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06Y1 -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06Y1
KR200496906Y1 KR2020220002164U KR20220002164U KR200496906Y1 KR 200496906 Y1 KR200496906 Y1 KR 200496906Y1 KR 2020220002164 U KR2020220002164 U KR 2020220002164U KR 20220002164 U KR20220002164 U KR 20220002164U KR 200496906 Y1 KR200496906 Y1 KR 200496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d
cell phone
cover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순
Original Assignee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2020220002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일,타측결합본체부로 구비된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1,2커버와, 제1,2커버의 전,후방에 결합되는 제1,2결합힌지로 연결하여서,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제1,2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에서 밀림을 방지하여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과 마찰되어 발생되는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 외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A cell phone case that combines the 1st and 2nd covers that are coupled to the polter cell phone and are equipped to prevent the outer side of the cell phone from being pushed out}
본 발명은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제1,2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에서 밀림을 방지하여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과 마찰되어 발생되는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 외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와 관련된 기술은;
실용신안등록제20-0494214호(2021년 08월 24일 등록) "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와;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연결하는 제3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의 일부는 상기 슬롯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커버의 일부가 상기 슬롯의 일부에 걸릴 때까지, 상기 제3 커버와 상기 슬롯의 제1 중첩영역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제1 커버는 외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외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상기 제3 커버의 제1 영역은 상기 제1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커버의 제2 영역은 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홈을 덮어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부재에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소재가 상이하고, 상기 제2 부재의 경도가 상기 제1 부재의 경도보다 크게 구성되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복수개의 단말기로 서로 접철되게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일 단말기의 외측면이 제1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 단말기의 외측면이 제2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서 장기간 일,타측 단말기가 서로 접철될경우에, 휴대단말기의 일,타측 단말기의 외측면은 제1,2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림현상이 발생되는데 이 밀착 밀림현상으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일,타측 단말기의 외측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손상시키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제20-0494214호(2021년 08월 24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일,타측결합본체부로 구비된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1,2커버와, 제1,2커버의 전,후방에 결합되는 제1,2결합힌지로 연결하여서,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제1,2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에서 밀림을 방지하여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과 마찰되어 발생되는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 외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부 둘레면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제1기립결합벽(a1)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을 갖는 제1커버(10a)와; 상부 둘레면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제2기립결합벽(a2)을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을 갖는 제2커버(10b)와;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c1)를 전방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후방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c2)를 전방타측에 형성된 본체(d)와, 상기 본체(d)의 상부중앙에 결합삽입공(e)을 갖는 제1상부걸림부(21a)를 형성한 제1결합힌지(20a)와;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전방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c1)를 후방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방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c2)를 후방타측에 형성된 본체(d)와, 상기 본체(d)의 상부중앙에 결합삽입공(e)을 갖는 제2상부걸림부(21b)를 형성한 제1결합힌지(20b)와; 상기 제1상부걸림부(21a)의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는 제1링(30a)과; 상기 제2상부걸림부(21b)의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는 제2링(30b)과; 상기 제1링(30a)과 상기 제2링(30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줄(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에 이탈방지턱(f)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에 이탈방지턱(f)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f)은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부걸림부(21a)의 양측의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삽입공(e)과 연통형성된 회동홈(g)이 구비되고;
상기 제2상부걸림부(21b)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삽입공(e)과 연통형성된 회동홈(g)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커버(10a,10b)와 상기 제1,2결합힌지(20a,20b)는 투명합성수재 또는 불투명합성수지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결합힌지(20a,20b)와, 상기 제1,2링(30a,30b)과 ,상기 연결줄(4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중 선택된 어느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일,타측결합본체부로 구비된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제1,2커버와, 제1,2커버의 전,후방에 결합되는 제1,2결합힌지로 연결하여서,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제1,2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에서 밀림을 방지하여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의 외측면이 제1,2커버의 내측면과 마찰되어 발생되는 폴더핸드폰의 일,타측결합본체부 외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발생을 방지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2본체와 제1,2결합힌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결합힌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결합인지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2결합힌지의 제1,2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2본체와 제1,2결합힌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결합힌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결합인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2결합힌지의 제1,2결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도치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는 제1,2커버(10a,10b)와, 제1,2결합힌지(20a,20b)와, 제1,2링(30a,30b)와 연결줄(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10a)는 상부 둘레면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고 타측이 개방된 제1기립결합벽(a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은 상기 제1커버(10a)의 상부 외측둘레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길이로 기립되어 형성되는데, 이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내측둘레면은 복수개의 결합부로 서로 접철되는 폴더핸드폰(50)의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둘레가 결합되어 상기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둘레면을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커버(10a)의 내측면은 상기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면에 결합되어서, 상기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면을 외력에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10a)는 투명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투명합성수지재로 형성될수 있다.
상기 제1커버(10a)가 불투명합성수지재로 형성될시 다양한 컬러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다양한 문자, 무늬모양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10a)의 디자인의 미감을 불어넣어 상기 제1커버(10a)의 상품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회동공(b1)에는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제1결합구(c1)가 결합되고,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제1결합구(c1)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커버(10b)는 상부 둘레면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2기립결합벽(a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은 상기 제2커버(10b)의 상부 외측둘레면에 수직으로 일정한 길이로 기립되어 형성되는데, 이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내측둘레면은 복수개의 결합부로 서로 접철되는 폴더핸드폰(50)의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둘레가 결합되어 상기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둘레면을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커버(10b)의 내측면은 상기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면에 결합되어서, 상기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면을 외력에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커버(10b)는 투명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투명합성수지재로 형성될수 있다.
상기 제2커버(10b)가 불투명합성수지재로 형성될시 다양한 컬러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다양한 문자, 무늬모양이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10b)의 디자인의 미감을 불어넣어 상기 제2커버(10b)의 상품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회동공(b2)에는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제2결합구(c2)가 결합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제2결합구(c2)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힌지(20a)는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c1)를 전방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후방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c2)를 전방타측에 형성된 본체(d)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기 본체(d)의 전방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구(c1)는 상기 제1커버(10a)의 상기 제1기립결합벽(a1) 후방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삽입공(b1)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본체(d)의 전방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구(c2)는 상기 제2커버(10b)의 상기 제2기립결합벽(a2) 후방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삽입공(b2)에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힌지(20a)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d)의 상부중앙에 결합삽입공(e)을 갖는 제1상부걸림부(21a)를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삽입공(e)에는 상기 제1링(30a)이 삽입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에 이탈방지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에 이탈방지턱(f)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결합될시,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가 상기 이탈방지턱(f)에 의해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f)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쐐기형으로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f)은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2결합구(c1,c2)가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1,2결합구(c1,c2)를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상부걸림부(21a)의 양측의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삽입공(e)과 연통형성된 회동홈(g)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회동홈(g)은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어진 상기 제1링(30a)의 외측둘레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상기 제1링(30a)에 결합되어진 상기 연결줄(40)의 유동을 보다 자유롭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힌지(20a)이 하부중앙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회동공(b1)과 연통된 수직보강공(h)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보강공(h)은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자체에 강성을 부여하여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
상기 제2결합힌지(20b)는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방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c1)를 후방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방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c2)를 후방타측에 형성된 본체(d)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기 본체(d)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구(c1)는 상기 제1커버(10a)의 상기 제1기립결합벽(a1) 전방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삽입공(b1)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본체(d)의 후방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구(c2)는 상기 제2커버(10b)의 상기 제2기립결합벽(a2) 전방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삽입공(b2)에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결합힌지(20b)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d)의 상부중앙에 결합삽입공(e)을 갖는 제2상부걸림부(21b)를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삽입공(e)에는 상기 제2링(30b)이 삽입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에 이탈방지턱(f)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에 이탈방지턱(f)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기 제1,2결합구(c1,c2)는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에 삽입결합될시, 상기 제1,2결합구(c1,c2)의 말단외측둘레가 상기 이탈방지턱(f)에 의해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f)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쐐기형으로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턱(f)은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2결합구(c1,c2)가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1,2결합구(c1,c2)를 상기 제1,2결합회동공(b1,b2)의 내측둘레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상부걸림부(21b)의 양측의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삽입공(e)과 연통형성된 회동홈(g)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회동홈(g)은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어진 상기 제2링(30b)의 외측둘레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상기 제1링(30a)에 결합되어진 상기 연결줄(40)의 유동을 보다 자유롭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결합힌지(20b)이 하부중앙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회동공(b2)과 연통된 수직보강공(h)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보강공(h)은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자체에 강성을 부여하여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커버(10a)의 일측후방과 상기 제2커버(10b)의 타측후방을 서로 연결하는 제1결합힌지(20a)와, 상기 제1커버(10a)의 일측전방과 상기 제2커버(10b)의 타측전방으로 서로 연결하는 제2결합힌지(20a)로 구성하여서,
상기 제1커버(10a)의 내측면에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상기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면과 상기 일측결합본체(51a)의 외측둘레면이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내측둘레면에서 상기 제1,2결합힌지(20a)에 의해 밀리지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커버(10b)의 내측면에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상기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면과 상기 타측결합본체(51b)의 외측둘레면이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내측둘레면에서 상기 제1,2결합힌지(20a)에 의해 밀리지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면 및 내측둘레면이 상기 제1커버(10a)의 내측면 및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내측둘레면에 의해 스크래치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면 및 내측둘레면이 상기 제2커버(10b)의 내측면 및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내측둘레면에 의해 스크래치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링(30a)은 상기 제1상부걸림부(21a)의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링(30a)은 원형으로 형성된 링체로 구성되고, 원형의 링체로 원형 형성된 상기 제1링(30a)의 일부분이 절단되어서 상기 원형은 일부분이 절단된 일단과 타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단을 외측으로 벌려서 이 상기 결합삽입공(e)에 내측에 삽입되어지고 난 다음에 원형의 타단에 맞닿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링(30a)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링(30b)은 상기 제2상부걸림부(21b)의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링(30b)은 원형으로 형성된 링체로 구성되고, 원형의 링체로 형성된 상기 제1링(30a)의 일부분이 절단되어서 상기 원형은 일부분이 절단된 일단과 타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단을 외측으로 벌려서 이 상기 결합삽입공(e)에 내측에 삽입되어지고 난 다음에 원형의 타단에 맞닿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링(30b)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줄(40)은 상기 제1링(30a)과 상기 제2링(30b)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줄(40)은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팔목에 삽입하여 걸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수 있고,
또한, 상기 연결줄(40)은 사용자의 어깨에 걸칠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몸체에 삽입하여 크로스로 걸수 있는 길이로 구성될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줄(4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기 일,타측결합본체부(51a,51b)로 구비된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상기 제1,2커버(10a,10b)와, 상기 제1,2커버(10a,10b)의 전,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제1,2결합힌지(20a,20b)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커버(10a)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상기 일측결합본체부(51a)의 외측면이 밀림을 방지하고 상기 제2커버(20b)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상기 타측결합본체부(51b)의 외측면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핸드폰(50)에 결합되는 상기 제1,2커버(10a,10b)를 상기 제1,2결합힌지(20a,20b)로 결합되어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여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상기 일,타측결합본체부(51a,51b)의 외측면이 상기 제1,2커버(10a,10b)의 내측면과 마찰되어 발생되는 상기 폴더핸드폰(50)의 상기 일,타측결합본체부(51a,51b) 외측면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a: 제1커버 10b: 제2커버
20a: 제1결합힌지 20b: 제2결합힌지
30a: 제1링 30b: 제2링
40: 연결줄
a1: 제1기립결합벽 a2: 제2기립결합벽
b1: 제1결합회동공 b2: 제2결합회동공
c1: 제1결합구 c2: 제2결합구
d: 본체 e: 결합삽입공
f: 이탈방지턱 g: 회동홈

Claims (6)

  1. 상부 둘레면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제1기립결합벽(a1)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을 갖는 제1커버(10a)와;
    상부 둘레면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제2기립결합벽(a2)을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을 갖는 제2커버(10b)와;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c1)를 전방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후방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c2)를 전방타측에 형성된 본체(d)와, 상기 본체(d)의 상부중앙에 결합삽입공(e)을 갖는 제1상부걸림부(21a)를 형성한 제1결합힌지(20a)와;
    상기 제1기립결합벽(a1)의 전방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회동공(b1)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c1)를 후방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기립결합벽(a2)의 전방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회동공(b2)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c2)를 후방타측에 형성된 본체(d)와, 상기 본체(d)의 상부중앙에 결합삽입공(e)을 갖는 제2상부걸림부(21b)를 형성한 제2결합힌지(20b)와;
    상기 제1상부걸림부(21a)의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는 제1링(30a)과;
    상기 제2상부걸림부(21b)의 상기 결합삽입공(e)에 결합되는 제2링(30b)과;
    상기 제1링(30a)과 상기 제2링(30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줄(40)로 구성되는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걸림부(21a)의 양측의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힌지(20a)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삽입공(e)과 연통형성된 회동홈(g)이 구비되고;
    상기 제2상부걸림부(21b)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힌지(20b)의 상부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삽입공(e)과 연통형성된 회동홈(g)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20002164U 2022-09-06 2022-09-06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KR200496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164U KR200496906Y1 (ko) 2022-09-06 2022-09-06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164U KR200496906Y1 (ko) 2022-09-06 2022-09-06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06Y1 true KR200496906Y1 (ko) 2023-05-30

Family

ID=8654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164U KR200496906Y1 (ko) 2022-09-06 2022-09-06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0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540U (ko) * 1995-11-02 1997-06-18 박병성 소지품용 연결고리
KR20170002875A (ko) * 2015-06-30 2017-01-09 김명선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200493571Y1 (ko) * 2021-01-05 2021-04-26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KR200494214Y1 (ko) 2020-02-12 2021-09-01 주식회사 알머스 휴대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540U (ko) * 1995-11-02 1997-06-18 박병성 소지품용 연결고리
KR20170002875A (ko) * 2015-06-30 2017-01-09 김명선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KR200494214Y1 (ko) 2020-02-12 2021-09-01 주식회사 알머스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93571Y1 (ko) * 2021-01-05 2021-04-26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519B2 (en) Collapsible tent skeleton frame having ribs with rounded ends
KR200496906Y1 (ko) 폴더핸드폰에 결합되는 제1,2커버를 결합힌지로 결합되어 폴더핸드폰의 외측면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CN100405800C (zh) 便携式终端设备
US2223657A (en) Finger ring
CN209883303U (zh) 一种耐温防渗漏植物纤维餐具
CN205875999U (zh) 用于转门的铰链
CN209949203U (zh) 防摔手机壳
CN210841859U (zh) 一种可折叠的按压式隐形眼镜盒
CN219960629U (zh) 一种具有可收合挂饰扣的手机壳
CN215489519U (zh) 一种可折叠菱形灯笼
CN108378510A (zh) 具有隐形锁扣的可提式文具盒
CN217707060U (zh) 一种倾斜扣合式圆筒表盒
CN209160443U (zh) 分体式包装装置
KR102544188B1 (ko) 폴더블 힌지 결합 구조를 갖는 모바일 단말 보호용 케이스
CN210747644U (zh) 多重旋转式吊坠
CN210762110U (zh) 一种茶叶盒防脱落盖
CN108347667A (zh) 一种具有环形空腔的有线耳机收纳盒
KR200227351Y1 (ko) 비닐방수케이스
CN216776625U (zh) 一种防倾倒的水杯装置
CN217125632U (zh) 一种拼接式盒盖及储物盒
CN219087282U (zh) 一种方便携带且具有防摔功能的无线蓝牙耳机
CN206314673U (zh) 旋转式钥匙扣
CN212614265U (zh) 一种可悬停铰链
KR101259953B1 (ko) 접이식 콘택트렌즈 케이스
CN213428837U (zh) 彩妆盒联结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