supports 51 and 52 after the table b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re allowed to lean against each other at the lower center of the central body 10. You can. As a result, the support body 20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body 10 and the floor body 30 can be firmly supported from below.

상기의 기능성 매트(1)로 인하여, 중앙본체, 지지본체, 바닥본체가 회전 및 절곡 가능하여 형상을 배치한 후 연결지지부를 이용하여 형상을 고정하며, 식사 혹은 보드게임 등의 다양한 활동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어서 휴대하기 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및 휴대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Due to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mat (1), the central body, support body, and bottom body can be rotated and bent, so that after arranging the shape, the shape can be fixed using the connecting support, and various activities such as eating or board games can be carried out. Since it can play a variety of roles and can be easily folded and carried, user convenience and por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형상을 테이블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다리 역할을 할 수 있고,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 바닥본체가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를 보조하여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can be made into a table shape, and a pair of table supports can act as legs, and when a pair of table supports act as legs, the floor body can assist and support the pair of table supports. .

또한,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와 바닥본체가 부착결합되어 다리 역할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중앙본체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연결지지부가 지지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table supports and the floor body can be attached and combined to solidly serve as legs, a pair of table supports can be fixed in an overlapped state with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ng supports can be fixed to the support body. You can do it.

1: 기능성 매트
10: 중앙본체
20: 지지본체
30: 바닥본체 31: 바닥절곡부
32: 주머니수납부
40: 연결지지부
50: 테이블지지부 51: 좌테이블지지부
52: 우테이블지지부
60: 결합부 61: 좌테이블부착결합부
62: 우테이블부착결합부 63: 좌바닥부착결합부
64: 우바닥부착결합부 65: 중앙안착결합부
66: 연결안착결합부 67: 지지결합부
68: 바닥결합부
70: 연결고리
72: 어깨끈
1: Functional mat
10: Central body
20: Support body
30: floor body 31: floor bending part
32: Pocket storage unit
40: Connection support part
50: table support 51: left table support
52: Right table support part
60: coupling part 61: left table attachment coupling part
62: Right table attachment joint 63: Left floor attachment joint
64: Right bottom attachment joint 65: Central seating joint
66: Connection seating joint 67: Support joint
68: Bottom joint
70: Link
72: shoulder strap

Claims (5)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판상의 중앙본체;
상기 중앙본체 판면의 일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판면이 평행한 평행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지지본체;
상기 중앙본체 판면의 타면 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판면이 중첩된 중첩위치 및 판면이 경사진 경사위치를 회전 가능한 판상의 바닥본체;
일측이 상기 중앙본체 및 상기 바닥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지지본체의 연장말단영역에 결합 가능한 연결지지부; 및
상기 중앙본체 판면의 일면과 타면에 수직한 측면 양측 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본체는 상기 중앙본체로부터 연장방향의 중앙 가로방향을 따라 회전 및 절곡 가능한 바닥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접혀져 상기 중앙본체에 중첩되고 상기 바닥본체가 바닥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중앙본체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지지본체가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회전 및 절곡되어 세워지며,
상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가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본체를 상기 중앙본체에 대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바닥절곡부를 절곡시키는 경우 절곡된 부분의 상기 바닥본체가 상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상기 중앙본체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In functional mats,
Plate-shaped central body;
A plate-shaped support body extending from an edge of one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nd rotatable between a parallel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parallel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 plate-shaped bottom body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plate surface of the central body and rotatable to an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overlap and an inclined position where the plate surfac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 connection support portion on one sid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entral body and the bottom body, and on the other side connectable to an extended end region of the support body; and
It includes a pair of table supports extending from both side edges perpendicular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body plate surface,
The floor body includes a floor bending portion capable of rotating and bending along the central transvers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central body.
When the pair of table supports are folded and overlapped with the central body and the central body is lifted while the floor body is attached to the floor, the support body is rotated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nd stands up,
When the floor body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and the floor bending portion is bent while the pair of table supports are disposed perpendicularly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the floor body in the bent portion is A functional ma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low the central body in a perpendicular stat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table supports.
제1 항에 있어서,
어깨끈이 연결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 영역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According to claim 1,
A functional mat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onnecting rings formed on both sides of at least one of the central body and the support body so that shoulder straps can be connected and carried.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본체는 외측에 주머니 형상을 갖는 주머니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loor main body is a functional ma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ocket storage portion having a pocket shape on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테이블지지부의 연장 중앙영역과 상기 바닥본체의 연장 모서리영역에는 상호 결합되기 위한 부착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According to claim 1,
A functional ma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ed central area of the pair of table supports and the extended corner area of the floor body further include an attachment coupling part for mutual coupling.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본체의 중앙영역과 상기 지지본체의 연장말단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결합부와 상기 연결지지부가 결합되기 위한 안착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트.
According to clause 4,
A functional mat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entral body and the extended end region of the support body for coupling the attachment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support portion.
KR2020230000950U 2023-05-12 2023-05-12 Functional Mat KR20049769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950U KR200497690Y1 (en) 2023-05-12 2023-05-12 Functional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950U KR200497690Y1 (en) 2023-05-12 2023-05-12 Functional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690Y1 true KR200497690Y1 (en) 2024-01-29

Family

ID=8971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950U KR200497690Y1 (en) 2023-05-12 2023-05-12 Functional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90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006B2 (en) * 1991-11-06 2001-05-28 光洋精工株式会社 Bearing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KR20060088091A (en) * 2006-07-06 2006-08-03 임영길 Simply portable table
JP2022037513A (en) * 2020-08-25 2022-03-09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Back pad bed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006B2 (en) * 1991-11-06 2001-05-28 光洋精工株式会社 Bearing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KR20060088091A (en) * 2006-07-06 2006-08-03 임영길 Simply portable table
JP2022037513A (en) * 2020-08-25 2022-03-09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Back pad bed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9893B (en) Playpen and foldable bed plate
US7950083B2 (en) Portable child bed
US5581827A (en) Foldable playyard
JP2013504378A (en) Table device with stool
US9179786B1 (en) Collapsible napper for a playard bassinet
EP1420668B1 (en) Foldable baby's chair
KR200485663Y1 (en) Multi-funtional mat
US7469645B2 (en) Modular folding tables
KR200497690Y1 (en) Functional Mat
US20030066129A1 (en) Lightweight bottom wall structure for playyard, pen, and cot
JPS60150711A (en) Furniture fittings
US20060214478A1 (en) Folding chair with footrest
KR200485842Y1 (en) Folding mat
JP2605311Y2 (en) Folding table
US4363517A (en) Portable back rest
KR200474172Y1 (en) A combination sofa and bed
KR20130004781U (en) Foldable Camping Chair
KR20180040940A (en) Folding mat
JP3001497U (en) Sitting straight
TWM521963U (en) Child's dining chair
JP4808286B1 (en) Portable sitting chair
GB2419815A (en) Portable multi-purpose back rest including a games board
TW202247792A (en) Folding chair
JPH01121008A (en) Chair-like furniture
KR200475017Y1 (en) Chair for lei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