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68Y1 -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 Google Patents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68Y1
KR200495868Y1 KR2020200004115U KR20200004115U KR200495868Y1 KR 200495868 Y1 KR200495868 Y1 KR 200495868Y1 KR 2020200004115 U KR2020200004115 U KR 2020200004115U KR 20200004115 U KR20200004115 U KR 20200004115U KR 200495868 Y1 KR200495868 Y1 KR 200495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groove
pressing line
shaft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1143U (en
Inventor
강석창
강석영
강예은
강예린
Original Assignee
강석창
강석영
강예은
강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창, 강석영, 강예은, 강예린 filed Critical 강석창
Priority to KR2020200004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68Y1/en
Publication of KR20220001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4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6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6Cut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형으로, 면방종이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이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평행부와, 제1평행부의 양측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상단가이드자, 판형으로, 수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결합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이격부와, 이격부의 길이방향 종단이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이격판, 수평부 및 제1평행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결합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3결합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딩부 및 제1 내지 제3결합홀을 아울러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late-shaped, arranged in parallel with a sheet of paper, a horizontal part in which one or more first coupling holes are formed, a first parallel part formed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art in parallel, and both sides of the first parallel part are opposite The upper guide ruler consisting of a w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vertically in the direction, in the form of a plate, a spacer portion arrang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parat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paration plate composed of an elastic part formed by bending the end to the lower side, a holding part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part and the first parallel part and having a third coupl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the first It relates to a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hole as well.

Description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본 고안은 면방종이에 누름자국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폭으로 구성된 누름선 형성홈 형성 작업 시에, 작업자가 일정하고 안전하게 누름선 형성홈을 따라 칼 길을 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 line cutting guide device that guides the operator to make a knife along the press line forming groove uniformly and safely when forming a press line forming groove of various widths to create a press mark on a cotton spinning paper. it's about

일반적으로 봉투, 접지, 팜플렛 및 종이상자에 쓰이는 후가공으로 인쇄물을 접어야되는 부분을 잘 접히도록 압력이 가해진 자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쇄물을 요구되는 모양에 따라 접는 깔끔한 접지 작업을 위해 선행되는 것으로 즉, 접지 작업에서 터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압력을 가해 놓는 누름선(오시/누름자국, 이하, 누름선)작업에 의해 생성된다. In general, it is post-processing used for envelopes, folding, pamphlets, and paper boxes, and you can check the marks applied with pressure so that the part that needs to be folded can be folded well. This is preceded for neat folding work that folds the printed matter according to the required shape, that is, it is created by the press line (stuck/press mark, hereinafter, press line) work that applies pressure in advance to prevent bursting in the folding work. do.

누름선 작업은 일반적으로, 먼저 면방판에 면방종이를 부착시킨 후, 상품인 종이상자의 전개도와 동일한 형상으로 블랭킹(blanking; 소재로부터 정해진 형상을 절단해내어 그것을 제품으로 사용하는 작업)한다. In general, the pressing line work is performed by first attaching a cotton-free paper to a surface-proof plate, and then blanking it in the same shape as the developed paper box, which is a product; cutting a predetermined shape from a material and using it as a product).

블랭킹 작업 후에는, 전개도 형상으로 절단된 면방종이에 누름선이 요구되는 위치를 설정 폭으로 절개하여 누름선 형성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면방종이 위에 상품의 전개도가 배치되고 누름선 형성홈 영역이 프레싱(pressing)되면, 상품의 전개도에 일정한 누름선이 생성되어 작업자는 쉽게 접지가 가능하며 일정한 형상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After the blanking operation, the position where the pressing line is required is cut to a set width on the cotton-spinning paper cut in the unfolded shape to form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When the product development is arranged on the cotton-free paper and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area is pressed, a certain pressing line is created in the product development diagram,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fold it and manufacture a product of a predetermined shape.

초기의 누름선 형성홈은 작업자가 일반적인 자와 칼을 이용하여 도려내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누름선 형성홈의 폭은 통상적으로 프레싱될 상품의 무게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초기의 누름선 형성홈의 절개 폭을 작업자가 일일이 측정하여 형성시킴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itially,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was formed in a way that an operator cut it out using a general ruler and a knife, and the width of this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s usually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product to be press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t width of the initial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s not constant as the operator measures and forms it one by one.

도 8은 종래의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의 (a)는 폭이 4 mm인 누름선 형성홈을 형성하기 위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폭이 1.5 mm인 누름선 형성홈을 형성하기 위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몸체의 중앙이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된 통공부(11)를 구비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가 사용되었다. 8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Fig. 8 (a) is a view showing a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for forming a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having a width of 4 mm, (b) is a view showing a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having a width of 1.5 mm It is a view showing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s shown in FIG. 8 , a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having a through-hole 11 through which the center of a band-shaped body is pene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was used.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는 일반적인 자의 사용 방법과 같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상단을 가압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칼 길을 작업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약 1 ~ 2 mm로 형성된 얇은 두께로 인해 작업자가 누름선 형성홈을 생성하기 위해 칼 길을 내다가 칼이 자를 타고 올라가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를 가압하고 있던 손을 베이는 사고가 끊임없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end with one hand and works the knife path with the other hand, as in the method of using a general ruler. However, due to the thin thickness formed by about 1 to 2 mm, the operator constantly cuts the hand that was pressing the presser line cutting guide when the knife climbs up the ruler while cutting the knife to create the pressure line forming groove. there was

또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와 면방종이(3) 사이에, 작업자가 칼 길을 내는 힘에 반하는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누름선 형성홈을 따라 칼 길을 내는 작업 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가 면방종이(3) 위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이게 된다. 이로 인해, 칼 길의 시작점과 마무리점의 위치가 달라져, 누름선 형성홈이 제단해야할 면방종이(3)에 대해 수평하거나 수직하지 않아 불량품을 제작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no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and the cotton spinning paper (3), which is against the force of the operator making the knife. The guide (1) moves without being fixed on the cotton spinning paper (3). For this reason,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nishing point of the knife path is differ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s not horizontal or vertical to the cotton spinning paper 3 to be cut, thereby producing a defective product.

또한, 기존의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는 프레싱될 상품 인쇄물의 무게에 따라 통공부(11)의 폭 값이 결정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를 위해, 각 규격에 해당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가 준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value of the width of the through-hole 1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product print to be pressed in the conventional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for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corresponding to each standard There was a problem that (1) had to be prepared.

그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선 형성홈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어 면방종이(3)에 대해 수평 및 수직한 정도가 알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의 통공부(11)가 면방종이에 대해 정확한 수평도 및 수직도를 갖도록 배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와 다른 자를 수직하게 배치하여 그 정도를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should be formed at an accurate position so that the degree of horizontal and vertical to the cotton spinning paper 3 is appropriate. However,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through-hole 11 of the existing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is arranged to have the correct horizontal and vertical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tton spinning paper, make a ruler different from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vertically. There was a cumbersome place to figure out the degree of placement.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6855호(면방 괘선정보 산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방에 의한 종이재단판 괘선형성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855 (Method for calculating ruled line information for cotton spinning and a method for forming ruled lines on paper cutting board by cotton spinning manufactured thereby)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234호(골판지 상자,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방법, 및 골판지 시트의 괘선 형성 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77234 (corrugated cardboard box, method for forming a ruled line of a corrugated cardboard sheet,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a ruled line for a corrugated cardboard shee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utting guide device for pressing, which can protect the hands of the operator.

제 2목적은, 작업자가 누름선 커팅 가이드 장치를 누르면 면방종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second object is to provide a guide line cutting guide device that is stably fixed to the cotton spinning paper and does not shak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line cutting guide device.

제 3목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누름선 형성홈의 폭을 설정 가능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third object is to provide a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capable of setting the width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n various standards as needed.

제 4목적은,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가 면방종이에 대해 수직한지, 수평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 fourth object is to provide a line cutting guide device, which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line cutting guide device is vertical or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cotton spinning paper.

누름선 형성홈을 형성하기 위해 면방종이를 절개하는 칼을 가이드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판형으로, 상기 면방종이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이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평행부와, 상기 제1평행부의 양측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상단가이드자, 판형으로, 상기 수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의 길이방향 종단이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이격판. 상기 수평부 및 제1평행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결합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3결합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딩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결합홀을 아울러 결합되는 결합부재을 포함한다.In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a knife for cutting the cotton spinning paper to form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n a plate shape, a horizontal part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otton spinning paper and having one or more first coupling holes formed therein; A first parallel part formed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art in parallel, and a wing part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both sides of the first parallel part in opposite directions, in a plate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part A spacer plate comprising: a spacer disposed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an elastic part formed by bend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pacer to the lower side. It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includes a holding part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which a third coupl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coupling holes. do.

또한, 판형으로, 설정 넓이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홀딩부의 설정 영역과 상응하는 영역이 관통되는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종단이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평행부로 구성되는 하단가이드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평행부는 상기 제2평행부에 상응하는 길이방향 양측 종단이 각각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a plate shape,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portion penetrating through a set area and a second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t area of the holding unit is formed, and longitudinal ends of the body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It further includes a lower guide ruler composed of a second parallel portion formed by bending, wherei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re cut, respectively, to form a cutout groove.

또한, 상기 수평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이 관통되어 하나 이상의 제1리미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리미트홈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리미트홈이,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리미트홈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3리미트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자는 하단이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리미트홈을 아울러 통과하여 상기 수평부 상부로 노출되는 리미트축을 추가로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has a long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penetrated to form one or more first limit grooves, the separation portion is a second limit groove of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mit groove, the holding portion is the second limit groove A third limit groov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mit groove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coupled to the body, and th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limit grooves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It further includes a limit axis to be.

또한, 상기 리미트축 상단은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축의 상단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이 탭 가공되어 상호 결합되는 고정캡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imit shaft includes a fixing cap in which a screw is formed, and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limit shaft is tapped and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수평부는 관통되어 하나 이상의 제1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는 관통되어 상기 제1축홀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축홀이, 상기 홀딩부는 관통되어 상기 제2축홀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3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자는 하단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둘레를 따라 제1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축홀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부 상부로 노출되는 피니언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 형상의 기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홈의 내측 둘레 일면에는 제1기어 이에 대응되는 제2기어 이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is penetrated to form one or more first axial holes, the spaced portion is penetrated to form a second axial hol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xial hole, and the holding portion is penetrat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xial hole and a third shaft hole of the size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lower guide is protru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gear teeth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shaft holes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It further includes a pinion shaft,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long groove-shaped gear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groove is formed with a second gear too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ar.

또한, 상기 피니언축의 상단은 단면구조로 면취 가공되고, 상기 피니언축의 상단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이 단면구조로 면취 가공되어 상호 고정되는 조정캡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is chamfered with a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is chamfered with a cross-sectional structure to include an adjustment cap fix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단가이드자의 상면에 상응하는 상기 제2평행부는 눈금이 표기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arall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is marked with a scale.

그뿐만 아니라,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관통부에 상응하는 저면의 영역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하나 이상의 밀착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lding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portion protrudes a set length to form one or more contact portions.

상술한 바와 같은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는, 상단가이드자가 하단가이드자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누름선 형성홈의 컷팅을 가이드하는 제1통공부의 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guide can slide along the lower guide, so that the width of the first through-hole for guiding the cutting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can be variously adjusted.

또한, 본 고안은 재단작업이 행해지는 제1통공부와 상단가이드자와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된다. 작업자는 상단가이드자의 상단을 가압하여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위치를 지지시킬 때, 제1통공부를 재단하는 칼의 이탈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upper guide and the cutting operation are different.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operator's hand from the detachment of the knife for cutting the first through-hole.

또한, 하단가이드자는 상단가이드자가 하단가이드자의 폭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면적이 충분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면방종이의 면적에 대한 누름선 형성홈의 수직도 및 수평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ea of the lower guide ruler is sufficiently secured as the upper guide ruler slides along the width of the lower guide ruler.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cotton spinning pa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리미트축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를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shown in FIG. 1 .
Figure 3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shown in FIG. 3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shown in FIGS. 3 to 4 .
Figure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imit shaft shown in Figures 3 to 5.
Figure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pressing line cutting gu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면방종이(3)에 누름자국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폭으로 구성된 누름선 형성홈 형성 작업 시에, 작업자가 일정하고 안전하게 누름선 형성홈을 따라 칼 길을 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ing line cutting that guides the operator to make a knife path along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uniformly and safely when forming a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composed of various widths to create a pressing mark on the cotton spinning paper (3). It is about guide devic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평면사시도를 나타내고, (b)는 저면사시도를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a) shows a plan perspective view, (b)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선 형성홈을 형성하기 위해 면방종이(3)를 절개하는 칼을 가이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는 상단가이드자(10), 이격판(20), 홀딩부(30) 및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1, the pressure line c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knife for cutting the cotton spinning paper (3) to form the pressure line forming groove is the upper guide ruler (10), spaced apart It includes a plate 20 , a holding part 30 and a coupling member 40 .

상단가이드자(10)는 판형으로, 면방종이(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홀(111)이 형성되는 수평부(11)와, 수평부(11)의 양측이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평행부(13)와, 제1평행부(13)의 양측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5)로 구성된다.The upper guide ruler 10 is plate-shaped, and the horizontal portion 1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otton spinning paper 3 and at least one first coupling hole 111 is formed, and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1 are bent in parallel. It is composed of a first parallel portion 13 formed by being formed, and a wing portion 15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both sides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13 in opposite directions.

이격판(20)은 판형으로, 수평부(1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결합홀(111)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2결합홀(211)이 형성되는 이격부(21)와, 이격부(21)의 길이방향 종단이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탄성부(23)로 구성된다. The spacer plate 20 is plate-shaped,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ortion 11 and includes a spacer 21 in which a second coupling hole 2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111 , and a spacer portion The longitudinal end of (21) is composed of an elastic portion (23) formed by bending to the lower side.

홀딩부(30)는 수평부(11) 및 제1평행부(13) 사이에 배치되고 제2결합홀(211)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3결합홀(31)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홀딩부(30)는 그 두께가 제2평행부(63) 폭의 종단에 대해 2 mm ~ 3 mm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홀딩부(30)는 면방종이(3)와 밀착되는 영역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The holding part 30 is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part 11 and the first parallel part 13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which the third coupling hole 3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211 .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ortion 30 has a thickness of 2 mm to 3 mm shorter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width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63 . In particular, the holding part 30 may further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y applying silicone to the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cotton spinning paper 3 .

결합부재(40)는 제1결합홀(111) 내지 제3결합홀(31)을 아울러 결합된다. 제1결합홀(111) 내지 제3결합홀(31)은 이격판(20)을 기준으로 중심과, 그 중심에서 동일하게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부재(40)의 상단은 제2결합홀(211)과 억지 끼워 맞춰지거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격부(21)가 가압 시에, 이격부(21)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upling member 40 is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hole 111 to the third coupling hole 31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upling hole 111 to the third coupling hole 31 be formed at a position equally spaced from the center and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plate 20 .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40 is press-fitted with the second coupling hole 211 or an adhesive is applied so that the spaced part 21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spaced part 21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특히, 제3결합홀(31)은 탭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40)의 하단은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홀(211)에 상응하는 결합부재(40)의 상단은 원주방향으로 제2결합홀(211)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홀(211)의 하부에 상응하는 결합부재(40)의 상단은 원주 방향으로 제2결합홀(211) 직경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가압되는 힘에도 결합부재(40)가 견고하게 상단가이드자(10), 이격판(20) 및 홀딩부(3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가압되어 면방종이(3)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third coupling hole 31 is formed as a tab, and a screw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4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4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211 is formed to protrude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2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hole 211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40 corresponding to the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hole 2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shape, the coupling member 40 firmly combines the upper guide ruler 10, the separation plate 20 and the holding part 30 even with the applied force and is presse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cotton spinning paper 3 make it possibl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자가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를 면방종이(3)에 배치시키고 자리를 잡기위해 이격판(20) 일부 영역을 가압하게 되면, 탄성부(23)에 의해 수평부(11)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이격부(21)가 수평부(11)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결합부재(40)에 의해 이격부(21)는 가압된 특정부위만 휘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수평부(11)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홀딩부(30)의 저면이 제2평행부(63)의 하부 종단보다 돌출되게 되어 합성수지 재질의 홀딩부(30)와 면방종이(3)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면방종이(3)가 고정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places the press line cutting guide device on the cotton spinning paper 3 and presses a partial area of the separation plate 20 to take a seat, it is set from the horizontal part 11 by the elastic part 23 The spaced part 21 which is spaced apart by a distance is moved to the horizontal part 11 side. At this time, the spaced portion 21 by the coupling member 40 is mov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1 side in parallel, without bending only the pressed specific portion.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part 30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rallel part 63, so that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ynthetic resin holding part 30 and the cotton-free paper (3) is fixed

이때, 이격부(21)와 수평부(11) 사이에 상응하는 결합부재(40)에는 인장스프링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격부(21)에 적용된 가압이 사라지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ten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40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spaced portion 21 and the horizontal portion 11 . 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pacer 21 disappears, it is easy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이 경우, 날개부(15) 상면에는 일반 자와 같이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형태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자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3실시예로 사용하는 경우, 누름선 형성홈의 길이방향 길이를 파악하기 용이해진다. In this case, a sca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g part 15 like a general ruler. Therefore, when using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in the form of the first embodiment, it may play the same role as a general ruler, and when using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o determine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t gets easier

또한, 날개부(15)에 각 누름선 형성홈 규격에 따른 폭으로 형성된 홈이 관통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groove formed with a width according to each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standard may be penetrated through the wing portion 15 and used.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shown in FIG. 3, and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llustrated press line cutting guide devic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는 하단가이드자(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s abov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uide ruler 60 .

하단가이드자(60)는 판형으로, 설정 넓이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611)와, 홀딩부(30)의 설정 영역과 상응하게 제1관통부(611)와 인접한 설정 영역이 관통되는 제2관통부(613)가 형성되는 몸체부(61)와, 몸체부(61)의 길이방향 양측 종단이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평행부(63)로 구성된다. The lower guide ruler 60 is plate-shaped, and the first through-portion 611 penetrates to a set width, and the first through-portion 611 adjacent to the set area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t area of the holding part 30 penetrates. It consists of a body part 61 in which the two-through part 613 is formed, and a second parallel part 63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body part 61 to the upper side.

이때, 제1평행부(13)는 제2평행부(63)에 상응하는 길이방향 양측 종단이 각각 절개되어 절개홈(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상단가이드자(10)는 하단가이드자(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상단가이드자(10)의 일측 날개부(15)가 제1관통부(611)를 완전히 커버하는 위치로부터 단계적으로 개폐시키는 상호적인 위치 변화에 의해 누름선 형성홈의 폭을 규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arallel portion 13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allel portion 63 are cut, respectively, to form a cut-out groove 131 . In such a shape, the upper guide ruler 10 can slide along the lower guide ruler 60 , so that one wing portion 15 of the upper guide ruler 10 completely covers the first through portion 611 . The width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standard by the mutual change of position, which is opened and closed step by step from the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가이드자(60)의 상면에 상응하는 제2평행부(63)는 눈금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눈금은 일반적인 규격에 따라, 1.5, 1.7, 1.9, 2.1, 3.0, 3.5, 4.0 등이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폭은 누름선이 생성되는 제품용 상자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통상적인 포장 기술자면 익히 알고 있는 사실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parallel portion 63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ruler 60 is marked with a scal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general standard, 1.5, 1.7, 1.9, 2.1, 3.0, 3.5, 4.0, etc. are preferably marked. This widt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ox for the product in which the pressing line is created, which is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packaging technicians, and the details will be omitted.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이 관통되어 하나 이상의 제1리미트홈(113)이 형성되고, 이격부(21)는 제1리미트홈(113)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리미트홈(213)이, 홀딩부(30)는 제2리미트홈(213)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3리미트홈(35)이 형성된다. 이때, 하단가이드자(60)는 몸체부(61)에 결합되고, 상단이 제1 내지 제3리미트홈(35)을 아울러 통과하여 수평부(11) 상부로 노출되는 리미트축(65)을 추가로 포함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5, the horizontal portion 11 has a long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penetrated to form one or more first limit grooves 113, and the spaced portion 21 is a first limit A second limit groove 213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13 is formed, and the holding part 30 is formed with a third limit groove 35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cond limit groove 213 . . At this time, the lower guide ruler 6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61, and th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limit grooves 35 as well and the limit shaft 65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1 is added. include as

이러한 제1 내지 제3리미트홈(35)은 결합부재(4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미트홈은 상단가이드자(10), 이격판(20) 및 홀딩부(30)가 일체형으로, 동시에 하단가이드자(60)의 제2평행부(63)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되, 리미트축(65)에 의해 리미트홈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The first to third limit grooves 35 are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s 40 . These limit grooves allow the upper guide ruler 10, the separation plate 20 and the holding part 30 to be integrated, and at the same time slide along the second parallel portion 63 of the lower guide ruler 60, but the limit It is made to be movable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imit groove by the shaft (65).

그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부(613)는 결합부재(40)의 위치에 상응하는 설정 넓이의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홀딩부(30)는 제2관통부(613)에 상응하는 저면의 영역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하나 이상의 밀착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가 구비되는 경우, 홀딩부(30)는 밀착부의 저면으로부터 그 두께가 제2평행부(63) 폭의 종단에 대해 2 mm ~ 3 mm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밀착부가 구비되는 경우, 면방종이(3)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찰력의 발생 면적이 더 넓어지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through portion 613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a region of a set wid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40 .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holding part 30 , the area of the botto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part 613 may protrude a set length to form one or more contact parts (not shown). When the adhesion part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art 3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2 mm to 3 mm shorter than the end of the width of the second parallel part 63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dhesion part. When the contact part is provided in this way, since the area of occurrence of frictional force capable of fixing the cotton spinning paper 3 becomes wider, more robust fixing is possible.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리미트축(65)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imit shaft 65 shown in FIGS. 3 to 5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축(65)은 상단에 스크류가 형성된다. 또한, 그 상단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이 탭 가공되어 상호 고정되는 고정캡(651)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6, the limit shaft 65 is a screw is formed at the top. In addition,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thereof is tapped and includes a fixing cap 651 that is fixed to each other.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가 상단가이드자(1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고정캡(651)을 돌려 리미트축(65)의 스크류를 돌려 고정시키게 된다. In this structure, the operator places the upper guide ruler 10 at a desired position, and turns the fixing cap 651 to turn the screw of the limit shaft 65 to fix it.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하단가이드자(60)는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상단사이드자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lower guide ruler 60 as above may additionally include a function of moving the upper side ruler in a rack and pinion manner.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부(11)는 관통되어 하나 이상의 제1축홀(115)이 형성되고, 이격부(21)는 관통되어 제1축홀(115)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축홀(215)이, 홀딩부(30)는 관통되어 제2축홀(215)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3축홀(37)이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portion 11 is penetrated to form one or more first shaft holes 115, and the spaced portion 21 is penetrated through a second shaft hol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shaft hole 115 ( 215 , the holding part 30 is penetrated to form a third shaft hole 37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cond shaft hole 215 .

이때, 하단가이드자(60)는 하단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둘레를 따라 제1기어 이(671)가 형성되고, 상단이 제1 내지 제3축홀(37)을 통과하여 수평부(11) 상부로 노출되는 피니언축(67)을 추가로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guide member 60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the first gear teeth 671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shaft holes 37 to pass through the horizontal portion 11 upper part. It further includes a pinion shaft 67 exposed to.

또한, 몸체부(6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 형상의 기어홈(615)이 형성되고, 기어홈(615)의 내측 둘레 일면에는 제1기어 이(671)에 대응되는 제2기어 이(615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61 is formed with a long groove-shaped gear groove 615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groove 615, a second gear too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ar tooth 671 ( 6151) is formed.

이 경우, 피니언축(67)의 상단은 단면구조로 면취 가공되고, 피니언축(67)의 상단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이 단면구조로 면취가공되어 상호 고정되는 조정캡(673)을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67 is chamfered with a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67 is chamfered with a cross-sectional structure to include an adjustment cap 673 fixed to each other.

그뿐만 아니라, 피니언축(67)은 상단에 풀리 또는 스프로킷이 결합되어 감속기모터와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하단가이드자(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단가이드자(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inion shaft 67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ulley or sprocket and is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motor with a belt or chain to automatically move the upper guide ruler 10 , which slides along the lower guide ruler 60 .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누름선 형성홈은 제품에 따라 직선 뿐만 아니라 곡선 또는 특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상단가이드자(10)의 일측 날개부(15)는 만곡된 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가이드자(60)의 제1관통부(611)는 전술한 날개부(15)의 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관통부(611)에서 날개부(15)와 상호 이격되는 일측 변이 만곡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날개부(15)는 물결무늬 또는 지그재그와 같은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관통부(611)의 일측 변은 일측 날개부(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may be formed not only in a straight line but also in a curved shape or a specific shape depending on the product. have. In addition,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611 of the lower guide member 60 has one side spaced apart from the wing portion 15 in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6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c shape of the aforementioned wing portion 15 is curved. It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In addition to this, the wing portion 15 may be formed in a specific shape such as a wave pattern or a zigzag. Accordingly,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 part 6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ne wing part 15 .

정리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은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실시예를 따르면, 상단가이드자(10)가 하단가이드자(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누름선 형성홈의 컷팅을 가이드하는 제1통공부의 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summ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guide ruler 10 can slide along the lower guide ruler 60 to guide the cutting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The width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또한, 본 고안은 재단작업이 행해지는 제1통공부와 상단가이드자(10)와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된다. 작업자는 상단가이드자(10)의 상단을 가압하여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의 위치를 지지시킬 때, 제1통공부를 재단하는 칼의 이탈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upper guide ruler 10 in which 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ruler 10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operator's hand from the detachment of the knife for cutting the first through-hole.

또한, 하단가이드자(60)는 상단가이드자(10)가 하단가이드자(60)의 폭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면적이 충분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면방종이(3)의 면적에 대한 누름선 형성홈의 수직도 및 수평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ea of the lower guide ruler 60 is sufficiently secured as the upper guide ruler 10 slides along the width of the lower guide ruler 60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of the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cotton spinning paper (3).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누름선 재단 가이드자(1) 면방종이(3)
상단가이드자(10) 수평부(11)
제1평행부(13) 날개부(15)
이격판(20) 이격부(21)
탄성부(23) 홀딩부(30)
제3결합홀(31) 제3리미트홈(35)
제3축홀(37) 결합부재(40)
하단가이드자(60) 몸체부(61)
제2평행부(63) 리미트축(65)
피니언축(67) 제1결합홀(111)
제1리미트홈(113) 제1축홀(115)
절개홈(131) 제2결합홀(211)
제2리미트홈(213) 제2축홀(215)
제1관통부(611) 제2관통부(613)
기어홈(615) 고정캡(651)
제1기어 이(671) 조정캡(673)
제2기어 이(6151)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100)
Pressing line cutting guide (1) Cotton spinning paper (3)
Upper guide (10) Horizontal part (11)
1st parallel part (13) wing part (15)
Separator (20) Separator (21)
Elastic part (23) Holding part (30)
3rd coupling hole (31) 3rd limit groove (35)
3rd shaft hole (37) coupling member (40)
Bottom guide (60) Body (61)
2nd parallel part (63) limit shaft (65)
Pinion shaft (67) first coupling hole (111)
1st limit groove (113) 1st shaft hole (115)
Incision groove (131) Second coupling hole (211)
2nd limit groove (213) 2nd shaft hole (215)
First through (611) Second through (613)
Gear groove (615) Fixing cap (651)
1st Gear Teeth (671) Adjustment Cap (673)
2nd gear teeth (6151)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100)

Claims (8)

누름선 형성홈을 형성하기 위해 면방종이를 절개하는 칼을 가이드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판형으로, 상기 면방종이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제1결합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이 평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평행부와, 상기 제1평행부의 양측이 상반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상단가이드자;
판형으로, 상기 수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의 길이방향 종단이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탄성부로 구성되는 이격판;
상기 수평부 및 제1평행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결합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제3결합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딩부;
상기 제1 내지 제3결합홀을 아울러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판형으로, 설정 넓이로 관통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홀딩부의 설정 영역과 상응하는 영역이 관통되는 제2관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 종단이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평행부로 구성되는 하단가이드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평행부는 상기 제2평행부에 상응하는 길이방향 양측 종단이 각각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 장치.
In the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a knife for cutting cotton spinning paper to form a pressing line forming groove,
In the form of a plate, a horizontal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surface spinning paper and formed with one or more first coupling holes, a first parallel portion formed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in parallel, and opposite sides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 upper guide member consisting of a w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vertically in the direction;
In a plate shape, the spacer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part and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an elastic part formed by bend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pacer to the lower side. board;
a holding part made of synthetic resin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part and the first parallel part and having a third coupl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hole;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to third coupling holes; and
A plate-like first through-portion penetrating to a set width, a body in which a second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t area of the holding unit is formed, and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body are vertically bent upwards It further includes; a lower guide ruler composed of a second parallel part formed therein;
The first parallel portion is a cutting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by cutting both longitudinal end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allel portion,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이 관통되어 하나 이상의 제1리미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리미트홈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리미트홈이,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리미트홈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3리미트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자는 하단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리미트홈을 아울러 통과하여 상기 수평부 상부로 노출되는 리미트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ong groov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re penetrated to form one or more first limit grooves,
The spacer has a second limit groove of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mit groove,
The holding part is formed with a third limit groov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mit groove,
The lower guide member has a lower e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limit shaft whos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limit grooves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축 상단은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리미트축의 상단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이 탭 가공되어 상호 결합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scre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imit shaft,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cap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limit shaft is tapp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관통되어 하나 이상의 제1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부는 관통되어 상기 제1축홀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2축홀이,
상기 홀딩부는 관통되어 상기 제2축홀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제3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가이드자는 하단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둘레를 따라 제1기어 이가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제1 내지 제3축홀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부 상부로 노출되는 피니언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홈 형상의 기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홈의 내측 둘레 일면에는 상기 제1기어 이에 대응되는 제2기어 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part is penetrated to form one or more first shaft holes,
A second shaft hole of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aft hole through the separation portion,
The holding part is penetrated to form a third shaft hol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haft hole,
The lower guide member has a lower end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rst gear tooth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pinion shaft whos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to third shaft holes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rt;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gear groove in the shape of a long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gear too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ar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축의 상단은 단면구조로 면취 가공되고,
상기 피니언축의 상단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이 단면구조로 면취 가공되어 상호 고정되는 조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is chamfered into a cross-sectional structure,
An adjustment cap in which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is chamfered into a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fix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가이드자의 상면에 상응하는 상기 제2평행부는 눈금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arall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ru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le is marked, the pressure line cutting guid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제2관통부에 상응하는 저면의 영역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하나 이상의 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선 재단 가이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unit,
A pressing line cutting guid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on of the botto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portion protrudes a set length to form one or more contact parts.
KR2020200004115U 2020-11-13 2020-11-13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KR2004958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15U KR200495868Y1 (en) 2020-11-13 2020-11-13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15U KR200495868Y1 (en) 2020-11-13 2020-11-13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43U KR20220001143U (en) 2022-05-20
KR200495868Y1 true KR200495868Y1 (en) 2022-09-06

Family

ID=8176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15U KR200495868Y1 (en) 2020-11-13 2020-11-13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6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4222A1 (en) 1986-12-02 1988-06-16 Trial Oy Hand tool for cutting a web material along a guide member
JP2000079794A (en) * 1998-07-02 2000-03-21 Nobuaki Iso Ruler
JP2014168884A (en) * 2013-03-04 2014-09-18 Tapiro:Kk Rul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6529B2 (en) 2015-06-26 2017-02-08 レンゴー株式会社 Corrugated box, corrugated sheet ruled line forming method, and corrugated sheet ruled line forming apparatus
KR102006855B1 (en) 2019-06-20 2019-08-02 강석창 Method of Calculating Rule Information in Rule Forming Device for Bending Paper Box and Method of forming Rule in Paper Cutting Board by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4222A1 (en) 1986-12-02 1988-06-16 Trial Oy Hand tool for cutting a web material along a guide member
JP2000079794A (en) * 1998-07-02 2000-03-21 Nobuaki Iso Ruler
JP2014168884A (en) * 2013-03-04 2014-09-18 Tapiro:Kk Ru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43U (en)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01872A (en) Crea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5855543A (en) Box mak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KR200495868Y1 (en) Device for guiding fold line cut
JPWO2011052150A1 (en) Paper binding tool
US10265991B2 (en) Techniques for creasing a cover of a case
US3092379A (en) Device for folding sheets of paper and the like
US4249432A (en) Ruled scoring die
JP6146189B2 (en) Saddle stitcher
US7789383B2 (en) Saddle stitcher for paperback books
US7553270B2 (en) Page indicator tab and method for making such a page indicator tab
US20100224045A1 (en) Punch
US20100216619A1 (en) Creasing method
JP2003026153A (en) Manufacture of channeling type corrugated board box
JP5372424B2 (en) Packaging box with easy disposal function
EP1979236B1 (en) Carton having adjustment indicia
JP3034320U (en) Bellows card
CN209009245U (en) A kind of paper-plastic board
JP3517470B2 (en) Corrugated sheet fold forming device
US20220333910A1 (en) Device for measuring a width of a slot in a product
KR101024057B1 (en) Drill for binder
JPH0321914Y2 (en)
JP4305249B2 (en) Tack index application aid
JP3176598U (en) Paper tri-fold device
JPH10286892A (en) Creasing-line former
IT202100014846A1 (en) BOX WITH IMPROVED OPENING AND PROCEDURE FOR MANUFACTURING SUCH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