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72Y1 -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 Google Patents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72Y1
KR200495272Y1 KR2020220000154U KR20220000154U KR200495272Y1 KR 200495272 Y1 KR200495272 Y1 KR 200495272Y1 KR 2020220000154 U KR2020220000154 U KR 2020220000154U KR 20220000154 U KR20220000154 U KR 20220000154U KR 200495272 Y1 KR200495272 Y1 KR 200495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groove
tube holder
extra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임
이신우
Original Assignee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0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추출 튜브가 삽입 및 삽입된 추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검사 과정에서 추출 튜브에 수용된 추출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Tube Holder with Tube Support Grooves}
본 고안은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COVID-19, 2019-nCoV,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SARS-CoV-2))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최초 보고된 신규 바이러스로, 외피가 있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non-segmented positive-strand RNA virus)이고 50-200 nm 직경, 9-12nm의 표면돌기 단백질(Spike protein)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계통 분석 결과 SARS-관련 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COVID-19)의 명칭은 감염병을 나타내는 것으로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SARS-CoV-2)는 바이러스 이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분리되어 명명되었다.
COVID-19는 폐 ACE2 수용체를 매개로 진입하여, 기침·호흡곤란·폐렴 등의 호흡기 증후군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파 경로는 비말 접촉으로 보고되어 있다. 전세계적으로 치명율은 4.3%이나, 이에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아, 수액보충, 해열제 등 보존적 치료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19는 감염자의 비말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염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일부 국가는 확진자가 다수 발생한 국가로부터의 입국을 통제하는 등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출입시설에서 분석 대상 개체의 건강 이상 여부를 신속히, 그리고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며, 현재 의심 증상이 발현된 분석 대상 개체의 경우 해당 개체로부터 검체를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로부터 분석 결과가 나올때까지 일부 시설에 격리하여야 하는 바, 격리 시설 및 진단 시간 등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한편, 검체가 채취된 검체 채취부는 추출 튜브 내부에 수용된 추출 버퍼에 담지되고, 검체 채취부에 함유되어 있는 검체가 추출 버퍼에 용출된다.
용출이 완료된 추출 버퍼를 수용하는 추출 튜브에는 필터가 구비된 필터 팁이 결합되고,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된 추출 버퍼가 검사 디바이스에 점적 및 바이러스 감염 여부가 검사 디바이스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점적 완료된 추출 튜브에는 검체가 용출된 추출 버퍼가 잔존하게 되는데, 추출 튜브가 방치된다면 바이러스 포함 가능성이 있는 추출 버퍼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추출 버퍼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추출 튜브를 지지하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89418호 (2019.06.17.)
(선행문헌 2)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93591호 (2021.04.27.)
(선행문헌 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217177호 (2021.02.17.)
본 고안에 따르면, 추출 튜브가 삽입 및 삽입된 추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검사 과정에서 추출 튜브에 수용된 추출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해결되는 튜브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와 측부의 연결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서, 추출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상당할 위험이 감소되는 튜브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강 홈이 형성됨으로써 튜브 홀더의 강도가 향상되는 튜브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부, 상기 상부와 연결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측부, 상기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하부를 갖는 튜브 홀더 몸체, 상기 튜브 홀더 몸체의 상기 상부에 함몰 형성되고, 추출 튜브가 삽입되는 튜브 지지 홈 및 상기 튜브 지지 홈을 시작으로, 상기 상부, 상기 측부에까지 이르는 보강 홈;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지지 홈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부와 하부가 상기 튜브 홀더 몸체에 의해 둘러싸인 것이고, 상기 튜브 지지 홈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 지지 홈과, 상기 제1 지지 홈의 상부와 연결되면서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 지지 홈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 지지 홈의 직경은 상기 추출 튜브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고, 지면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 홈이 상기 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 지지 홈이 상기 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되, 상기 제1 지지 홈의 높이는 상기 제2 지지 홈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보강 홈은 상기 제2 지지 홈을 시작으로 상기 상부를 거쳐 상기 측부까지 연속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 홈과 상기 하부와는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 처리된 것인, 튜브 홀더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 홀더 몸체는 35mm의 가로 길이와, 35mm의 세로 길이, 그리고 10.4mm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튜브 지지 홈은 10mm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보강 홈은 0.4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홈의 횡단면은 장축이 9.11mm, 단축이 6.89mm인 타원형이고, 상기 제2 지지 홈의 횡단면은 장축이 10.88mm, 단축이 9.53mm인 타원형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추출 튜브가 삽입되고, 삽입된 추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가 제공되어, 검사 과정에서 추출 튜브에 수용된 추출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상부와 측부의 연결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서, 추출 튜브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상당할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보강 홈이 형성됨으로써 튜브 홀더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튜브 홀더에 추출 튜브가 삽입된 후, 지지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튜브 홀더에 삽입되는 추출 튜브와, 추출 튜브에 결합되는 노즐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고안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고안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추출 튜브의 설명
추출 튜브(21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검체 채취 면봉(100)으로부터 검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버퍼가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다. 개방된 개구를 통해서는 노즐 캡(220)이 설치된다(도 4 참조).
즉, 추출 튜브(210)는 추출 버퍼가 수용되는 수용부(211), 수용부(211)에 연결되면서 수용부(211)보다 큰 확장부(212), 확장부(212)보다 큰 단턱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튜브 홀더에는 추출 튜브(210)의 수용부(211)가 삽입되는데, 수용부(211)의 횡단면은 타원형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장축의 길이가 8.1mm 내지 9.9mm, 단축의 길이가 6.3mm 내지 7.7mm인 타원형, 보다 구체적으로 장축의 길이가 9mm, 단축의 길이가 7mm인 타원형일 수 있다.
추출 튜브(210)는 연질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추출 튜브(210) 내부에 수용된 추출액을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검사 디바이스에 투입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추출 튜브(210)를 가압하는 시간과 가압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검사 디바이스에 투입되는 추출액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즐 캡(220)은 추출 튜브(210)의 개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어, 추출 튜브(210) 내부에 수용된 추출 버퍼가 배출구(2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출 튜브(210) 내부 공간에 수용된 추출 버퍼는 315μl 내지 385μl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50μ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2. 튜브 홀더의 설명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추출 튜브(2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튜브 홀더(20)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튜브 홀더(20)는, 튜브 홀더 몸체(21), 튜브 지지 홈(22) 및 보강 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홀더 몸체(21)는 튜브 지지 홈(22)에 삽입된 추출 튜브(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21a), 측부(21b) 및 하부(21c)를 포함한다.
상부(21a)는 소정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일 수 있다.
측부(21b)는 상부(21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상부(21a)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된다. 한편, 상부(21a)와 측부(21b)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 처리되어서, 추출 튜브(210)를 튜브 지지 홈(22)에 삽입 및 지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상당할 위험이 감소된다.
하부(21c)는 측부(21b)로부터 외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되어, 지면과 튜브 홀더(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부분이다.
한편, 튜브 지지 홈(22)은 상부(21a)의 중앙에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브 지지 홈(22)은 상부만이 개방되어 있고 측부와 하부는 튜브 홀더 몸체(21)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서, 튜브 지지 홈(22)은 그 단면이 타원인 예가 도시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인 실시예도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튜브 지지 홈(22)은 아래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 지지 홈(22a)과, 제1 지지 홈(22a)의 상부와 연결되고 위를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아래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짐) 제2 지지 홈(22b)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하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제1 지지 홈(22a)이 상기 축과 이루는 각도는, 제2 지지 홈(22b)이 상기 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다시 말하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지지 홈(22b)의 직경이 제1 지지 홈(22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홈(22a)은 횡단면이 타원형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장축이 8.199mm 내지 10.021mm, 단축이 6.201mm 내지 7.579mm인 타원형, 보다 구체적으로 장축이 9.11mm, 단축이 6.89mm인 타원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지지 홈(22b) 역시 횡단면이 타원형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장축이 9.792mm 내지 11.968mm, 단축이 8.577mm 내지 10.483mm인 타원형, 보다 구체적으로 장축이 10.88mm, 단축이 9.53mm인 타원형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지지 홈(22)의 직경은 추출 튜브(210)의 직경보다 크고, 따라서 튜브 지지 홈(22)에 추출 튜브(210)가 삽입 및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튜브 지지 홈(22)의 직경이 추출 튜브(210)의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는, 추출 튜브(210)와 튜브 지지 홈(22)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튜브 지지 홈(22)의 직경이 추출 튜브(210)의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작아도 끼움 방식(억지 끼움 방식)으로 튜브 지지 홈(22)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추출 튜브(210)와 튜브 홀더는(20)는 일 예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강 홈(23)은 튜브 지지 홈(22)을 시작으로, 상부(21a)를 거쳐 측부(21b)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 홈(23)은 제2 튜브 지지 홈(22b)을 시작으로(제1 튜브 지지 홈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 상부(21a)를 거쳐 측부(21b)에 이르도록(하부에까지 이르지는 않음) 홈 형태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보강 홈(23)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 홈(23)이 형성됨에 따라 튜브 홀더(20)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보강 홈(23)이 형성되지 않은 튜브 홀더의 경우, 튜브 지지 홈(22)에 추출 튜브(210)가 삽입됨에 따라, 튜브 홀더 몸체(21)가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강 홈(23)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찌그러짐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되면서도 추출 튜브(210)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 홀더(20)는 평면 상에서 가로로 31.5mm 내지 38.5 mm, 보다 구체적으로 35mm, 세로로 31.5mm 내지 38.5mm, 보다 구체적으로 35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튜브 홀더(20)의 높이는 9.36mm 내지 11.44mm, 보다 구체적으로 10.4mm, 튜브 지지 홈(22)의 높이는 9mm 내지 11mm, 보다 구체적으로 10mm일 수 있다(따라서, 보강 홈의 높이는 0.36mm 내지 0.44mm, 보다 구체적으로 0.4mm일 수 있음).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튜브 홀더
21: 튜브 홀더 몸체
21a: 상부
21b: 측부
21c: 하부
22: 튜브 지지 홈
22a: 제1 지지 홈
22b: 제2 지지 홈
23: 보강 홈
210: 추출 튜브
211: 수용부
212: 확장부
213: 단턱부
220: 노즐 캡
221: 배출구

Claims (3)

  1. 상부, 상기 상부와 연결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하부를 갖는 튜브 홀더 몸체;
    상기 튜브 홀더 몸체의 상기 상부에 함몰 형성되고, 추출 튜브가 삽입되는 튜브 지지 홈; 및
    상기 튜브 지지 홈을 시작으로, 상기 상부, 상기 측부에까지 이르는 보강 홈;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지지 홈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부와 하부가 상기 튜브 홀더 몸체에 의해 둘러싸인 것이고,
    상기 튜브 지지 홈은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 지지 홈과, 상기 제1 지지 홈의 상부와 연결되면서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 지지 홈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 지지 홈의 직경은 상기 추출 튜브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고,
    지면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 홈이 상기 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 지지 홈이 상기 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되, 상기 제1 지지 홈의 높이는 상기 제2 지지 홈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보강 홈은 상기 제2 지지 홈을 시작으로 상기 상부를 거쳐 상기 측부까지 연속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 홈과 상기 하부와는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와 상기 측부의 연결 부분은 라운드 처리된 것인,
    튜브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홀더 몸체는 35mm의 가로 길이와, 35mm의 세로 길이, 그리고 10.4mm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튜브 지지 홈은 10mm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보강 홈은 0.4mm의 높이를 갖는,
    튜브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홈의 횡단면은 장축이 9.11mm, 단축이 6.89mm인 타원형이고,
    상기 제2 지지 홈의 횡단면은 장축이 10.88mm, 단축이 9.53mm인 타원형인,
    튜브 홀더.
KR2020220000154U 2022-01-19 2022-01-19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KR200495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54U KR200495272Y1 (ko) 2022-01-19 2022-01-19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154U KR200495272Y1 (ko) 2022-01-19 2022-01-19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72Y1 true KR200495272Y1 (ko) 2022-04-15

Family

ID=8118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154U KR200495272Y1 (ko) 2022-01-19 2022-01-19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7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48574U (zh) * 2013-12-25 2014-06-18 广州洁特生物过滤制品有限公司 一种离心管支撑架
JP2015152595A (ja) * 2014-02-17 2015-08-24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F. Hoffmann−La Roche Aktiengesellschaft 移送デバイス、試料分配システムおよびラボラトリ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EP3333576A1 (en) * 2011-12-28 2018-06-1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Single specimen container holder
KR20190000729U (ko) * 2018-07-05 2019-03-20 (주)래피젠 체외진단검체필터용 케이스
KR101999604B1 (ko) * 2018-04-26 2019-07-15 주식회사 수젠텍 검체튜브 홀더
KR102217177B1 (ko) * 2020-10-27 2021-02-17 최상호 바이러스 진단키트용 보관 케이스
KR200493591Y1 (ko) * 2020-09-23 2021-04-27 오성두 진단 키트 트레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3576A1 (en) * 2011-12-28 2018-06-1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Single specimen container holder
CN203648574U (zh) * 2013-12-25 2014-06-18 广州洁特生物过滤制品有限公司 一种离心管支撑架
JP2015152595A (ja) * 2014-02-17 2015-08-24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F. Hoffmann−La Roche Aktiengesellschaft 移送デバイス、試料分配システムおよびラボラトリ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999604B1 (ko) * 2018-04-26 2019-07-15 주식회사 수젠텍 검체튜브 홀더
KR20190000729U (ko) * 2018-07-05 2019-03-20 (주)래피젠 체외진단검체필터용 케이스
KR200493591Y1 (ko) * 2020-09-23 2021-04-27 오성두 진단 키트 트레이
KR102217177B1 (ko) * 2020-10-27 2021-02-17 최상호 바이러스 진단키트용 보관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4167A (en) Safety newborn mucous suction device
JP5415949B2 (ja) サンプル採集用の膜による二重層の管
ES2347538T3 (es) Separador de gas/liquido que incluye un filtro trampa de liquido.
US8215304B2 (en) Device for separating condensate from a coaxial breathing gas line
US20120067144A1 (en) Specimen sample collection system
US9656005B2 (en) Nasal aspirator
KR200495272Y1 (ko) 튜브 지지 홈이 형성된 튜브 홀더
Madson et al. Effect of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vaccination of the dam on PCV2 replication in utero
CN208339437U (zh) 一种蛋液分离器
CN208948095U (zh) 一种兽医站的废弃物干湿分离桶
CN205288460U (zh) 一种便捷式一次性密闭体液留置器
CN201578252U (zh) 微量采血管
JP3123813U (ja) 真空採血管ホルダ及び医療用具
CN210775357U (zh) 一种液相色谱仪用进样瓶
CN214225187U (zh) 一种免疫层析检测装置
CN209576728U (zh) 一种洗气瓶
CN108265001A (zh) 收集器
CN203075375U (zh) 一种医用输液器的排气装置及其过滤器
CN216870581U (zh) 一种病毒检测试剂盒
CN219629666U (zh) 一种唾液样本采集保存装置
CN214761196U (zh) 一种密闭式痰培养收集器
CN107638600A (zh) 电动吸鼻器
CN205710711U (zh) 一种诺如病毒检测试剂盒
CN105726069B (zh) 呼出气冷凝液收集装置
CN212586313U (zh) 一种液相色谱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