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99Y1 - Virtual reality phone case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phon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99Y1
KR200496499Y1 KR2020200003708U KR20200003708U KR200496499Y1 KR 200496499 Y1 KR200496499 Y1 KR 200496499Y1 KR 2020200003708 U KR2020200003708 U KR 2020200003708U KR 20200003708 U KR20200003708 U KR 20200003708U KR 200496499 Y1 KR200496499 Y1 KR 200496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rame
delete delete
virtual realit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887U (en
Inventor
민상규
Original Assignee
민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상규 filed Critical 민상규
Priority to KR2020200003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99Y1/en
Publication of KR20220000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1Eye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장착하여 상시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된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고, 접안렌즈를 통해 눈을 접안하는 접안 플레이트, 접안 플레이트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module capable of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by mounting a mobile phone at all times,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a fixed frame for fixing the mobile phone and a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through an eyepiece. It may include an eyepiece plate for eye contact, and a plurality of distance adjustment frames that slide and are fixed in the eyepiece plat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Virtual reality phone case}Virtual reality phone case {Virtual reality phone case}

본 고안은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또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장착하여 상시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모듈이 포함된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or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module capable of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at all times by mounting the mobile phone.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현실이란 말은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등의 용어로 혼용되기도 한다.Virtual reality (VR) refers to an interface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that artificially creates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and makes it as if a person using it is interacting with a real surrounding situation and environment. The term virtual reality includes artificial reality, cyberspace, virtual worlds, virtual environment, synthetic environment, artificial environment, and augmented reality. It is also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reality) and mixed reality.

가상 현실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응용분야는 교육, 원격조작, 원격위성 표면탐사, 탐사자료 분석,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이다.The purpose of using virtual reality is to enable people to see and manipulate an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experience on a daily basis as if they are in the environment without directly experiencing it, and its application fields are education, remote operation, remote satellite surface exploration, and exploration. Data analysis, scientific visualization, etc.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가상현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일 예로, 삼성이 오큘러스와 공동으로 제작한 기어VR, LG의 'G3 VR', 구글의 카드 보드가 대표적이며, 이들 제품은 스마트폰과 연동해 가상현실을 체험해볼 수 있고, 기존의 VR 장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Recently,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virtual reality is attracting attention again. For example, Samsung's Gear VR jointly produced with Oculus, LG's 'G3 VR', and Google's Card Board are typical examples. cheaper price compared to

따라서,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가상현실 기능을 바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directly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function at a desired time and place.

본 고안의 목적은 장소에 구해 없이 어디서나 가상현실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that can easily implement virtual reality anywhere without finding a pla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상현실 휴대폰을 구현함과 동시에 필요 시 휴대폰 케이스로도 활용할 수 있는 가상현실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virtual reality cas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case when necessar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 일체를 또는 휴대폰을 휴대폰 삽입부에 장착하여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frame), 상기 고정 프레임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고, 접안렌즈를 통해 눈을 접안하는 접안 플레이트, 접안 플레이트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의 스크린 거리조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realizing virtual reality by mounting a mobile phone or a mobile phone into a mobile phone insert, a fixed frame for fixing the mobile phone, the fixed frame It may include an eyepiece plate that maintains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rear and eyepieces the eye through the eyepiece, and a plurality of screen distance adjusting frames that are slidably mov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eyepiece plate.

또한, 본 고안의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은 각각이 서로 포개지면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다시말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ment fram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or decrease in length while each overlaps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it can take a telescopic form.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의 가장 하단에 고정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이 상기 이중벽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frame is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and the fixed frame has an inner wall and a double wall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o that a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can be inserted and mounted between the double walls. there is.

또한, 본 고안의 접안 플레이트는 일측의 렌즈부분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yepiec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lens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또한, 본 고안의 고정프레임과 거리조절 프레임은 네 개의 톱늬바퀴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frame and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fixing support that is extended and fix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f the four sawwheels.

또한, 본 고안의 프레임 고정 지지대는 일측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길이가 늘어난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이 탄성에 의해 쉽게 펼쳐지고 포개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fixing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spring on one side thereof, so that a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having an increased length can be easily unfolded and overlapped by elasticity.

또한, 본 고안의 휴대폰 삽입부는 직사각형 또는 휴대폰 형태에 가까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면 양쪽 중앙에 고정 프레임과 결합 될 수 있는 축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 phone inser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lose to a rectangular or cell phone shape, and an axis that can be coupled with a fixed fram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one side.

또한, 본 고안의 축은 고정 프레임과 결합되어 휴대폰이 360도 돌아갈 수 있다.In addition, the axi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fixed fram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rotate 360 degrees.

또한, 본 고안의 휴대폰 삽입부는 휴대폰이 장착되는 폰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폰크래들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이 더 포함되어 충전 및 각종 연결단자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inser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ne cradl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and a rail is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phone cradle can move left and right, so that charging and various connection terminals can be easily coupled.

또한, 본 고안의 휴대폰 삽입부 일측에는 탄성부가 더 포함되어 휴대폰의 크기에 상관없이 밀착하여 조여 줄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part is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inser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can be tightly tighten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휴대폰 및 휴대폰 케이스는 일반 휴대폰과 가상 현실 모듈을 일체화할 수 있으며, 휴대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일반 휴대폰으로서도 손색이 없고,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가상 현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grate a general mobile phone and a virtual reality module, and by combining them into a portable structure, it is comparable to a general mobile phone and can implement virtual reality functions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there is.

또한, 케이스 내에서 휴대폰 몸체를 장착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일반 모니터로서의 사용 및 가상 현실 모니터로서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phone body is mounted within the case, both use as a general monitor and virtual reality monitor are possible with one display.

또한, 거리 조절 프레임으로 휴대폰으로부터 접안 플레이트를 가변 가능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되, 같은 구조로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스크린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고, 고급스런 슬라이드 이동 및 견고함을 동시에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while forming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the eyepiece plate at a variable length from the mobile phone with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the light blocking screen function that blocks the inflow of external light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same structure, keeping the overall structure simple and high-quality Smooth slide movement and rigidity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또한, 스크린 통을 이중벽으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배가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긋난 통풍구 형성 및 경량화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creen tube with a double wall, a further doubled effect can be obtained, and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ncreased through the formation of staggered vents and a lightweight structure.

또한, 프레임 고정 지지대로 인하여 케이스를 견고하게 지탱하게 할 수 있고, 거리 조절 프레임을 접을 때 일측이 특정 방향으로 먼저 삽입되어 접는 구조상의 실행에서 힘의 작용 불균형에 따른 접이 기능의 불량을 막고 균형되게 접이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can be firmly supported due to the frame fixing support, and when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is folded, one side is first insert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prevent a malfunction in the folding function due to an imbalance in the action of force in the folding structure and to be balanced. can be fold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의 접안렌즈 부위가 열려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조절 프레임(40)이 펼쳐져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조절 프레임(40)이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 지지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 지지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의 휴대폰 삽입부에 축이 형성되어 휴대폰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휴대폰 삽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n eyepiece part on one side is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distance adjustment frame 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is overlapp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ixing sup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rame fixing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haft is formed in the mobile phone insertion portion of the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otate the mobile phone;
8 is a view showing a mobile phone insertion portion formed around an ax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descriptions may be made by citing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contents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ontents may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의 접안렌즈 부위가 열려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n eyepiece part on one side is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휴대폰(10)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20), 상기 고정 프레임(20) 후면으로부터 가변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고, 접안렌즈(65)를 통해 눈을 접안하는 접안 플레이트(60), 상기 접안 플레이트(60)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fixing frame 20 fixing the mobile phone 10 and the rear of the fixing frame 20, and the eye through the eyepiece 65. It may include an eyepiece plate 60, and a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that are sli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eyepiece plate 60.

상기 고정 프레임(20)은 휴대폰(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휴대폰(10) 몸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구에 접안렌즈(65)와 맞닿을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20) 후면으로 접안플레이트(60)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휴대폰(10)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휴대폰 삽입부(50, 도 7)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20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mobile phone 10, and can serve to fix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10. In addition, the eyepiece plate 60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fixing frame 20 so that the eyepiece 65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eyeball, and the mobile 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mobile phone 10 can be inserted and fixed. A portion 50 (FIG. 7) may be formed.

상기 접안 플레이트(60)는 한 쌍의 접안렌즈(65)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렌즈(65)를 통해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접안플레이트(60)는 사람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yepiece plate 60 includes a pair of eyepiece lenses 65,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10 can be viewed through the eyepiece lenses 65. The eyepiece plate 6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human fac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안 플레이트(60)는 접안렌즈(65)가 있는 좌우 중 일측의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고 닫는 방식은 좌우로 열고 닫는 미닫이 방식이나 앞뒤로 열고 닫는 여닫이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일측의 접안플레이트(60) 부위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이는, 고정 프레임(20)에 내장된 휴대폰(10)이 사진 등을 찍을 수 있도록 휴대폰(10)의 카메라 렌즈가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휴대폰(10)이 장착된 경우에도 일일이 휴대폰(10)을 분리시킬 필요없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을 수 있으며, 가상현실 구현시 렌즈 장착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yepiece plate 60 may be formed to open and close one of left and right sides where the eyepiece 65 is loca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can open and close the eyepiece plate 60 on one side in various ways, including a sliding method that opens and closes left and right or a casement method that opens and closes back and forth. This is to allow the camera lens of the mobile phone 10 to be visible so that the mobile phone 10 built into the fixed frame 20 can take a picture or the like. Therefore, even when the mobile phone 10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take pictures or videos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mobile phone 10 one by one,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lens mounting plate at the same time when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조절 프레임(40)이 펼쳐져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조절 프레임(40)이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distance adjustment frame 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adjustment frame 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verlapped it is a cross section

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am.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tance adjustment fra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거리조절 프레임(40)은 각각이 서로 포개어 지면서 접혀질 수 있으며, 고정 프레임(20)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지면서 접혀 지거나 펴질 수 있는 것이다.The distance adjustment frames 40 may be folded while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slid toward and fixed to the fixing frame 20 .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are made of a telescopic shape and can be folded or unfolded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한편,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의 가장 하단에 고정 프레임(20)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20)은 내벽 및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이중벽(45, 도 7)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이 상기 이중벽(45)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도 7참조). 이는 휴대폰(10) 몸체를 휴대폰 장착부재(51)에 장착시 상기 휴대폰(10)을 고정할 수 있는 틀이 될 수 있으며, 외관이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이 포개어 질 때 안착이 잘 되게 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frame 20 is configur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and the fixed frame 20 has a structure of an inner wall and a double wall 45 (FIG. 7)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to provide a plurality of distance An adjustment frame 40 may be inserted and mounted between the double walls 45 (see FIG. 7). This can be a frame for fixing the mobile phone 10 when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10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51, and the appearance can be neatly arranged. In addition, this is to ensure that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are well seated when overlapping.

즉, 이중벽(45) 구조가 없는 경우 슬라이딩 구조에서 거리조절 프레임(40)에 휴대폰(10) 몸체, 축(55) 및 기타 부속물에 걸림은 물론 거리조절 프레임(40)의 삽입이 어려워진다.That is, when there is no double wall 45 structure, it becomes difficult to insert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as well as to catch the mobile phone 10 body, shaft 55 and other accessories in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in the sliding structure.

상기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광 차단막으로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상기 이중벽(45)은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의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도 7참조).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may serve as a light blocking film in a telescopic structure, and the double wall 45 may be used as a storage space for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see FIG. 7).

또한, 상기 이중벽(45) 구조는 사용자가 날카로운 부품 등이 사용자로부터의 보호막이 될 수 있으며, 각종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는 틀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외부에 부품이 부착되는 구조를 회피하고, 외각 부피, 크기를 줄이며 디자인적 외관을 획득하기 유리한 구조가 될 수 있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double wall 45 structure can serve as a protective film against sharp parts, etc., and can provide a frame on which various parts can be installed. This is to avoid a structure in which parts are attached to the outside, to reduce the volume and size of the outer shell, and to be an advantageous structure for obtaining a design appearance.

상기 이중벽(45)은 외면과 내면이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20)은 단일벽과 이중벽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얇은 두께와 안전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중벽(45)은 탈부착 결합구조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고정 프레임(20)은 내외부로 분할할 수 있고, 내외부는 휴대폰 장착의 편의를 위해 분할되어 탈부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내외부 중 어느 한 부분이 휴대폰과 일체화된 결합구조를 갖고, 내외부는 별도의 체결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중벽 구조를 회피하여 단일벽으로 형성하면 거리조절 프레임(40)과 같은 또는 다양한 광 차단막을 접이식으로 형성할 시 휴대폰(10)을 고정하는 폰 크래들(도면부호 미표기)과 부착 및 기능구동시 어려움이 봉착할 수 있다.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double wall 45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fixed frame 2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single wall and a double wall. This is to satisfy thinness and safet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double wall 45 may enable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That is, the fixed frame 20 can be divided into inner and outer parts, and the inner and outer parts can be divided for the convenience of mounting the mobile phone and have a detachable structure. That is, any one of the inside and outside has a coupling structure integrated with the mobile phone, and the inside and outside can be connected by a separate fastening device. If the double wall structure is avoided and formed as a single wall, it is difficult to attach and function with a phone cradle (reference numeral not indicated) for fixing the mobile phone 10 when forming a foldable light blocking film such as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or various light shields. this can be encountered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에는 프레임 고정지지대(30)가 형성될 수 있다. A frame fixing support 30 may be formed on the fixed frame 20 and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 지지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ixing sup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 고정 지지대(30)는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X" 자 형태의 중앙에 4개의 톱니바퀴(37)가 형성되며, 상기 4개의 톱니바퀴(37)는 각각이 프레임 지지바(35)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3 to 5, the frame fixing suppo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n “X” shape, and four gear wheels 37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X” shape, and the 4 Each of the dog gear wheels 37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frame support bar 35 to each other.

또한, 프레임 지지바(35)는 2단이상으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다양한 탄성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support bar 35 may have a structure of two or more stages, and various elastic members may be attached therein.

따라서,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이 길어지거나 포개어 질 때 부드럽고, 일정한 힘이 4개의 프레임 지지바(35)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바(35)는 상기 4개의 톱니바퀴(37)와 고정 부착되어 같이 연동하여 움직이는 구조로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are elongated or overlapped, a smooth and constant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four frame support bars 35 at the same time. The frame support bar 35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fixedly attached to the four gear wheels 37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상기 프레임 지지바(35)는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이 서로 포개지거나 늘어날 때 일측으로 기울거나 치우침 없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해서, 거리조절 프레임(40)이 좌우 또는 상하가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일정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rame support bar 35 allows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to be balanced without tilting or biasing to one side when the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are overlapped or stretched, so that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tilts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to one side. It can be made to increase or decrease uniformly.

또한, 프레임 지지바(35) 내부에는 스프링(3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2)으로 해서 포개어진 다수의 거리조절 프레임(40)이 걸림부재에 고정되어 있다가 스프링(32)의 탄성력으로 쉽게 펼쳐 질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spring 3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ame support bar 35, and a plurality of distance adjusting frames 40 overlapped by the spring 32 are fixed to the engaging member, and then the spring 32 It can be easily unfolded with elasticity.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고정 지지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 고정 지지대(30)는 톱니바퀴가 없는 "X"자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고정 지지대(30)는 다수의 프레임이 휘지 않도록 프레임 지지바(35) 중앙에 연결축(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 고정 지지대(30)가 힘에 의해 압력을 받을 경우 상기 연결축(31)이 받쳐줌으로 해서 광 차단막 역할도 하는 거리조절 프레임(4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휘지 않고 형상대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a frame fixing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frame fixing suppo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ed in an “X” shape without gear wheels. At this time, the frame fixing support 30 may have a connecting shaft 3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support bar 35 so that the plurality of frames do not bend. That is, when the frame fixing support 30 is pressed by force, the connecting shaft 31 supports it so that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which also serves as a light blocking film, is supported in its shape without bending in any direction. It can.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의 휴대폰 삽입부에서 축을 중심으로 휴대폰이 360도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휴대폰 삽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mobile phone is rotated 360 degrees around the axis in the mobile phone insertion portion of the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mobile phone formed around the ax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insertion part.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휴대폰 삽입부(50)가 휴대폰(10)의 형태에 맞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 삽입부(50)의 직사각형 형태의 짧은 면 쪽 중앙 양쪽에는 고정 프레임(20)과 축(55)으로 연결될 수 있다.7 and 8, the mobile phone insertion portion 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fit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10, and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mobile phone insertion portion 50.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0 and the shaft 55.

상기 축(55)은 내장된 휴대폰을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현실 시청 등 휴대폰(10) 화면을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휴대폰을 축(55)을 중심으로 360도 돌려서 쉽게 조작할 수 있다.The shaft 55 may serve as a support for allowing the built-in mobile phone to rotate 360 degrees.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mobile phone by turning the mobile phone 360 degrees around the axis 55 in order to use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10 such as viewing virtual reality.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폰 삽입부(50)은 내벽(52)을 중심으로 휴대폰 장착 부재(51)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휴대폰(10)을 충전 및 각종 연결단자와 연결시킬 때, 충전단자 및 연결단자들이 축 및 구조물 등에 가려지지 않고 보이도록 개구부(18)를 통하여 충전 및 연결시 쉽게 휴대폰 충전단자 및 연결단자들과 연결 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8 , the mobile phone inser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ail formed around the inner wall 52 so that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51 can move left and right. When the mobile phone 10 is charged and connected to various connection terminals, it is easy to connect the mobile phone charging terminals and connection terminals when charging and connecting through the opening 18 so that the charging terminals and connection terminals are visible without being covered by shafts and structures. in order to connect

상기 휴대폰 장착부재(51) 또한 다양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폰 장착부재(51)은 휴대폰(10)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벽(52)과 외벽(53) 사이에는 탄성부재(54)가 장착되어 휴대폰(10)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내벽(52)의 거리를 앞뒤로 움직여서 휴대폰(10)을 밀착하고 장착된 휴대폰(10)을 조여줄 수 있어 장착 결합 구조의 진보를 가져다 준다.The cell phone mounting member 51 may also have a shape forming various openings. The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5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mobile phone 10 .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54 is mounted between the inner wall 52 and the outer wall 53 to move the inner wall 52 back and forth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10 to bring the mobile phone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unted mobile phone ( 10), which brings progress in the mounting coupling structur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는 메탈계열과 플라스틱 계열을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mixes metal-based and plastic-based materials, and the material is not limi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 : 휴대폰 18 : 개구부
20 : 고정 프레임 30 : 프레임 고정 지지대
31 : 연결축 32 : 스프링
35 : 프레임 지지바 37 : 톱니바퀴
40 : 거리조절 프레임 45 : 이중벽
50 : 휴대폰 삽입부 51 : 휴대폰 장착부재
52 : 내벽 53 : 외벽
54 : 탄성부재 55 : 축
60 : 접안플레이트 65 : 접안렌즈
10: mobile phone 18: opening
20: fixed frame 30: frame fixed support
31: connecting shaft 32: spring
35: frame support bar 37: gear wheel
40: distance adjustment frame 45: double wall
50: mobile phone insertion part 51: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52: inner wall 53: outer wall
54: elastic member 55: shaft
60: eyepiece plate 65: eyepiece

Claims (10)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 휴대폰(10)을 파지하는 내벽(52)을 갖춘 휴대폰 장착부재(51)와, 상기 내벽(52)이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을 갖추고, 상기 내벽(52)과 마주보는 외벽(53)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양 내벽(52)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4)를 갖추고, 축(55)을 통해 고정 프레임(20)에 피벗되게 결합되는 휴대폰 삽입부(50)와;
접안렌즈(65)를 갖춘 접안 플레이트(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후면과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유지되는 거리 조절 프레임(40)과;
X자 형태로 교차되는 프레임 지지바(35)의 각 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거리 조절 프레임(40)에 각각 피벗되게 연결되고, 서로 교차된 부위의 단부는 프레임 고정 지지대(30)에 피벗되게 결합되되,
상기 각 프레임 지지바(35)는,
그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32)을 갖춘 다단형 구조이고, 교차된 부위에 해당하는 각 프레임 지지바(35)의 단부는 톱니바퀴(37)의 맞물림에 의해 연동하여 피벗되도록 상기 프레임 고정 지지대(3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휴대폰 케이스.
A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51 having an inner wall 52 for gripping the mobile phone 10 by elasticity act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a rail guiding the inner wall 52 to move left and right, the inner wall ( 52) is coupled between the outer wall 53 facing the outer wall 53 and has an elastic member 54 that imparts elasticity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oth inner walls 52, and is pivoted to the fixed frame 20 through the shaft 55 The coupled mobile phone insertion portion 50 and;
a distance adjusting frame 40 including an eyepiece plate 60 having an eyepiece 65 and maintain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20;
Each end of the frame support bar 35 crossing in an X shape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0 and the distance adjusting frame 40, respectively, and the ends of the intersecting portions are frame fixing supports 30 It is pivotally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support bars 35,
It is a multi-stage structure equipped with a spring 32 that provides elasticity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s of each frame support bar 35 corresponding to the crossed portion are interlocked and pivoted by the engagement of the toothed wheel 37.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rame fixing support (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00003708U 2020-10-16 2020-10-16 Virtual reality phone case KR2004964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08U KR200496499Y1 (en) 2020-10-16 2020-10-16 Virtual reality phon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08U KR200496499Y1 (en) 2020-10-16 2020-10-16 Virtual reality phone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87U KR20220000887U (en) 2022-04-25
KR200496499Y1 true KR200496499Y1 (en) 2023-02-09

Family

ID=8138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08U KR200496499Y1 (en) 2020-10-16 2020-10-16 Virtual reality phon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99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78B1 (en) 2012-05-24 2013-03-06 (주)브이알코리아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KR200483039Y1 (en) 2015-09-22 2017-03-28 최태민 Virtual reality headset capable of movement of lens
US10379366B1 (en) * 2017-04-28 2019-08-13 Facebook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head-mounted-display straps
CN110927977A (en) * 2019-12-25 2020-03-27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Foldable VR glasses that conveniently carr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153B1 (en) * 2016-05-25 2018-06-12 민상규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878B1 (en) 2012-05-24 2013-03-06 (주)브이알코리아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KR200483039Y1 (en) 2015-09-22 2017-03-28 최태민 Virtual reality headset capable of movement of lens
US10379366B1 (en) * 2017-04-28 2019-08-13 Facebook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head-mounted-display straps
CN110927977A (en) * 2019-12-25 2020-03-27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Foldable VR glasses that conveniently car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87U (en)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126B1 (en) Eye level viewfinder and three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ewing device and method
JP6517717B2 (en)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CN103176275B (en) Augmented reality head gear
US10948727B2 (en) Virtual reality dual use mobile phone case
KR20190132606A (en) Hinge Structure for folding Terminal in two ways
CA2934987A1 (en) Stereoscopic viewing of an image on a body supported computer
JP2019520777A (en) Virtual reality mobile phone
KR20200005148A (en) Hinge Structure for folding Terminal in two ways
US20040179094A1 (en) Simplified 3D Viewer
KR200496499Y1 (en) Virtual reality phone case
KR101835874B1 (en) Head-mounte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N105717642B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US20180017803A1 (en) Accessory and lens system
KR101851851B1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US20200110269A1 (en) Foldabl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US8878988B1 (en) Glare blocking camcorder/camera stabilizing eye level viewfinder device and method
JPH0583608A (en) Finder device
CN108076195A (en) Realize the augmented reality box of mobile telephone of video perspective
KR101868223B1 (en)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shaped of binoculars
CN105357514A (en) Naked-eye 3D mobile phone viewing box
KR20220106355A (en) Virtual reality phone case
JP5341162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128165A (en)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JP7357944B2 (en) super smartphone
US20160004083A1 (en) Support device for electronic display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