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42Y1 -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 Google Patents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42Y1
KR200496642Y1 KR2020210001016U KR20210001016U KR200496642Y1 KR 200496642 Y1 KR200496642 Y1 KR 200496642Y1 KR 2020210001016 U KR2020210001016 U KR 2020210001016U KR 20210001016 U KR20210001016 U KR 20210001016U KR 200496642 Y1 KR200496642 Y1 KR 200496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handle
flat
cutting
cut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2413U (en
Inventor
권구찬
Original Assignee
권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찬 filed Critical 권구찬
Priority to KR2020210001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42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1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4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에 관한 것으로서,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10);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삽입홈을 갖는 제1타이절단부(20); 및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삽입홈을 갖는 제2타이절단부(30);를 포함한다. 따라서,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의 일단부에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갖는 타이절단부를 마련함으로써, 플랫타이 단부만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랫타이 단부 절단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전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각각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2삽입홈을 갖는 제1, 2타이절단부를 마련하되, 이들 제1, 2삽입홈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플랫타이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작업 호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tie end cutting tool, the handle 10 of a long rod structure; a first tie cutting part 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an end of a flat tie to be cut is inserted; and a second tie cutting part 3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flat tie to be cut is inserted. Therefore, by providing a tie-cutting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end of a flat tie to be cut is tightly inserted into one end of a handle having a long ro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tably cut only the end of a flat tie, and accordingly, the end of a flat tie can be cut. A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the foregoing, it is possible to give a sense of safety to the user, and also, a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hav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for inserting the ends of the flat tie to be cut into both ends of the handle, respectively. , 2 tie cutting parts are provided, but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different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flat ties of various sizes,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compatibility as well as to improve work efficiency accordingly You can ge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scription

플랫타이단부 절단구{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Flat tie end cutting tool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본 고안은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랫타이의 단부를 제거하기 위한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tie end cutt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tie end cutting tool for removing the end of a flat tie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a cured concrete structur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축조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에 맞추어 두개의 거푸집을 적당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다음 양측의 거푸집 안쪽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벽체를 축조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a wall such as a concrete building or a concrete structure, two formworks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at an appropriate interva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to be built, and then concrete mortar is poured on the inside of the formwork on both sides to build the wall. are doing

이러한 거푸집으로는 유로폼 패널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uch a formwork, a euroform panel is mainly used, and an example of its use is schematically as follows.

상기 유로폼 패널은 축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예컨대 벽체 등의 폭에 대향되게 나란하게 설치된다. The euro-form panels are installed side by side opposite to the width of a concrete structure to be built, for example, a wall.

그리고, 대향되는 유로폼 패널들 상호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유로폼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플랫타이 삽입용 홈에 플랫타이를 설치하고, 체결핀에 의해 체결 고정시킨다. In addition, flat ties are installed in grooves for inserting flat ti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euro-form panel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opposite euro-form panels, and fastened and fixed by fastening pins.

이렇게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의 거푸집 안쪽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벽체를 축조하고 있다. With the formwork installed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concrete mortar is poured inside the formwork on both sides to construct the wall.

여기서 사용되는 플랫타이는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유로폼 패널들의 간격을 설계대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The flat tie used here serves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euroform panels used as formwork as designed.

그리고, 벽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조후에는 거푸집으로 사용된 상기 유로폼 패널들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유로폼 패널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랫타이 중 상기 유로폼 패널들에 고정된 부분은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 즉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And, after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wall, the euroform panels used as formwork are removed, and in the state where the euroform panels are removed, the part fixed to the euroform panels among the flat ties is the constructed concrete structure, that is, It protrudes out of the wall.

이와 같이 상기 플랫타이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망치 등을 사용하여 부러뜨림으로써 제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된다.As such,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among the flat ties is removed by breaking using a hammer or the like to complete the concrete structure.

그러나, 이 과정에서 상기 플랫타이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망치 등은 상기 플랫타이의 제거를 위한 전용도구가 아니라 범용적으로, 예컨대 못 등을 타격하거나 못 뽑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랫타이의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제거하고자 하는 부분이 망치 등의 공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in this process, the hammer used to remove the protruding part of the concrete structure among the flat ties is not a dedicated tool for removing the flat ties, but is generally used, for example, for hitting nails or pulling out nails. Since it is used, not only can damage the concrete structure during work, bu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protruding part of the flat tie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and the part to be remove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tool such as a hammer. Because the work was carried out in the machin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worke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242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2420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의 일단부에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갖는 타이절단부를 마련함으로써, 플랫타이 단부만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stably cuts only the flat tie end by providing a tie cutting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lat tie end to be cut is close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ong rod structure handl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lat tie end cutting tool that can do this.

또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각각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2삽입홈을 갖는 제1, 2타이절단부를 마련하되, 이들 제1, 2삽입홈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플랫타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tie cutting parts hav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to insert flat tie ends to be cut, respectively, and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varied to have various size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flat tie end cutting tool that can be applied to the flat tie of the.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는,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삽입홈을 갖는 제1타이절단부; 및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삽입홈을 갖는 제2타이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일단부에서 상기 제1타이절단부로 이어지는 부분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1타이절단부의 제1삽입홈으로 대응되는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손잡이가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제1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는 타단부에서 상기 제2타이절단부로 이어지는 부분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2타이절단부의 제2삽입홈으로 대응되는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손잡이가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제2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타이절단부는 상기 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제1, 2삽입홈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2절곡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소정각도 절곡되되,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제2타이절단부의 제2삽입홈으로 상기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제1타이절단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절곡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제1타이절단부의 제1삽입홈으로 상기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제2타이절단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절곡각도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는 제1, 2손잡이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손잡이는 제자리 축 회전 가능하게 되고 외주면에 슬라이딩볼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손잡이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볼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나선홈 구조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결합홈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andle of a long rod structure; a first tie cut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end of a flat tie to be cut is inserted; and a second tie-cutt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lat tie to be cut is inserted, wherein the handle has a predetermin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to the first tie-cutting part. A first bent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handle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tie-cutting part is inserted by being bent at an angle, and the handle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 second bent part is provided so that a portion leading to the tie cutting par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andle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tie cutting part is inserted. The 1st and 2nd tie-cutting parts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respectively, face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andle, and the first bent par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of the two-tie-cutting portion, the first tie-cutting portion has a bending angle such that the first tie-cutt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tie-cutting portion.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is inserted, the second tie cutting portion has a bending angle such that it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handle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nd is detachably connected, but the first handle rotates in place It is possible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sliding ball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handle has a structure having a coupling groove provided with a guide rail having a spiral groove structure so that the sliding ball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do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에 있어서, 상기 제1타이절단부는 일측에 상기 제1타이절단부의 외부를 감싸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tie cutt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tie cutting part.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는,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의 일단부에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갖는 타이절단부를 마련함으로써, 플랫타이 단부만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랫타이 단부 절단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전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stably only the flat tie end by providing a tie cutting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lat tie end to be cut is close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ong rod structure hand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cutting the ends of flat ties in advance, thereby providing a sense of safety to the user.

또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각각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2삽입홈을 갖는 제1, 2타이절단부를 마련하되, 이들 제1, 2삽입홈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플랫타이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작업 호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tie cutting parts hav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to insert flat tie ends to be cut, respectively, and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varied to have various sizes. As it can be applied to the flat tie of,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compatibility, as well as to improve work efficiency according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의 제1, 2손잡이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의 제1, 2손잡이 결합구조 중 슬라이딩볼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요부작동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의 제1, 2손잡이 결합구조 중 복원스프링에 대한 작동과정을 나타낸 요부평단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other sid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coupling structure of the flat tie end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main part operation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for the sliding ball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coupling structure of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ar section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operation process for the return spring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coupling structure of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는 손잡이(10)와, 제1타이절단부(20)와, 제2타이절단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10, a first tie cutting part 20, and a second tie cutting part 30.

상기 손잡이(10)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길다란 막대 구조로 되어 있다. The handle 10 has a long bar structur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hold it with both hands.

상기 제1타이절단부(20)는 상기 손잡이(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7)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삽입홈(21)을 갖는 포켓 구조로 되어 있다. The first tie cutting part 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10 and has a pocket structure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21 into which the end of the flat tie 7 to be cut is inserted.

상기 제2타이절단부(30)는 상기 손잡이(10)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7)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삽입홈(31)을 갖는 포켓 구조로 되어 있다. The second tie cutting part 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10 and has a pocket structure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31 into which the end of the flat tie 7 to be cut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손잡이(10)는 일단부에서 상기 제1타이절단부(20)로 이어지는 부분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1타이절단부(20)의 제1삽입홈(21)으로 대응되는 플랫타이(7)의 단부가 삽입시 상기 손잡이(10)가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제1절곡부(11)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at tie 7 of the handle 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t one end leading to the first tie-cutting part 20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 of the first tie-cutting part 20. ) Is provided with a first bent portion 11 so that the handle 10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end of the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손잡이(10)는 타단부에서 상기 제2타이절단부(30)로 이어지는 부분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2타이절단부(30)의 제2삽입홈(31)으로 대응되는 플랫타이(7)의 단부가 삽입시 상기 손잡이(10)가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제2절곡부(12)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at tie 7 of the handle 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to the second tie-cutting portion 30 to correspon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1 of the second tie-cutting portion 30. ) Is provided with a second bent portion 12 so that the handle 10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end of the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제1타이절단부(20)는 일측에 상기 제1타이절단부(20)의 외부를 감싸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2)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ie-cutting part 20 has a reinforcing part 22 for reinfor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tie-cutting part 20 provided on one side.

여기서, 상기 보강부(22)는, 제1삽입홈(21)이 제2삽입홈(3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큰 플랫타이(7)를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절단시 힘이 많이 소요되어 이 제1삽입홈(21)에 가해지는 반발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부(22)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n the reinforcing part 22,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 is formed larger tha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1, and accordingly, since the relatively larger flat tie 7 must be cut, that much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reinforcing part 22 in order to offset the repulsive force appli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 since a lot of force is required during cutting.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도 4를 참고하여, 작업자는 콘크리트 구조물(5)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플랫타이(7)의 단부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플랫타이단부 절단구의 해당 플랫타이(7)의 단부와 대응되는 제1삽입홈(21)으로 플랫타이(7)의 단부를 삽입시키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 when a worker needs to remove the end of the flat tie 7 protruding out of the concrete structure 5,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flat tie of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The end of the flat tie 7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 corresponding to the end of (7).

그러면, 상기 손잡이(10)는 제1절곡부(11)에 의해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0)의 하방으로 가압하여 플랫타이 단부를 절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n, the handle 10 has a structure extend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first bent portion 11, and in this state, the operator can press the handle 10 downward to cut the end of the flat tie. .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손잡이를 제1, 2손잡이(40,55)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6, for example, an embodiment in which the handle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55 to be detachably connected and used. Take a look at:

상기 제1손잡이(40)의 결합돌기(50)는 제자리 축 회전 가능하게 되고 외주면에 슬라이딩볼(51)이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손잡이(55)의 결합홈(60)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볼(51)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나선홈 구조의 가이드레일(61)이 마련된 구조로 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50 of the first handle 40 is rotatable in place, and a sliding ball 51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oupling groove 60 of the second handle 55 corresponding to this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ly, a guide rail 61 having a spiral groove structure allowing the sliding ball 51 to slid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볼(51)은 결합돌기(50)의 외주면 내외로 스프링(52)에 의해 탄성 출몰되는 구조로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1)의 경로 후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볼(51)이 탄성적으로 출몰되면서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62)이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sliding ball 5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ring 52 elastically protrudes into and ou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50, and the sliding ball 51 rides at the rear end of the path of the guide rail 61.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cking jaw 62 is provided so as to be caught while sexually appearing.

미 설명부호 63은 가이드레일(61)로 슬라이딩볼(51)의 원활한 진입을 위한 안내경사면을 나타낸 것이다.Reference numeral 63 denotes a guide slope for smooth entry of the sliding ball 51 into the guide rail 61.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50)는 상기 슬라이딩볼(51)이 상기 가이드레일(61)을 따라 탄력적으로 진행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복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5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return means for allowing the sliding ball 51 to elastically move along the guide rail 61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상기 탄성복귀수단은, 상기 제1손잡이(50)의 상단면 양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대직경 구조의 스프링수용부(53)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50)의 중앙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수용부(53)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소직경 구조의 회전축(54)이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수용부(53)의 내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5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54)의 축 회전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갖는 복원스프링(7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elastic return means is provided with spring receiving portions 53 having a large-diameter structure concave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andle 50, and lowering from the central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50. A rotating shaft 54 of a small diameter structure protrud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5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provide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53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54 ) and has a structure including a restoration spring 70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axis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54.

미 설명부호 80은 상기 회전축(54)이 결합되어 축회전되도록 하는 축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80 denotes a shaft bearing that couples the rotating shaft 54 to rotate the shaft.

그리고, 상기 복원스프링(70)은 상기 회전축(54)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54)의 축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54)의 외주면으로부터 풀리면서 탄성을 갖게 되는 태엽 방식의 판 스프링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storing spring 70 has a spring-type leaf spring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54 is unwou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54 by the shaft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54 and has elasticity. is made up of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상기 제1손잡이(40)와 제2손잡이(55)간의 연결구조에 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handle 40 and the second handle 55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기본적으로, 제1손잡이(40)의 결합돌기(50)는 복원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손잡이(40)의 결합돌기(50)의 슬라이딩볼(51)과 제2손잡이(55)의 결합홈(60)의 가이드레일(61)이 동일선상에 놓여 있는 상태가 된다.Basically, the engaging protrusion 50 of the first handle 40 is coupled with the sliding ball 51 of the engaging protrusion 50 of the first handle 40 and the second handle 5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70. The guide rail 61 of the coupling groove 60 is placed on the same lin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50)를 결합홈(60)으로 삽입시키면 이 결합돌기(50)의 슬라이딩볼(51)이 결합홈(60)의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삽입방향으로 안내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60, the sliding ball 51 of the coupling protrusion 50 is guided along the guide rail 61 of the coupling groove 60 in the insertion direction.

이때, 상기 슬라이딩볼(51)은 가이드레일(61)의 도입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경사면(63)에 의해 수월하게 가이드레일(61)로 안내된다. At this time, the sliding ball 51 is easily guided to the guide rail 61 by the guide slope 63 formed at the inlet of the guide rail 61.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볼(51)이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진행되는 동안 결합돌기(50)는 제자리 축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복원스프링(70)은 태엽이 풀리는 형상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탄발력을 갖게 된다.And, while the sliding ball 51 moves along the guide rail 61, the coupling protrusion 50 rotates in place, and at the same time, the restoring spring 7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shape of unwinding the mainspring. have elasticity.

계속해서, 상기 슬라이딩볼(51)이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진행되다가 막바지인 걸림턱(62)에 다달으면 슬라이딩볼(51)은 이 걸림턱(62)에 의해 밀려 결합돌기(50)의 내측으로 밀렸다가 걸림턱(62)을 넘어서면 다시 스프링(52)의 탄발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최종적으로 걸림턱(62)에 걸려 결합돌기(50)가 결합홈(60) 내에 견고히 결합 고정된 상태가 된다. Continuing, when the sliding ball 51 proceeds along the guide rail 61 and reaches the end of the locking jaw 62, the sliding ball 51 is pushed by the locking shoulder 62 to form the coupling protrusion 50. When it is pushed inward and goes beyond the locking jaw 62, it protrudes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2 and is finally hooked on the locking jaw 62,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50 is firmly coupl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60. becomes

그런 다음, 결합돌기(50)의 분리를 위해 상기 제1손잡이(40)와 제2손잡이(55)를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볼(51)이 다시 걸림턱(62)을 넘어서면서 이탈이 이루어지게 되는 동시에 복원스프링(70)은 탄발력에 의해 회전축(54) 외주부를 감싸는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이러한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기(50)의 결합홈(60)으로부터의 분리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n, when the first handle 40 and the second handle 55 are pulled in opposite directions to separate the coupling protrusion 50, the sliding ball 51 crosses the locking jaw 62 again. At the same time, the recovery spring 7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shaft 54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separation from the coupling groove 60 of the coupling protrusion 50 is quick and it will be done smoothly.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타이단부 절단구는,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의 일단부에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을 갖는 타이절단부를 마련함으로써, 플랫타이 단부만을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랫타이 단부 절단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전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e cutting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lat tie end to be cut is close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ong rod structure handle, It is possible to stably cut only the ends of the flat ties,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cutting the ends of flat ties in advance, and giving users a sense of safety.

또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 각각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2삽입홈을 갖는 제1, 2타이절단부를 마련하되, 이들 제1, 2삽입홈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플랫타이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작업 호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tie cutting parts having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to insert flat tie ends to be cut, respectively, and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are varied to have various sizes. As it can be applied to the flat tie of,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compatibility as well as to improve work efficiency accordingly.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modified examples in which these embodiments are simply appli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known technologies All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regarded as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콘크리트 구조물 7 : 플랫타이
10 : 손잡이 11 : 제1절곡부
12 : 제2절곡부 20 : 제1타이절단부
21 : 제1삽입홈 22 : 보강부
30 : 제2타이절단부 31 : 제2삽입홈
40 : 제1손잡이 50 : 결합돌기
51 : 슬라이딩볼 52 : 스프링
53 : 스프링수용부 54 : 회전축
55 : 제2손잡이 60 : 결합홈
61 : 가이드레일 62 : 걸림턱
63 : 안내경사면 70 : 복원스프링
80 : 축베어링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concrete structure 7: flat tie
10: handle 11: first bent portion
12: second bending part 20: first tie cutting part
21: first insertion groove 22: reinforcement part
30: second tie cutting portion 31: second insertion groove
40: first handle 50: coupling protrusion
51: sliding ball 52: spring
53: spring receiving portion 54: rotational shaft
55: second handle 60: coupling groove
61: guide rail 62: locking jaw
63: guide slope 70: return spring
80: shaft bearing

Claims (4)

길다란 막대 구조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삽입홈을 갖는 제1타이절단부; 및
상기 손잡이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플랫타이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삽입홈을 갖는 제2타이절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일단부에서 상기 제1타이절단부로 이어지는 부분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1타이절단부의 제1삽입홈으로 대응되는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손잡이가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제1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는 타단부에서 상기 제2타이절단부로 이어지는 부분이 소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제2타이절단부의 제2삽입홈으로 대응되는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손잡이가 소정각도 상향 연장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제2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타이절단부는 상기 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제1, 2삽입홈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2절곡부가 상기 손잡이에 대해 소정각도 절곡되되,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제2타이절단부의 제2삽입홈으로 상기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제1타이절단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절곡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제1타이절단부의 제1삽입홈으로 상기 플랫타이의 단부 삽입시 상기 제2타이절단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절곡각도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는 제1, 2손잡이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손잡이는 제자리 축 회전 가능하게 되고 외주면에 슬라이딩볼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손잡이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볼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나선홈 구조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결합홈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이단부 절단구.
Handle with a long bar structure;
a first tie cut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end of a flat tie to be cut is inserted; and
a second tie cutt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and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through which an end of a flat tie to be cut is inserted;
including,
The handl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t one end leading to the first tie-cutting part so that the handle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tie-cutting part is inserted. A first bent portion is provided,
The hand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to the second tie-cutting par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handle extends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tie-cutting part is inserted. A second bent portion is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tie-cutting parts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face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andle,
The first bent part has a bending angle such that the first tie-cutting part becomes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tie-cutting part,
The second bent part has a bending angle such that the second tie-cutting part becomes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end of the flat tie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tie-cutting part,
The handle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he first handle is rotatable in place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with a sliding bal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at tie end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andle corresponding thereto has a structure having a coupling groove provided with a guide rail having a spiral groove structure so that the sliding ball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이절단부는 일측에 상기 제1타이절단부의 외부를 감싸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이단부 절단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lat tie end cutt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ie-cut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for wrapping and reinfor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tie-cutting portion on one side.







KR2020210001016U 2021-04-01 2021-04-01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KR20049664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16U KR200496642Y1 (en) 2021-04-01 2021-04-01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16U KR200496642Y1 (en) 2021-04-01 2021-04-01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13U KR20220002413U (en) 2022-10-11
KR200496642Y1 true KR200496642Y1 (en) 2023-03-24

Family

ID=8359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16U KR200496642Y1 (en) 2021-04-01 2021-04-01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42Y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420A (en) 2018-09-18 2020-03-26 김상호 The form tie-bar cutting tool attached to a ham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13U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8753A (en) Ergonomically designed multi-handled tool
KR200496642Y1 (en) Cutting tool for removing edge of flat-tie
KR102048578B1 (en) Stripping Deck Plate
KR20100011273U (en) Steel-bar bending device
KR20200032420A (en) The form tie-bar cutting tool attached to a hammer
JP2010189894A (en) Tool for cutting separator
KR101259732B1 (en) A cutting tool for a tie bar of a form
KR101261173B1 (en) A cutting tool for a tie bar of a form
KR20090009765U (en) A cutting tool for a flat tie of a form
KR101617025B1 (en) Cutting Device for Cabletie
KR101197185B1 (en) fixing device of scaffold board
KR101133235B1 (en) Cutter
KR200295481Y1 (en) A cutting tool for a tie bar of a form
CN218983011U (en) Reinforcing bar cuts device for construction is built in room
KR102648050B1 (en) Tool for dismantling formwork
KR101635481B1 (en) Chisel for coating removal of steel reinforcement
KR200291543Y1 (en) Binding tool a wire
KR101066289B1 (en) A mold fix flat tie
KR100725640B1 (en) Tool for removing edge of the flat tie fixing Euro-foam panel
KR100856352B1 (en) A multi-purpose tool
KR20100038729A (en) Penetration and cleaning device of drain pipe
AU2013101432A4 (en) A Portable Bending Tool
CN213929649U (en) Gate switch for coal bed gas well
KR102002062B1 (en) Pipe fixation element for vinyl greenhouse
KR20190056579A (en) Inse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