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30Y1 -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 Google Patents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30Y1
KR200497230Y1 KR2020210001899U KR20210001899U KR200497230Y1 KR 200497230 Y1 KR200497230 Y1 KR 200497230Y1 KR 2020210001899 U KR2020210001899 U KR 2020210001899U KR 20210001899 U KR20210001899 U KR 20210001899U KR 200497230 Y1 KR200497230 Y1 KR 200497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box
storage body
camp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008U (ko
Inventor
안희성
Original Assignee
안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성 filed Critical 안희성
Priority to KR2020210001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3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3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버너, 코펠, 양념 및 조리도구 등의 캠핑용 물품들을 수납하고 좁은 공간에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고 수납공간이 확대되어 수납물품을 넉넉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하고 보조 수납함을 메인 수납함에 올려놓고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부면에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다리(12,13)가 형성되는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방수납몸체(24)와, 상기 후방수납몸체(24)의 바닥면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홈부(30)가 형성되는 받침판(28)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28)의 좌우측 바깥쪽에 고정다리(12,13)가 위치되어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이 도어 기능을 하도록 전면을 폐쇄하는 후방 메인 수납함(104)과;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링크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 설치된 회동링크부(110)를 회동시켜서 전방 보조 수납함(102)을 상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상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전면부를 개방하여 캠핑용 물품을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사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는 다양한 캠핑용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함을 이단으로 올려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동 및 운반이 자유로운 휴대용 수납함으로 사용가능하고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Multi purpose potable camping box }
본 고안은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버너, 코펠, 양념 및 조리도구 등의 캠핑용 물품들을 수납하고 좁은 공간에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고 수납공간이 확대되어 수납물품을 넉넉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하고 보조 수납함을 메인 수납함에 올려놓고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여행을 떠나 자유롭게 캠핑생활을 즐기는 레저 및 캠퍼들이 증가하하는 추세이다.
자연풍경을 즐기면서 취사와 야영을 하는 캠핑은 지친 현대인들의 일상을 위로하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배출수단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야외에서 취사 및 야영이 가능하도록 텐트, 코펠, 의자, 식탁, 양념통, 식기, 그릇, 수저류 등의 효율적인 보관 및 수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캠핑용품들과 식기류들은 이물질이 유입되면 위생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즐거운 여행과 캠핑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어 좀 더 효율적인 수납함 또는 수납용 캠핑박스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56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54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양념통, 식기류, 조리기구 등의 캠핑용품을 용이하게 수납하고 다용도 및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단 적층구조를 갖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은 전면의 보조 수납함과 후면의 메인 수납함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수납함과 메인 수납함을 일체로 형성하여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하여 활용성과 사용성이 우수하게 향상된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보조 수납함과 메인 수납함을 더블링크로 연결하여 회동시켜서 보조 수납함을 메인 수납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적층이 가능하면서도 많은 양의 캠핑용품 수납이 가능한 수납박스와의 결합을 통하여 이동이 간단한 포터블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수평공간과 높이를 활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부면에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다리(12,13)가 형성되는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방수납몸체(24)와, 상기 후방수납몸체(24)의 바닥면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홈부(30)가 형성되는 받침판(28)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28)의 좌우측 바깥쪽에 고정다리(12,13)가 위치되어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이 도어 기능을 하도록 전면을 폐쇄하는 후방 메인 수납함(104)과;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링크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 설치된 회동링크부(110)를 회동시켜서 전방 보조 수납함(102)을 상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상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전면부를 개방하여 캠핑용 물품을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사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좌우측면부에 우상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되는 가로방향의 안내슬릿(38)이 형성된 하부링크(106)와;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좌우측면부에 우상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되는 가로방향의 안내슬릿(4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링크(106)의 상부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링크(108)와;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기 상부링크(108)이 후단부를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측면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기 상부링크(108)의 안내슬릿(38,46)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안내슬릿(38,46)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0)를 기준점으로 상방향으로 상승한 후, 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부면에는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다리(12,13)를 구비하고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면에는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받침턱(26)을 구비하며,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회동하여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에 안착시 상기 고정다리(12,13)가 상기 받침턱(2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는 다양한 캠핑용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수납함을 이단으로 올려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동 및 운반이 자유로운 휴대용 수납함으로 사용가능하고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함을 이층으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밀리거나 쓰러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다양한 캠핑용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함으로써 이동성이 우수하고 물품 수납 및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다용도 조립식 선반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100)를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후방 메인 수납함(104)과,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후방 메인 수납함(104)을 측면부에서 상호 연결 동작하도록 설치된 회동링크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은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전면부를 막은 상태로 위치하다가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을 손잡이(112)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전면부를 개방하여 캠핑용 물품을 넣고 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은 직사각형상으로 전부수납몸체(10)가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캠핑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부에는 도어(16,17)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의 후부에는 후방 메인 수납함(104)이 설치되는바,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은 직사각형상으로 후부수납몸체(24)가 형성되고, 내측부에는 캠핑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부에는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에 의해 닫혀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의 좌우 측면부에는 회동링크부(110)의 전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 측면부에는 회동링크부(110)의 후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하부링크(106)와, 상부링크(108)로 이루어지고 상하부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 더블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우상향으로 설치되고 우상단부는 고정되고 좌하단부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후방 메인 수납함(104)을 연결하고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이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상부위로 적층되면서 전면이 열리도록 화살표 방향과 같이 움직이면서 회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은 캠핑시에 필요한 각종 양념통, 식기류 및 조리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부 수납몸체(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부 좌우측면에는 수직하방으로 다수개의 고정다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고정다리(12)는 전부 및 후부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측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다리(12)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최외측면보다 더 안쪽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고정다리(12)이 외측에는 고정턱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전면부에는 좌우 양측방향으로 열리는 도어(16)와 도어(17)가 대칭으로 설치된다.
상기 도어(16)의 전면부에는 회동걸쇠(18)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도어(17)의 전면부에는 고정걸쇠(2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6)의 회동걸쇠(18)는 회동하면서 상기 도어(17)의 고정걸쇠(20)에 걸려져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내측부에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공간(22)에는 전술된 캠핑용품들이 수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좌우측면부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고정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23)에는 상기 회동링크부(110)의 이동부재(42)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이동부재(42)는 볼트,너트, 피스, 리벳, 핀, 나비볼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회동링크부(110)와 연설되어 전후로 유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전부 수납몸체(10)는 상기 회동링크부(110)의 동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후부에는 후방 메인 수납함(104)이 설치되는바,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은, 사각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후부수납몸체(24)로 형성되고,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좌우측변부에 상방향을 돌출되어 받침턱(26)이 형성되며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하면부 전방향으로는 길게 돌출된 판형상으로 받침판(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28)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측부에는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좌우폭보다 더 좁게 형성되어 결합홈부(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홈부(30)가 형성됨으로써 전술된 전부수납몸체(10)의 후부에 형성된 고정다리(13)가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후부수납몸체(24)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판(28)은 상기 결합홈부(30)의 전방으로 측면부가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전방으로 연장되며 단차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32)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면 내측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전부수납몸체(10)를 하부를 받쳐준다.
상기 수부수납몸체(24)의 내측부에는 다양한 캠핑용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후부수납몸체(24)의 좌측부와 우측부 측면부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회동링크부(110)가 설치되는바,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면서 우측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면에 안착 설치된다.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상부와 하부의 두개의 더블링크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에는 하부링크(106)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에는 상부링크(108)가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부링크(108)의 전단부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부링크(108)의 후단부는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하부링크(106)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형태로 이루어진 하부링크몸체(3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링크몸체(36)의 전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안내슬릿(3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링크몸체(36)의 후단부에는 볼트,너트,피스, 리벳, 나비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부재(40)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링크몸체(36)를 상기 후부수납몸체(24)에 고정한다.
상기 하부링크몸체(36)의 전부에 형성된 안내슬릿(38)에는 볼트,너트,피스, 리벳, 나비볼트와 너트 등의 이동부재(42)가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42)는 상기 안내슬릿(38)을 따라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하부링크(106)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후부수납몸체(24)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손잡이(112)를 잡고 들어올리면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상기 하부링크(106)의 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상승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회동동작을하여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면에 형성된 받침턱(26)과 결합되어 안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링크(108)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링크몸체(4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링크몸체(44)의 전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안내슬릿(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링크몸체(44)의 후단부에는 볼트,너트,피스, 리벳, 나비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부재(48)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링크몸체(44)를 상기 후부수납몸체(24)에 고정한다.
상기 상부링크몸체(44)의 전부에 형성된 안내슬릿(46)에는 볼트,너트,피스, 리벳, 나비볼트와 너트 등의 이동부재(50)가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안내슬릿(46)을 따라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부링크(1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12)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상기 하부링크(106)의 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상승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회동 동작을하여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면에 형성된 받침턱(26)과 결합되어 안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부링크(108)는 초기에는 상기 이동부재(42,50)가 상기 안내슬릿(38,46)의 전부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위치하다가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을 들어올리면서 상기 이동부재(42,50)가 안내슬릿(38,46)의 후부로 이동하고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이동부재(42,50)가 상기 안내슬릿(38,46)의 하단부로 완전하게 이동되며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부링크(108)는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때, 상기 회동링크부(110)의 전단부에 연결 설치된 상기 전방부조 수납함(102)이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이 전부가 개방되면서 수납공간(34)이 열려서 물품을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와 저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이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후방 메인 수납함(104)이 전후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이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도어 기능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의 전면부에는 도어(16,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16,17)에는 회동걸쇠(18) 및 고정걸쇠(20)가 각각 좌우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6)에는 회동걸쇠(18)가 고정되고 상기 도어(17)에는 고정걸쇠(2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걸쇠(18)가 상기 고정걸쇠(20)에 걸려서 도어(16,17)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회동걸쇠(18)를 고정걸쇠(20)에서 해제함으로써 도어(16,17)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는 회동링크부(110)가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연동되어 상후방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우상향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우상단부는 고정되고 좌하단부는 자유롭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4는 본 고안의 저면도이고, 상기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의 사용 상태는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전면의 보조 수납함과 후면의 메인 수납함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수납함과 메인 수납함을 일체로 형성하여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하고,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단 적층구조를 갖는 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부수납몸체 12 : 고정다리
14 : 고정턱부 16 : 도어
18 : 회동걸쇠 20 : 고정걸쇠
22 : 수납공간 24 : 후부수납몸체
26 : 받침턱 28 : 받침판
30 : 결합홈부 32 : 단차부
34 : 수납공간 36 : 하부링크몸체
38 : 안내슬릿 40 : 고정부재
42 : 이동부재 44 : 상부링크몸체
46 : 안내슬릿 48 : 고정부재
50 : 이동부재
100 : 캠핑박스 102 : 전방 보조 수납함
104 : 후방 메인 수납함 106 : 하부링크
108 : 상부링크 110 : 회동링크부
112 : 손잡이

Claims (3)

  1.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부면에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다리(12,13)가 형성되는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부수납몸체(24)와,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바닥면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홈부(30)가 형성되는 받침판(28)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28)의 좌우측 바깥쪽에 고정다리(13)가 위치되어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이 도어 기능을 하도록 전면을 폐쇄하는 후방 메인 수납함(104)과;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링크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보조 수납함(102)과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좌우측면부에 설치된 회동링크부(110)를 회동시켜서 전방 보조 수납함(102)을 상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상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후방 메인 수납함(104)의 전면부를 개방하여 캠핑용 물품을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사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부(110)는,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좌우측면부에 우상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되는 가로방향의 안내슬릿(38)이 형성된 하부링크(106)와;
    상기 전부수납몸체(10)와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좌우측면부에 우상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전후로 관통되는 가로방향의 안내슬릿(4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링크(106)의 상부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링크(108)와;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기 상부링크(108)이 후단부를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측면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하부링크(106)와 상기 상부링크(108)의 안내슬릿(38,46)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안내슬릿(38,46)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40)를 기준점으로 상방향으로 상승한 후, 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수납몸체(10)의 하부면에는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다리(12,13)를 구비하고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면에는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받침턱(26)을 구비하며, 상기 전부수납몸체(10)가 회동하여 상기 후부수납몸체(24)의 상부에 안착시 상기 고정다리(12,13)가 상기 받침턱(2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KR2020210001899U 2021-06-18 2021-06-18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KR200497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99U KR200497230Y1 (ko) 2021-06-18 2021-06-18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99U KR200497230Y1 (ko) 2021-06-18 2021-06-18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08U KR20220003008U (ko) 2022-12-27
KR200497230Y1 true KR200497230Y1 (ko) 2023-09-04

Family

ID=8453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99U KR200497230Y1 (ko) 2021-06-18 2021-06-18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3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861A (en) 1976-05-21 1979-04-24 Michel Dufrancatel Article of furniture for campers
US8424693B1 (en) 2011-04-11 2013-04-23 James A. Hoover Rollout drop down shelves
CN204071182U (zh) 2014-10-20 2015-01-07 娄辰 一种化妆品收纳盒
JP2017217064A (ja)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ダイドー 昇降棚
KR101955857B1 (ko) 2018-08-27 2019-03-07 현동환 책장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40Y1 (ko) 2007-09-14 2009-08-11 주식회사 락앤락 접이식 수납함
KR200452568Y1 (ko) 2008-06-13 2011-03-08 주식회사 봉적 다용도 수납함
KR20220068690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밴텍디엔씨 다용도 트렁크 캠핑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0861A (en) 1976-05-21 1979-04-24 Michel Dufrancatel Article of furniture for campers
US8424693B1 (en) 2011-04-11 2013-04-23 James A. Hoover Rollout drop down shelves
CN204071182U (zh) 2014-10-20 2015-01-07 娄辰 一种化妆品收纳盒
JP2017217064A (ja)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ダイドー 昇降棚
KR101955857B1 (ko) 2018-08-27 2019-03-07 현동환 책장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008U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393B1 (en) Barbecue utility server cart
US9820576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6543436B2 (en) Portable chuckwagon camp box
US8814261B2 (en) Adirondack chair with double fulcrum
US9375090B2 (en) Rotatable and collapsible chair
CA2990536A1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US20240115051A1 (en) Furniture with integrated storage compartments
US20130009427A1 (en) Folding table and chair set with partially open carrying case
US2483309A (en) Combination folding chair and table
KR200497230Y1 (ko) 다목적 포터블 캠핑박스
US4077668A (en) Two part portable chair construction
KR200460213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US20110220522A1 (en) Compact children's table and stool set
US20140375088A1 (en) Sofa / dining set
KR20190108708A (ko) 조립식 테이블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CN211211885U (zh) 一种一体式折叠桌椅套件
KR102388392B1 (ko) 캠핑용 조립식 테이블
KR102688650B1 (ko) 윗쪽 방향으로 절첩되는 접이식 롤 테이블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CN108158246B (zh) 一种多功能紧凑型桌椅
KR102688649B1 (ko) 아랫쪽 방향으로 절첩되는 접이식 롤 테이블
CN202286904U (zh) 便携式折叠桌椅
JP4013227B2 (ja) 収納式スライドチェアとその開閉方法
KR101661352B1 (ko) 캠핑용 다목적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