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28Y1 -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28Y1
KR200495128Y1 KR2020200004014U KR20200004014U KR200495128Y1 KR 200495128 Y1 KR200495128 Y1 KR 200495128Y1 KR 2020200004014 U KR2020200004014 U KR 2020200004014U KR 20200004014 U KR20200004014 U KR 20200004014U KR 200495128 Y1 KR200495128 Y1 KR 200495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rotrusions
shape
hand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0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운
Original Assignee
박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운 filed Critical 박기운
Priority to KR2020200004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2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2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로서, 몸체, 상판,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하는 복수의 덮개, 상판과 몸체 사이에 결합되고 비닐을 고정하는 복수의 누름틀,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바(bar)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분리판을 포함하고, 손잡이는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경우, 손잡이의 바와 상기 상판은 일체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누름틀 각각은 비닐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비닐이 복수의 누름틀 각각에 입구가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상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ycling waste separator, a body, a top plate, a plurality of covers coupled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inside the body, a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coupl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dy and fixing the vinyl, the body of A wheel part including at least one wheel provided on the lower side, a handl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and including a bar, and a plurality of space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form a plurality of spaces It includes a separation plate, and when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bar of the handle and the upp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is made of a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such that the vinyl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It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surrounded.

Description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본 고안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편리하게 버릴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ing waste separation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ycling garbage separation machine that can separate and conveniently dispose of recyclable garbage.

일반적으로, 분리수거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종류는 크게 플라스틱류, 비닐 포장지류, 캔/고철 류, 종이류, 유리 류, 스티로폼 류, 종이팩 류, 헌옷 등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the types of recyclable waste that are separated and collected are largely classified into plastics, plastic wrappers, cans/scrap metal, paper, glass, Styrofoam, cartons, old clothes, and the like.

이러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수거 하기 위해, 사용자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 쓰레기를 분리하여 종류별로 복수의 분리 쓰레기통에 담고, 복수의 분리 쓰레기통 각각을 직접 들고 이동하여 버려야 하므로 분리수거 시간 및 분리수거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such recyclable garbage, the user has to separate each garbage generated at home, put it in a plurality of separate garbage bins by type, and directly carry and move each of the plurality of separate garbage cans, so the time for separate collection and separate collection work is very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uncomfortable.

또한, 종래 분리수거용 쓰레기통은 한 손으로는 쓰레기 봉지를 벌리고, 다른 한손으로는 분리수거 쓰레기를 버려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arbage can for separate collec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necessary to open the garbage bag with one hand and throw away the garbage for separate collection with the other han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장치는 재활용 분리 쓰레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분리 쓰레기통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분리수거 장치만을 사용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릴 수 있는 수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oes not separately use a plurality of separate waste bins in response to the type of recycling separated waste, but uses only one separate collection device to collect recycled waste. This is to provide a collection device that can be separated and disposed of.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통을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recycling waste sorting machine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recycling waste bins at onc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재활용마다 쓰레기 비닐을 벌리지 않고도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뚜껑이 쉽게 열고 닫힐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in which the lid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waste plastic can be separated and thrown away without opening the waste plastic for each recycling.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통에 담을 때 하나씩 꺼내어 담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to solve the inconvenient problem of having to take out the separated recycling waste one by one when putting them in the container.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재활용 쓰레기가 담겨있는 비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recycling waste sorting machine in which the vinyl containing the recycled wast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분리수거기의 외부와 벽 사이의 공간이 없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pa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wall of the sorting devic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고안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는 분리수거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분리수거기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판; 일측이 상기 상판에 유착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하는 복수의 덮개;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고 비닐을 고정하는 복수의 누름틀;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바(bar)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의 바와 상기 상판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은 상기 비닐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비닐이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에 입구가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상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 separate collector, the separate collector comprising: a body;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 plurality of covers having one side adhered to the upper plate and opened and closed in a one-touch manner, coupled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inside the body; a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coup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od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vers and fixing the vinyl; a wheel part including at least one wheel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 handl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and including a bar;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form the plurality of spaces, wherein when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bar of the handle and the upp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Each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lastic inlet is surround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so that the vinyl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은, 상기 상판에 유착된 면에 스프링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부에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pring fixing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spring on a surface adhered to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includes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and a second spring fixing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ring, the spring being fixed to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and the second spring fixing part, and the cover is elastic of the spring is configured to open.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을 상하에서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돌기와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capable of fix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from above and below are formed inside the body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복수의 누름틀을 고정하도록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누름틀을 고정하도록 돌출된 형상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of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shap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to fix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has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It has a shape protruding to fix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pressing frame.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하판으로의 방향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과 수직 하도록 형성 돌기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of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formed in a triangular protrusion shape with an area decreasing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is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It is a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 공간은 통해 상기 손잡이의 바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아치(arch) 형상이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body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bar sp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and the bar space has an arch shape formed so that the bar of the handle is exposed through the bar space.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손잡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andle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C" shape further includ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nd one side of the body has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first end. It includes a formed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second end.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고정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수단을 수용하여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은 상기 고정 수단 및 상기 수용부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가능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protrusion-shaped fixing means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and the upper plate is the fixing mea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and an accommodating part configured to receive and fix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each of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one-touch manner using the fixing means and the accommodating par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형상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이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of the bod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몸체의 형상은, 상기 상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이 접촉한 벽과 상기 상판과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몸체의 하판과 상기 벽 사이에 제1 거리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이다.In addition, in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is coupled, a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upper pl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is not formed, and the first spac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wall of the body is not formed. To form a distance,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of the body.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복수의 분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3개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included in the body and are configured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into at least three pieces.

또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기의 상기 복수의 분리판은 제1 분리판 및 제2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의 분리판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분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에 의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of the separate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 a first separation plate and a second separation plate, and the body includes a pair of first guides and a single guide capable of fixing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a pair of second guides, wherein the pair of first guides and the pair of second guide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paration plate is fixed by the pair of first guides, , the second separation plate is fixed by the pair of second guides.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장치는 재활용 분리 쓰레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복수의 분리 쓰레기통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분리수거 장치만을 사용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and disposing of recyclable garbage by using only on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separate garbage bins to correspond to the types of recycling separated garbage .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복수의 재활용 쓰레기통을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moving a plurality of recycling bins at onc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재활용마다 쓰레기 비닐을 벌리지 않고도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뚜껑이 쉽게 열고 닫힐 수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cycling garbag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garbage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in which the lid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garbage can be separated and disposed without opening the plastic waste for each recycling.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통에 담을 때 하나씩 꺼내어 담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of solving the inconvenient problem of having to take out the separated recycling waste one by one when putting them in the container.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재활용 쓰레기가 담겨있는 비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that the vinyl containing the recycled wast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는 분리수거기가 벽에 밀착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n effect that the separation collector can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이 장착된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손잡이가 장착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누름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덮개가 포함된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arbage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A and 3B are views showing the inside of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C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garbage collection machine equipped with a separation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3d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andle of the garbage sor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4 is a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late of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the pressing frame of the garbage separation and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late including the cover of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or step.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도 1 및 도 2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recycling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는, 몸체(10), 상판(20), 하판(30), 바퀴부(40), 및 손잡이(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recycling waste separator 1 includes a body 10 , an upper plate 20 , a lower plate 30 , a wheel part 40 , and a handle 50 .

몸체(10)의, 상부에는 착탈 가능한 상판(20)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하판(30)이 결합되고, 몸체(10)의 내부에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가 저장될 수 있다. 몸체(10)의 내부는 2개의 분리판(61, 62, 도 3d 참조)을 포함하여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공간의 개수에 대응하는 종류의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다.The detachable upper plate 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 the lower plate 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separated recycling waste can be stored in the body 10 . The interior of the body 10 can be divided into three spaces including two separation plates 61 and 62 (see FIG. 3D ), and the type of separated recycling wast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parated spaces can be accommodated. there is.

몸체(10)의 후면(11)의 상부에는 손잡이(50)의 바(bar, 50c)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 손잡이(50)가 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50)의 바(50c)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 공간(111)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바 공간(111)에 노출된 손잡이의 바를 잡을 수 있다. 사용자는 바(50c)를 잡아 올려 몸체(10)로부터 바(50c)를 끌어 올리거나 올라온 바(50c)를 몸체(10)로 밀어 넣을 수 있다.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1 of the body 10, the user handle 5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50c of the handle 50, and the bar of the handle 50 ( 50c) and a bar space 111 formed to hold it. The user may hold the bar of the handle exposed in the bar space 111 . The user may pull up the bar 50c and pull up the bar 50c from the body 10 or push the raised bar 50c into the body 10 .

바 공간(111)은 아치(arch) 형상 일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삼각형 등 손잡이의 바를 잡을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bar space 111 may have an arch shape,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the shape includes a space for holding the bar of the handle, such as a square triangle.

몸체(10)의 가로 길이는 569.9mm, 세로 길이는 279.7mm, 높이는 500mm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dy 10 may have a horizontal length of 569.9 mm, a vertical length of 279.7 mm, and a height of 500 mm,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몸체(10)의 형상은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에 상판(20)이 결합된 상태로 쓰레기 분리수거기(1)가 지면(G)과 수직인 벽(W)에 접촉하면서 세워진 경우, 상판(20)의 일 면과 벽(W)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위해 몸체(10)의 형상은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쓰레기 분리수거기(1)가 벽(W)에 밀착하여 세워진 경우 하판(30)과 벽(W) 사이에는 제1 거리(d)가 형성되도록, 몸체(10)의 형상은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body 10 may be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20 to the lower plate 30 . For example, when the garbage collector 1 is erected while contacting the wall W perpendicular to the ground G with the top plate 20 coupled to the body 10, one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nd In order not to form a space between the walls W, the shape of the body 10 may be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20 to the lower plate 30 .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body 10 is such that a first distance 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late 30 and the wall W when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1 is erec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W. )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30 may be narrow in width.

따라서, 쓰레기 분리수거기(1)가 벽(W)에 세워진 경우 쓰레기 분리수거기(1)와 벽(W)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쓰레기가 분리수거기(1)와 벽(W) 사이로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waste separation machine 1 is erected on the wall W, a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1 and the wall W, so that the garbage does not fall between the garbage collection machine 1 and the wall W. It works.

상판(20)에는 3개의 덮개(21a, 21b, 21c)가 결합된다. 3개의 덮개(21a, 21b, 21c) 중 제1 덮개(21a)만 열려 금속 재활용 쓰레기를 몸체(10)에 넣을 수 있다. 또는 3개의 덮개(21a, 21b, 21c) 중 제2 덮개(21b)만 열려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를 몸체(10)에 넣을 수 있다. 또는, 3개의 덮개(21a, 21b, 21c) 중 제3 덮개(21c)만 열려 유리 재활용 쓰레기를 몸체(10)에 넣을 수 있다.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are coupled to the upper plate 20 . Of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only the first cover 21a is opened to put metal recycling waste into the body 10 . Alternatively, only the second cover 21b of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can be opened to put the plastic recycling waste into the body 10 . Alternatively, only the third cover 21c of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can be opened to put the glass recycling waste into the body 10 .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되는 쓰레기를 금속 재활용 쓰레기,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 및 유리 재활용 쓰레기만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개의 덮개(21a, 21b, 21c)가 열리는 구조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parated wastes are described only as metal recycling waste, plastic recycling waste, and glass recycling waste,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are open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하판(30)은 후면(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바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plate 30 may include a wheel part 40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11 .

바퀴부(40)는 제1 바퀴(41a) 및 제2 바퀴(42b)를 포함하고,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손잡이(50)를 이용하여 몸체(10)를 이동 방향으로 기울임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하판은 떨어지게 되고 바퀴부(40)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지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바퀴부(40)를 이용하여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wheel part 40 includes a first wheel 41a and a second wheel 42b, and allows the recycling waste separation machine 1 to be moved. As the user tilts the body 10 in the moving direction by using the handle 50 , the lower plate falls from the ground and the wheel part 40 supports the recycling waste sorter 1 . Thereafter, the user may move the recycling waste sorting machine 1 in a desired direction by using the wheel part 40 .

제1 바퀴(41a) 및 제2 바퀴(42b)의 지름은 45mm, 지면에 닿는 부분의 폭은 36mm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ameter of the first wheel 41a and the second wheel 42b may be 45 mm, and the width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36 mm,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퀴부(40)에 포함된 바퀴를 2개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퀴부(40)는 2개 이상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wo wheels included in the wheel part 40 have been described,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heel part 40 may include two or more wheels.

손잡이(50)는 2개의 단부(101a, 101b)와 2개의 단부(101a, 101b)보다 좁은 바(bar, 50c)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50)가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에 밀어 넣어진 경우, 바(50c)는, 바(50c)와 상판(20)이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50 may be formed to include two ends 101a and 101b and a bar 50c narrower than the two ends 101a and 101b. When the handle 50 is pushed into the recycling waste separator 1, the bar 50c may be formed so that the bar 50c and the upper plate 20 are integrated.

손잡이(50)는 몸체(10)의 내부, 후면(11) 안쪽에 배치되어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이동하기 위해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이동하여 분리된 쓰레기를 버릴 경우에 몸체(10)로부터 손잡이(50)를 뽑아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를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5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The handle 5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the back 11 and may protrude to move the recycling waste sorter 1 . When the user disposes the separated waste by moving the recycling waste sorter 1 , the user can move the recycling waste sorter 1 by pulling the handle 50 from the body 10 .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handle 5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cycling waste sort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몸체(10) 내부에는 제1 분리판(61) 및 제2 분리판(62)이 고정될 수 있다. 몸체(10) 내부는 제1 분리판(61) 및 제2 분리판(62)으로서 3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A to 3C , the first separator 61 and the second separator 62 may be fixed inside the body 10 . The inside of the body 10 may be divided into three spaces as the first separating plate 61 and the second separating plate 62 ,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분리판(61)은 몸체(10)를 구성하는 4개의 측벽 중 적어도 2개의 측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1021)로써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separating plate 61 may be fixed by a pair of first guides 1021 positioned on at least two of the four sidewalls constituting the body 10 .

한 쌍의 제1가이드(1021)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서브 가이드(1021a)와 제2 서브 가이드(102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서브 가이드(102a)와 제2 서브 가이드(102b) 사이에 제1 분리판(61)을 끼워 넣어 고정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guides 1021 may include a first sub-guide 1021a and a second sub-guide 102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sub-guide 102a and the second sub-guide 102b. The first separation plate 61 may be inserted therebetween to be fixed.

제1 서브 가이드(1021a)와 제2 서브 가이드(1021b)는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분리판(61)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first sub-guide 1021a and the second sub-guide 1021b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protrusion shape in which the area de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20 to the lower plate 30,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61),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fixed.

제1 분리판(61)은 제1 덮개(21a) 및 제2 덮개(21b)에 대응하여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2개로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parating plate 61 is configured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 into two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ver 21a and the second cover 21b,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

제2 분리판(62)은 몸체(10)를 구성하는 4개의 측벽 중 적어도 2개의 측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1022)로써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separator 62 may be fixed by a pair of second guides 1022 positioned on at least two of the four sidewalls constituting the body 10 .

한 쌍의 제2가이드(1022)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3 서브 가이드(1022a)와 제4 서브 가이드(102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서브 가이드(1022a)와 제4 서브 가이드(1022b) 사이에 제2 분리판(62)을 끼워 넣어 고정될 수 있다. The pair of second guides 1022 may include a third sub-guide 1022a and a fourth sub-guide 1021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hird sub-guide 1022a and the fourth sub-guide 1022b. The second separation plate 62 may be inserted therebetween to be fixed.

제3서브 가이드(1022a)와 제4 서브 가이드(1021b)는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분리판(62)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third sub-guide 1022a and the fourth sub-guide 1021b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protrusion shape in which the area de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20 to the lower plate 30,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62),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fixed.

제2 분리판(61)은 제2 덮개(21b) 및 제3 덮개(21c)에 대응하여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2개로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ng plate 61 is configured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 into two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ver 21b and the third cover 21c,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

또한, 몸체(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capable of fixing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23a , 23b and 23c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10 .

복수의 제1 돌기(130a)는 몸체(10) 내부에서 몸체(1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돌기(103a)는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을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의 상부에서 고정하도록 돌출 형상이다. 복수의 제1 돌기(103a)는 복수의 제2 돌기(103b)와 수직 하도록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과 수평인 돌기 형상으로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0a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body 10 inside the body 10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have a protruding shape so as to fix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23a, 23b, and 23c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23a, 23b, and 23c.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that is horizontal to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23a, 23b, and 23c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복수의 제2 돌기(103b)는 복수의 제1 돌기(130a)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 하부에서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돌기(103b)는 상판(20)으로부터 하판(30) 방향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을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 하부에서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0a, and are formed to protrude to be fixed under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23a, 23b, and 23c.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protrusion shape whose area decreases from the upper plate 20 to the lower plate 30,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y shape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fixed under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23a, 23b, and 23c.

따라서, 복수의 누름틀(23a, 23b, 23c)은 복수의 제1 돌기(130a)와 복수의 제2 돌기(130b)사이에 끼움 고정된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23a, 23b, 23c) is fix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130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130b).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제1 돌기(130a)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돌기(130b)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제2 돌기(130b)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1 돌기(130a)가 배치될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30b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0a,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30b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0a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

이하, 도 3d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의 손잡이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D, the handle of the recycling waste sor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d를 참조하면, 손잡이(50)는 2개의 단부(50a, 50b)와 2개의 단부(50a, 50b)보다 짧은 바(bar, 50c)를 포함하여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D , the handle 50 is formed in a “c” shape including two ends 50a and 50b and a bar 50c shorter than the two ends 50a and 50b.

또한, 후면(11)에 대응하는 몸체(10) 내부의 일 측면에는 2개의 단부(50a, 50b) 중 대응하는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를 포함한다. 2개의 단부(50a, 50b) 각각은 제1 수용부(101a)와 제2 수용부(101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손잡이(50)는 몸체(10)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거나 몸체(10)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accommodating part 101a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01b that can accommodate a corresponding one of the two ends 50a and 50b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11 ) includes Each of the two ends 50a and 5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01a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01b in a sliding manner, and the handle 5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10 or It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10 .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0)의 바를 당겨 몸체(10)로부터 손잡이(50)를 뽑아 내거나 상판(20)의 모서리와 일체가 되도록 집어넣을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pull the bar of the handle 50 to pull out the handle 50 from the body 10 or put it in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edge of the upper plate 20 .

손잡이(50)의 바의 상부 형상은, 상판(20)의 테두리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50)를 몸체(10)에 완전히 집어넣으면 바(50c)는 상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몸체(1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사용자는 바 공간(111)을 통해 손잡이(50)를 몸체(10)로부터 뽑을 수 있다.The upper shape of the bar of the handle 5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edge of the upper plate 20 . Accordingly, when the handle 5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ody 10 , the bar 50c can form the rim of the body 10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plate 20 (see FIG. 2 ). The user may pull out the handle 50 from the body 10 through the bar space 111 .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의 상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pper structure of the recycling waste sor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기(1)의 상부에는 상판(20)이 결합되고 상판(20)에는 3개의 덮개(21a, 21b, 21c)가 결합된다. The upper plate 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cycling waste separator 1, and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are coupled to the top plate 20.

3개의 덮개(21a, 21b, 21c) 각각의 일면은 상판(20)에 유착되고, 3개의 덮개(21a, 21b, 21c) 각각과 상판(20) 사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스프링(223a, 223b)의 탄성을 이용하여, 3개의 덮개(21a, 21b, 21c) 각각은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One surface of each of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20, and two springs 223a and 223b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and the upper plate 20, respectively. ), each of the three covers 21a, 21b, and 21c can be opened or closed in a one-touch manner.

제1 덮개(21a)는 제1 스프링(223a)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제1 스프링 고정부(211a)와 제2 스프링(223b)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제2 스프링 고정부(211b)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223a)과 제2 스프링(223b)은 각각 일단과 타단을 포함하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cover 21a includes a first spring fixing part 211a having a groove formed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first spring 223a and a second grooved portion being formed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second spring 223b. It includes a spring fixing portion (211b). The first spring 223a and the second spring 223b may be torsion springs includ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덮개(21a)는,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유착되는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덮개(21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 수단(212)을 포함한다. The first cover 21a includes fixing means 212 formed to fix the first cover 21a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ver 21a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20 .

상판(20)은 제1 덮개(21a)의 고정 수단(21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수용부(222), 제1 스프링(223a)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3 스프링 고정부(221a), 및 제2 스프링(223b)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4 스프링 고정부(221b)를 포함한다.The upper plate 2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22 configured to fix the fixing means 212 of the first cover 21a, a third spring fixing portion 221a capable of receiv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spring 223a, and and a fourth spring fixing part 221b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pring 223b.

고정 수단(212)과 수용부(222)는 사용자가 제1 덮개(21a)를 한 번 누를 때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고정되고 다시 제1 덮개(21a)를 누르면 상판(20)으로부터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유착된 상태로 열릴 수 있는 원터치(one-touch) 잠금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ver 21a once, the first cover 21a is fixed to the top plate 20,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ver 21a again, the fixing means 212 and the receiving part 222 are the top plate ( 20), a one-touch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21a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20 may be formed.

이러한 원터치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제1 덮개(21a)를 한 번 누를 때 제1 덮개(21a)가 상판(20)에 고정되고 다시 제1 덮개(21a)를 누르면 상판(20)으로부터 제1 덮개(21a)가 상판(20)의 일측에 유착된 상태로 열릴 수 있는 잠금 장치이다.In this one-touch locking device,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ver 21a once, the first cover 21a is fixed to the top plate 20 and when the first cover 21a is pressed again, the first cover from the top plate 20 (21a) is a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in a state of adhesion to one side of the upper plate (20).

도 6을 참조하면, 상판(20)과 몸체(10) 사이에 제1 누름틀(23a), 제2 누름틀(23b), 및 제3 누름틀(23c)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누름틀(23a), 제2 누름틀(23b), 및 제3 누름틀(23c) 각각은 분리수거 비닐(미도시)이 몸체(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몸체(10)와 상판(20) 사이에서, 몸체(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first press frame 23a , a second press frame 23b , and a third press frame 23c may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20 and the body 10 . Each of the first press frame 23a, the second press frame 23b, and the third press frame 23c has the body 10 and the upper plate so that the plastic for separate collection (not shown)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 Between (20), it can be mounted inside the body (10).

제1 누름틀(23a)은 몸체(10)의 내부 일 측벽과 제1 분리판(61)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제1 수용부(101a)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누름틀(23a)은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누름틀(23a)에는 분리수거 비닐(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누름틀(23a)에 분리수거 비닐의 입구가 둘러싸인 상태로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누름틀(23a)에 대응하는 입구에 해당하는 분리 쓰레기를 넣을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frame 23a is disposed between one inner sidewall of the body 10 and the first separating plate 61 and a first hole h1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receiving part 101a i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can be The first pressing frame 23a may be fixed by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A separate collection vinyl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first pressing frame 23a. That is, it may be fixed by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separate collection vinyl is surrounded by the first pressing frame 23a. Accordingly, the user can put the separated garbage corresponding to the inl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essing frame (23a).

제2 누름틀(23b)은 몸체(10)의 내부에서 제1 분리판(61)과 제2 분리판(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누름틀(23b)은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누름틀(23b)에는 분리수거 비닐(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누름틀(23b)에 분리수거 비닐의 입구가 둘러싸인 상태로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누름틀(23b)에 대응하는 입구에 해당하는 분리 쓰레기를 넣을 수 있다.The second pressing frame 23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plate 61 and the second separating plate 62 inside the body 10 . The second pressing frame 23b may be fixed by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A separate collection vinyl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second pressing frame 23b. That is, it may be fixed by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separate collection vinyl is surrounded by the second pressing frame 23b. Accordingly, the user can put the separated garbage corresponding to the inle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essing frame (23b).

제3 누름틀(23c)은 몸체(10)의 내부에서 제2 분리판(62)과 은 몸체(10)의 내부 타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제2 수용부(101b)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누름틀(23c)은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3 누름틀(23c)에는 분리수거 비닐(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3 누름틀(23c)에 분리수거 비닐의 입구가 둘러싸인 상태로 복수의 제1 돌기(103a)와 복수의 제2 돌기(10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누름틀(23c)에 대응하는 입구에 해당하는 분리 쓰레기를 넣을 수 있다.The third pressing frame 23c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parating plate 62 and the other inner side wall of the silver body 10 in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one surface that can accommodate the second receiving part 101b A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The third pressing frame 23c may be fixed by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A separate collection vinyl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third pressing frame 23c. That is, it may be fixed by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3b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separate collection vinyl is surrounded by the third pressing frame 23c. Accordingly, the user can put the separated garbage corresponding to the inle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ressing frame (23c).

도 7을 참조하면, 수용부(222)에 대응하는 제1 덮개(21a)의 상부 면에 제2 버튼(211a)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제2 버튼(211a)을 눌러 원터치 방식으로, 제1 덮개(21a)를 상판(20)에 고정하거나 제1 덮개(21a)가 상판(20)으로부터 열리게 할 수 있다.7, the second button 21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21a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art 222, and the user presses the second button 211a in a one-touch manner. The first cover 21a may be fixed to the upper plate 20 or the first cover 21a may be opened from the upper plate 20 .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덮개(21b)와 제3 덮개(21c)가 상판(20)의 일측과 유착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4개의 스프링 고정부, 고정 수단, 수용부, 제1 스프링 고정부, 1쌍의 스프링, 및 제2 스프링 고정부 등은 제1 덮개(21a)의 개폐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하고 이러한 구성요소에 의해 제2 덮개(21b) 또한 원터치 방식의 잠금 장치를 형성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 the second cover 21b and the third cover 21c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upper plate 20, four spring fixing parts, fixing means, receiving part, the first The spring fixing part, the pair of springs, and the second spring fixing part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cover 21a, and by these components, the second cover 21b is also a one-touch locking device. ,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제2 덮개(21b) 또한 제2 버튼(211b)을 눌러 원터치 방식으로 제2 덮개(21b)의 개폐가 제어된다. Accordingly,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cover 21b is controlled in a one-touch manner by pressing the second cover 21b and the second button 211b.

제2 덮개(21b) 및 제3 덮개(21c)의 형상 및 제2 덮개(21b) 및 제3 덮개(21c)가 상판(20)에 고정되어 원터치 장금 장치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제1 덮개(21a)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of the second cover 21b and the third cover 21c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cover 21b and the third cover 21c are fixed to the top plate 20 to form a one-touch locking device are shown in the first cover ( 21a) Si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
20: 상판
30: 하판
40: 바퀴부
50: 손잡이
10: body
20: top plate
30: lower plate
40: wheel part
50: handle

Claims (12)

분리수거기로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판;
일측이 상기 상판에 유착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하는 복수의 덮개;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고 비닐을 고정하는 복수의 누름틀;
상기 몸체의 하부 측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바(bar)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결합하는 복수의 분리판
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손잡이의 바와 상기 상판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은 상기 비닐이 상기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비닐이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에 입구가 둘러싸인 상태로 상기 상판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은, 상기 상판에 유착된 면에 스프링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제2 스프링 고정부에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분리수거기.
As a separator,
body;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 plurality of covers having one side adhered to the upper plate and opened and closed in a one-touch manner, coupled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inside the body;
a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coup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od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vers and fixing the vinyl;
a wheel part including at least one wheel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 handl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and including a bar; and
A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to form the plurality of spaces
including,
When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bar of the handle and the upper plate are integrally formed,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vinyl is surrounded by an inl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so that the vinyl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includes a first spring fixing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spring on the surface adhered to the upper plate,
The upper plate includes a second spring fixing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The spring is fixed to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and the second spring fixing part,
and the cover is configured to be op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을 상하에서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돌기와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되는, 분리수거기.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body,
A separate collection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re formed, each capable of fix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ing frames from above and below.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복수의 누름틀을 고정하도록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누름틀 각각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누름틀을 고정하도록 돌출된 형상인, 분리수거기.
4. 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has a shape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to fix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is formed from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 frames. Separation collector, which is a shape that protrudes to fix the pressing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으로의 방향으로 면적이 줄어드는 삼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돌기 각각과 수직 하도록 형성 돌기인, 분리수거기.
5. The method of claim 4,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is formed in a triangular protrusion shape whose area is reduced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of the body,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is a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 separate col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 공간은 통해 상기 손잡이의 바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아치(arch) 형상인, 분리수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ide of the body includes a bar sp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The bar space has an arch shape formed so that the bar of the handle is exposed through the bar sp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더 포함하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몸체 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분리수거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andle is a "C" shape further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nd a first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first end,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second end, on one side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은, 상기 제1 스프링 고정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고정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수단을 수용하여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덮개 각각은 상기 고정 수단 및 상기 수용부를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가능한, 분리수거기.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includes a protrusion-shaped fixing means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spring fixing part,
The upper plat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the fixing mea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ans to fix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Each of the plurality of covers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one-touch manner using the fixing means and the accommodating part, a separate collection mach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형상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인, 분리수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of the body i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of the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형상은,
상기 상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이 접촉한 벽과 상기 상판과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몸체의 하판과 상기 벽 사이에 제1 거리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판 방향으로 넓이가 좁아지는 형상인, 분리수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ape of the body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is coupled, a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upper pl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is not formed, and a first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late of the body and the wall, the width from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narrower, the separa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3개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수거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are included in the body and are configured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into at least three pie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판은 제1 분리판 및 제2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의 분리판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분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에 의해 고정되는, 분리수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separators includes a first separator and a second separator,
The body includes a pair of first guides and a pair of second guides capable of fixing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The pair of first guides and the pair of second guides ar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The first separation plate is fixed by the pair of first guides,
and the second separator is fixed by the pair of second guides.
KR2020200004014U 2020-11-06 2020-11-06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KR2004951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14U KR200495128Y1 (en) 2020-11-06 2020-11-06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14U KR200495128Y1 (en) 2020-11-06 2020-11-06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28Y1 true KR200495128Y1 (en) 2022-03-11

Family

ID=8081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014U KR200495128Y1 (en) 2020-11-06 2020-11-06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28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421U (en) * 1993-09-08 1995-08-22 株式会社ヨシカワ Garbage can
KR200492458Y1 (en) * 2019-06-14 2020-10-20 박기운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421U (en) * 1993-09-08 1995-08-22 株式会社ヨシカワ Garbage can
KR200492458Y1 (en) * 2019-06-14 2020-10-20 박기운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458Y1 (en)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KR200495128Y1 (en) Separator for recyclable waste
US5836470A (en) Trash receptacle with expandable rim
WO2007000791A1 (en) Domestic bin for separate collection of rubbish
KR101954157B1 (en) A recycling bin
KR101848444B1 (en) Press type wastebasket
KR200464070Y1 (en) Apparatus for locking up a waste container
KR101666756B1 (en) Collection box for recycle wastes
JP3113473U (en) Separable storage box
CN211618850U (en) Garbage can convenient and fast to use
JPH11208804A (en) Refuse classifying and collection device
JPH09278110A (en) Trash box serving also as tissue paper case
KR200441166Y1 (en) Refuse receptacle
KR200350056Y1 (en) a garbage-bucket for a public
JPH0867301A (en) Trashbox
KR102371955B1 (en) Dustpan with easy discharging tool
KR102659695B1 (en) Multi-functional trash receipt
KR20080007761A (en) Trash can
CN219619628U (en) Container for storage
CN213863757U (en) Household classification garbage can
CN216104012U (en) Intelligent garbage can
KR101864994B1 (en) paper shredder with supply type trash envelope
CN211767958U (en) Classification garbage can
KR200389915Y1 (en) a wastebasket
JP3026063B2 (en) Sorting trash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