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64Y1 - 어로용 장비 - Google Patents

어로용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64Y1
KR200496064Y1 KR2020200003716U KR20200003716U KR200496064Y1 KR 200496064 Y1 KR200496064 Y1 KR 200496064Y1 KR 2020200003716 U KR2020200003716 U KR 2020200003716U KR 20200003716 U KR20200003716 U KR 20200003716U KR 200496064 Y1 KR200496064 Y1 KR 200496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poon
hook
tip
fish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895U (ko
Inventor
전숙
Original Assignee
(주)리안공간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안공간디자인 filed Critical (주)리안공간디자인
Priority to KR2020200003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6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1/00Fishing with projectiles
    • A01K81/04Fish-sp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40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로용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은 물론 어류 등을 포획할 수 있는 어로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어로용 장비는 일단부에 고무줄(400)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작살대(100); 상기 작살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갈고리대(200); 및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살촉(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로용 장비{Equipment for fishing}
본 고안은 어로용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은 물론 어류 등을 포획할 수 있는 어로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체동물을 잡는 방법으로는 주낙, 통발, 맨손으로 잡는 3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이중 주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낚시 방법으로 어획성능은 비교적 낮은 편이나 분산되어 있는 어군을 어획하는데 효과적이고, 바다 밑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연체동물만 살아있는 채로 잡아 올릴 수 있다.
이밖에도 갈고리를 이용하여 연체동물을 잡아채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바다 속 수중에서 쉽게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길이 조절식 플라스틱 손잡이가 부착된 스테인레스 파이프 이중구조로 된 접이식 갈고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바다의 수중에서 해산물 채취와 문어 포획 전문 작업인들이 해산물과 고가의 문어를 쉽고 안전하게 포획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어류 포획시 주로 사용되는 작살은 강가나 개울가에서 잠수를 통해 물고기를 포획할 때에 주로 사용되는 도구이며, 사람이 직접 던져서 잡는 원시적인 방법 및 고무줄 등의 탄력성을 이용한 새총과 같은 원리로 사용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살촉부(22)를 형성하는 작살체(21)가 작살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물고기 잡이용 작살에 있어서, 상기 살촉부(22)를 별도로 구비하여 작살체(21)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살촉부(22)는 초경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살체(21)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잡이용 작살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작살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살촉부의 경도를 높여 관통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의 포획 작업을 위한 갈고리와 어류의 포획 작업을 위한 작살을 각각 챙겨야 함은 물론 랜턴, 망태, 오리발 등을 들고 이동해야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야기하며, 포획 작업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260호(2010.03.24.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1955호(2001.05.14 등록)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을 포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갈고리와 어류를 포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작살촉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포획 장비의 구비가 용이하고, 포획 대상인 연체동물 및 어류 종류에 따른 해당 장비로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어로용 장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어로용 장비는 일단부에 고무줄(400)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작살대(100); 상기 작살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갈고리대(200); 및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살촉(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는 작살촉(30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30)의 일측에는 힌지핀(2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핀(240)과 인접한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는 관통공(5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관통공(500)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홈(6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500)에 설치되며, 작살촉(300)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잠금수단(70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걸림홈(600)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710); 상기 볼(7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20); 및 상기 관통공(500) 내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스프링(720)을 구속하는 스크류(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로용 장비는 연체동물 포획용 갈고리와 어류 포획용 작살촉을 일체화시켜 포획 장비의 구비가 용이하고, 포획 대상인 연체동물 및 어류 종류에 따른 해당 장비로 신속하게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장비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구매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로용 장비의 연체동물 포획 준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어로용 장비의 배면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로용 장비의 어류 포획 준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어로용 장비의 배면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수단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살촉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a는 작살촉이 회전 중인 상태이고,
도 6b는 작살촉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로용 장비는 일단부에 고무줄(400)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작살대(100); 상기 작살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갈고리대(200); 및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살촉(30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은 물론 어류 등을 포획할 수 있는 어로용 장비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탄력성을 제공하기 고무줄(400)이 연결된 작살대(100)의 일측에는 연체동물을 포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갈고리대(200)가 결합되고,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는 어류를 포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작살촉(300)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종래에는 연체동물 및 어류 포획 작업을 위해서는 랜턴, 망태, 오리발 등의 장비와 함께 연체동물의 포획 작업을 위한 갈고리와 어류의 포획 작업을 위한 작살을 각각 챙겨야 하므로, 사용자의 이동 과정이나 포획 작업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을 포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갈고리와 어류를 포획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작살촉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포획 장비의 구비가 용이하고, 포획 대상인 연체동물 및 어류 종류에 따른 해당 장비로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고무줄(400)이 연결되는 작살대(100), 갈고리대(200) 및 작살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살대(100)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잠수장비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한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수중에서 작살을 이용하여 각종 어류를 직접 포획하는 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작살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은 고무줄(400)의 탄성력으로 인해 작살촉(300)이 전방으로 발사되어 어류를 찔러 포획한다.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작살은 강도는 우수하나 바닷물의 염분에 의하여 쉽게 부식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작살대(100)의 부식방지를 위해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스테인리스로 제작된다.
상기 작살대(100)의 일측 외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구(110)가 형성된다.
작살촉의 추진력은 고무줄(400)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고무줄(400)을 잡아당길 경우 작살대(100)가 미끄럽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작살대(100)의 외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구(11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작살대(100)를 잡았을 때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갈고리대(200) 및 작살촉(30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연체동물 또는 어류 포획시 갈고리대(200) 및 작살촉(300)을 너무 세게 발사하거나 또는 잘못 발사하여 바위와 같은 딱딱한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력이 갈고리대 또는 작살촉에 전달되므로 찌그러지거나 부러지는 등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갈고리대(200) 및 작살촉(300)은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갈고리대(200)는 작살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갈고리몸체(210); 상기 갈고리몸체(210)의 일단부에 연장 절곡되는 고리(220);를 포함한다.
갈고리대(200)는 바다의 수중에서 연체동물을 쉽게 포획하거나 물이 빠진 바다 갯벌에서 연체동물을 포획하는 해루질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즉, 상기 갈고리대(200)는 문어나 낙지 등의 연체동물을 찍어 옮기는데 사용하기 위해 갈고리몸체(210)와 고리(220)로 구성된다.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는 작살촉(30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30)의 일측에는 힌지핀(240)이 결합된다.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단은 상기 힌지핀(240)에 관통 결합된다.
본 고안의 작살촉(300)은 어류 포획시 펼쳐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갈고리대(200)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작살촉(300)은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핀(240)과 인접한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는 관통공(50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00)은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후술되는 잠금수단(700)이 설치된다.
상기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관통공(500)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홈(60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00)은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후술되는 잠금수단(700)의 볼(710)이 안착된다. 상기 걸림홈(600)은 상기 볼(710)에 대응되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500)에 설치되며, 작살촉(300)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잠금수단(70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걸림홈(600)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710); 상기 볼(7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20); 및 상기 관통공(500) 내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스프링(720)을 구속하는 스크류(730);를 포함한다.
어류 포획시 작살촉(300)을 펼친 상태에서 작살촉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공(500)에는 구형의 볼(710), 스프링(720) 및 스크류(730)를 포함하는 잠금수단(700)이 설치된다.
상기 볼(710)은 상기 관통공(5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홈(600)에 안착되는 돌기부(711)와, 상기 돌기부(711) 일측에 연장되되 상기 관통공(5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속부(7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720)은 상기 구속부(712)에 접촉되어 상기 돌기부(711)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60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수축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700)은 작살촉(300) 사용을 위하여 작살촉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스프링(720)이 압축되어 길이가 수축되면서 볼(710)이 걸림홈(600)에서 이탈되므로 작살촉(300)이 회동 가능한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도 6b에서와 같이, 작살촉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에는 스프링(720)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볼(710)이 걸림홈(600)에 안착되어 갈고리대(200)와 작살촉(300)이 일직선상을 이루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작살촉(300)의 외면에는 어두운 곳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부(310)가 형성된다.
바다 수중에서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어두운 곳에서도 작살대(100)에서 이격된 작살촉(3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거나 제대로 펼쳐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살촉(300)의 외면에 형광부(310)를 형성하여 어두운 곳에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형광부(310)는 작살촉(300) 외면에 형광테이프를 부착하거나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작살촉(300)의 일측에는 미늘(320)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어류가 작살촉(300)에 꽂히면 미늘(320)은 어류에 의해 회동되어 접히게 되고, 어류는 미늘(320)에 걸리지 않고 관통되며, 어류가 벗어나려고 하면 다시 회동되는 미늘(320)에 어류가 걸리면서 작살촉(300)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작살대 110 : 미끄럼방지구
200 : 갈고리대 210 : 갈고리몸체
220 : 고리 230 : 삽입홈
240 : 힌지핀 300 : 작살촉
310 : 형광부 320 : 미늘
400 : 고무줄 500 : 관통공
600 : 걸림홈 700 : 잠금수단
710 : 볼 711 : 돌기부
712 : 구속부 720 : 스프링
730 : 스크류

Claims (5)

  1. 일단부에 고무줄(400)이 연결되는 봉 형상의 작살대(100);
    상기 작살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갈고리대(200); 및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살촉(300);을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대(200)의 일측에는 작살촉(30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30)의 일측에는 힌지핀(240)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240)과 인접한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는 관통공(5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장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대(200) 또는 작살촉(3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관통공(500)과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홈(6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장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500)에 설치되며, 작살촉(300)의 회전된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잠금수단(70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걸림홈(600)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710);
    상기 볼(7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20); 및
    상기 관통공(500) 내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스프링(720)을 구속하는 스크류(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용 장비.
KR2020200003716U 2020-10-19 2020-10-19 어로용 장비 KR200496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16U KR200496064Y1 (ko) 2020-10-19 2020-10-19 어로용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16U KR200496064Y1 (ko) 2020-10-19 2020-10-19 어로용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95U KR20220000895U (ko) 2022-04-26
KR200496064Y1 true KR200496064Y1 (ko) 2022-10-26

Family

ID=8138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16U KR200496064Y1 (ko) 2020-10-19 2020-10-19 어로용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6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41Y1 (ko) 1999-09-20 2000-05-15 유한회사황개실업 황소개구리 작살총
JP3051365B2 (ja) 1997-10-20 2000-06-12 日東工業株式会社 光接続箱の余長収納トレイ
JP2002000128A (ja) * 2000-06-27 2002-01-08 Nobuchika Kurokawa 釣針の針先部分を軸部分と可動式に連結し開閉できるようにし針が閉じた状態で魚に餌を食わせて釣果があがるようにした釣針
JP2006223288A (ja) 2005-02-18 2006-08-31 Cel:Kk 釣り針、その仕掛け、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365U (ja) * 1998-02-12 1998-08-21 隆 矢作 畳敷込み鉤
KR200231955Y1 (ko) 2001-02-19 2001-07-03 조인상 물고기 잡이용 작살
KR20100003260U (ko) 2009-04-28 2010-03-24 박이보 해산물 췌치 및 문어 포훽용 갈고리
KR20100122167A (ko) * 2009-05-12 2010-11-22 김정목 일자형 낚시 바늘
KR20170139948A (ko) * 2016-06-10 2017-12-20 송태원 어로용 다기능 막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365B2 (ja) 1997-10-20 2000-06-12 日東工業株式会社 光接続箱の余長収納トレイ
KR200182441Y1 (ko) 1999-09-20 2000-05-15 유한회사황개실업 황소개구리 작살총
JP2002000128A (ja) * 2000-06-27 2002-01-08 Nobuchika Kurokawa 釣針の針先部分を軸部分と可動式に連結し開閉できるようにし針が閉じた状態で魚に餌を食わせて釣果があがるようにした釣針
JP2006223288A (ja) 2005-02-18 2006-08-31 Cel:Kk 釣り針、その仕掛け、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95U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645A (en) Purse ring
US20060037232A1 (en) Jig and bait system
US7216906B2 (en) Carabiner holder
US7322146B1 (en) Fishing net retraction system
US6092484A (en) Marine anchor system
US9648858B2 (en) Net with snare closure
CN106794890A (zh) 组合式桨轴和钓竿
US9829267B1 (en) Scuba diving accessory, monopod, sling, fishing spear, buoyancy stick, lobster tickling rod, eel rattle, signaling device for other divers
US3892083A (en) Release mechanism
KR200496064Y1 (ko) 어로용 장비
US7444779B2 (en) Fish handling device
US20120246995A1 (en) Retractable knife spear
US10595518B1 (en) Netting apparatus
US5479739A (en) Spring actuated marine animal capturing device
US6405474B1 (en) Floatation and fish hook setting device
US3050897A (en) Fishing gig with attachable string line
US7448157B2 (en) Harpoon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060162231A1 (en) Line and tackle securing device
US6526691B1 (en) Combination fishing accessory
US8082868B1 (en) Watercraft mooring device
US7503139B1 (en) Fishing assistance apparatus
US5868094A (en)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anchoring
US3403467A (en) Fishhook device
US6574905B2 (en) Shock-absorbing gaff device
US20190208758A1 (en) Flying Tail Cu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