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67Y1 - Function bath basket - Google Patents

Function bath bas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67Y1
KR200495767Y1 KR2020210000651U KR20210000651U KR200495767Y1 KR 200495767 Y1 KR200495767 Y1 KR 200495767Y1 KR 2020210000651 U KR2020210000651 U KR 2020210000651U KR 20210000651 U KR20210000651 U KR 20210000651U KR 200495767 Y1 KR200495767 Y1 KR 200495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unit
bath
baske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아
Original Assignee
이종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아 filed Critical 이종아
Priority to KR2020210000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6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2Detachable handles; 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기능성 목욕 바구니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기능성 목욕 바구니는, 목욕용품을 담는 바구니 본체와, 상기 바구니 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a design about a functional bath basket. The functional bath bas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ket body for storing bath product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having at least one handle provided on the basket body,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for re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is provided.

Description

기능성 목욕 바구니{FUNCTION BATH BASKET}Functional bath basket {FUNCTION BATH BASKET}

본 고안은, 기능성 목욕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목욕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ath bas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bath basket capable of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by adding functiona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일반 대중 목욕탕을 갈 때 필요한 물품 들을 휴대하기 위한 목욕용 가방은, 종래 일반적인 소규모 가방을 이용하였으나 목욕 용품의 특성상 목욕탕 내에서 물과의 접촉이 필연적인 바, 물이 묻은 물품을 가방 내에 수용함에 따라 가방이 젖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물이 묻은 물품을 개별적으로 닦아 물기를 제거한 후 수용하거나 비닐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감싼 후 가방 내에 수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사용이 불편할뿐 아니나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As a bath bag for carrying items necessary when going to a public bath, a conventional small bag is us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bath products, contact with water is inevitable in the bathroom, and as the item soaked in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bag, the bag This problem of getting wet occurred, and as a result, items soaked in water were individually wiped off to remove moisture, or the items were wrapped with plastic and then stored in a bag. could not b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목욕용 가방에서뿐만 아니라 수영장에 갈 때 사용하게 되는 가방과 같이 물과 접촉되는 물품을 수납해야 하는 가방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The above problems are common problems not only in the bath bag, but also in the bag that needs to store the item in contact with water, such as a bag used when going to the swimming pool.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방 몸체부의 내부에 방수 코팅층을 구비하거나 방수 재질로 가방 몸체부를 만들기도 하였는 바, 이는 상기와 같이 가방 내에 물이 묻은 물품을 수납하더라도 물이 새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가방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가방 내가 습해져 냄새가 발생하며, 가방 내부가 세균의 온상이 되는 등 비 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aterproof coating lay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ag body portion or the bag body portion is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water does not leak even when an item soaked in water is stored in the bag as described above. , The inside of the bag is moistened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g, causing an odor, and causing unhygienic problems such as the inside of the bag becoming a breeding ground for bacteria.

따라서, 상기의 가방 내 배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플라스틱 등의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망 구조의 바구니를 사용하게 되었는 바, 망 구조의 가방 몸체부에 의해 가방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이 자연적으로 외부로 빠지게 되어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가방 몸체부의 내부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물품들을 가지런히 정렬시킨 상태로의 보관이 어렵고, 망 구조에 의해 내부의 물건들이 비춰지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rainage in the bag, a mesh basket made of hard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wa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drain, but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of the bag consists of one space, so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items in a neatly arranged state, and the internal objects are reflected by the mesh structure, so there are disadvantages in terms of aesthetics. .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구조의 목욕 가방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일체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손잡이(11B)가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하단 테두리부 내측으로 고정 결합되며 다수개의 배수구(h)가 관통 형성된 바닥면(12)과; 몸체부(11)의 하단 테두리부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상태로 몸체부(11) 하단 테두리부를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3)로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ath bag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has been proposed. It has an integral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rticle, the opening (11A) is formed on one side, the body portion (11) is formed to protrude the handle (11B)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a bottom surface 12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body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h) formed therethrough; It consists of a cover 13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body 11 in a state where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dge of the body 11 .

상기 가방은, 하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3)의 내부에 다수개의 배수구(h)가 관통 형성된 바닥면(12)이 구비됨으로써, 가방 내에 수용된 물을 빼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13)를 열어 물이 배수구(h)를 통하여 가방의 하부로 빠지도록 하며, 보관시에는 덮개(13)를 밀폐시켜 가방 내의 물이 밖으로 배수되지 못하도록 하여 그 배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bag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12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h) are formed inside the cover 13 that is openly and clos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so that when you want to dra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g, the cover 13 is opened so that the water falls into the lower part of the bag through the drain hole (h), and when stored, the cover 13 is closed to prevent the water in the bag from being drained out, so that drainage is easy.

그러나, 가방의 내부공간이 하나의 독립된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물품들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특히 속옷이나 수건과 같이 물에 젖지 않아야 하는 물건들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휴대 중 물품들이 흔들려 쓰러지거나 썩여 깔끔한 정돈이 힘든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bag forms an independent space, it is not possible to store items separately, and in particular, it is impossible to separately store items that should not be wet, such as underwear or towels.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rotten and difficult to clean neatly.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가방의 경우에는 그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방의 내부를 건조한 후 다음 사용시까지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게 되는데, 사용 빈도보다 보관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bag as described above, the frequency of use is not high, and when not in use, the inside of the bag is dried and stored in a separate space until the next us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up more storage space than the frequency of use .

이에, 이러한 단점에서 벗어나 바구니 형태의 목욕 바구니, 즉 도 2와 같은 형태의 목욕 바구니(2)가 제안된 바 있으며, 도 1의 가방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Accordingly, a bath basket in the form of a basket, that is, the bath basket 2 of the form shown in FIG. 2 , has been proposed out of these disadvantages, and it is a trend that is widely used together with the bag of FIG. 1 .

다만, 도 2의 목욕 바구니(2) 혹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목욕 바구니(2)는 단지 박스 형태의 본체 구조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기능성이 약해 사용이 기피되고 있음을 고려해볼 때, 기능성이 강화된 목욕 바구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However, considering that the bath basket 2 of FIG. 2 or the bath basket 2 of a similar form provides only a box-shaped body structure, and is avoided due to its weak functionality, the functionality is enhanced. A need arises for a bath basket.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21851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2010-012185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1718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20-2004-0011718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3472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20-2011-0003472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8450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20-2011-0008450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목욕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bath basket capable of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by adding functiona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상기 목적은, 목욕용품을 담는 바구니 본체와, 상기 바구니 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욕 바구니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ncludes a basket body for storing bath product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having at least one handle provided on the basket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are mutually detachable It is achieved by a functional bath bask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to be coupled.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제1 단위 바구니와 상기 제2 단위 바구니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 및 상기 제1 단위 바구니와 상기 제2 단위 바구니 중 다른 하나의 측벽에 마련되되 상기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 개의 돌기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on a sidewall of any one of the first unit basket and the second unit basket;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grooves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other of the first unit basket and the second unit basket and to which the protrusions are detachably coupled.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의 바구니 본체에는 물빠짐을 위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의 바구니 본체에는 타월을 거치하는 타월 거치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raining water may be formed in the basket body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and a towel holder groove portion for holding towels may be formed in the basket body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가 접하는 벽체에는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슬라이딩 격벽이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 격벽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레일 블록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의 벽체에는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liding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 a wall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to enable sliding assembly, and a sliding rail block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liding partition wall, and a rail groove is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can be formed.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adding functiona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목욕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목욕 바구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단위 바구니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단위 바구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에 적용되는 단위 바구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bath ba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bath baske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FIG. 4 from another angle.
FIG. 6 is a side view of FIG. 4 ;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
9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of the first unit basket;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basket;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sket applied to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2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it.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in some cases.

(제1 실시예)(Example 1)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Figure 4 from another angle,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4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100)는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bath bas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adding functiona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100)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를 포함하되 이들이 필요에 따라 결합해서 한 몸체를 이룰 수 있게끔 한다.Functional bath bas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but they are combined as needed to form one body.

참고로, 도면에는 2개의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가 개시되고 이들이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단위 바구니를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For reference, although the two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are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combined, three or more unit baskets may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는 착탈 결합부(140)의 세부 구조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have the same structure except fo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

이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 모두는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와,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113,123)를 포함한다.Looking at this, both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ar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and first and second handles 113 and 123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includes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는 목욕용품을 담을 수 있게 박스(box)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질기면서도 가벼운 특징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form a box structure to contain bath products.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refor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both tough and light.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는 물빠짐을 위한 복수 개의 제1 및 제2 통공(112,122)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통공(112,122)은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의 측면과 하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112 and 122 for draining water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112 and 122 may be formed in both sides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

그리고,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의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는 타월을 거치하는 제1 및 제2 타월 거치홈부(114,124)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타월 거치홈부(114,124)에 타월을 거치함으로써 타월의 물기를 쉽게 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towel mounting grooves 114 and 124 for holding towel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oisture of the towel can be easily removed by holding the towel in the first and second towel holder grooves 114 and 124 .

제1 및 제2 손잡이(113,123)는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를 들거나 팔목에 걸 때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113,123) 역시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적용될 수 있지만, 비닐 등의 가벼운 재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13 and 123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 and may be used when lifting or hanging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on a wrist.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13 and 123 may also be applied with a soft silicone material, but may be replaced with a light material such as vinyl.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한편, 도 4 내지 도 6처럼 개별적으로 제작된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를 도 3처럼 결합해서 사옹하기 위해,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에는 착탈 결합부(140)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se the separately manufactured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S. 4 to 6 ,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have a detachable coupling part 140 will be prepared

착탈 결합부(140)는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110,120)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The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serves to detachably couple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110 and 120 to each other as needed.

이러한 착탈 결합부(140)는 제1 단위 바구니(110)와 제2 단위 바구니(120)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141)와, 제1 단위 바구니(110)와 제2 단위 바구니(120) 중 다른 하나의 측벽에 마련되되 돌기부(14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 개의 돌기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1 provided on one sidewall of the first unit basket 110 and the second unit basket 120 , the first unit basket 110 and the second unit basket. It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other one of the baske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 grooves 142 to which the protrusion 141 is detachably coupled.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단위 바구니(120)에 돌기부(141)가 마련되고 제1 단위 바구니(110)에 돌기홈부(142)가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반대의 구조도 가능하다. 즉 제2 단위 바구니(120)에 돌기홈부(142)이, 제1 단위 바구니(110)에 돌기부(141)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141 is provided in the second unit basket 120 and the protrusion groove 142 is provided in the first unit basket 110 . However, the reverse structure is also possible. That is, the protrusion groove 142 in the second unit basket 120 and the protrusion 141 in the first unit basket 110 may be provided.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operates based o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adding functionality away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1 단위 바구니의 확대 분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and FIG. 9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of the first unit basket.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200) 역시,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210,220)를 포함하되 이들이 착탈 결합부(140)의 구조로 인해 필요에 따라 결합해서 한 몸체를 이룰 수 있게끔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bath bask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210 and 220, but these are combined as need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 to form one body.

그리고,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210,220)는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와,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113,123)와,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통공(112,122)과, 제1 및 제2 바구니 본체(111,121)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타월 거치홈부(114,124)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210 and 220 includ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first and second handles 113 and 123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112 and 122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and first and second towel mounting grooves 114 and 124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basket bodies 111 and 121, and their structures, functions, and rol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210,220) 모두에 슬라이딩 격벽(215,225)이 마련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sliding partition walls 215 and 225 are provided on both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210 and 220 .

슬라이딩 격벽(215,225)은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210,220)가 접하는 벽체에 마련된다. 슬라이딩 격벽(215,225)의 동작을 위하여 슬라이딩 격벽(215,225)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레일 블록(216,226)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210,220)의 벽체에는 레일홈(217,227)이 형성된다.The sliding partition walls 215 and 225 are provided on the wall where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210 and 220 are in contact. Fo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partition walls 215 and 225, sliding rail blocks 216 and 226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liding partition walls 215 and 225, and rail grooves 217 and 227 are formed in the walls of the corresponding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210 and 220. do.

본 실시예처럼 슬라이딩 격벽(215,225)이 적용되면 도 7처럼 슬라이딩 격벽(215,225)이 있는 상태로 기능성 목욕 바구니(200)를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슬라이딩 격벽(215,225)을 빼서 넓은 공간으로 기능성 목욕 바구니(200)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sliding partition walls 215 and 225 are applied as in this embodiment, the functional bath basket 200 can be used with the sliding partition walls 215 and 225 as shown in FIG. 200) may be used. Accordingly, convenience in use may be increas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and adding functionality.

(제3 실시예)(Example 3)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단위 바구니의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basket.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300) 역시, 복수 개의 단위 바구니(310)를 포함하되 이들이 착탈 결합부(340)의 구조로 인해 필요에 따라 결합해서 한 몸체를 이룰 수 있게끔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bath basket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askets 310, but these can be combined as need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340 to form a single body. let it be

본 실시예의 경우, 착탈 결합부(340)는 매입 자석(340)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모든 단위 바구니(310)의 구조는 동일하다. 즉 단위 바구니(310)는 바구니 본체(311)와, 바구니 본체(311)에 마련되는 손잡이(313)와, 바구니 본체(311)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통공(312)과, 바구니 본체(311)에 마련되는 타월 거치홈부(314)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340 is provided as an embedded magnet 340 .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all the unit baskets 310 is the same. That is, the unit basket 310 includes a basket body 311 , a handle 313 provided in the basket body 311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2 provided in the basket body 311 , and the basket body 311 . It includes a towel holder groove 314 provided.

그리고, 바구니 본체(311)의 측벽에는 슬라이딩 격벽(315)이 마련된다. 슬라이딩 격벽(315)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레일 블록(316)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단위 바구니(310)의 벽체에는 레일홈(317)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ding partition wall 315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basket body 311 . A sliding rail block 316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liding bulkhead 315 , and a rail groove 317 is formed in the wall of the unit basket 310 corresponding thereto.

한편, 이에 더해서 본 실시예의 경우, 손잡이(313)가 착탈식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스윙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handle 313 is provided in a detachable manner.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wing and connecting and using it as needed.

본 실시예처럼 손잡이(313)가 착탈식으로 마련되면, 손잡이(313)를 목욕 의자 중앙 구멍(hole)에 끼워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If the handle 313 is provided in a detachable mann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313 can be inserted into a hole in the center of the bath chair to be us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convenience in use may be greatly increased.

손잡이(313)의 착탈을 위해 손잡이(313)의 단부에는 착탈식 바(313a)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는 바구니 본체(311)에는 바 결합홀(311a)이 형성된다. 물론, 착탈식 바(313a)가 잘 빠지지 않게 착탈식 바(313a)에 후크 구조가 적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A removable bar 313a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handle 313 for detachment of the handle 313, and a bar coupling hole 311a is formed in the basket body 311 corresponding thereto. Of course, it may be preferable that a hook structure is applied to the removable bar 313a so that the removable bar 313a does not come off easily.

본 실시예처럼 손잡이(313)가 착탈식으로 마련되면 손잡이(313)를 원하는 것만큼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손잡이(313)에 다른 물건을 걸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다.If the handle 313 is provided in a detachable manner as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313 can be used as much as desired, or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in that other objects can be hung on the handle 313. .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and adding functionality.

(제4 실시예)(Example 4)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욕 바구니에 적용되는 단위 바구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sket applied to a functional bath bas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2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단위 바구니(410)는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즉 단위 바구니(410)는 바구니 본체(311)와, 바구니 본체(311)에 마련되는 손잡이(313)와, 바구니 본체(311)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통공(312)과, 바구니 본체(311)에 마련되는 타월 거치홈부(3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unit basket 41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That is, the unit basket 410 includes a basket body 311 , a handle 313 provided in the basket body 311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2 provided in the basket body 311 , and the basket body 311 . It includes a towel holder groove 314 provided.

또한, 착탈 결합부(340)는 매입 자석(340)으로 마련되고, 슬라이딩 격벽(315)이 마련되는 것 역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340 is provided with the embedded magnet 340 , and the sliding partition wall 315 is provided as in the third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단위 바구니(410)에는 위의 구성들에 더해서 방수용 물품 보관함(450)이 더 갖춰진다.On the other hand, the unit basket 410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waterproof article storage box 450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방수용 물품 보관함(450)은 바구니 본체(311) 내의 코너 영역에 고정되는 보관함 본체(451)와, 보관함 본체(451)를 개폐하는 덮개(452)를 포함한다. 덮개(452)의 내부에는 보관함 본체(451) 내에 끼워져 밀봉되는 끼움 밀봉부(453)가 마련되며, 외부에는 손잡이 고리(454)가 마련된다.The waterproofing article storage box 450 includes a storage box body 451 fixed to a corner area within the basket body 311 , and a cover 45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box body 451 . The inside of the cover 452 is provided with a fitting sealing portion 453 that is fitted and sealed in the storage box body 451, and a handle ring 454 is provided on the outside.

이러한 방수용 물품 보관함(450)이 더 갖춰질 경우, 목욕용품이나 혹은 소지품 중에서 물에 젖지 말아야 하거나 혹은 젖더라도 물에 잠긴 상태로 보관해서는 안 되는 간단한 목욕용품이나 혹은 소지품을 보관한 상태로 목욕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If such a waterproofing storage box 450 is further provided, you can take a bath with simple bath products or belongings that should not be wetted with water, or should not be kept submerged in water even if wet, among bath products or belongings. It can be effective in that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 단조로운 박스(box) 구조에서 벗어나 기능성이 부가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monotonous box structure and adding functionality.

이처럼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기능성 목욕 바구니 110 : 제1 단위 바구니
111 : 제1 바구니 본체 112 : 제1 통공
113 : 제1 손잡이 114 : 제1 타월 거치홈부
120 : 제2 단위 바구니 121 : 제2 바구니 본체
122 : 제2 통공 123 : 제2 손잡이
124 : 제2 타월 거치홈부 140 : 착탈 결합부
141 : 돌기부 142 : 돌기홈부
100: functional bath basket 110: first unit basket
111: first basket body 112: first through hole
113: first handle 114: first towel holder groove portion
120: second unit basket 121: second basket body
122: second through hole 123: second handle
124: second towel holder groove 140: detachable coupling part
141: protrusion 142: protrusion groove

Claims (4)

목욕용품을 담는 바구니 본체와, 상기 바구니 본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의 바구니 본체에는 물빠짐을 위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월을 거치하는 타월 거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가 접하는 벽체에는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슬라이딩 격벽이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딩 격벽의 단부에는 슬라이딩 레일 블록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바구니의 벽체에는 레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욕 바구니.
It includes a basket body for holding bath product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having at least one handle provided on the basket body,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coupling portion for re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raining water are formed in the basket body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and a towel holder groove for holding towels is formed,
A sliding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 a wall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to enable sliding assembly, and a sliding rail block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liding partition wall, and a rail groove is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baskets. Functional bath basket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결합부는,
상기 제1 단위 바구니와 상기 제2 단위 바구니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 및
상기 제1 단위 바구니와 상기 제2 단위 바구니 중 다른 하나의 측벽에 마련되되 상기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 개의 돌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욕 바구니.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on a sidewall of any one of the first unit basket and the second unit basket; and
Functional bath bask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other one of the first unit basket and the second unit basket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 grooves to which the protrusions are detachably coup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10000651U 2021-03-02 2021-03-02 Function bath basket KR2004957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51U KR200495767Y1 (en) 2021-03-02 2021-03-02 Function bath bas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51U KR200495767Y1 (en) 2021-03-02 2021-03-02 Function bath bas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67Y1 true KR200495767Y1 (en) 2022-08-12

Family

ID=8280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51U KR200495767Y1 (en) 2021-03-02 2021-03-02 Function bath bas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67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95U (en) * 1995-07-03 1997-02-19 양인봉 Trash can
KR200386480Y1 (en) * 2005-03-15 2005-06-17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Container
KR200448738Y1 (en) * 2009-10-29 2010-05-12 주식회사 케이씨티 Basket for recycling materials
KR20100121851A (en) 2009-05-11 2010-11-19 함정식 Back pack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filling up fire fighting material in it
KR20110003472U (en) 2009-09-30 2011-04-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Occlusion balloon guiding catheter with an angled tip to occlude parent and branch vessels together
KR20110008450U (en)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아이레보 A Door Lock Device having Automatic Operating Deadbolt
KR20130002007U (en) * 2011-09-20 2013-03-28 이현주 Water support bath baske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95U (en) * 1995-07-03 1997-02-19 양인봉 Trash can
KR200386480Y1 (en) * 2005-03-15 2005-06-17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Container
KR20100121851A (en) 2009-05-11 2010-11-19 함정식 Back pack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filling up fire fighting material in it
KR20110003472U (en) 2009-09-30 2011-04-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Occlusion balloon guiding catheter with an angled tip to occlude parent and branch vessels together
KR200448738Y1 (en) * 2009-10-29 2010-05-12 주식회사 케이씨티 Basket for recycling materials
KR20110008450U (en)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아이레보 A Door Lock Device having Automatic Operating Deadbolt
KR20130002007U (en) * 2011-09-20 2013-03-28 이현주 Water support bath bas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767Y1 (en) Function bath basket
JP6054619B2 (en) Sink sink
WO2009088457A1 (en) Wall soap dish / soapbox combo
KR200356619Y1 (en) A bathing basket
KR20120128778A (en) Shelf for soap
KR200420010Y1 (en) cistern cover
KR200480361Y1 (en) Toolbox for washing
CN204683427U (en) A kind of Folding washbowl of multi-chamber
CN210383219U (en) Intelligent storage cabinet for office work
KR200333744Y1 (en) A bag
KR200358021Y1 (en) Bathtub
CN212325093U (en) Anti-splashing pet dog bathtub
KR200191268Y1 (en) Bath attected to property box
KR200360550Y1 (en) Cleaning outfit safekeeping utensil
KR101252298B1 (en) Hinge type's spoon basket of dish washer, and treating method of the same
KR200356861Y1 (en) Washbowl
JP2003111681A (en) Toilet with basin
KR200192281Y1 (en) Placement for washing-implements
KR20200087925A (en) portable dishwasher
KR200378520Y1 (en) wood washstand
JP3159001U (en) Cleaning tool storage
KR200320147Y1 (en) A bathtub having a space at the side of bath tub
KR200251143Y1 (en) Chinese boxes
KR200341410Y1 (en) a Set of supplies Case in Toilet
JP2000008437A (en) Cabinet with waterproof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