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63Y1 - Beverage extractor - Google Patents

Beverage ex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63Y1
KR200494663Y1 KR2020190002600U KR20190002600U KR200494663Y1 KR 200494663 Y1 KR200494663 Y1 KR 200494663Y1 KR 2020190002600 U KR2020190002600 U KR 2020190002600U KR 20190002600 U KR20190002600 U KR 20190002600U KR 200494663 Y1 KR200494663 Y1 KR 200494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
extract
extraction devic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6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2263U (en
Inventor
문상원
김정규
박민영
황나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엘에스
Priority to CN201921429850.8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1484078U/en
Publication of KR20200002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3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siphon in the water heat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6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a sealed water boiling vessel in which the steam pressure urges the hot water through a ris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상측에 주입구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트;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포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열부; 및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에 다수 형성되는 여과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nd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ort on the upper side, and a por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heat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 heating part disposed under the port for the purpose; and a receiving container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xtract, and an extra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form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Description

음료 추출장치 {BEVERAGE EXTRACTOR}Beverage extractor {BEVERAGE EXTRACTOR}

본 고안은 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 추출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a beverage extract according to a user's taste.

기호 음료용 피추출물의 일례로 커피는 인스턴트(Instant)커피와 원두커피로 구분되는데, 인스턴트 커피의 경우에는 원두를 볶아서 분쇄한 후, 이를 추출하고 추출된 커피액을 농축시켜 수분을 탈취한 다음, 건조과정에 따라 분말타입 혹은 입자타입으로 가공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일컬으며, 원두커피의 경우에는 커피 원두를 건조하여 볶아놓은 상태로 유통시키고 사용자가 직접 분쇄하고 추출하는 가공공정을 거쳐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As an example of an extract for a favorite beverage, coffee is divided into instant coffee and coffee beans. It refers to a product that is processed into powder or particle type depending on the drying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drink it immediately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processing process. It refers to a product made to be drinkable through a processing process of grinding and extraction.

원두커피를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에서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두를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해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만들거나, 만들어진 분말상태의 원두커피를 여과장치인 추출장치에 투입하여 커피 액을 추출한다.If you want to drink coffee beans at home or in a general office, grind the coffee beans using a separate grinding device to make it into a powder state, or put the powdered coffee beans into an extraction device, which is a filtering device,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이러한 추출장치는 종래 '커피 메이커'라는 제품명으로 알려진 여과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보통 여과용기에 여과지를 댄 상태로 원두커피 분말을 담고, 그 하부에 추출용기를 설치하여 데운 물을 여과용기에 부어 커피 액을 추출하는 일회용 추출장치와, 추출용기의 하부에 히팅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기를 일체로 구성하고, 추출용기의 내부에는 여과용기를 설치하여 원두커피를 담은 후, 추출용기 내부에서 물을 끓여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원두커피의 커피액을 추출하는 비교적 큰 용량의 추출장치가 알려져 있다. Such an extraction device uses a conventional filtration device known as a 'coffee maker', which usually contains ground coffee powder with a filter paper applied to the filter container, installs an extraction container at the lower part of it, and pours heated water into the filter container. A disposabl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liquid and a power supply including a heating unit at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container are integrally configured, and a filtration container is installed inside the extraction container to contain coffee beans, and then water is drained from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container. A relatively large-capacity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of coffee beans by steam generated by boiling is known.

최근에는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즐기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취향이 서로 달라 농도가 진한 음료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농도가 연한 음료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농도의 음료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beverages such as coffee or tea is increasing, and there are people who prefer strong drinks because people have different tastes, while there are many people who prefer soft drinks, It is required to manufacture beverages of various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aste.

하지만, 종래의 추출장치는 물이 원두커피 분말을 1회만 통과하여 음료가 추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ground coffee powder only o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of coffee can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1482호(2006.03.08)Patent Literature 1.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06-0021482 (2006.03.08)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9528호(2017.04.12)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19528 (2017.04.12)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 추출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또한, 물이 피추출물을 통과하는 길이와 시간을 연장하여 더욱 깊은맛의 음료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beverage extract with a deeper taste by extending the length and time for water to pass through the extract.

또한, 여과부 내에 피추출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필터부를 배치하여 음료 추출액에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ediment in the beverage extract by disposing a filter unit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extract in the filtration unit.

또한, 중공관의 상단에 물의 토출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물이 피추출물을 골고루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dispers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water in various directions at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the extract evenly.

또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제1추출유닛과 차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제2추출유닛을 선택적으로 포트의 내부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installing a first extraction unit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capable of extracting a tea beverage in the inner space of the pot.

또한, 히팅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피추출물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supply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heating space.

또한, 수용공간 내에 추출액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품질의 음료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beverage extract of a certain quality by preventing the extract from remaining in the receiving space.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측에 주입구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트;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포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열부; 및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에 다수 형성되는 여과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음료 추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jection 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 por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wealth; And a receiving container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xtract, and an extraction unit including a filtration hol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receiving container,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발열부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히팅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포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대;와, 상기 히팅공간과 연통하는 수직방향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연결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에 다수 형성되는 여과구멍을 포함하는 여과부;가 마련된 제1추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xtra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heating space in which water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port;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o form a vertical movemen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heating space. A hollow tube connected to; and a container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n extract therein is provided, and a filt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formed in th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extraction unit provided with;

또한, 상기 수용용기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eiving container is preferably made in the shape of a funnel having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또한, 상기 여과부는, 분말 형태의 피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용기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provided with relatively smaller pores than the extract in powder form and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또한, 상기 중공관의 상단에는 상기 중공관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용용기의 상측 개구를 향해 안내하는 토출안내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guide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toward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토출안내부는 상기 중공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안내판과,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판과 중공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guid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guid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and a connect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connecting the guide plate and the hollow tube.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 coil spring.

또한, 상기 안내판의 저면에는 호형의 안내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rc-shaped guide groov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여과망이 마련된 제2추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추출유닛과 제2추출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 second extraction unit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a filtration network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ract therein, and any on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is optional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 It is preferable to be placed as

또한, 상기 포트의 주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 closing the inlet of the port.

또한, 상기 마개에는 개구홀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홀은 보조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hole is provided in the stopper, and the opening hole is closed by an auxiliary stopper.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여과망이 마련된 제2추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개구홀에 안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 second extraction unit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a filtering net for accommodating an extract therein, and an upper edge of the filtering net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opening hole.

또한, 상기 여과망의 상단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ltering net.

또한,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부의 발열온도와 발열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포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heating temperature and a heating time of the heating unit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and a main bod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수용용기는 다수의 여과구멍이 마련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의 하단을 중공관에 고정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멍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eiving container includes a filtration filt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and a lower frame for fixing a lower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to a hollow tub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또한, 상기 여과필터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ing filter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form of a funnel having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과 상기 히팅공간을 연결하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connecting the inner space of the port and the heating space.

또한, 상기 통공은 다수 마련되고, 상기 중공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through-holes are provided and arranged in rotationally symmetrical form with the hollow tube as the center.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 추출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또한, 물이 피추출물을 통과하는 길이와 시간을 연장하여 더욱 깊은맛의 음료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beverage extract with a deeper taste by extending the length and time for water to pass through the extract.

또한, 여과부 내에 피추출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필터부를 배치하여 음료 추출액에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ediment in the beverage extract by disposing a filter unit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extract in the filtration unit.

또한, 중공관의 상단에 물의 토출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켜 물이 피추출물을 골고루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dispers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water in various directions at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the extract evenly.

또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제1추출유닛과 차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제2추출유닛을 선택적으로 포트의 내부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installing a first extraction unit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capable of extracting a tea beverage in the inner space of the pot.

또한, 히팅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피추출물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supply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to an extract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heating space.

또한, 수용공간 내에 추출액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품질의 음료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beverage extract of a certain quality by preventing the extract from remaining in the receiving space.

도 1은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발췌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1추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2추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추출유닛의 발췌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부분 확대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extraction device,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extraction device,
8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 8,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10 .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발췌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1추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2추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ract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sign beverage extraction devic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는 추출부, 포트(10), 발열부(20), 마개(30) 및 본체(40)를 포함한다.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es an extraction unit, a port 10, a heating unit 20, a stopper 30 and a body 40.

상기 추출부는 드립 브류(Drip brew)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제1추출유닛(100)과, 끓는 물에 차 원료를 담가 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제2추출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는 상기 제1추출유닛(100)과 제2추출유닛(2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 first extraction unit 100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in a drip brew method, and a second extraction unit 200 capable of extracting tea components by immersing tea raw materials in boiling water, , any on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may be selective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

상기 제1추출유닛(100)은 지지대(110), 중공관(120), 여과부(130), 토출안내부(140)를 포함한다.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includes a support 110 , a hollow tube 120 , a filtration unit 130 , and a discharge guide unit 140 .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되고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과 접하는 바닥면 상에 안착되며,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오목한 히팅공간(111)이 마련되고, 상기 히팅공간(111)을 둘러싸는 판면에는 히팅공간(111)과 포트(10)의 내부공간(12)을 연결하는 통공(11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10)는 도 4와 같이 포트(10)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저면 테두리가 상기 포트(10)의 바닥면에 밀착됨에 따라 지지대(110)의 저면과 포트(10)의 바닥면 사이에 히팅공간(1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은 상기 지지대(110)의 통공(112)을 통해 히팅공간(111) 내부로 유입된다. The support 11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and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and a concave heating space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1 is provided, and a through hole 112 connecting the heating space 111 and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i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surrounding the heating space 111 . Specifically, in the state that the support 11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as shown in FIG. 4, as the bottom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110 and the port ( 10) to form a heating space 111 between the bottom surfaces. In additio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111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the support 1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공(112)은 하나만 형성되었으나 복수 개로 형성이 가능하며, 통공(112)의 직경과 형성 위치는 지지대(11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lthough only one through hole 112 is 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and the diameter and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1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support 110 .

상기 중공관(120)은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 내에서 수직방향 이동통로(121)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관(120)의 하단부는 상기 이동통로(121)의 하단이 상기 히팅공간(111)과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대(11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The hollow tube 120 forms a vertical movement passage 121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and the low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is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passage 121.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eating space 111 , and the upper end is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inner space 12 .

상기 여과부(13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커피 분말과 같은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31a)이 마련된 수용용기(131)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용용기(131)에는 다수의 여과구멍(131b)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용기(131)는 도 4와 같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용기(131)의 상측 개구는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중공관(12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한편, 음료 추출액에 고형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말 형태의 피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구멍(132a)이 마련된 필터부(132)가 수용용기(131)의 내주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container 131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receiving space 131a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ract such as coffee powder therein, and the receiving container 131 has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131b) are provided.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3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as shown in FIG. 4,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31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solids from flowing into the beverage extract, the filter unit 132 provided with micropores 132a relatively smaller than the extract in powder form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상기 토출안내부(140)는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용용기(131)의 상측 개구를 향해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안내판(141)과,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판(141)과 중공관(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42)는 도 5와 같이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안내판(141)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관(120)과 상기 안내판(141)을 연결하는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내판(141)의 저면에는 호형의 안내홈(141a)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으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안내판(141)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141a)에 의해 수용용기(131)의 상측 개구를 향해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141)은 스프링 형태의 연결부재(142)에 의해 중공관(120)에 연결되어 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수용용기(131)를 향해 흘러내리는 물의 이동 방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안내판(141)을 경유하여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수용용기(131) 내에 수용된 피추출물에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guide unit 140 guides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toward the upper opening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and is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 It includes a guide plate 141 to be disposed, and a connecting member 14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onnecting the guide plate 141 and the hollow tube 120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member 142 includes the hollow tube 120 and the guide plate ( 141) in the form of a spring connecting them. In addition, an arc-shaped guide groove 141a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141 . Accordingly, water discharg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can be made to flow down toward the upper opening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by the guide groove 14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141 . In addition, the guide plate 141 is connected to the hollow tube 120 by a spring-shaped connection member 142 and moves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discharge pressure of water to dispers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ater flowing down toward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Therefore, the water flowing down through the guide plate 141 can be uniformly supplied as a whole to the extrac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상기와 같은 제1추출유닛(100)의 지지대(110), 중공관(120), 여과부(130) 및 토출안내부(140)는 반복 사용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부(132)는 착탈식으로 수용용기(131)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110, the hollow tube 120, the filtration unit 130 and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as described above are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for easy repeated use and wash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unit 132 is detachably dispos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상기 제2추출유닛(200)은 도 1과 같이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10a)이 마련되는 여과망(210)과, 상기 여과망(21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개(30)에 지지되는 돌기부(211)와, 상기 여과망(210)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212)를 포함한다.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has a filtering net 210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n accommodating space 210a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ract therein, as shown in FIG. 1 , and a circumference from the upper edge of the filtering net 210 . It includes a protrusion 211 protruding in the direction and supported by the stopper 30 , and a handle 212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end side of the filtering net 210 .

상기 여과망(2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7과 같이 내부의 수용공간(210a) 내에 수용된 피추출물이 포트(10) 내부공간(12)에 채워진 물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여과망(210)의 상단이 마개(3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단이 포트(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복 사용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tering net 2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s shown in FIG. 7 , so that the extract accommodat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210a can be sufficiently submerg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port 10 inner space 12, the filtering ne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stopper 30, the lower end may be configured at a height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to facilitate repeated use and washing.

상기 포트(10)는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1)가 상측에 마련되고,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2)이 마련된 주전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공간(12)과 접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지지대(110)의 안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착홈(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The port 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kettle having an inlet 11 through which water can be injected and an inner space 12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 seating groove 13 for guid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support 110 may be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10 .

상기 포트(10)의 주입구(11)는 마개(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은 포트(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열부(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The inlet 11 of the port 10 may be sealed by a stopper 30 , and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is a heating part 20 disposed under the port 10 . can be heated by

상기 발열부(20)는 포트(10)의 수용공간(131a)에 수용된 물을 끓이기 위해 상기 포트(10)를 가열하는 것으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함으로써 포트(10)를 가열할 수 있는 전열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열부(20)가 전열히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트(10)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할로겐 램프, 알코올 램프, 가스 버너 등과 같은 다양한 발열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20 heats the port 10 to boil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of the port 10, and the port 10 can be heated by generating heat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It can be made with an electric heater with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generating unit 20 is made of an electric heater and is integrally formed under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 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is not limited thereto. ), a variety of heating devices such as halogen lamps, alcohol lamps, gas burners, etc. that can heat the water contained in it can be applied.

상기 마개(30)의 중앙에는 포트(10)의 내부공간(12)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개구홀(31)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홀(31)에는 상기 제2추출유닛(200)이 안착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홀(31)은 보조마개(3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홀(31)의 내주면에는 단턱부(32)가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제2추출유닛(200)의 여과망(210)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부(211)가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될 수 있다.An opening hole 31 connecting the internal space 12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port 1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topper 30 ,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is seated in the opening hole 31 . may be supported, and the opening hole 31 may be closed by the auxiliary stopper 33 . Specifically, as the stepped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hole 31, the protrusion 211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filtering net 210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can be stably seated and supported. have.

아울러, 상기 제2추출유닛(200)의 여과망(210) 상단 일측에는 제2추출유닛(200)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1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구홀(31)은 상기 여과망(2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마개(3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andle 212 for easily gripping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ltering net 210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and the opening hole 31 is The filter net 210 may be sealed by the auxiliary stopper 33 in the seated state.

상기 포트(10)의 하부에는 포트(10)를 지지하는 동시에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본체(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40)는 상기 발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상기 전원부를 통해 발열부(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부(20)의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40)의 상면에는 상기 발열부(20)와 전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41)가 마련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전원부의 온/오프 제어 및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42)와, 상기 발열부(20)의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A main bod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20 while supporting the port 1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ort 10 . The main body 4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heating unit 20,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and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unit 20.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time. In addition, a connector 41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eating unit 20 and the power sourc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40 , and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on/off control and control signals of the power uni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40 . (42) and a display window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control state of the heating unit 20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본체(40)는 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발열부(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피추출물의 종류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포트(10) 내에 수용된 추출액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40 controls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42, so that the extract accommodated in the port 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ract or the user's taste.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at a constant temperature.

지금부터는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1추출유닛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From now on, the state of us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추출유닛(100)은 제1추출유닛(100)의 여과부(130) 내에 커피 분말을 수용한 상태에서, 포트(10)의 내부공간(12) 내에 배치되어, 끓는 물에 커피 성분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6 ,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includes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t 10 in a state in which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filtration unit 130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 ), so that the coffee component is extracted in boiling water.

구체적으로, 제1추출유닛을 구성하는 지지대(110)는 포트(10)의 안착홈(13)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대(110)와 포트(10)의 바닥면 사이에 마련된 히팅공간(111)은 지지대(110)에 형성된 통공(112)에 의해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과 연통하게 되므로,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이 히팅공간(111)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110 constituting the first extraction uni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3 of the port 10, and a heating space 111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Since i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by the through-hole 112 formed in the support 110 ,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enters the heating space 111 . can flow in smoothly.

중공관(120)은 상기 지지대(11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히팅공간(111)과 포트(10)의 내부공간(12) 상측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이동통로(121)를 형성한다.As the hollow tube 12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the moving passage 121 connecting the heating space 111 and the inner space 12 upper side of the por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여과부(130)의 수용용기(131)는 상측 개구가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중공관(12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또한, 필터부(132)는 상기 수용용기(131)의 내주면에 착탈식으로 배치된다.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of the filtering unit 13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opening is disposed at a position relatively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 In addition, the filter unit 132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131 .

토출안내부(140)의 안내판(141)은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연결부재(142)에 의해 중공관(120)의 상단에 탄력적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142)의 탄성력은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을 통해 토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판(141)이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late 141 of the discharge guide 14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and can be moved elastically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by the connecting member 142. is fixed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142 is preferably set to such a degree that the guide plate 141 can flow left and right by the pressur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

이하에서는,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1추출유닛(1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먼저, 포트(10)의 주입구(11)를 통해 포트(10)의 내부공간(12)으로 적정량의 물을 채우고, 제1추출유닛(100)의 여과부(130)의 수용공간(131a)에 커피 분말과 같은 피추출물을 적정량 공급하고, 제1추출유닛(100)을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배치한 다음, 마개(30)를 이용해 포트(10)의 주입구(11)를 밀폐한다. 한편, 상기 마개(30)의 개구홀(31)은 보조마개(33)에 의해 밀폐된다. First,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filled into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through the inlet 11 of the port 10, an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of the filtration unit 130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An appropriate amount of an extract, such as coffee powder, is supplied,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t 10, and then the inlet 11 of the pot 10 is closed using the stopper 30. sealed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31 of the stopper 30 is closed by the auxiliary stopper (33).

상기 제1추출유닛(100)은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추출유닛(100)의 하단에 위치한 지지대(110)가 포트(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홈(13)에 안착 지지됨에 따라 안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 the support 11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is seate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 As it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groove 13 , a seating position may be guided.

상기와 같이 음료 추출 준비과정이 완료된 이후, 발열부(20)에 전원을 인가하여 포트(10)의 하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면, 히팅공간(111) 내의 물이 끓기 시작하면서 중공관(120)의 이동통로(121)를 따라 상승하여 중공관의 상측으로 토출되고, 토출안내부(140)에 의해 여과부(130)의 수용용기(131) 상측으로 제공된 다음, 여과부(130)를 경유하면서 커피 성분이 추출된 상태로 포트(10)의 내부공간(12)으로 흘러내린다. 또한,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은 지지대(110)의 통공(112)을 통해 히팅공간(11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여과부(130)에 저장된 피추출물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커피 추출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pr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heating unit 20 to supply thermal energ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 10 , the water in the heating space 111 starts to boil and the hollow tube 120 of It rises along the moving passage 121 and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llow tube, provid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of the filter unit 130 by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and then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30 while coffee The component flows down to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in the extracted state. In addition, sinc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flows into the heating space 111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the support 110 , the extract stored in the filter unit 130 is repeatedly washed As it pass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coffee extract.

상기 여과부(130)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20)의 상단으로 토출되는 물은 토출 압력에 의해 토출안내부(140)의 안내판(141)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안내판(141)의 저면에 마련된 호형의 안내홈(141a)에 충돌하면서 주변으로 확산되며, 안내홈(141a)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특히, 상기 안내판(141)은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42)에 의해 중공관(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물의 충돌 압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30, as shown in FIG. 5, the water discharg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is a guide plate 141 of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by the discharge pressure. is discha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and spreads around while colliding with the arc-shaped guide groove 141a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141, and is guid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41a. In particular, the guide plate 14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by a connection member 142 in the form of a spring, and shakes left and right by the impact pressure of water.

따라서, 중공관(12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물은 상기 안내판(141)에 의해 방사상으로 확산 및 이동이 안내되며, 안내판(141)이 흔들리는 과정에서 안내홈(141a)의 각도가 여러 방향으로 변경되므로 상기 안내홈(141a)을 따라 이동하는 물이 수용용기(131)의 상측 개구에 비교적 골고루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is radially diffused and moved by the guide plate 141 is guided, and in the process of the guide plate 141 shaking, the angle of the guide groove 141a is different. direction so that the wat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141a i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nd suppli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31 .

상기와 같이 토출안내부(140)의 안내판(141)을 통해 안내된 물은 여과부(130)의 수용용기(131) 상측 개구를 통해 유입되어 수용공간(131a)에 채워진 피추출물을 통과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guided through the guide plate 141 of the discharge guide 140 flow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of the filtering unit 130 and passes through the extract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

물이 여과부(130)를 통과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여과부(130)로 안내된 물은, 수용용기(131) 상측의 개구를 통해 수용공간(131a)으로 유입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31a) 내에 채워진 피추출물을 통과한 다음, 수용용기(131)의 판면에 형성된 여과구멍(131b)을 통해 수용용기(131) 외부로 배출된다.Looking at the process in which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ing unit 130, the water guided to the filtering unit 130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1a through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and as shown in FIG. Similarly, after passing through the extract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through the filtering hole (131b)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이때, 상기 수용용기(131)의 내주면에 배치된 필터부(132)에는 상기 분말 형태의 피추출물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구멍(132a)들이 다수 형성되므로, 피추출물이 물과 함께 여과구멍(13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음료 추출액에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micropores 132a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extract in the powder form are formed in the filter unit 132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the extract is filtered with water (131b)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d this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ediment in the beverage extract.

상기와 같이 물이 여과부(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피추출물의 성분이 물에 추출됨에 따라 음료 추출액이 제조된다. As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ing unit 130 as described above, as the components of the extract are extracted into the water, a beverage extract is prepared.

한편, 상기 피추출물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31)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물이 피추출물을 통과하는 길이와 시간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깊은맛의 음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receiving container 131 in which the extract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a funnel shap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length and time for water to pass through the extract to prepare a beverage extract with a deep taste.

아울러, 수용용기(131)의 상측 개구로 제공되는 물은 토출안내부(140)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제공되므로, 피추출물의 일부 영역으로만 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provid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1 is provided dispers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passing through only a partial region of the extract.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음료 추출액은 여과부(130)의 하부로 흘러내려 포트(10) 내부공간(12)의 물과 섞임에 따라 농도가 연한 농도의 음료 추출액이 제조된다.The beverage extract prepared as described above flows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unit 130 and mixes with the water of the port 10 internal space 12 to produce a beverage extract having a light concentr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부(20)의 가열을 지속하는 경우, 포트(10) 내부공간(12)의 물이 지지대(110)의 통공(112)을 통해 히팅공간(111)으로 재유입되고, 이동통로(121)를 통해 상부영역으로 토출되어 여과부(130)를 통과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므로, 발열부(20)의 가열 지속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음료 추출액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heating of the heating unit 20 is continued, the water in the port 10 internal space 12 is re-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111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the support 110 and , Since a series of processes of being discharged to the upper region through the moving passage 121 and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unit 130 are repeated,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heating duration of the heating unit 20 .

상기와 같이 음료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에는, 마개(30)의 개구홀(31)을 마감하고 있는 보조마개(33)를 분리하여 상기 포트(10)로부터 제1추출유닛(100)을 인출하거나, 제1추출유닛(100)의 여과부(130)에 피추출물을 더 투입할 수 있다.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topper 33 closing the opening hole 31 of the stopper 30 is removed to withdraw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from the port 10, or The extract may be further added to the filtration unit 130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

다음으로, 본 고안 음료 추출장치에 따른 제2추출유닛(2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ate of use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추출유닛(200)은 여과망(110) 내에 차 원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포트(10)의 내부공간(12) 내에 배치되어, 끓는 물에 차 성분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in a state in which the tea raw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net 110 , and the tea component is extracted into boiling water. can make it happen

구체적으로, 제2추출유닛(200)은 포트(10)의 주입구(11)에 마개(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30)의 개구홀(31)을 통해 포트(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여과망(2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부(211)가 마개(30)의 개구홀(31)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32)에 안착 지지됨에 따라, 제2추출유닛(200)의 삽입 위치가 안내된다. Specifically,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stopper 30 is coupled to the inlet 11 of the port 10, the inside of the port 10 through the opening hole 31 of the stopper 30.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12, and as the protrusion 211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filtering net 21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stepped portion 3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hole 31 of the stopper 30, the second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is guided.

이어, 상기 마개(30)의 개구홀(31)은 보조마개(33)에 의해 마감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망(210)의 상단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212)는 개구홀(31)과 보조마개(33)의 결합면을 통해 마개(3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Then, the opening hole 31 of the stopper 30 may be closed by the auxiliary stopper 33 , and the handle 212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filtering net 210 is the opening hole 31 . and the auxiliary stopper 33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opper 30 through the coupling surface.

상기와 같이, 제2추출유닛(200)의 여과망(210)이 포트(10)의 내부공간(12) 내에 배치되어 여과망(210) 내에 수용된 피추출물이 포트(10) 내부공간(12)의 물에 잠겨진 상태에서, 발열부(20)를 통해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면, 여과망(210)에 수용된 차 원료의 차 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발열부(20)의 온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ing net 210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so that the extract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net 210 is the water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is heated through the heating unit 20 in a state immersed in th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20), various types of tea beverages can be prepared.

여과망(210)에 수용된 차 원료의 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된 이후에는 마개(30)의 개구홀(31)에서 보조마개(33)를 분리한 다음, 손잡이(212)를 이용해 제2추출유닛(200)을 제거함으로써, 차 성분의 과도한 추출을 방지할 수 있다. After the tea component of the tea raw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net 210 is sufficiently extracted, the auxiliary stopper 33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hole 31 of the stopper 30, and then the second extraction unit (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extraction of tea components.

한편, 제2추출유닛(200)을 분리한 뒤에는, 보조마개(33)를 다시 마개(30)의 개구홀(31)에 조립할 수 있으며, 계속해서 발열부(20)의 온도 제어를 통해 포트(10)에 수용된 차 음료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separating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the auxiliary stopper 33 can be reassembled in the opening hole 31 of the stopper 30, and continuously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heat generating unit 20, the port ( The temperature of the tea beverage accommodated in 10) can be properly maintain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제1추출유닛(100)과 차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제2추출유닛(200)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음료의 종류에 맞는 추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음료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200 capable of extracting tea beverages are selectively selec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t 10 . Because it can be arranged as a , it is possible to select an extraction method suitable for the type of beverage,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rovide various types of beverages.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추출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추출유닛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1추출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부분 확대도이다.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8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shown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10 .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추출유닛(100')은, 지지대(110'), 중공관(120), 여과부(130') 및 토출안내부(140)를 포함한다.The first extraction unit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 to 11 is a support 110 ′, a hollow tube 120 , a filter unit 130 ′, and a discharge guide unit ( 140).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되고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과 접하는 바닥면 상에 안착되며, 상기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오목한 히팅공간(111)이 마련되고, 상기 히팅공간(111)을 둘러싸는 판면에는 히팅공간(111)과 포트(10)의 내부공간(12)을 연결하는 통공(112)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10')는 포트(10)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저면 테두리가 상기 포트(10)의 바닥면에 밀착됨에 따라 지지대(110')의 저면과 포트(10)의 바닥면 사이에 히팅공간(1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포트(10)의 내부공간(12)에 수용된 물은 상기 지지대(110')의 통공(112)을 통해 히팅공간(111) 내부로 유입된다.The support 11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and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and a concave heating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 space 111 is provided, and a through hole 112 connecting the heating space 111 and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port 10 is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surrounding the heating space 111 .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1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as the bottom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110' and the port 10) A heating space 111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In addition,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port 10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111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the support 110'.

한편, 상기 통공(112)은 다수 마련되고, 상기 중공관(1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10')의 상면 둘레를 따라 회전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포트(10)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이 상기 지지대(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통공(112)을 통해 히팅공간(111) 내부로 공급되므로, 히팅공간(111) 내에서 가열되는 물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공간(111)으로부터 중공관(120)을 따라 상승하여 여과부(130')에 수용된 커피 분말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품질의 커피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112 are provided and arrang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 with the hollow tube 120 as the center. Accordingly, as well as the smooth circulation of water, water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 10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space 111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upport 1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water heated in the heating space (11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accommodated in the filtration unit 130' by rising from the heating space 111 along the hollow tube 120, thereby providing a coffee extract of constant quality. .

상기 여과부(13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커피 분말과 같은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31a)이 마련된 수용용기(131')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용용기(131')의 판면에는 다수의 여과구멍(131b)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용기(13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용기(131')의 상측 개구는 상기 중공관(120)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중공관(12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The filtering unit 1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container 131'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131a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ract, such as coffee powder, therein, and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131b) are formed on the plate surface.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3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31'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ollow tube 120, and the lower end portion It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120).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말 형태의 피추출물 입자가 상기 여과구멍(131b)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피추출물 입자보다 작은 미세구멍이 마련된 필터부(미도시)를 상기 수용용기(131')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음료 추출액에 고형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extract particles in powder form ar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ltration hole 131b, a filter unit (not shown) provided with micropores smaller than the extract particles is plac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131 ') by arranging it in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mixing of solids in the beverage extract.

특히, 상기 수용용기(131')는 외주면으로부터 제1슬리브(131d)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중공관(120) 상에 연결되는 원형의 하부프레임(131c)과, 내주면으로부터 제2슬리브(131g)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31c)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링형의 상부프레임(131f)과, 다수의 여과구멍(131b)이 마련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슬리브(131d) 및 제2슬리브(131g)에 고정되는 메쉬필터(131h)를 포함한다. 상기 메쉬필터(131h)는 상기 상부프레임(131f)이 하부프레임(131c)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의 외형을 갖게 된다. In particular,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31' has a circular lower frame 131c in which a first sleeve 131d protrudes up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tube 120, and a second sleeve 131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ring-shaped upper frame (131f) protruding downward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131c),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b) are provide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leeve (131d) and the second sleeve ( It includes a mesh filter (131h) fixed to 131g). As the upper frame 131f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lower frame 131c, the mesh filter 131h has a funnel-shaped external shape with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131f)과 하부프레임(131c)을 통해 메쉬필터(131h)를 고정하는 경우, 메쉬필터(131h)의 형태유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쉬필터(131h)를 중공관(12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mesh filter 131h is fixed through the upper frame 131f and the lower frame 131c, it is eas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esh filter 131h, and the mesh filter 131h is connected to the hollow tube 120 ) can be easily fixed to

아울러, 하부프레임(131c)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멍(131e)이 마련됨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131c)의 상측에 음료 추출액이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130')의 수용공간(131') 내에 잔류하면서 농도가 진해지는 잔류 추출액으로 인해 커피 추출액의 맛이 텁텁하거나 쓴맛을 내게 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일정한 맛과 품질의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at least one discharge hole (131e) is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lower frame (131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extract from remai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131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tract of a certain taste and quality by improving the problem that the coffee extract tastes bitter or bitter due to the residual extract remaining in the receiving space 131' of the filtration unit 130' and thickening. there will be

한편, 상기 수용공간(131') 내에 수용되는 피추출물의 입자 크기가 상기 배출구멍(131e)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멍(131e)에 미세구멍이 마련된 필터부(미도시)를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131e)을 통해 피추출물 입자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extrac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1 ′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131e, a filter unit (not shown) provided with micropores in the discharge hole 131e is added. It will be preferable to prevent the extractable particles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1e) by disposing as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100,100':제1추출유닛, 110,110':지지대, 111:히팅공간,
112:통공, 120:중공관, 121:이동통로,
130,130':여과부, 131:수용용기, 131a:수용공간,
131b:여과구멍, 131c:하부프레임, 131d:제1슬리브,
131e:배출구멍, 131f:상부프레임, 131g:제2슬리브,
131h:여과필터, 132:필터부, 132a:미세구멍,
140:토출안내부, 141:안내판, 141a:안내홈,
142:연결부재, 200:제2추출유닛, 210:여과망,
210a:수용공간, 211:돌기부, 212:손잡이,
10:포트, 11:주입구, 12:내부공간,
13:안착홈, 20:발열부, 30:마개,
31:개구홀, 32:단턱부, 33:보조마개,
40:본체, 41:커넥터, 42:입력부
100,100': first extraction unit, 110,110': support, 111: heating space,
112: hollow, 120: hollow tube, 121: moving passage,
130,130': filtration unit, 131: receiving vessel, 131a: receiving space,
131b: filtration hole, 131c: lower frame, 131d: first sleeve,
131e: exhaust hole, 131f: upper frame, 131g: second sleeve,
131h: filtration filter, 132: filter unit, 132a: fine hole,
140: discharge guide unit, 141: guide plate, 141a: guide home,
142: connection member, 200: second extraction unit, 210: filtration network,
210a: accommodation space, 211: protrusion, 212: handle,
10: port, 11: inlet, 12: internal space,
13: seating groove, 20: heating part, 30: stopper,
31: opening hole, 32: stepped part, 33: auxiliary stopper,
40: body, 41: connector, 42: input unit

Claims (18)

상측에 주입구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포트;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포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발열부; 및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수용용기에 다수 형성되는 여과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추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추출부는,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다수의 여과구멍이 형성된 수용용기를 포함하며 상측이 개구된 여과부;
상기 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에 물을 공급하는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중공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수용용기 상측을 향해 흘러내리도록 하는 안내홈을 갖는 토출안내부;를 갖는 제1추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a port provided with an inlet on the upper side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 heating part disposed under the pot to heat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receiving contain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xtract, and an extra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form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The extraction unit,
a filtration uni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xtract therein and including a accommodating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formed therein;
a hollow tube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to supply water to the filter unit;
A guide plat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tube to radially diffuse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llow tube, and a guid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hollow tube flows down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extraction unit having a; discharge guide having a groov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container is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shape of a funnel having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분말 형태의 피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용기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ration unit,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lter unit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smaller micropores than the extract in powder form and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판과 중공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connecting the guide plate and the hollow tub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ing member is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il spr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여과망이 마련된 제2추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추출유닛과 제2추출유닛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 second extraction unit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filtration network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ract therein,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is selective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의 주입구를 마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 closing the inlet of the por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에는 개구홀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홀은 보조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ole, the opening hole is closed by the auxiliary stopp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피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여과망이 마련된 제2추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개구홀에 안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 second extraction unit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filtration network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tract therein,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of the filtering net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opening hol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의 상단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ltering n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발열부의 발열온도와 발열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포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heating temperature and a heating time of the heating unit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and a main bod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 further comprising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다수의 여과구멍이 마련된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의 하단을 중공관에 고정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container includes a filtration filt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and a lower frame for fixing a lower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to a hollow tube, wherein at least one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때기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ration filter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funnel having a wide upper part and a narrow lower pa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발열부에 의해 물이 가열되는 히팅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포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포트의 내부공간과 상기 히팅공간을 연결하는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xtra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heating space in which water is heated by the heating unit and includes a support that is accommodated in the port,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connecting the inner space of the port and the heating spac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다수 마련되고, 상기 중공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provided in a plurality, and arranged in rotationally symmetrical form around the hollow tube.
KR2020190002600U 2019-04-05 2019-06-21 Beverage extractor KR2004946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429850.8U CN211484078U (en) 2019-04-05 2019-08-30 Beverage ex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97 2019-04-05
KR20190001397 2019-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63U KR20200002263U (en) 2020-10-15
KR200494663Y1 true KR200494663Y1 (en) 2021-12-02

Family

ID=7280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600U KR200494663Y1 (en) 2019-04-05 2019-06-21 Beverage ex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63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663A (en) * 2014-05-29 2014-08-13 深圳市北鼎晶辉科技股份有限公司 Health pot lid, health pot and health pot lid usage method
KR101865831B1 (en) * 2016-12-28 2018-06-11 주식회사 교원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482A (en) 2004-09-03 2006-03-08 병 기 김 Coffee maker
KR100649510B1 (en) * 2005-01-20 2006-11-27 송유진 Multi-use extraction port
KR101719528B1 (en) 2015-05-11 2017-04-12 김경숙 Coffee holder for moca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663A (en) * 2014-05-29 2014-08-13 深圳市北鼎晶辉科技股份有限公司 Health pot lid, health pot and health pot lid usage method
KR101865831B1 (en) * 2016-12-28 2018-06-11 주식회사 교원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63U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0086B1 (en) Electric coffee maker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EP2020890B1 (en)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EP1020152A2 (en) Tea brewing apparatus
US3020823A (en) Piston and cylinder action coffee maker
EA0284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KR20120099069A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4027582A (en) Art of brewing individual servings of coffee in a cup
MX2007015712A (en) Portafilter system.
CA2251884C (en) Microwavable beverage maker
US201700273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a latte
JP2018536497A (en) Coffee maker and how to operate a coffee maker
WO2021226608A2 (en) Modular systems configurable to enable multiple methods for producing edible extractions
JP2015503362A (en) Equipment for brewing raw materials in solvent
CN205729101U (en) A kind of leak through type coffee machine that there is mill bean and brew function
KR200494663Y1 (en) Beverage extractor
US11751718B2 (en) Hydraulic siphon assisted brewing apparatus with agitation mechanism
US20120196025A1 (en) Infusion preparation device, related method, and resultant product
US2808775A (en) Combination beverage maker
CN211484078U (en)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3092012A (en)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US4168656A (en) Apparatus for improving coffee grounds usage
CN110121283A (en) Coffee brewer
CN208822405U (en) Brewing mechanism and beverage machine
US1946247A (en) Brewing device
WO2019232109A1 (en) Stovetop coffee bre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