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86Y1 -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 Google Patents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86Y1
KR200495686Y1 KR2020220000151U KR20220000151U KR200495686Y1 KR 200495686 Y1 KR200495686 Y1 KR 200495686Y1 KR 2020220000151 U KR2020220000151 U KR 2020220000151U KR 20220000151 U KR20220000151 U KR 20220000151U KR 200495686 Y1 KR200495686 Y1 KR 200495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uid
discharge
water
bubb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1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문회
Original Assignee
김문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회 filed Critical 김문회
Priority to KR2020220000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8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7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space-saving features, e.g. retractable, demou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유입유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출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배출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전환하는 전환부; 하부에 전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 내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어 일반수가 배출되는 경우 버블수를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배출부의 단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되며 버블수가 배출되는 경우 일반수를 차단하는 제2차단부; 외부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자석부와 전기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부에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전환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환부는, 내부의 일측에 반원통 형상의 자성이 통하는 재질로 마련되어 유체를 버블수로 전환시키는 버블생성부와, 내부의 타측에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반수를 토출시키는 일반수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자석부에서 인력이 생성되면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1차단부에 상기 버블생성부가 밀착되며, 상기 전자석부에서 척력이 생성되는 수직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2차단부에 상기 일반수토출부가 밀착되고, 상기 버블생성부는, 상기 버블생성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감이 반복되게 하여 유체 내부에 미세기포가 발생되게 하는 버블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블생성모듈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측에 복수개의 미세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며 압력을 증가시키는 확대모듈과, 상기 확대모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확대모듈과 연결되고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며 압력을 감소시키는 제1버블발생모듈과, 하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버블발생모듈과 연결되는 테이퍼모듈과, 상기 테이퍼모듈의 하측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테이퍼모듈에 연결되고 발생된 미세 버블을 배출하는 제2버블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조절부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전장치가 벽면으로 밀착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고, 세탁기 등의 제품이 설치되는 경우 수전장치로 인한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nd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n inflow passage is formed therein, and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ssage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a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wealth; a discharge unit formed by being bent vertically on the oth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ssage; a control uni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 conversion unit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unit and converting the fl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to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a first blocking unit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unit at the lower portion and provided as a semi-circular barrier rib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to block bubble water when normal water is discharged; a second blocking part provided as a semi-circular barrier rib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and blocking normal water when bubbled water is discharged; a control unit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unit; and an LED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ispos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discharge unit to visually display the discharged fluid as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wherein the electromagnet unit is configured to switch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bubbl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that applies an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to the unit to move the converting unit vertically, and the converting unit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semi-cylindrical magnetism passes on one side of the inside and converts the fluid into bubble water; and a general water discharge unit provid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to discharge general water, and the conversion unit rises vertically when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unit, and the bubble generation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locking unit, the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from the electromagnet unit and descends vertically so that the general water discharge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locking unit,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formed in plurality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luid. and a bubble generating module that causes this to be repeated to generate microbubbles in the fluid,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odule has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microinlet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decreases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and increases the pressure a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module, connected to the expansion module,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and reducing pressure; A taper module provided in a shap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and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taper module, connected to the taper module,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microbubbles. Including a module, the length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art to the wall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adjusting part to the wall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 larger space is secured in a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and multi-purpose room where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nd when products such as a washing machine are installed,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본 고안은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고, 세탁기 등의 제품이 설치되는 경우 수전장치로 인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in which a larger space is secured in a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and multi-purpose room where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nd interference due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minimized when products such as washing machines are installed. It relates to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that can be

일반적으로 수전장치는 벽면 내부에 마련된 수도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장치로, 가정의 주방이나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의 수도공급관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ower receiving device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inside a wall, and is widely used by being installed in a water supply pipe such as a kitchen,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and utility room at home.

이러한 수전장치는 일반적으로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주방이나 욕실, 세탁실, 베란다 등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수전장치의 구조를 소형화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Such a power receiving device is generally formed to protrude from a wall surface by a certain length, and there is a need to miniaturize the structur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so a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paces such as a kitchen, bathroom, laundry, and veranda.

예를 들면, 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 세탁기가 설치되는 경우, 돌출된 수전장치의 간섭으로 인하여 세탁기의 크기에 따라 세탁기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설치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when a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in a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or multi-purpose room where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of the washing machine may be impossible or difficul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ashing machine due to interference of the protruding power receiv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structured stru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61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36159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전장치가 벽면으로 밀착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고, 세탁기 등의 제품이 설치되는 경우 수전장치로 인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since the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 wider space is secured in a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multi-purpose room, etc. where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in which interference due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minimized when products such as a washing machine and a washing machine are installed.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유입유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배출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전환하는 전환부와, 하부에 전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 내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어 일반수가 배출되는 경우 버블수를 차단하는 제1차단부와, 상기 배출부의 단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되며 버블수가 배출되는 경우 일반수를 차단하는 제2차단부와, 외부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자석부와 전기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부에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전환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환부는, 내부의 일측에 반원통 형상의 자성이 통하는 재질로 마련되어 유체를 버블수로 전환시키는 버블생성부와, 내부의 타측에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반수를 토출시키는 일반수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자석부에서 인력이 생성되면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1차단부에 상기 버블생성부가 밀착되며, 상기 전자석부에서 척력이 생성되는 수직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2차단부에 상기 일반수토출부가 밀착되고, 상기 버블생성부는, 상기 버블생성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감이 반복되게 하여 유체 내부에 미세기포가 발생되게 하는 버블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블생성모듈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측에 복수개의 미세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며 압력을 증가시키는 확대모듈과, 상기 확대모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확대모듈과 연결되고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며 압력을 감소시키는 제1버블발생모듈과, 하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버블발생모듈과 연결되는 테이퍼모듈과, 상기 테이퍼모듈의 하측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테이퍼모듈에 연결되고 발생된 미세 버블을 배출하는 제2버블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조절부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n inflow passage is formed therein, and an in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so that a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passage from the outside on one side, and the body; It is formed by being bent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unit, and a discharge unit having a discharge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th is formed, and a control unit form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unit,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fluid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to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an electromagnet un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semi-circular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ischarge unit When normal water is discharged, the first blocking unit blocks the bubble water, the second blocking unit is provided as a semi-circular bulkhea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and blocks the normal water when the bubble water is discharged, and external power is supplied.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unit and an LE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or the discharge unit to visually display the discharged fluid as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Including a display unit, wherein the electromagnet unit generates a magnetic force for applying an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to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vertically move the switch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has a semi-cylindrical magnetism on one side of the inside It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unit made of a communicating material to convert the fluid into bubble water, and a general water discharging unit provid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and discharging general water, wherein the conversion unit is vertical when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unit.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locking unit, descends vertically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from the electromagnet unit, and the general water discharge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locking unit,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bubble generating unit and a bubble generating module that is formed in plurality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gative portion to repeat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luid to generate microbubbles in the fluid,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odule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upper side A plurality of microinlet openings are formed in the magnification module, which reduces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and increases the pressure, an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module. A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pressure, a tapered module having a diameter decreasing as it goes downstream and connected to the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and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taper module and a second bubble generating module provided as a It can be achieved by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본체부는, 타측 상부에 상기 조절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have a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so that the adjusting part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a screwing manner.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각각 구분하는 격벽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조절부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may have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inflow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respectively, formed therein,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controlled by the adjusting unit.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par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또한, 상기 배출부는 단부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오링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may further include an O-ring part having an O-r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and fixed.

본 고안에 따르면, 수전장치가 벽면으로 밀착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고, 세탁기 등의 제품이 설치되는 경우 수전장치로 인한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 larger space is secured in a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and multi-purpose room where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nd when products such as a washing machine are installed,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조절부가 본체부의 타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므로, 수전장치의 유량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justing unit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rat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more easily adjust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배출부의 단부 외주면에 오링부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수전장치에 호스를 손쉽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ring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firmly connect the hose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조절부와 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부와,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와,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전환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버블수가 토출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일반수가 토출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n overall view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unit and a body unit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including a switching unit, a first blocking unit, a second blocking unit, and an electro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witching unit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operation of discharging bubble water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operation of discharging general water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n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조절부와 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환부와,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와,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전환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버블수가 토출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일반수가 토출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general view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It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djusting unit and the main body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witching unit, a first blocking unit, and a second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cutoff part and an electromagnet,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version part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 operation of discharging bubble water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FIG. 7 is an operation of discharging normal water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는 본체부(110)와, 배출부(120)와, 조절부(130)와, 전환부(140)와, 제1차단부(150)와, 제2차단부(160)와 제어부(170)와, 스위치(180)와, LED표시부(1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8 ,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10 , a discharge part 120 , and an adjustment part 130 . , a switching unit 140 , a first blocking unit 150 , a second blocking unit 160 , a control unit 170 , a switch 180 , and an LED display unit 190 .

본체부(110)는 내부에 유입유로(i)가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유로(i)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입유로(i)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벽면에 설치된다.The main body 110 has an inflow passage (i) formed therein, and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ssage (i)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fluid flows into the inflow passage (i) from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이 때, 본체부(110)는 유입유로(i)와 후술하는 배출유로(o)를 각각 구분하는 격벽이 내부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에는 후술하는 디스크부(134)가 안착되는 디스크시트(111)가 형성되며, 디스크시트(111)의 중앙부분에는 유입유로(i)로 유입된 유체를 후술하는 배출유로(o)로 통과시키는 관통공(p)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10 has a partition wall dividing each of the inflow passage (i) and the discharge passage (o)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herein. The disk seat 111 on which the disk part 134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i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p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 sheet 111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ssage i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체부(110)의 타측 상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절부(130)가 관통홀에 삽입된 후 밸브커버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 and after the adjustment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valve cover is screwed to be installed.

배출부(120)는 내부에 유입유로(i)와 연통되는 배출유로(o)가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110)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discharge unit 12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o)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ssage (i) therein, and is vertically ben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

상술한 배출부(120)의 구조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유로(i)로 유입된 유체는 후술하는 조절부(130)에 의해 관통공(p)이 개방되면 배출유로(o)로 유입된 후, 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unit 120 described abov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th (i) through the inlet of the body unit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p) by the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fter being introduced to (o),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20 .

한편, 배출부(120)의 중심축으로부터 벽면까지의 길이는, 후술하는 조절부(130)의 끝단부로부터 벽면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unit 120 to the wall surface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adjusting unit 130 to the wall surface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술한 배출부(120)는 본 고안의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와 호스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의 외경이 본체부(1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때, 배출부(120)의 단부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오링부(12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오링홈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unit 120 is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en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hos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an O-r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120 so that an O-ring part 121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fix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오링부(121)는 결합되는 호스를 고정하는 것으로, 오링홈에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O-ring part 121 is to fix the hose to be coupled, and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이러한 오링부(121)는 합성고무 재질로 마련되되, 수압이 증가하면 비틀림, 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온도, 마찰, 틈새 간격 등을 고려하여 이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ring part 121 is made of a synthetic rubber material, but if the water pressure increases, twisting and sliding may occur, so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it in consideration of pressure, temperature, friction, gap, etc. .

또한, 오링홈과 오링부(121)는 결합되는 호스를 보다 견고하게 파지하기 위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ing groove and the O-ring part 12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more firmly grip the combined hose.

이러한 배출부(120)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호스가 본 고안의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결합된 호스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harge unit 120, the hose is easily coupled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the miniaturiz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user, and the coupled hose is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조절부(130)는 배출유로(o)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본체부(110)의 타측 상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adjusting unit 130 is to adjust the amount of flui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 and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이러한 조절부(130)는 보다 상세하게, 핸들부(131)와, 축부(132)와, 승강부(133)와, 디스크부(134)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adjusting unit 130 includes a handle unit 131 , a shaft unit 132 , a lifting unit 133 , and a disk unit 134 .

핸들부(131)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십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The handle portion 131 is rot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after being gripped by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ross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provided to be rot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even if it is free

한편, 핸들부(131)의 끝단부로부터 벽면까지의 길이는, 상술한 배출부(120)의 중심축으로부터 벽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131 to the wall surfac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ortion 120 to the wall surface.

축부(132)는 핸들부(131)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승강부(133)에 전달하는 것으로, 본체부(11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축부(132)는 상단에 핸들부(131)가 결합되고 하단에 후술하는 디스크부(134)가 결합되며, 핸들부(131)와 디스크부(134) 사이에는 승강부(133)가 결합된다.The shaft portion 132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portion 131 to the lifting portion 133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 The shaft portion 132 has a handle portion 131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 disk portion 134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lower end, and an elevating portion 133 is coupl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131 and the disk portion 134 . .

승강부(133)는 축부(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축부(132)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나사결합된다.The lifting unit 133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shaft portion 132 so that the shaft portion 132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and is screwed into the body portion 110 .

디스크부(134)는 관통공(p)을 개폐하는 것으로, 축부(132)의 하단에 결합되며,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The disk part 134 opens and closes the through hole p,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rt 132,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보다 상세하게, 디스크부(134)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핸들부(131)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축부(132)가 상승하고, 이에 결합된 디스크부(134)가 디스크시트(111)로부터 이격되어 관통공(p)이 개방되고, 차단되어 있던 유체가 배출유로(o)를 지나 후술하는 배출부(120) 단부의 토수구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핸들부(131)가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축부(132)가 하강하고, 이에 결합된 디스크부(134)가 디스크시트(111)에 탄력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관통공(p)이 폐쇄되어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다.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disk unit 134 is as follows. When the handle portion 13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user, the shaft portion 132 rises, and the disk portion 134 coupled thereto is spaced apart from the disk seat 111 to open the through hole p and block it. Th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at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 And when the handle portion 13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haft portion 132 descends, and as the disk portion 134 coupled thereto is elastically seated on the disk seat 111, the through hole p is closed and the fluid flow is blocked.

또한, 조절부(130)는 본체부(110)의 타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소정 각도는 60도 내지 80도 이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절부(130)가 과도하게 기울어져 설치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파지가 불편하게 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절부(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절부(130)를 회전시킬 때 파지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Also, the adjusting unit 13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ngle is preferably provided within 60 to 80 degrees, which is rather inconvenient to grip when the adjustment unit 130 is installed with an excessive inclin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wrist is strained. because it doe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unit 130, when the user rotates the adjustment unit 130, the effect of facilitating gripping is expected.

전환부(140)는 배출유로(o)로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전환하는 것으로, 배출부(13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conversion unit 140 converts the fl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o to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and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discharge unit 130 .

이러한 전환부(140)는 보다 상세하게, 버블생성부(141)와, 일반수토출부(142)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conversion unit 140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unit 141 and a general water discharging unit 142 .

버블생성부(141)는 유체를 버블수로 전환하는 것으로, 전환부(140)의 일측에 마련된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141 converts the fluid into bubble wate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verting unit 140 .

또한, 버블생성부(141)는 후술하는 전자석부(151)에 반응할 수 있는 자성이 통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bble generating unit 141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magnetism can react to the electromagnet unit 151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버블생성부(141)는 보다 상세하게, 버블생성모듈(141a)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bubble generating unit 141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

버블생성모듈(141a)은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감이 반복되게 하여 유체 내부에 미세기포가 발생되게 하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버블생성부(141)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 is to repeatedly increase and decre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luid to generate microbubbles in the fluid, and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odules 141a are provided to penetrate the bubble generating unit 1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버블생성모듈(141a)은 보다 상세하게, 확대모듈(141a1)과, 제1버블생성모듈(141a2)과, 테이퍼모듈(141a3)과, 제2버블생성모듈(141a4)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 includes an enlargement module 141a1 , a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2 , a taper module 141a3 , and a second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4 .

확대모듈(141a1)에 유입된 유체는 유속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한다. 압력이 증가한 유체는 제1버블발생모듈(141a)로 유입된다. 이 때, 제1버블발생모듈의 단면적은 확대모듈(141a1)의 단면적의 1/5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버블발생모듈(141a)에 유입된 유체는 유속이 증가하며 압력이 감소한다. 이러한 압력의 증감 반복으로 유체 내부에서 미세 기포가 발생된다. 미세기포가 발생된 유체는 테이퍼모듈(141a3) 및 제2버블발생모듈(141a4)을 통과한다. 테이퍼모듈(141a3)은 유체가 통과하는 하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테이퍼모듈(141a3) 및 제2버블발생모듈(141a4)를 통과한 유체는 더욱 유속이 증대되고, 협소 통로에서 와류 또는 선회류가 발생하며 미세기포가 전단 또는 파쇄되어 더욱 미세한 버블이 형성된다.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module 141a1 decreases and the pressure increases. The fluid with increased pressur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is 1/5 to 1/2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pansion module 141a1.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By repea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is pressure, microbubbles are generated inside the fluid. The fluid in which microbubbles are generated passes through the taper module 141a3 and the second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4. The tapered module 141a3 is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as it goes downstream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taper module 141a3 and the second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4 is further increased, and a vortex or vortex flow is generated in the narrow passage, and microbubbles are sheared or crushed to form finer bubbles.

이러한 버블생성부(141)에 따르면, 유체를 버블수로 전환하여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141, the fluid can be converted into bubble water and discharged.

일반수토출부(142)는 배출유로(o)를 통과하는 유체가 배출부(130) 단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환부(140)의 타측에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The general water discharge unit 142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t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30 , and is provid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unit 140 .

이러한 일반수토출부(142)에 따르면 배출유로(o)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고압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general water discharge unit 142,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 increases, so that the high-pressure fluid can be discharged.

제1차단부(150)는 버블생성부(141)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배출부(130) 내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된다. The first blocking unit 150 blocks the fluid from flowing into the bubble generating unit 141 , and is provided as a semicircular barrier rib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130 .

전자석부(151)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아 전환부(140)에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해 전환부(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차단부(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electromagnet unit 151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nd applies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to the switching unit 140 to vertically move the switching unit 140, and is installed under the first blocking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제2차단부(160)는 일반수토출부(142)에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배출부(130) 단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된다.The second blocking unit 160 blocks the fluid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general water discharging unit 142 , and is provided as a semi-circular barrier rib at one end of the discharging unit 130 .

제어부(170)는 전자석부(151)를 제어하는 것으로,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의 외부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electromagnet unit 151 and is installed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outsid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스위치(180)는 사용자가 전자석부(151)를 스위칭하는 것으로, 제어부(170)에 부착되게 마련된다.The switch 180 is for a user to switch the electromagnet unit 151 , and is provided to be attached to the control unit 170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전환부(140), 제1차단부(150), 전자석부(151), 제2차단부(160), 제어부(170), 스위치(180)에 따르면, 유체가 버블수로 전환되거나, 유체를 그대로 배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고, 그대로 배출되는 유체가 고압으로 배출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witching unit 140, the first blocking unit 150, the electromagnet unit 151, the second blocking unit 160,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switch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is bubbl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verted into water, or it can be easily converted to discharge the fluid as it is, and the fluid that is discharged as it is can be discharged at a high pressure.

한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는, 본체부(110) 또는 배출부(120)의 외주면에 LED표시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the LED display unit 19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or the discharge unit 120 .

LED표시부(190)는 전환부(140)가 버블생성 모드인지 일반수 배출 모드인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제어부(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LED display unit 190 visually displays whether the switching unit 140 is in the bubble generation mode or the general water discharge mo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0 .

또한,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는 보조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attery (not shown).

보조배터리(미도시)는 제어부(170)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제어부(17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제어부(170)에 부착되게 설치된다.The auxiliary battery (not shown) a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170 when power is cut off to the control unit 170 , and is installed to be attached to the control unit 170 .

상술한 본체부(110)와, 배출부(120)와, 조절부(130)와, 전환부(140)와, 제1차단부(150)와, 제2차단부(160)와, 제어부(170)와, 스위치(180)와, LED표시부(190)를 포함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100)에 의하면, 수전장치가 벽면으로 밀착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수전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세탁실,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서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고, 세탁기 등의 제품이 설치되는 경우 수전장치로 인한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bove-described body part 110, the discharge part 120, the adjusting part 130, the switching part 140, the first blocking part 150, the second blocking part 160, the control part ( According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100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including 170), the switch 180, and the LED display unit 190, the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provided in a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o that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stalled. A larger space is secured in a bathroom, laundry room, veranda, and multi-purpose room, and when a product such as a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power faucet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And,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110 : 본체부
111 : 디스크시트
i : 유입유로
p : 관통공
120 : 배출부
121 : 오링부
o : 배출유로
130 : 조절부
131 : 핸들부
132 : 축부
133 : 승강부
134 : 디스크부
140 : 전환부
141 : 버블생성부
141a : 버블생성모듈
141a1 : 확대모듈
141a2 : 제1버블생성모듈
141a3 : 테이퍼모듈
141a4 : 제2버블생성모듈
142 : 일반수토출부
150 : 제1차단부
151 : 전자석부
160 : 제2차단부
170 : 제어부
180 : 스위치
190 : LED표시부
100: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body part
111: disk seat
i: inflow path
p: through hole
120: discharge part
121: O-ring part
o: discharge path
130: control unit
131: handle part
132: shaft
133: elevator
134: disk part
140: transition part
141: bubble generator
141a: bubble generation module
141a1: enlargement module
141a2: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141a3: taper module
141a4: second bubble generating module
142: general water discharge unit
150: first blocking part
151: electromagnet
160: second blocking unit
170: control unit
180: switch
190: LED display part

Claims (5)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입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외부에서 상기 유입유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 하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출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배출부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전환하는 전환부;
하부에 전자석부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 내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어 일반수가 배출되는 경우 버블수를 차단하는 제1차단부;
상기 배출부의 단부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격벽으로 마련되며 버블수가 배출되는 경우 일반수를 차단하는 제2차단부;
외부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자석부와 전기 연결되어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유체를 버블수 또는 일반수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부에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는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전환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환부는,
내부의 일측에 반원통 형상의 자성이 통하는 재질로 마련되어 유체를 버블수로 전환시키는 버블생성부와, 내부의 타측에 반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반수를 토출시키는 일반수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전자석부에서 인력이 생성되면 수직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1차단부에 상기 버블생성부가 밀착되며, 상기 전자석부에서 척력이 생성되는 수직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2차단부에 상기 일반수토출부가 밀착되고,
상기 버블생성부는,
상기 버블생성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감이 반복되게 하여 유체 내부에 미세기포가 발생되게 하는 버블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블생성모듈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측에 복수개의 미세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며 압력을 증가시키는 확대모듈과, 상기 확대모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확대모듈과 연결되고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며 압력을 감소시키는 제1버블발생모듈과, 하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버블발생모듈과 연결되는 테이퍼모듈과, 상기 테이퍼모듈의 하측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테이퍼모듈에 연결되고 발생된 미세 버블을 배출하는 제2버블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조절부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a body part installed on a wall surface, an inflow passage being formed therein, and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so that a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n one side;
a discharge unit formed by being bent vertically on the othe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ssage;
a control uni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 conversion unit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discharge unit and converting the flui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to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a first blocking unit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unit at the lower portion and provided as a semi-circular barrier rib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to block bubble water when normal water is discharged;
a second blocking part provided as a semi-circular barrier rib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and blocking normal water when bubbled water is discharged;
a control unit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unit; and
An LED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discharge unit to visually display the discharged fluid as bubble water or general water,
The electromagnet uni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by generating a magnetic force that applies an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to the switching unit to vertically move the switching unit,
The conversion unit,
A semi-cylindrical magnetic material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inside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unit that converts the fluid into bubble water, and a semi-cylindrical general water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general water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The conversion unit,
When the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part, it rises vertically and the bubble generat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locking part, and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part. ,
The bubble generating unit,
and a bubble generating module that is formed in plurality to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and cause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pressure applied to the fluid to be repeated to generate microbubbles in the fluid,
The bubble generating module,
An enlargement modul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ne inlets formed on the upper side,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fluid and increasing pressure, and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ment module are connected to the enlargement module and introduced A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that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and reduces the pressure, a taper module that is provided in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as it goes downstream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ubble generating modul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taper module and a second bubble generating modul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connected to the taper module,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fine bubbles,
The length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art to the wall surface is,
The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adjusting part to the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타측 상부에 상기 조절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so that the adjusting part can be rotatably installed in a screwing m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를 각각 구분하는 격벽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조절부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partition wall dividing each of the inflow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is formed therein;
The partition wall,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pening and closing is controlled by the adjust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단부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오링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오링부를 더 포함하는 소형화된 구조를 갖는 수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An O-r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ischarge unit,
A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a miniaturized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n O-ring part inserted and fixed in the O-ring groove.
KR2020220000151U 2022-01-19 2022-01-19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KR2004956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51U KR200495686Y1 (en) 2022-01-19 2022-01-19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51U KR200495686Y1 (en) 2022-01-19 2022-01-19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86Y1 true KR200495686Y1 (en) 2022-07-22

Family

ID=8260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151U KR200495686Y1 (en) 2022-01-19 2022-01-19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86Y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683A (en) * 1998-05-08 1998-07-25 김수원 Water supply
JP2000337545A (en) * 1999-05-27 2000-12-05 Toto Ltd Self-closing water cock
JP2004092326A (en) * 2002-09-03 2004-03-25 Inax Corp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faucet
KR100718076B1 (en) * 2006-09-07 2007-05-14 (주)대한계기정밀 One-touch pushing type water cork
KR20090007037U (en) * 2008-01-08 2009-07-13 이재영 Hose coupling tool joint is an easy waterworks tap
KR101236159B1 (en) 2012-09-05 2013-02-22 김경한 Bibcock for washer hose connection
KR200473483Y1 (en) * 2013-10-07 2014-08-06 이준재 Double faucet
KR20170052833A (en) * 2015-11-05 2017-05-15 김문회 Fauset of push type for saving tap water
KR200493867Y1 (en) * 2020-05-07 2021-06-16 김문회 Fauce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683A (en) * 1998-05-08 1998-07-25 김수원 Water supply
JP2000337545A (en) * 1999-05-27 2000-12-05 Toto Ltd Self-closing water cock
JP2004092326A (en) * 2002-09-03 2004-03-25 Inax Corp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faucet
KR100718076B1 (en) * 2006-09-07 2007-05-14 (주)대한계기정밀 One-touch pushing type water cork
KR20090007037U (en) * 2008-01-08 2009-07-13 이재영 Hose coupling tool joint is an easy waterworks tap
KR101236159B1 (en) 2012-09-05 2013-02-22 김경한 Bibcock for washer hose connection
KR200473483Y1 (en) * 2013-10-07 2014-08-06 이준재 Double faucet
KR20170052833A (en) * 2015-11-05 2017-05-15 김문회 Fauset of push type for saving tap water
KR200493867Y1 (en) * 2020-05-07 2021-06-16 김문회 Fauc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9486B1 (en) Valves
EP1481467A4 (en)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for controlling fluid flow
WO2017185402A1 (en) Water path switching mechanism having pulse solenoid valve, and shower
KR200495686Y1 (en) Faucet with miniaturized structure
KR101988300B1 (en) Needle valve
US6449784B1 (en) Easy operating diverter tub spout
US4141383A (en) Outlet fixture for fluid media
CN110939757A (en) Water diversion valve and water diversion faucet
KR100903630B1 (en) External pressure reducing valve for water purifier
KR200493867Y1 (en) Faucet
CN212377369U (en) Multi-control faucet
KR100879021B1 (en) Apparatus for occurrence energy of using water pressure
KR101676820B1 (en) Micro bubble conversion unit for faucet or shower head
CN208778751U (en) A kind of glove division box of shower
US20020092561A1 (en) Constant flow liquid supplier
CN208437058U (en) A kind of shower flow control structure
KR200391526Y1 (en) Valve for Water Pipe
CN214662221U (en) Switch water route and play water installation
CN218954112U (en) Four-way water mixing valve
CN201760364U (en) Self electricity generation type top shower
CN215981038U (en) Combined type extended multifunctional intelligent wall-entering faucet
CN216590081U (en) Rotary mouth wash tap
JP2016223075A (en) Faucet and washstand
KR200395172Y1 (en) Water tap for ion water producer at kitchen sink
CN211288859U (en) Water outlet device capable of selecting switching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