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124Y1 -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 Google Patents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124Y1
KR200497124Y1 KR2020210001673U KR20210001673U KR200497124Y1 KR 200497124 Y1 KR200497124 Y1 KR 200497124Y1 KR 2020210001673 U KR2020210001673 U KR 2020210001673U KR 20210001673 U KR20210001673 U KR 20210001673U KR 200497124 Y1 KR200497124 Y1 KR 200497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upled
base
partition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61U (ko
Inventor
이성일
최보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피아
Priority to KR2020210001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2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가림막 파티션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모서리의 마감부, 마감부와 결합된 힌지를 갖는 힌지마감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막, 가림막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가 가림막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파티션으로 구획된 각 공간마다 상황에 따라 필요한 높이감을 파티션 구조체를 해체하지 않고 힌지에 연결된 가림막을 활용하여 부여할 수 있어 타인의 시선이나 비말을 차단할 수 있는 가림막 파티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Partition with screen }
본 고안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조절 가능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파티션 상부에 힌지에 의해 연결된 가림막을 통해 시선차단 및 비말차단 효과를 갖는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실내공간을 용도 또는 편의에 맞춰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구획하는 기능성 가구로서, 플라스틱 혹은 철제, 알루미늄 따위의 프레임과 그 안을 채우는 다양한 재질의 구획부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파티션의 연결을 통해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넓이로 공간을 분할한다.
따라서, 파티션은 연결의 용이성을 위해 일괄적인 높이를 가지는 동일한 제품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괄적인 높이로 연결된 파티션의 경우 통일감을 주어 심미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종래의 파티션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기호에 따라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파티션의 높이감이 부족하여 발생할 수 있는 타인의 시선이나 상부를 통해 넘어오는 비말의 차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2213516(발명의 명칭: 파티션 연장용 홀더)를 제안한 바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일체화된 하부와 상부의 한 쌍의 홀더가 있는 집게 형태로 하부 홀더는 파티션을, 상부 홀더는 가림막을 고정하는 파티션 연장 홀더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 문헌에 의하면, 가림막을 상단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한 용도이며, 파티션의 일반적인 용법상 시선이나 햇빛 등이 사용자에게 사선으로 침범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가림막의 가림 효과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림막에 비하여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를 다시 분리하여 따로 수납해야 하기 때문에 수납공간을 필요한 문제점을 내포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각도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가림막을 파티션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상황과 기호에 맞게 높이감을 확장 가능하고, 방역 상황 등의 긴급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구획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힌지를 갖는 힌지마감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힌지에 결합되는 가림막, 가림막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는 힌지마감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고, 힌지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림막이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쇠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베이스는 상단 반호 형상으로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쇠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안착홈의 길이방향으로 결합축이 돌출형성되고, 회전쇠는, 중앙에 결합축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안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부위와 축부위에서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단부에 가림막과 결합되는 'ㄷ'자 모양의 결합부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림막과 추가가림막은 회전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가림막에 회전힌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홈에 회전힌지가 설치할 수 있다.
회전힌지는 가림막과 결합하는 제1회전부와 추가가림막과 결합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고,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는 서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방향 평면에서 180도 회전한 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회전부는 가림막과 결합하는 'ㄷ'자형 힌지결합부와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힌지마감부는 구획부의 단부와 맞닿는 마감부베이스와 힌지베이스와 동일한 곡률의 반호형상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마감부 및 힌지마감부의 양 측단을 막는 마감부캡을 포함하고, 힌지마감부는 구획부의 단부와 볼트형 장나사로 결합하고, 마감부베이스에 상부마감부 및 힌지베이스는 볼트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은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명일 수 있는 사용자가 서로 분리되어 작업을 수행하는데 집중력을 향상시켜 업무 또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은 높이 변화가 용이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의 시선이나 비말 등을 차단할 필요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1)은 회전 가능할 수 있어, 폴딩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구획부의 높이가 부족하거나 사용자의 상황이나 환경에 맞춰 높이의 변화가 필요할 때, 이를 대응하기 위해 가림막을 각각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시선 및 비말 차단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구획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는 스틸,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의 강성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향균 및 방수 효과가 형성될 있고,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는 하부에 다리를 설치하여 지면과 이격될 수 있어, 전기선이나 랜선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는 가림막이 회전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가림막은 판 형상일 수 있으며, 구획부와 추가가림막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은 스틸,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의 강성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향균 및 방수 효과가 형성될 있고,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가림막은 구획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에 하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 추가가림막이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홈은 후술할 힌지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림막을 파지함으로써, 가림막과 구획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은 회전힌지가 결합될 수 있어, 가림막과 추가가림막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추가가림막은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림막과 회전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힌지마감부는 구획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가림막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획부와 가림막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힌지는 가림막의 상단부에 연결된 추가가림막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가림막과 추가가림막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마감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힌지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1)은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1)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명일 수 있는 사용자가 서로 분리되어 작업을 수행하는데 집중력을 향상시켜 업무 또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1)은 높이 변화가 용이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의 시선이나 비말 등을 차단할 필요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1)은 회전 가능할 수 있어, 폴딩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구획부의 높이가 부족하거나 사용자의 상황이나 환경에 맞춰 높이의 변화가 필요할 때, 이를 대응하기 위해 가림막(200)을 각각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시선 및 비말 차단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짧은 시간 동안 햇빛이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경우, 간편하게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림막(2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 다시 가림막(200)을 회전시켜 수납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20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힌지마감부(400)의 길이와 대응할 수 있으며, 추가가림막(30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도 힌지마감부(400)와 대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1)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높이를 변화가 용이하여 시선 및 비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획부(100), 가림막(200), 추가가림막(300), 힌지마감부(400) 및 힌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100)는 구획부(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00)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00)는 복수 개가 서로 결합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안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켜 업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부(100)는 스틸,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의 강성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향균 및 방수 효과가 형성될 있고,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00)는 하부에 다리(미도시)를 설치하여 지면과 이격될 수 있어, 전기선이나 랜선 등이 구획부(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00)의 상부에는 가림막(200)이 회전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가림막(200)은 판 형상일 수 있다. 가림막(200)은 구획부(100)와 추가가림막(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림막(200)은 구획부(100)와 추가가림막(3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200)은 스틸,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의 강성을 보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향균 및 방수 효과가 형성될 있고,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가림막(200)은 구획부(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부에 하부홈(2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 추가가림막(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홈(201)은 후술할 힌지(5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림막(200)을 파지함으로써, 가림막(200)과 구획부(1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203)은 후술할 회전힌지(600)가 결합될 수 있어, 가림막(200)과 추가가림막(3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추가가림막(3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림막(200)과 회전힌지(600)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할, 힌지마감부(400)는 구획부(100)의 상단부에 연결된 가림막(2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획부(100)와 가림막(2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힌지(600)는 가림막(200)의 상단부에 연결된 추가가림막(3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가림막(200)과 추가가림막(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마감부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단면도이다.
구획부(100)에 맞닿는 마감부베이스(410), 반호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를 가지는 상부마감부(420) 및 양측단을 막는 마감부캡(4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힌지마감부(400)는 구획부(100)의 상부에서 가림막(2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감부베이스(410), 상부마감부(420) 및 마감부캡(43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마감부(40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마감부(400)의 상부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마감부(400)는 후술할 힌지베이스(51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마감부베이스(41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베이스(410)는 구획부(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베이스(410)는 내부에 제1중공부(4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베이스(410)는 상부면과 대응되는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베이스(410)는 양측에 볼트형 장나사가 하방으로 결합되어, 마감부베이스(410)와 구획부(1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베이스(410)의 돌출된 부분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볼트 구멍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감부베이스(4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상부마감부(420) 및 힌지베이스(510)의 결합 위치가 조정될 수 있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베이스(4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폭은 구획부(100)의 상부면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마감부베이스(410)의 상부면은 상부를 향해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감부베이스(410)는 '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상부마감부(420) 및 힌지베이스(5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마감부(420) 및 힌지베이스(510) 가 마감부베이스(4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부마감부(42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마감부(420) 의 하부면은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마감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마감부(42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마감부(421)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돌출마감부(421)는 서로 이격됨으로써, 한 쌍의 돌출마감부(42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마감부(4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마감부베이스(410)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마감부(420)는 내측이 제2중공부(42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획부(100)에 부담되는 무게를 감소시켜 가림막(200) 및 추가가림막(300)에 의한 쏠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림막(200), 추가가림막(300), 상부마감부(400) 세개의 무게가 구획부(100)보다 가볍도록 형성하여 가림막(200)이 위치하는 위치로 쏠리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감부캡(43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캡(430)은 상단부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감부캡(430)의 마감부베이스(410) 및 상부마감부(420) 측으로 복수 개의 돌출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캡(430)의 돌출부(431)는 마감부베이스(410)의 제1중공부(410a) 및 상부마감부(420)의 제2중공부(420a)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감부캡(430)은 마감부베이스(410)와 상부마감부(420)의 양측 단부를 밀폐시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캡(430)의 돌출부(431)는 표면이 주름진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감부캡(430)의 돌출부(431)가 외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부마감부(420) 및 마감부베이스(410)의 내측과 마찰력이 향상시켜 마감부캡(430)이 상부마감부(420) 및 마감부베이스(4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감부캡(430)은 상부마감부(420) 및 마감부베이스(410)의 내측으로 오염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단에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부분을 감쌀 수 있어, 사람이 힌지마감부(400)에 충돌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힌지마감부(400)와 가림막(200)은 힌지(500)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힌지(500)는 가림막(200)이 힌지마감부(400)의 외측 방향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베이스(510)와 회전쇠(5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힌지베이스(510)는 마감부베이스(410)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베이스(510)와 연결되는 회전쇠(52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몸체(511), 결합몸체(512) 및 돌출몸체(5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몸체(51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몸체(511)의 하부면에는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부분은 상술한 돌출마감부(411)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감부베이스(41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몸체(511)의 상부에는 결합몸체(512)가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몸체(512)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몸체(51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에는 후술할 결합축(512a)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결합몸체(512)는 베이스몸체(511)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몸체(511)와 결합몸체(512)는 상부가 반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부마감부(4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몸체(5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몸체(513)가 연장될 수 있다.
돌출몸체(513)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513)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됨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513)의 높이는 베이스몸체(51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몸체(513)의 상부면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홈(5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홈(513a)에는 돌출몸체(513)의 상부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회전쇠(520)의 하부면이 안착될 수 있다. 즉, 호 형상의 안착홈(513a)과 축부위(521)의 하부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회전쇠(520)는 하단부에 가림막(200)이 탈착 가능하고, 결합축(512a)에 의해 상부마감부(420) 및 힌지베이스(5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축부위(521), 연결부(522) 및 결합부위(523)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위(52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결합축(512a)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축부위(521)의 하단부는 안착홈(513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축부위(521)의 홀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결부(522)가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522)는 축부위(52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면(5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면(522a)은, 상부면이 축부위(521)의 상단부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면(522a)은 축부위(521)가 안착홈(513a)의 상부에서 회전하게 될 경우, 돌출면(522a)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될 때, 힌지베이스(510)의 외측면에 걸리면서 축부위(52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쇠(520)가 회전 가능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돌출면(522a)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연결부(52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22)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22)는 마감부베이스(410)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22)의 하단부에는 'ㄷ'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위(52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위(523)는 양측 단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양측 단부가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는 개구부(523a)에 가림막(200)이 삽입될 수 있어, 가림막(200)과 회전쇠(5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523a)에 삽입된 가림막(200)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탈착될 수 있으며 가림막(200)을 사용할 경우 가림막(200)과 회전쇠(520)의 결합이 강화될 수 있도록, 회전쇠(520)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가림막(200)과 회전쇠(52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힌지의 분해도이다.
본 고안의 회전힌지(600)는 가림막(200)과 추가가림막(300)을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부(610) 및 제2회전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부(610)는 가림막(2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611) 및 회전축부(612)를 포합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611)는 'ㄷ'자 모양일 수 있다. 또한 힌지결합부(611)의 개구부에 가림막(200)이 삽입될 수 있어, 가림막(200)과 회전힌지(600)가 탈착될 수 있다. 이때 가림막(200)과 회전힌지(600)의 결합이 강화 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611)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가림막(200)과 회전힌지(600)를 고정할 수 있다.
회전축부(612)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가림막(300)을 가림막(200)의 내측 및 외측에 맞닿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가림막(200)과 구획부(100) 사이에 추가가림막(300)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제2회전부는 회전축(612a)을 포함한 평면에서 제1회전부(610)를 180도 회전시킨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부(620)는 추가가림막(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611) 및 회전축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힌지캡(630)은 제1회전부(610)의 중공부(613) 및 제2회전부(620)의 중공부(613)의 양측단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축(612a) 및 회전축부(612)에 이물질이 침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100: 구획부
200: 가림막 210: 결합홈
220: 하부홈
300: 추가가림막
400: 힌지마감부 410: 마감부베이스
410a: 제1중공부 420: 상부마감부
420a: 제2중공부 421: 돌출마감부
430: 마감부캡 431: 돌출부
500: 힌지 510: 힌지베이스
511: 베이스몸체 511a: 돌출마감부
512: 결합몸체 512a: 결합축
513: 돌출몸체 513a: 안착홈
520: 회전쇠 521: 축부위
522: 연결부 522a: 돌출면
523: 결합부위 523a: 개구부
600: 회전힌지 610: 제1회전부
611: 힌지결합부 612: 회전축부
612a: 회전축 613: 중공부
620: 제2회전부 630: 회전힌지캡

Claims (6)

  1.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힌지를 갖는 힌지마감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가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힌지마감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베이스 및 상기 힌지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림막이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쇠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쇠는, 상기 힌지베이스에 안착되는 축부위 및 상기 축부위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면이 형성되어 상기 축부위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돌출면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힌지베이스는, 상단 반호형상으로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쇠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축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쇠는, 중앙에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축부위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가림막과 결합되는 'ㄷ'자 모양의 결합부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림막과 상기 추가가림막은 회전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림막에 상기 회전힌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회전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힌지는, 상기 가림막과 결합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추가가림막과 결합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는 서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가림막과 결합하는 'ㄷ'자형 힌지결합부와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마감부는, 상기 구획부의 단부와 맞닿는 마감부베이스와 상기 힌지베이스와 동일한 곡률의 상단 반호형상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마감부 및 상기 힌지마감부의 양측단을 막는 마감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마감부는 상기 구획부의 단부와 볼트형 장나사로 결합하고, 상기 마감부베이스에 상기 상부마감부 및 상기 힌지베이스가 볼트로 연결된,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10001673U 2021-05-27 2021-05-27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KR200497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73U KR200497124Y1 (ko) 2021-05-27 2021-05-27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73U KR200497124Y1 (ko) 2021-05-27 2021-05-27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61U KR20220002861U (ko) 2022-12-06
KR200497124Y1 true KR200497124Y1 (ko) 2023-08-03

Family

ID=8439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73U KR200497124Y1 (ko) 2021-05-27 2021-05-27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2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1900A (ja)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扉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5059400A (ja) * 2013-09-20 2015-03-30 青木精密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組立ブース及びブースの設置方法
KR200480619Y1 (ko) * 2015-12-08 2016-06-15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도어 패널용 힌지
KR102174792B1 (ko) * 2019-06-18 2020-11-05 박재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529B1 (ko) * 2010-01-26 2011-10-28 권혁정 유리문용 경첩
KR102216583B1 (ko) * 2019-04-04 2021-02-17 주식회사 류씨은 파티션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1900A (ja) 2011-10-24 2013-05-16 Panasonic Corp 扉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5059400A (ja) * 2013-09-20 2015-03-30 青木精密工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組立ブース及びブースの設置方法
KR200480619Y1 (ko) * 2015-12-08 2016-06-15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도어 패널용 힌지
KR102174792B1 (ko) * 2019-06-18 2020-11-05 박재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61U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946A (en) Privacy screen for office panelling systems
US5287909A (en) Freestanding privacy screen
KR100776420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US4858983A (en) Sun visor frame and mounting structure
EP2868858B1 (en) Safety door
EP2542745B1 (en) Improved hinge with determinated stop positions
CN102287102B (zh) 铰链
ES2270365T3 (es) Herraje.
KR200497124Y1 (ko) 가림막이 구비된 파티션
US6499188B1 (en) Case hinge structure
JP2019092493A (ja) 折り畳みと組立てが簡単な箱体、及びこの箱体を用いたペット小屋
JP2007325809A (ja) テーブルの脚カバー
KR101370380B1 (ko) 기능성 파티션
ES2720072T3 (es) Conjunto de campana y armario
KR200482261Y1 (ko) 톱니바퀴를 접목한 도어용 힌지
KR101308363B1 (ko) 스크린 베이스
KR20210004149A (ko) 가림판 착탈식 다리절첩테이블
KR200406940Y1 (ko) 관람용 의자
WO2012072988A2 (en) Mounting for a shower curtain rod
RU2323317C2 (ru) Монтажная фурнитура для стеклянных дверей
US10357016B1 (en) Fold up knock down animal enclosure
KR100668235B1 (ko) 칸막이용 배선덮개 조립체
KR20130093199A (ko) 거울 조립체
KR101757594B1 (ko)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KR20150042508A (ko)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