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87Y1 - writing supporter - Google Patents

writing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87Y1
KR200495787Y1 KR2020210002476U KR20210002476U KR200495787Y1 KR 200495787 Y1 KR200495787 Y1 KR 200495787Y1 KR 2020210002476 U KR2020210002476 U KR 2020210002476U KR 20210002476 U KR20210002476 U KR 20210002476U KR 200495787 Y1 KR200495787 Y1 KR 200495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writing
holder
prese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4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연길
Original Assignee
박연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길 filed Critical 박연길
Priority to KR2020210002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일단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필기구의 타단을 거치시켜 사북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aid, wherein the body is formed so that an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and one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and when a user holds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is mounted to maintain a constant four-north poi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radle to make it possible.

Description

필기 보조기구{writing supporter}writing aid

본 고안은 필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를 파지하여 필기하는 과정에서 필기구가 쳐지면서 자세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ting aid for preventing the writing instrument from being sagged while taking notes while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필기구를 파지하고, 필기하는 법을 학습하고 있으며, 이때 습득한 필기법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In general, children learn how to hold and take notes when they are young, and the acquired writing techniques do not change easily.

이에 따라, 초기 학습때부터 보다 바른 필기 자세를 학습시켜주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5870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와 같이 필기구의 바른 파지법을 보조해주기 위한 제품들이 개발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teach the correct writing posture from the initial learning,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the correct gripping method of writing instruments,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No. 20-0345870 “Writing aid for infants”.

하지만, 기존의 보조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가 검지마디에서 검지와 엄지 사이로 미끄러져 내리면서 자세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 the conventional auxiliar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writing instrument slides down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thumb, resulting in poor posture.

사용자가 필기구(10)의 일단을 파지하게 되면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파지부분(P1)이 되고, 파지부분(P1)을 기준으로 필기구(10)의 타단이 검지 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에 지지되게 되는데, 이 지점을 사북점(P2)이 된다.When the user grips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t becomes the grip portion P1 gripped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and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supported by the third joint of the index finger based on the grip portion P1. This point becomes the four north point (P2).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검지 마디 부근의 사북점(P2)에서 필기구(10)가 아래로 미끄러져 내릴 경우, 파지부분(P1)과 필기구가 미끄러진 변경위치(P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slides down at the quadratic point P2 near the index fi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ing portion P1 and the changing position P3 at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slid increases.

이 경우 파지부분(P1)에서 사북점(P2)까지의 거리(α)보다, 파지부분(P1)에서 변경위치(P3)까지의 거리(β)가 더 길어지게 되므로 손가락의 운동성이 나빠져 필기할 때 힘이 많이 들어가고 자세가 불안정해져 장시간 필기시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β from the gripping portion P1 to the change position P3 is longer than the distance α from the gripping portion P1 to the north-south point P2, the movement of the fingers deteriorates, making it difficult to write.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force was applied and the posture was unstable, which made it easy to get tired when writing for a long time.

특히, 파지부분(P1)과 변경위치(P3) 사이의 거리(β)가 파지부분(P1)과 사북점(P2) 사이보다 거리(α)가 멀어지게 되면서 사용자는 필기구를 파지하려는 자세가 변형되게 됨과 동시에 필기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담이 가해져 피로가 쉽게 쌓이게 된다.In particular, as the distance β between the gripping portion P1 and the change position P3 becomes greater than the distance α between the gripping portion P1 and the north-south point P2, the user’s posture to grip the writing instrument is deforme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to prevent the writing instrument from slipping is applied, and fatigue easily accumulates.

또한 이러한 피로감이 발생됨과 동시에 좋은 필기자세를 유지할 수 없어 필체가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such a feeling of fatigue occurs and the handwriting deteriorates because a good writing posture cannot be maintained at the same tim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5870호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5870 "Writing aid for infan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구를 파지하였을 때 필기구를 잡는 지점과 필기구가 손에 닿아 지지되어 사북역할을 하는 사북점과의 거리를 줄여 필기구를 잡는 손가락의 운동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필기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fingers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and the sabuk point, which is supported by the hand and is supported by the hand. It is to provide a writing aid that makes it possibl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필기구를 사용할 때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시킴으로써 필기시 발생하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필기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ting aid capable of correcting a posture of holding a writing instrument and reducing fatigue caused during writing by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hen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할 때 발생되는 저항력에 따라 사북점에 전달되는 힘을 감소 및 흡수시켜 필기구가 움직이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필기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ting aid capable of reducing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writing implement by reducing and absorbing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north-south point according to the resistance generated when writing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는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필기구의 일단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필기구의 타단을 거치시켜 사북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rit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formed so that an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and one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radle to be kept constant.

또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의 상기 몸체는 일부면이 절개된 C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검지 손가락의 크기에 따라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of the writ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shape with a part cut off and has elasticity, so that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ex finger.

또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는 상기 거치부의 상부 일단에서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필기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돌출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rit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to the outside and preventing the writing instrument mounted in the holder from being separated.

또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의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기구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기구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거치부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단과,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필기구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upport end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inserted into the holder or protruded outward according to a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support end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pport end to attenuate the load transmitted by the writing instrument.

또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의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기구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기구가 접촉되는 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유회전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ller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to rotate freely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또한 본 고안의 필기 보조기구의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홈이 파여진 레일과,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단을 통해 상기 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송되어 필기구가 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rit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ai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grooved inward, and a coupling end formed in the holder and protruding outwardl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ail, The mounting portion may be vertically slid and transferred along the rail through the coupling end so that a position at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mounted can be adjus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에 의하면, 필기구를 파지하였을 때 필기구를 잡는 지점과 필기구가 손에 닿아 지지되어 사북역할을 하는 사북점과의 거리를 줄여 필기구를 잡는 손가락의 운동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the movement of the finger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is improved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and the north point where the writing instrument is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han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에 의하면,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필기구를 사용할 때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시킴으로써 필기시 발생하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ture of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and to maintain the writing instrument in a stable posture when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thereby reducing fatigue caused during writing.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에 의하면,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할 때 발생되는 저항력에 따라 사북점에 전달되는 힘을 감소 및 흡수시켜 필기구가 움직이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writing instrument can be reduced by reducing and absorbing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our north points according to the resistance generated when writing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도 1은 종래의 필기구 파지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를 이용한 파지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기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돌출단이 형성되고, 몸체에 절개면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 위치를 변경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 위치가 변경되어 파지부분과 사북점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지지단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돌출단과 지지단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롤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돌출단과 롤러가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지지단과 롤러가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에 지지단, 롤러, 돌출단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 및 돌출단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롤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롤러 및 돌출단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 및 롤러가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가 몸체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 롤러, 돌출단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ripping operation of a writing instru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ipping operation using a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asic shape of a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ruding end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utaway surface is formed in the body;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art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art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ing part and the four north points;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end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ruding end and a supporting end are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ller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ruding end and a roller are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mounting part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end and a roller are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mounting part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end, a roller, and a protruding end are simultaneously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and the support end is formed;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and the supporting end and the protruding end are formed at the same time;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and the roller is formed;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and the roller and the protruding end are formed at the same time;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and the support end and the roller are formed at the same time;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and a support end, a roller, and a protruding end are formed at the same time;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function and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은 필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를 파지하여 필기하는 과정에서 필기구가 쳐지면서 자세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기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ting aid for preventing the writing instrument from being sagged while taking notes while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를 이용한 파지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기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ipping operation using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basic shape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는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1)와, 몸체(1)의 일면 형성되며 사용자가 필기구(10)의 일단을 파지하였을 때 필기구(10)의 타단을 거치시켜 사북점(P2)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거치부(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 formed so that an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and one surface of the body 1 , and the user can use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lding part (2) for holding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so that the north-south point (P2) is constantly maintained when holding the .

몸체(1)는 링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몸체(1) 중앙에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는 도 1과 같이 검지 손가락의 세번째 마디까지 깊숙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body 1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1, and the body 1 is inserted deeply up to the third joint of the index finger as shown in FIG. 1 so that it can be fixed do.

또한 몸체(1)는 사람마다 검지 손가락의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몸체(1)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탄성력에 의해 검지 손가락에 밀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index finger of the body 1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so that the body 1 can be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dex finger by the elastic force when worn by the user.

거치부(2)는 몸체(1)의 일면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필기구(10)를 파지하여 필기할 때 필기구(10)를 거치시켜 사북점(P2)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holder 2 protrudes in a rectangular shape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1, and is used to hold the writing instrument 10 when writing by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10 so that the north-south point P2 is constantly maintained. do.

이때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필기구(10)의 일단을 파지하게 되면 필기구(10)의 타단은 거치부(2)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거치되게 되고, 이를 통해 필기구(10)의 타단이 걸쳐지는 사북점(P2)의 위치를 몸체(1)가 위치된 검지 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grips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with his thumb and index finger,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placed whil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2 , and through this,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crosses over.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four north points (P2) to the third joint of the index finger where the body (1) is located.

즉, 사용자가 필기할 때 사북점(P2)의 위치가 거치부(2)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필기할 때 발생되는 저항력이나 필기구(10)의 타단이 접촉된 부위의 미끄럼이 발생되면서 필기구(10)의 타단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four north point P2 is fixed by the holder 2 when the user writes, the resistance generated when writing as in the prior art or the sliding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from being changed.

따라서 거치부(2)를 통해 필기구(10)의 타단 위치가 항상 검지 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 부근의 사북점(P2)에 위치시킬 수 있어, 파지부분(P1)과 사북점(P2) 사이의 거리(α)가 짧아지고, 일정한 거리로 유지될 수 있어 필기구(10)를 잡는 손가락의 운동성이 좋아지므로 피로감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자세로 필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can always be located at the quadratic point P2 near the third joint of the index finger through the holding part 2,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ing part P1 and the quadratic point P2. (α) is shortened and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distan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inger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mproved, so that fatigue is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write in a stable posture.

또한 거치부(2)는 몸체(1)의 일면에 형성되게 되는데, 몸체(1)의 중심축과 거치부(2)의 중심축이 동일한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mounting portion 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 , and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1 and the central axis of the mounting unit 2 may protrude from the same posi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돌출단(3)이 형성되고, 몸체에 절개면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3 is formed i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ut-out surface is formed in the bod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는 거치부(2)의 상부 일단에서 외면으로 돌출되며 거치부(2)에 거치된 필기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돌출단(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2 to the outer surface and has a protruding end ( 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돌출단(3)은 필기구(10)가 거치부(2)의 상부면에 거치되었을 때 거치부(2)의 상부면을 따라 슬립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부(2)의 상부 일단에서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protruding end 3 is for preventing the writing instrument 10 from slipp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2 when i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2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 It protrudes outward from one end.

이때 돌출단(3)은 도 4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거치부(2)에 거치된 필기구(10)의 측면을 감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단(3)의 경사면을 원호 형태로 형성하여 필기구(10)가 접촉되었을 때 외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end 3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4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mounted on the holder 2 to prevent separation, and more preferabl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ding end 3 . may be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to wide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n contact.

또한 돌출단(3)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되며 사각형 형태로 돌출시킨 후 단순히 필기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지턱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end 3 does not have to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in a shape such as a sill that simply prevents the writing instrument 10 from being separated after protruding in a rectangular shap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상기 몸체(1)는 일부면이 절개된 C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검지 손가락의 크기에 따라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1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shape with a partially cut out surface and has elasticity, so that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ex finger.

도 3과 같은 링 형태의 경우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이 너무 큰 경우 착용은 가능하나 탄성력에 의한 압박감에 의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ing shape as shown in FIG. 3, although it has elasticity, it can be worn when the user's index finger is too large, but pain can be caused by the feeling of pressure due to the elastic forc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1)를 C자 형태로 일부면이 절개되도록 형성하며 검지 손가락을 삽입할 때 검지 손가락의 크기에 따라 절개된 부위가 벌어지면서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body 1 is formed so that some surfaces are incised in a C-shape, and when inserting the index finger, the size of the incision can be adjusted by opening the incis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ex finger, so that various users can use it. do.

또한 몸체(1)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후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검지 손가락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being opened by the elastic force, and it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몸체(1)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 손가락의 형태나 위치에 맞게 외형이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의 측면에는 필기구(10)가 검지 손가락의 세 번째 마디에 접촉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1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flexibly deformable while having elasticity, the body 1 may be formed to be deformable in appearance according to the shape or position of the index finger. ),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side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rd joint of the index finger.

또한 외형이 변형된 후 외력이 제거되거나 검지 손가락에서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초기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성 및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or separated from the index finger after the external shape is deformed,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initial shape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increasing usability and compatibility.

이후 후술하는 도면은 몸체(1)의 형상이 C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몸체(1)의 형상이 도 3과 같이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hape of the body 1 being formed in a C-shape, but the shape of the body 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s shown in FIG. 3 .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 위치를 변경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 위치가 변경되어 파지부분과 사북점 사이의 거리(α)를 감소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so that the holding part and the sabuk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α) between points is reduced.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는 필기구(10)를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파지부분(P1)으로부터 사북점(P2)의 위치가 가까워지도록 몸체(1)의 하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5 and 6 , i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our north point P2 from the grip portion P1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10 with the thumb and forefinge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1) to the side so as to be closer.

거치부(2)는 몸체(1)의 중심선을 X축과 Y축으로 나누었을 때, 거치부(2)는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X축으로부터 몸체(1)의 반지름 크기만큼 Y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When the center line of the body 1 is divided into the X-axis and the Y-axis, the mounting part 2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and from the X-axis to the radius of the body 1 It is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즉, 거치부(2)는 몸체(1)의 가장자리 사분점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부(2)가 형성된 사분점과 접촉되는 축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mounting portion 2 may be formed at any one of the edge quadrants of the body 1 , and is formed to protrude at right angles from the axis in contact with the quadrant where the mounting portion 2 is formed.

도 5에서 거치부(2)는 몸체(1)의 Y축과 접촉되는 사분점에 위치되어 있으며,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검지 손가락에 장착하게 되면 거치부(2)가 몸체(1)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In FIG. 5, the mounting part 2 is located at a quadrant in contact with the Y-axis of the body 1,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so when mounted on the index finger as shown in FIG. The part 2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 .

즉, 필기 보조기구를 검지 손가락에 장착하였을 때 거치부(2)가 몸체(1) 하부에 위치되면서 파지부분(P1)과 가까워질 수 있고, 필기구(10)의 타단을 지지하는 사북점(P2)의 위치가 파지부분(P1)과 가까워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writing aid is mounted on the index finger, the holding part 2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1 and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holding part P1, and the four north point P2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gripping portion P1.

이를 통해 파지부분(P1)과 사북점(P2) 사이의 거리(γ)가 도 2에 도시된 거리(α) 보다 더 짧아질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필기할 때 손가락의 운동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 필기를 하더라도 필기 자세가 유지되고 피로감도 감소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distance γ between the grip portion P1 and the north-north point P2 can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α shown in FIG.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writing posture and reduce fatigue even when writing for a long time.

또한 거치부(2)에 의해 필기구(10)의 타단이 지지되어 사북점(P2)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필기구(10)가 미끄러지면서 사북점(P2)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supported by the holding part 2 so that the north-south point P2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the position of the north-south point P2 is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as the writing instrument 10 slides. be able to do

또한 거치부(2)에는 돌출단(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기구(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돌출단(3)의 필기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필기구(10)의 외면을 감싸게 되므로 필기구(10)의 타단이 항상 거치부(2)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end 3 is formed in the holder 2,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0 of the protruding end 3 does not come off while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gripped. The other end of 10) can always be positioned in the mounting portion (2).

또한 몸체(1)는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절개면을 형성하여 몸체(1)가 착용되는 검지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벌어질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 may be configured in a ring shape, and if necessary, an incis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body 1 may be wide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dex finger on which the body 1 is worn, thereby increasing compatibility.

이때 절개면은 거치부(2)가 돌출되는 방향의 몸체(1) 일부분이 절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ut surface is preferably such that a portion of the body 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2 protrudes is cut.

도 7 내지 도 19에 기재된 몸체(1) 및 거치부(2)는 도 5에 기재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몸체(1)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절개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dy 1 and the mounting part 2 described in FIGS. 7 to 19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 5 , and the body 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or a cut surface may be formed.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지지단(8)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end 8 is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는 거치부(2)에 형성되어 필기구(10)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필기구(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따라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단(8)과, 거치부(2)와 지지단(8)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단(8)을 탄성지지하여 필기구(1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는 탄성부재(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cradle 2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and the holder 2 according to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 A load transmitted by the writing instrument 10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pport end 8, which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end 8,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r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the holder 2 and the support end 8.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7) for damping.

필기구(10)를 파지하여 필기할 때 종이와 접촉되는 저항력에 의해 필기구(10)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필기구(10)의 타단과 접촉되는 사북점(P2)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장시간 필기시 통증이 유발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gripped and written,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moved by the resistance force in contact with the paper. can be provoked

이를 위해 지지단(8)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기구(10)의 타단과 직접 접촉되어 필기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거치부(2)의 상부면은 내측으로 파여져 지지단(8)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support end 8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used to support the writing instrument 10 by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side.

거치부(2)에 삽입되는 지지단(8)은 필기구(10)와 접촉되는 상단이 거치부(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게 되며, 필기구(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따라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되어 필기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켜 손으로 전달되는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end 8 inserted into the holder 2 is formed with the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2 , and depending on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 It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part 2 to attenua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fatigue transmitted to the hand.

거치부(2) 내부에는 탄성부재(7)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7)의 하단은 거치부(2)와 결합되고 상단은 지지단(8)과 결합되어 있어 지지단(8)이 거치부(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단(8)을 통해 전달되는 필기구(10)의 하중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An elastic member 7 is formed inside the holding part 2, and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7 is coupled to the holding part 2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end 8, so that the supporting end 8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part 2 and to attenuate the loa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end 8 .

탄성부재(7)는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압축 및 복원이 용이한 메모리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단(8)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고 하중이 제거되면 지지단(8)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다.The elastic member 7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oil springs, may be formed using memory foam that is easy to compress and restore, and attenuates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end 8 and supports it when the load is removed. Any one capable of returning the stage 8 to its initial position may be used.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돌출단(3)과 지지단(8)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3 and the supporting end 8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는 지지단(8)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돌출단(3)이 형성되어 있어 필기구(10)의 외면이 지지단(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8 , a support end 8 is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truding end 3 is formed at one en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from the support end (8).

돌출단(3)의 구성 및 기능은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protruding end 3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3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롤러(6)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er 6 is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는 거치부(2)에 형성되어 필기구(10)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필기구(10)가 접촉되는 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유회전되는 롤러(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9 ,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mounting part 2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and is free to reduce friction on the surface on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10 comes into conta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roller (6).

롤러(6)는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하단은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상단 중앙에는 자유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필기구(10)와 직접 접촉되면서 필기구(10)가 움직일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된다.The roller 6 is formed in an n-shape, so that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holder 2 , and the upper center is formed to rotate freely. will decrease

이때 필기구(10)는 사용자가 필기할 때 종이와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해 필기구(10)가 움직이게 되는데, 롤러(6)가 자유 회전되면서 필기구(10)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고 필기할 때 발생하는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moved by the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user writes in contact with the paper, and the roller 6 rotates freely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0 can move naturally and is applied to the h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and reduce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occurs when taking notes.

또한 롤러(6)는 필기구(1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회전되지 않고 필기구(10)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접촉된 상태에서 필기구(10)가 롤러(6)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단을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필기구(10)가 접촉된 상태에서 필기구(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oller 6 does not rotate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does not move and has to support the writing instrument 10, the upper end of the roller 6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0 does not slip from the roller 6 while in contact.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prevented from slipping while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n contact.

따라서 롤러(6)는 필기구(10)가 접촉되었을 때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필기구(10)가 움직이면 필기구(10)의 접촉면을 따라 롤러(6)가 회전되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oller 6 can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n contact, and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moves, the roller 6 rotates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to reduce frictional force. there will be

또한 거치부(2)의 내부에는 롤러(6)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가 형성되어 있어 있을 수도 있으며, 탄성부재(7)는 롤러(6)의 하단과 거치부(2)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되며, 탄성부재(7)에 의해 롤러(6)는 필기구(10)의 하중에 따라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7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ller 6 may be form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2 , and the elastic member 7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oller 6 and the mounting portion 2 .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ixed, and by the elastic member 7 , the roller 6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er 2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거치부(2)가 탄성부재(7)에 의해 거치부(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게 되므로 필기할 때 발생되는 저항력에 의해 필기구(10)의 타단에 하중이 전달되게 되면 롤러(6)가 하중에 의해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되면서 하중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holding part 2 can be inserted or protruded into the holding part 2 by the elastic member 7, when the load is transferred to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by the resistance generated during writing, the roller ( 6)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2 by the load, so that the load can be attenuated.

이때 탄성부재(7)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재(7)는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하중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롤러(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7 is preferably formed of a coil spring, and the elastic member 7 is compressed by the transmitted load, and when the load is removed, the roller 6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do.

롤러(6) 및 탄성부재(7)에 의해 필기구(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운동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필기 중 발생하는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movement of the fingers is improved in a state in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gripped by the roller 6 and the elastic member 7, it is possible to reduce fatigue caused during writing.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돌출단(3)과 롤러(6)가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3 and the roller 6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는 돌출단(3)과 롤러(6)가 동시에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3)을 통해 롤러(6)에 거치된 필기구(10)가 거치부(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0 , a protruding end 3 and a roller 6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ttached to the roller 6 through the protruding end 3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ed writing instrumen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unit 2 .

돌출단(3)의 구성 및 기능은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protruding end 3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3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지지단(8)과 롤러(6)가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end 8 and the roller 6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는 거치부(2)에 형성되어 필기구(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따라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단(8)과, 거치부(2)와 지지단(8) 사이에 형성되며 지지단(8)을 탄성지지하여 필기구(1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는 탄성부재(7)와, 지지단(8)의 상부에 형성되어 필기구(10)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필기구(10)가 접촉되는 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유회전되는 롤러(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1 ,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holder 2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der 2 or protrude outward according to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 an elastic member (7) formed between the end (8), the mounting portion (2) and the supporting end (8)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pporting end (8) to attenuate the load transmitted by the writing instrument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oller 6 tha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tage 8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and freely rotates in order to reduce friction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

롤러(6)는 지지단(8)의 상부에 위치되어 필기구(10)가 접촉되어 움직일 때 자유회전되면서 필기구(10)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지지단(8)은 거치부(2)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부재(7)에 의해 하중을 감쇠시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roller 6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end 8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when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in contact and move, thereby reducing frictional force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and the support end 8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applied to the user's hand by attenuating the load by the elastic member 7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2 .

롤러(6), 지지단(8), 탄성부재(7)에 관한 설명은 도 7 및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롤러(6)가 지지단(8)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지지단(8)의 상부에 고정되고 지지단(8)의 승강에 따라 하중이 감쇠도록 형성된다.The description of the roller 6 , the supporting end 8 , and the elastic member 7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S. 7 and 9 , and when the roller 6 is formed on the supporting end 8 , the supporting end I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8) and is formed so that the load is attenuat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support end (8).

롤러(6), 지지단(8), 탄성부재(7)를 통해 필기구(10)와 접촉되는 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필기할 때 거치부(2)에 의해 발생되는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필기를 하더라도 손에 부하가 줄어들어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By reducing the friction forc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through the roller 6 , the support end 8 , and the elastic member 7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nse of heterogeneity generated by the holder 2 when writing, and for a long time. Even when taking notes, the load on the hand is reduced and fatigue can be reduced.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 지지단(8), 롤러(6), 돌출단(3)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end 8, the roller 6, and the protruding end 3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에는 롤러(6), 지지단(8), 탄성부재(7) 및 돌출단(3)이 동시에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3)을 통해 롤러(6)에 거치된 필기구(10)가 거치부(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12, a roller 6, a support end 8, an elastic member 7, and a protruding end 3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riting instrument 10 mounted on the roller 6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2 through the protruding end 3 .

돌출단(3)의 구성 및 기능은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protruding end 3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3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는 몸체(1)의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홈이 파여진 레일(4)과, 거치부(2)에 형성되며 레일(4)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8)을 더 포함하며, 거치부(2)는 결합단(8)을 통해 레일(4)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송되어 필기구(10)가 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3 ,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4 formed on one surface of a body 1 and grooved inward, and a rail 4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 .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end 8 protruding to the out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mounting part 2 is vertically slid along the rail 4 through the coupling end 8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moun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몸체(1)의 일면에는 거치부(2)가 결합될 수 있도록 T자 형태로 홈이 형성된 레일(4)이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부(2)는 레일(4)의 T자형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T자 형태로 돌출되는 결합단(8)이 마련되어 있다.A rail 4 having a T-shaped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2 can be coupled, and the mounting portion 2 is to be inserted into the T-shaped groove of the rail 4 . A coupling end 8 protruding in a T-shap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do so.

여기서 결합단(8)은 레일(4)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거치부(2)는 결합단(8)에 의해 레일(4)에 의해 구속되므로 레일(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coupling end 8 may be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rail 4 , and the mounting portion 2 is constrained by the rail 4 by the coupling end 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4 . It can be transported vertically along the

거치부(2)가 레일(4)을 따라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게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필기구(10)의 타단이 거치되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필기자세 또는 교정자세에 맞춰 거치부(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holder 2 can be moved vertically along the rail 4, the position at whic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is mount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 holder 2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writing posture or corrective posture. The position of (2) can be adjusted.

레일(4)과 결합단(8)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5)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 내측면에서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레일(4)과 결합단(8)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fastening means can be inserted are formed in the rail 4 and the coupling end 8, and the rail 4 by inserting the fastening mean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 and the coupling end 8 can be coupled.

여기서 체결수단은 볼트, 피스, 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트 또는 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홀(5)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산에 의해 결합단(8)과 레일(4)이 결합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fasten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bolt, a piece, and a pin. When a bolt or a piece is used,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5, and the coupling end 8 and the rail 4 are connected by the screw thread. can be combined.

또한 몸체(1)에 형성된 체결홀(5)의 경우 볼트 또는 피스 머리가 몸체(1) 내부에 파묻힐 수 있도록 검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몸체(1) 내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홀(5)의 지름은 크게 형성되고, 레일(4)이 형성된 부위의 지름은 작게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astening hole 5 formed in the body 1,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 into which the index finger is inserted so that the bolt or piece head can be buried inside the body 1 is formed to be large, and the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rail 4 is formed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

핀을 이용하는 경우 거치부(2)의 위치를 조절한 후 핀을 삽입하여 레일(4)과 결합단(8)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몸체(1)의 내측면에 체결홀(5)을 밀봉시키는 커버(도시되지 않음)삽입하여 핀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a pin,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art 2, insert the pin to fix the position of the rail 4 and the coupling end 8, and to seal the fastening hole 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cover (not shown) to prevent the pin from being ejected.

체결수단에 의해 거치부(2)의 위치가 고정되면 거치부(2)는 몸체(1)의 상부 또는 하부 방면으로 이송된 위치에서 필기구(10)의 타단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holder 2 is fixed by the fastening means, the holder 2 can mount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at the position transferred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body 1 .

또한 거치부(2)에는 돌출단(3)이 형성되어 있어 필기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end 3 is formed on the holder 2 , the writing instrument 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8)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8) 및 돌출단(3)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and the support end 8 is formed, and FIG. 15 is a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2 of the instrument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and the support end 8 and the protruding end 3 are formed at the same time.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는 레일(4)과 결합단(8)을 이용하여 몸체(1)로부터 승강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거치부(2)에는 지지단(8) 및 탄성부재(7)가 형성되어 있어 필기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14 and 15 , the mounting part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from the body 1 using the rail 4 and the coupling end 8 to change the position. The support end 8 and the elastic member 7 ar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 to attenua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

또한 돌출단(3)을 통해 지지단(8)에 거치된 필기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riting instrument 10 mounted on the support end 8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protruding end 3 .

결합단(8), 레일(4), 지지단(8), 탄성부재(7), 돌출단(3)에 대한 설명은 도 4, 도 8, 도 13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end 8, the rail 4, the support end 8, the elastic member 7, and the protruding end 3 will be omitted since they have been mentioned in FIGS. 4, 8, and 13.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롤러(6)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롤러(6) 및 돌출단(3)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and the roller 6 is formed, and FIG. 17 is a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2 of the body 1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and the roller 6 and the protruding end 3 are formed at the same time.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는 레일(4)과 결합단(8)을 이용하여 몸체(1)로부터 승강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거치부(2)에는 롤러(6) 및 탄성부재(7)가 형성되어 있어 필기구(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고, 필기구(10)와 접촉되는 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mounting part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from the body 1 using the rail 4 and the coupling end 8 to change the position. A roller 6 and an elastic member 7 ar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 to attenua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10 an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 there will be

또한 돌출단(3)을 통해 롤러(6)에 접촉된 필기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riting instrument 1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6 through the protruding end 3 from being separated.

결합단(8), 레일(4), 롤러(6), 탄성부재(7), 돌출단(3)에 대한 설명은 도 4, 도 9, 도 13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end 8, the rail 4, the roller 6, the elastic member 7, and the protruding end 3 will be omitted since they have been mentioned in FIGS. 4, 9 and 13.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8) 및 롤러(6)가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가 몸체(1)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단(8), 롤러(6), 돌출단(3)이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and the support end 8 and the roller 6 are formed at the same time, and FIG. 19 is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lifted from the body 1 and the support end 8, the roller 6, and the protruding end 3 are formed at the same time.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의 거치부(2)는 거치부(2)는 레일(4)과 결합단(8)을 이용하여 몸체(1)로부터 승강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거치부(2)에는 지지단(8)과 탄성부재(7)가 형성되어 있어 필기구(10)의 하중을 감쇠시키고, 지지단(8)의 상부에는 롤러(6)가 고정되어 있어 필기구(10)와 접촉되는 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18 and 19 , the holder 2 of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body 1 using a rail 4 and a coupling end 8 . A support end 8 and an elastic member 7 ar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 to attenuate the load of the writing instrument 10, and a roller is provided on the support end 8 Since (6) is fix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riting instrument (10).

또한 돌출단(3)을 통해 롤러(6)에 접촉된 필기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riting instrument 1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6 through the protruding end 3 from being separated.

결합단(8), 레일(4), 지지단(8), 탄성부재(7), 롤러(6), 돌출단(3)에 대한 설명은 도 4, 도 11, 도 13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end 8, the rail 4, the supporting end 8, the elastic member 7, the roller 6, and the protruding end 3 is omitted since it has been mentioned in FIGS. 4, 11 and 13. do it wi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 보조기구에 의하면, 필기구를 파지하였을 때 필기구를 잡는 지점과 필기구가 손에 닿아 지지되어 사북역할을 하는 사북점과의 거리를 줄여 필기구를 잡는 손가락의 운동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필기구를 잡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필기구를 사용할 때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시킴으로써 필기시 발생하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기할 때 발생되는 저항력에 따라 사북점에 전달되는 힘을 감소 및 흡수시켜 필기구가 움직이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rit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the movement of the finger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is improved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gripped and the north point where the writing instrument is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h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and correct the posture of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and by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hen using the writing instrument, fatigue caused during writing can be reduced. By reducing and absorbing the for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writing instrument can be reduc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examples of many such modifications.

P1 : 파지부분
P2 : 사북점
P3 : 변경위치
1 : 몸체
2 : 거치부
3 : 돌출단
4 : 레일
5 : 체결홀
6 : 롤러
7 : 탄성부재
8 : 지지단
9 : 결합단
10 : 필기구
P1: Gripping part
P2 : Sabuk
P3 : change position
1: body
2: Mounting part
3: protrusion
4: rail
5: fastening hole
6: roller
7: elastic member
8 : support
9: bonding end
10: writing instrument

Claims (6)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 형성되며 사용자가 필기구의 일단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필기구의 타단을 거치시켜 사북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기구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기구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거치부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단과;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필기구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쇠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보조기구.
a body formed so that the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and a hold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hold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when the user grips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so that the four north points are kept constant;
a support end formed in the holder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support end being inserted into the holder portion or protruding outward according to a load transmitted from the writing instrument;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support en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 end to attenuate the load transmitted by the writing instrument.
writing ai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필기구를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파지부분으로부터 사북점의 위치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the sid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our-north point is closer from the grip part holding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umb and forefinger.
writing ai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부 일단에서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필기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돌출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truding e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radle to the outside and preventing the writing instrument mounted on the cradle from being separated.
writing aids.
삭제delete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 형성되며 사용자가 필기구의 일단을 파지하였을 때 상기 필기구의 타단을 거치시켜 사북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기구의 타단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기구가 접촉되는 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유회전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보조기구.
a body formed so that the index finger can be inserted;
and a hold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hold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when the user grips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so that the four north points are kept constant;
and a roller which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freely rotates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riting instrument.
writing ai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홈이 파여진 레일과;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결합단을 통해 상기 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송되어 필기구가 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rai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grooved inward;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end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ail;
The mounting portion is vertically slide-transferred along the rail through the coupling end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is mounted can be adjusted.
writing aids.



KR2020210002476U 2021-08-09 2021-08-09 writing supporter KR2004957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476U KR200495787Y1 (en) 2021-08-09 2021-08-09 writing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476U KR200495787Y1 (en) 2021-08-09 2021-08-09 writing sup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87Y1 true KR200495787Y1 (en) 2022-08-18

Family

ID=8306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476U KR200495787Y1 (en) 2021-08-09 2021-08-09 writing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87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701A (en) * 1998-04-08 1999-11-05 유성원 Writing instrument fastening holder
JP2001071688A (en) * 1999-08-31 2001-03-21 Toshiko Inmiya Pen projection as writing aid
KR200345870Y1 (en) 2003-12-17 2004-03-22 김남도 Writing aid apparatus for children
US20080205966A1 (en) * 2007-02-27 2008-08-28 Harris William H Writing aid device and method
KR20110117774A (en) * 2010-04-22 2011-10-28 송주환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701A (en) * 1998-04-08 1999-11-05 유성원 Writing instrument fastening holder
JP2001071688A (en) * 1999-08-31 2001-03-21 Toshiko Inmiya Pen projection as writing aid
KR200345870Y1 (en) 2003-12-17 2004-03-22 김남도 Writing aid apparatus for children
US20080205966A1 (en) * 2007-02-27 2008-08-28 Harris William H Writing aid device and method
KR20110117774A (en) * 2010-04-22 2011-10-28 송주환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553A (en) Writing aid
KR200495787Y1 (en) writing supporter
KR20170121440A (en) Finger pen
US2847892A (en) Bumper or cushion for the finger rest of musical instruments
US4763556A (en) Flute instrument digit rest and spacer
US7371026B2 (en) Device for teaching proper penmanship technique
JP3151079U (en) Gripping posture correction pen
CN209851890U (en) Pen holder
US4991985A (en) Multifunctional handle for writing implement
US5549405A (en) Heel-shaped ergonomic writing instrument
KR100710979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writing body posture
KR20040076475A (en) Compensator that grib a pen
US780599A (en) Penholder attachment.
KR101863576B1 (en) Apparatus for writing handle inducing correct posture
KR102514127B1 (en) Apparatus for handwriting letter correction
US1603728A (en) Attachment for writing instruments
KR20240015535A (en) A brace for writing instruments that supports the thumb while writing and has elasticity
KR100841943B1 (en) The device for right grip of writing tools
CN214355138U (en) Pen holder
KR101977870B1 (en) Auxiliary correction device for holding a writing article correctly
KR930001519Y1 (en) Pencil holder
US20060263142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resilient end
JPH09216490A (en) Cap fixing implement
JP3195104U (en) Brush straightening instrument
CN216393743U (en) Chopsticks for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