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451Y1 - Apparatus for joining sho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joining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451Y1
KR200495451Y1 KR2020210003828U KR20210003828U KR200495451Y1 KR 200495451 Y1 KR200495451 Y1 KR 200495451Y1 KR 2020210003828 U KR2020210003828 U KR 2020210003828U KR 20210003828 U KR20210003828 U KR 20210003828U KR 200495451 Y1 KR200495451 Y1 KR 200495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oupled
hole
fixing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8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2020210003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5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41Skating boots characterised by the sole ;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k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22Skates with special foot-plates of the b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스케이트를 상기 신발에 결합시키는 신발 장착형 스케이트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밑창과 마주보는 상기 스케이트의 몸체의 일측에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발의 밑창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신발의 밑창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몸체의 상단에 고정공과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구가 형성됨으로써, 신발에 스케이트 장착 시 고정공과 고정돌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신발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스케이트가 분리된 신발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which is a device for coupling a shoe-mounted skat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shoe and couples a skate with a roller or a blade coupled thereto to the shoe, wherein the skate facing the sole of the shoe is and a fixture that is form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body and is coupled to a fixing hole formed in the sole of the shoe. With this configuration,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sole of the shoe, and a fastener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xing ho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which the roller or blade is coupled, so that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protrusion are integrally combined when the skate is mounted on the shoe to make the shoe. It prevents forward leaning,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using shoes with separate skates in daily life.

Description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APPARATUS FOR JOINING SHOES}Shoe-mounted bonding device {APPARATUS FOR JOINING SHOES}

본 고안은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은 상태로 착용하는 롤러 또는 블레이트용 스케이트를 신발에 고정시키기 위한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for fixing skates for rollers or blades worn while wearing shoes to shoes.

일반적으로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스케이트는 운동, 레크리에이션 등의 목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 남녀에 이르기까지 많은 대중들로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skates in which rollers or blades are combined are widely used by many people, including children and adults, for purposes such as exercise and recreation.

이러한 스케이트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 되는 부츠형 신발과, 그 신발의 고정 장착되는 휠 블레이드 조립체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휠 블레이드 조립체는 부츠에 고정 장착되는 런너 또는 블레이드와, 그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4개 내지 5개의 롤러 또는 휠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Such skates include a boot-type shoe worn on the user's foot, and a wheel blade assembly fixedly mounted on the shoe. The wheel blade assembly includes a runner or blade fixedly mounted on the boot, and a shaft provided on the blade. It is as well known that it has a conventional structure consisting of 4 to 5 rollers or wheels which are each rotatably mounted by the rotata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착용하였던 신발을 벗은 후, 스케이트의 구성을 이루는 부츠를 착용한 후, 일반적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In order for a user to enjoy skating using the conventional skate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aking off the shoes worn by the user, wearing boots constituting the skates, he can enjoy general skating.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구조를 갖는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즐기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는데, 예를 들면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일반 신발과, 스케이트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However,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n enjoying using skates having such a general structure. For example, in order to enjoy skating, general shoes worn by the user and skates are required, respectively.

따라서 사용자는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기까지는 일반 신발을 착용하고, 스케이트를 운반한 다음, 해당 장소에 이동하여서는 일반 신발을 벗고, 스케이트의 일요소를 이루는 부츠를 신은 후,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wears general shoes until they go to a place to enjoy skating, carries the skates, and then moves to that place, takes off their general shoes, puts on boots that form an element of skating, and allows them to enjoy skating. do.

따라서,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일반 신발은 벗어 놓은 후 주변 벤치 등에 올려 놓게 되는데, 이럴 경우 일반 신발의 분실 우려 등이 있어,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거나 휴대한 상태에서 스케이팅을 즐겨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이 뒤따르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enjoy skating, the general shoes worn by the user are taken off and placed on a nearby bench. will follow

상기한 문제점 등에 착안하여, 스케이트에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을 그대로 착용하여 스케이팅을 즐기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re are attempts to enjoy skating by wearing the shoes worn by the user on the skates as they are.

예를 들면, 신발을 신은 상태로 착용 가능한 특허등록번호 제10-1149477호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149477 that can be worn while wearing shoes is disclosed.

이러한 선행기술은 신발을 신은 상태의 발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구비하는 판체의 아랫부분에 바퀴를 설치시키고, 상기 판체를 전판과 후판으로 분할 형성시키며, 분할된 전판과 후판의 사이에 전판과 후판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하는 연결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In this prior art, a wheel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a plate body having a binding means so that inline skates can be worn on the feet in a state of wearing shoes, the plate body is divided into a front plate and a rear plate, and the divided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are formed. It is constituted by installing a connecting devi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plates that allow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plates to be variable.

그러나, 신발을 신은 상태로 인라인 스케이트에 고정 시 결속수단을 신발에만 체결하여 고정시켜 신발 바닥면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신발이 앞으로 쏠려 신발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shoe is fixed to the inline skate while the shoe is worn, the shoe bottom surface is not properly fixed by fastening the binding means only to the shoe, so that the shoe is pulled forward and the shoe is detached.

또한, 신발의 뒤꿈치를 완전히 밀착시킨 후 결속수단으로 고정시켜야 되는데, 롤러에 의해 스케이트가 유동되거나 사용자가 쭈그린 상태로 고정시키다 보니 제대로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시킴에 따라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heel of the shoe must be completely adhered to the shoe and then fixed with a binding means. However, the skates are moved by the rollers or the user is fixing them in a squatting state. This happens.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430211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43021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82489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182489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49477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14947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케이트에 신발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은 물론, 신발의 뒤꿈치를 완전히 밀착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mly fix the shoe to the skate, as well as to completely attach the heel of the sho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는, 신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스케이트를 상기 신발에 결합시키는 신발 장착형 스케이트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밑창과 마주보는 상기 스케이트의 몸체의 일측에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발의 밑창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skate detachably coupled to a shoe and coupled with a roller or a blade to the shoe. and a fixture form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skate facing the sole of the shoe and coupled to a fixing hole formed in the sole of the shoe.

또한, 상기 고정공은 상기 밑창의 하방 및 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hole has a shape that is opened in the downward and lateral directions of the sole, and the faste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

또한, 상기 고정공 및 고정구 각각은 일단이 외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내측으로 일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사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xing hole and the fix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located at the outer end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in an oblique line so that the other end is located inwardly behind the one end.

또한, 상기 고정구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고정핀이 복수로 체결 가능하도록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의 헤드가 안착되도록 안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ture is fixed to the body by a fixing pi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xture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xing pins can be fastened, and a seating hole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head of the fixing pin is se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고정공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고정핀이 자성에 의해 결합되도록 자성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agnetic body is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so that the fixing pin is coupled by magnetism.

본 고안에 의한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에 따르면, 신발의 밑창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몸체의 상단에 고정공과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구가 형성됨으로써, 신발에 스케이트 장착 시 고정공과 고정돌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신발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스케이트가 분리된 신발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hole is formed on the sole of the shoe, and a fix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which the roller or blade is coupled, so that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protrusion are formed when the skate is mounted on the shoe. is integrated to prevent the shoe from leaning forwar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using shoes with separate skates in daily lif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k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k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diagrams of the use of the stopp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k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는 신발과 스케이트 일체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신발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e and the skate are integrally coupled to be firmly fixed and the sho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forward.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100)는 신발(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스케이트(120)를 상기 신발(110)에 결합시키는 신발 장착형 스케이트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110)의 밑창(111)과 마주보는 상기 스케이트(120)의 몸체(121)의 일측에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발(110)의 밑창(111)에 형성된 고정공(112)에 결합되는 고정구(123)를 포함한다.The shoe-mounted coupl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is a sho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e 110 and couples the skate 120 to which the roller or blade is coupled to the shoe 110 . In the coupling device of the mounted skate, it is form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body 121 of the skate 120 facing the sole 111 of the shoe 110 and is formed on the sole 111 of the shoe 110 and a fixture 123 coupled to the fixing hole 112 .

구체적으로, 상기 신발(110)은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밑창(111)의 하단에 일측 측방 및 하방이 개방되도록 고정공(112)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shoe 110 has a fixing hole 1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ole 111 to open one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be used in daily life.

여기서, 상기 고정공(112)은 상기 신발(110)이 상기 스케이트(120)의 몸체(121)에 결합 시 상기 신발(110)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된다.Here, when the shoe 110 is coupled to the body 121 of the skate 120 , the fixing hole 112 is orient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prevent the shoe 110 from being pulled forward.

이때, 상기 고정공(112)의 일단은 외측에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일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fixing hole 112 is formed on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wardly behind the one end.

상기 고정구(123)는 상기 스케이트(120)의 몸체(121)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110)에 장착 시 상기 고정공(112)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fixture 1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21 of the skate 120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ing hole 112 when mounted on the shoe 110 .

상기 고정구(12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체결공(123a)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3a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fixture 123 .

상기 체결공(123a)에는 상기 고정구(123)를 상기 몸체(1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24)이 결합된다.A fixing pin 124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123 to the body 121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23a.

여기서, 상기 체결공(123a)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124)의 헤드(124a)가 안착되도록 안착공(123b)이 형성된다.Here, a seating hole 123b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123a so that the head 124a of the fixing pin 124 is seated.

또한, 상기 고정구(123)는 상기 고정공(112)과 결합 시 상기 밑창(111)의 후단부가 상기 몸체(121)의 후방에 형성된 발목프레임(122)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er 123 is formed at a position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sole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frame 122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21 when combined with the fixing hole 112 .

또한, 상기 고정구(123)는 상기 고정공(112)과 대응되도록 일단이 외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사선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xture 123 is disposed at an outer en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 112 ,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an oblique line so that the other end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one end.

이에 따라, 상기 신발(110)에 장착 시 상기 고정구(123)가 밑창(111)과 일체가 되어 정갈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신발(110)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mounted on the shoe 110 , the fixture 123 may be integrated with the sole 111 to be neatly combined, and the shoe 1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tilted forward.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k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0 are diagrams of a state of use of the stop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200)는 신발(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스케이트(220)를 상기 신발(210)에 결합시키는 신발 장착형 스케이트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210)의 밑창(211)과 마주보는 상기 스케이트(220)의 몸체(221)의 일측에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발(210)의 밑창(211)에 형성된 고정공(212)에 결합되는 고정구(223)를 포함한다.The shoe-mounted coupl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shoe-mounted skate coupling devi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hoe 210 and couples the skate 220 to which the roller or blade is coupled to the shoe 210 . , is form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body 221 of the skate 220 facing the sole 211 of the shoe 210 and coupled to the fixing hole 212 formed in the sole 211 of the shoe 210 and a fixture 223 to be used.

구체적으로, 상기 신발(210)은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밑창(211)의 하단에 일측 측방 및 하방이 개방되도록 고정공(212)이 형성된다.Specifically, in the shoe 210, a fixing hole 2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ole 211 to open one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be used in daily life.

여기서, 상기 고정공(212)은 상기 신발(210)이 상기 스케이트(220)의 몸체(221)에 결합 시 상기 신발(210)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된다.Here, when the shoe 210 is coupled to the body 221 of the skate 220 , the fixing hole 212 is orient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prevent the shoe 210 from being pulled forward.

이때, 상기 고정공(212)의 일단은 외측에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으로 일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fixing hole 212 is formed on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wardly behind the one end.

나아가, 상기 고정공(212)의 내측 상면에는 제1 자성체(213)가 결합된다.Furthermore, the first magnetic body 213 is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212 .

또한, 상기 고정공(212)의 양측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2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guide grooves 214 are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fixing hole 2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공(212)의 내측 후면에는 제1 결합공(21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공(215)의 내측에는 제1 금속체(216)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first coupling hole 215 is formed on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ixing hole 212 , and a first metal body 216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hole 215 .

상기 고정구(223)는 상기 스케이트(220)의 몸체(221)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210)에 장착 시 상기 고정공(212)에 일체로 결합된다.The fixture 2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21 of the skate 220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ing hole 212 when mounted on the shoe 210 .

상기 고정구(22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체결공(223a)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3a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fixture 223 .

상기 체결공(223a)에는 상기 고정구(223)를 상기 몸체(2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224)이 결합된다.A fixing pin 224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223 to the body 221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223a.

여기서, 상기 체결공(223a)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224)의 헤드(224a)가 안착되도록 안착공(223b)이 형성된다.Here, a seating hole 223b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223a so that the head 224a of the fixing pin 224 is seated.

이때, 상기 고정핀(224)의 헤드(224a)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23)와 고정공(212)이 결합 시 서로 자성에 의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head 224a of the fixing pin 224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when the fixing member 223 and the fixing hole 212 are coupled,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구(223)는 상기 고정공(212)과 결합 시 상기 밑창(211)의 후단부가 상기 몸체(221)의 후방에 형성된 발목프레임(222)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er 223 is formed at a position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sole 2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frame 222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221 when combined with the fixing hole 212 .

또한, 상기 고정구(223)는 상기 고정공(212)과 대응되도록 일단이 외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사선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xture 223 is disposed at an outer en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 212 , and the other end is diagonally disposed so that the other end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one end.

이에 따라, 상기 신발(210)에 장착 시 상기 고정구(223)가 밑창(211)과 일체가 되어 정갈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신발(210)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mounted on the shoe 210 , the fixture 223 may be integrated with the sole 211 and neatly coupled, and the shoe 2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forward.

또한, 상기 몸체(221)의 상면 전방에는 제2 결합공(225)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coupling hole 225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21 .

상기 제2 결합공(225)의 내측에는 제2 금속체(226)가 결합된다.A second metal body 226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225 .

나아가, 상기 신발(210)의 밑창(211)에는 상기 고정공(212)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개(230)가 결합된다.Furthermore, a stopper 230 is coupled to the sole 211 of the shoe 210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hole 212 .

상기 마개(230)는 상기 고정공(212)에 결합 시 상기 밑창(211)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밑창(2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2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topper 23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ole 211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sole 211 when coupled to the fixing hole 212 ,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fastener 223 .

또한, 상기 마개(2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214)을 따라 안내되도록 가이드(231)가 형성된다.In addition, guides 2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230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s 214 .

상기 가이드(231)는 상기 마개(230)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The guide 231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230 , respectively.

상기 마개(230)에는 상기 고정공(212)에 결합 시 상기 제1 결합공(215)과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돌기(232)가 형성된다.A coupling protrusion 232 is formed in the stopper 230 on a side facing the first coupling hole 215 when coupled to the fixing hole 212 .

상기 결합돌기(232)는 상기 제1 결합공(215)에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제1 금속체(216)와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자성체(233)가 결합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23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215 , and a second magnetic body 233 is coupled to an end thereof to be fixed to the first metal body 216 by magnetism.

이에 따라, 상기 마개(230)는 상기 고정공(21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고정구(223)와 분리된 고정공(21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as the stopper 230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212 ,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fixing hole 212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223 to prevent contamination or damage.

또한, 상기 마개(230)는 상기 신발(210)과 스케이트(220)의 결합 시 분리되어, 상기 몸체(221)의 전방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230 is separated when the shoe 210 and the skate 220 are coupled,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221 .

상기 마개(230)는 상기 몸체(221)에 결합 시 상기 결합돌기(232)가 상기 제2 결합공(225)에 결합된다.When the stopper 230 is coupled to the body 221 , the coupling protrusion 232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225 .

상기 마개(230)가 상기 몸체(221)의 전방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신발(210)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외부 충격으로부터 신발(210)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As the stopper 2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2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e 210 from leaning forward, as well as to protect the shoe 210 and the body from external impact.

한편, 상기 마개(230)는 상기 몸체(221)에 결합 시 탄성체(221a)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opper 23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elastic body 221a when coupled to the body 221 .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230)의 양측 가이드(231)에는 관통공(231a)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21)의 양측에 결합된 탄성체(221a)가 상기 관통공(231a)에 결합되어 탄성을 통해 상기 마개(230)를 당긴다.Specifically, through-holes 231a are formed in the guides 231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230, and elastic bodies 221a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221 are coupled to the through-holes 231a to increase elasticity. Pull the stopper 230 through.

이때, 상기 관통공(231a)은 상기 가이드(231) 중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체(221a)가 대각선 하방으로 잡아당겨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은 물론, 탄성에 의해 밴딩되어 상기 신발(210)의 앞코와 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hole 231a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231, and the elastic body 221a is pulled diagonally downward to be more stably fixed, and is also bent by elasticity of the shoe 210. It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nose.

본 고안에 의한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에 따르면, 신발의 밑창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몸체의 상단에 고정공과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구가 형성됨으로써, 신발에 스케이트 장착 시 고정공과 고정돌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신발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스케이트가 분리된 신발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hoe-mounted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hole is formed on the sole of the shoe, and a fix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o which the roller or blade is coupled, so that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protrusion are formed when the skate is mounted on the shoe. is integrated to prevent the shoe from leaning forwar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using shoes with separate skates in daily life.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utility model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00: 결합장치 110: 신발
111: 밑창 112: 고정공
120: 스케이트 121: 몸체
122: 발목프레임 123: 고정구
123a: 체결공 123b: 안착공
124: 고정핀 124a: 헤드
100: coupling device 110: shoes
111: sole 112: anchor hole
120: skate 121: body
122: ankle frame 123: fixture
123a: fastening hole 123b: seating hole
124: fixing pin 124a: head

Claims (5)

신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 또는 블레이드가 결합된 스케이트를 상기 신발에 결합시키는 신발 장착형 스케이트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밑창과 마주보는 상기 스케이트의 몸체의 일측에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발의 밑창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공은 상기 밑창의 하방 및 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 및 고정구 각각은 일단이 외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내측으로 일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사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구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고정핀이 복수로 체결 가능하도록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의 헤드가 안착되도록 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고정핀이 자성에 의해 결합되도록 자성체가 결합되며,
상기 밑창에는 상기 고정공에 착탈되는 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분리 시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의 양측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의 내측 후면에는 내측에 제1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 전방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에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 시 상기 제1 결합공과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고정공에 결합 시 상기 가이드 및 결합돌기가 상기 안내홈 및 제1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 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마개의 가이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마개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 시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를 상기 신발의 앞코와 밀착되도록 밴딩시키는 탄성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
A shoe-mounted skate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skate detachably coupled to a shoe and coupled with a roller or a blade to the shoe,
Including; and a fixture formed upwardly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skate facing the sole of the shoe and coupled to a fixing hole formed in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fixing hole has a shape open downward and laterally of the sole,
The fixtur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
Each of the fixing hole and the fixture is diagonally disposed so that one end is located at the outer end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wardly behind one end,
The fixture is fixed to the body by a fixing pi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xture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xing pins can be fastened, and a seating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head of the fixing pin is seated,
A magnetic body is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so that the fixing pin is coupled by magnetism,
A stopper detachable from the fixing hole is coupled to the sole,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when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fixi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Guid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so as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A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inside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ixing hole,
A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topper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coupling hole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When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the gu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r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and the first coupling hole, and when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guide of the stopper,
A shoe-mounted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an elastic body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so that the stopper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to bend the stopper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nose of the sho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210003828U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joining shoes KR2004954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28U KR200495451Y1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joining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28U KR200495451Y1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joining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451Y1 true KR200495451Y1 (en) 2022-05-26

Family

ID=8176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828U KR200495451Y1 (en) 2021-12-15 2021-12-15 Apparatus for joining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51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950Y1 (en) * 2004-06-28 2004-10-11 주식회사 비욘드인터내셔날 Inline skate
KR20080050559A (en) * 2008-05-19 2008-06-09 이현순 Wheels attached shoes
KR101149477B1 (en) 2010-05-25 2012-05-24 임정민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KR101182489B1 (en) 2010-10-19 2012-09-12 이동근 In line skate for wearing under shoes
KR101430211B1 (en) 2011-09-15 2014-08-14 (주) 전시나라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KR101775034B1 (en) * 2016-10-25 2017-09-05 전호권 golf sho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950Y1 (en) * 2004-06-28 2004-10-11 주식회사 비욘드인터내셔날 Inline skate
KR20080050559A (en) * 2008-05-19 2008-06-09 이현순 Wheels attached shoes
KR101149477B1 (en) 2010-05-25 2012-05-24 임정민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KR101182489B1 (en) 2010-10-19 2012-09-12 이동근 In line skate for wearing under shoes
KR101430211B1 (en) 2011-09-15 2014-08-14 (주) 전시나라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KR101775034B1 (en) * 2016-10-25 2017-09-05 전호권 golf sho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5239Y1 (en) A sole for bowling shoes
JP5309130B2 (en) Shoe slip fasten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US8074376B1 (en) Spinning shoe
US7584553B1 (en) Flip flop golf sandal
US7594666B2 (en) Skate assembly
KR100911759B1 (en) Wheels attached shoes
KR200495451Y1 (en) Apparatus for joining shoes
US8104193B1 (en) Spinning shoe
JP3215113U (en) Lifting type inline skate shoes
KR101256365B1 (en) Detachable whell fixing device
KR20110100897A (en) Inline skate
KR100693282B1 (en) Shoes with replaceable heel
KR101833742B1 (en) Skateboards available as skates
US20130036632A1 (en) Traction Reducing Apparatus
KR200464073Y1 (en) Design-plate change type shoes for a child
CN2371833Y (en) Football boots capable of producing loop spin ball path
JP2000333704A (en) Shoe for training
KR20120059916A (en) Tuning football boot
KR200341117Y1 (en) Sole for bowling shoes
KR101741064B1 (en) Attachable Inline Skates
KR200455359Y1 (en) Footwear
KR101397226B1 (en) shoes for gips
KR100568559B1 (en) slipper for combining and separating
CN211189023U (en) Multifunctional diving flippers
KR200382531Y1 (en) in-line sk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