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95Y1 - 소스 용기 - Google Patents

소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95Y1
KR200494595Y1 KR2020160007548U KR20160007548U KR200494595Y1 KR 200494595 Y1 KR200494595 Y1 KR 200494595Y1 KR 2020160007548 U KR2020160007548 U KR 2020160007548U KR 20160007548 U KR20160007548 U KR 20160007548U KR 200494595 Y1 KR200494595 Y1 KR 200494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discharge
valve
discharged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019U (ko
Inventor
김흥묵
최종상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주) 세림비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주) 세림비앤지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9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A47G19/183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by applying external pressure, i.e. by pumping or squ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방법으로 소스를 짜내어 사용하고, 남은 소스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스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스가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디; 바디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소스가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구; 및 바디의 상부를 밀폐하고 조절구의 상부와 밀착되어 조절구에서 배출되는 소스가 토출되도록 토출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스 용기{Source container}
본 고안은 소스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스의 양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하고 남은 소스 보관이 가능한 소스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스는 주요 식재료와 맛의 궁합을 이뤄 전체적인 맛을 증진시키고 음식의 풍미를 살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스는 음식에 소스를 첨가함으로써 아름다운 색의 조화를 맞춰 내며 산미와 수분을 더해주어 식욕을 촉진시키고, 소화를 용이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스는 음식문화의 발전에 의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소스를 담아 보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해서도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3485호는 얇고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편평한 경질의 쉬트부재; 평면의 채널형상을 가지며 쉬트부재의 한쪽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길고 얇은 벽형상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쉬트부재내에 구비된 응력집중부 구멍형성수단; 응력집중부 구멍형성수단 주위의 편평한 둘레에지부분을 포함하는 쉬트부재; 및 평면의 채널형상응력집중부 돌출부재를 가로 지르는 소정길이의 파단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단라인 둘레의 평면의 채널형상응력부 돌출부재의 끝을 구부려 평면의 형상으로부터 응력집중부 돌출부재를 변위시켜 파단라인을 파단하고; 파단라인의 파단시에 적어도 채널형상응력집중부 돌출부재는 가요성을 가지며 팽창가능한 구멍 개구부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간단한 방법으로 소스를 짜내어 사용할 수 있으나, 남은 소스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348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방법으로 소스를 짜내어 사용하고, 남은 소스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스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스 용기는, 소스가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디; 바디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소스가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구; 및 바디의 상부를 밀폐하고 조절구의 상부와 밀착되어 조절구에서 배출되는 소스가 토출되도록 토출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바디에는, 서로 다른 소스가 수용되도록 바디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구획부가 형성되고, 구획부의 다른 일부에는 조절구가 위치되어 토출부에 밀착되도록 조절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절구는, 바디의 바닥면에서 연장되어 토출부에 밀착되는 토출막대와, 토출막대의 내부에 결합되어 소스가 토출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토출막대의 상단부에는, 밸브가 수용되는 밸브 수용부가 형성되고, 토출막대의 하부에는, 소스가 유입되어 토출부로 이동되는 소스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토출부는, 조절구의 상부와 동축되어 형성되어 바디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소스가 토출되도록 다수개의 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스 용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소스를 짜내어 사용하고, 남은 소스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스 용기(100)는 바디(110)와, 조절구(120) 및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0)는 내부에 소스가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110)의 재질은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을 가압할 경우에, 일시적으로 변형되었다가 가압하지 않을 경우에 일정부분 복귀되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구(120)는 상기 바디(11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소스가 배출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조절구(12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바디(110)의 상부를 밀폐하고, 상기 조절구(120)의 상부와 밀착되어 상기 조절구(120)에서 배출되는 상기 소스가 토출되는 토출부(1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본 고안의 상기 소스는 케첩(Ketchhup), 과일잼(Fruit jam), 시럽(Syrup)과 같이, 일정 정도의 점도를 포함하는 액상 소스를 지칭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구(120)는 상기 바디(110)의 바닥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토출부(131)에 밀착되는 토출막대(121)와, 상기 토출막대(121)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스가 상기 토출부(131)로 이동되는 제어하는 밸브(122)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막대(121)의 상단부에는, 상기 밸브(122)가 수용되는 밸브 수용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막대(121)의 하부에는 상기 소스가 유입되어 상기 토출부(131)로 이동되는 소스유입부(121b)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 수용부(121a)와, 상기 소스유입부(121b) 사이에는 상기 소스가 이동되는 유로(121c)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 수용부(121a)는 상기 밸브(122)가 수용되도록 공간을 갖는다.
상기 밸브 수용부(121a)에는 상기 소스가 상기 유로(121c)에서 상기 밸브(122)로 이동되도록 제1 홀(121a-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121a-1)에서 상기 밸브(122)로 이동된 소스가 상기 토출부(131)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홀(121a-1)에 동축되는 제2 홀(121a-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홀(121a-1,121a-2)의 직경은 상기 밸브(122)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122)가 상기 토출부(131)로 토출되지 않을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밸브 수용부(121a)에는 상기 밸브(122)가 상기 밸브 수용부(121a)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자유공간(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31)는 상기 조절구(120)의 상부와 동축되고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소스가 토출되도록 다수개의 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틈은 칼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소스 용기(100)은,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에 압력(P)을 가하고,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소스는 상기 조절구(12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소스는 상기 소스유입부(121b)에 유입되고, 상기 유로(121c)를 거쳐 상기 제1 홀(121a-1)로 유입되며, 상기 밸브(122)를 거쳐 상기 제2 홀로(121a-2)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122)는 상기 소스가 이동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 수용부(121a)의 내부에서 자유이동되고, 상기 소스는 상기 밸브(122)가 자유이동될 시 간혈적으로 상기 토출부(1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에 상기 압력(P)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홀(121a-1,121a-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바디(110)의 외관이 일정부분 복귀되고, 상기 밸브(122)가 상기 제1 홀(121a-1)를 차단하여 상기 소스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소스 용기(10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상기 소스의 양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소스가 남을 경우에 버리지 않고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소스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100)와 비교하여, 상기 바디(110,210)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200)는 바디(210)와, 조절구(220) 및 커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10)에는 서로 다른 상기 소스가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21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230)에 결합되는 구획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30)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구획부(211)의 다른 일부에는 상기 조절구(220)가 위치되어 상기 커버(230)에 형성된 토출부(231)에 밀착되도록 조절구 수용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211)에 의해 상기 바디(210)는 제1 바디(210-1)와 제2 바디(210-2)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0-1,210-2)의 사이에는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S)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0a,210b)의 외측면에서 압력(P)을 가할때 상기 구획부(211)의 축을 기준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상기 소스가 상기 토출부(231)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절구 수용부(212)는 상기 바디(210)에 상기 구획부(21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소스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되는데 이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스 유입로(21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스 용기(200)는 도 1 및 도 2의 소스 용기(1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P:압력 S:공간부
a:자유공간 100,200:소스 용기
110,210:바디 120,220:조절구
121,221:토출막대 121a,221a:밸브 수용부
121a-1,221a-1:제1 홀 121a-2,221a-2:제2 홀
121b,221b:소스유입부 122,222:밸브
130,230:커버 131,231:토출부
210-1:제1 바디 210-2:제2 바디
211:구획부 212:조절구 수용부
212a:소스 유입로

Claims (5)

  1. 소스가 수용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소스가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구; 및
    상기 바디의 상부를 밀폐하고 상기 조절구의 상부와 밀착되어 상기 조절구에서 배출되는 소스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구는,
    상기 바디의 바닥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토출부에 밀착되는 토출막대와,
    상기 토출막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스가 상기 토출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막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밸브가 수용되는 밸브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밸브가 밸브 수용부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자유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막대의 하부에는,
    상기 소스가 유입되어 상기 토출부로 이동되는 소스유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서로 다른 상기 소스가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구획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구획부의 다른 일부에는 상기 조절구가 위치되어 상기 토출부에 밀착되도록 조절구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조절구의 상부와 동축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소스가 토출되도록 다수개의 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용기.
KR2020160007548U 2016-12-26 2016-12-26 소스 용기 KR200494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48U KR200494595Y1 (ko) 2016-12-26 2016-12-26 소스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48U KR200494595Y1 (ko) 2016-12-26 2016-12-26 소스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19U KR20180002019U (ko) 2018-07-04
KR200494595Y1 true KR200494595Y1 (ko) 2021-11-12

Family

ID=6290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48U KR200494595Y1 (ko) 2016-12-26 2016-12-26 소스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9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40Y1 (ko) * 2005-05-28 2005-08-24 하정완 밀폐용기
KR101104934B1 (ko)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벨로우즈 타입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5031A (en) 1992-03-10 1995-03-07 Redmond; Sanford Stress concentrator aperture-forming means for sealed containers and packages
US20070138204A1 (en) * 2005-12-15 2007-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licator that is used to apply one or more materials to a su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640Y1 (ko) * 2005-05-28 2005-08-24 하정완 밀폐용기
KR101104934B1 (ko) * 2011-01-21 2012-01-12 에프. 홀저 게엠베하 벨로우즈 타입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19U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9006985A (es) Sistema de llenado.
EP1618062A4 (en) FOAMING LIQUID DISPENSER
WO2007019848A3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MX2007004641A (es) Ensamble exprimible para productos pastosos.
DE602007001951D1 (de) Mit luft durchsetztes erzeugnis
NO145598B (no) Anordning ved apparat for utmating av vaeske- eller kremformede produkter.
ATE457277T1 (de) Vorrichtung zur flüssigkeitsabgabe, insbesondere getränkeabgabe
MX2018006617A (es) Columna de una caja plastica en la cual una porcion de su cara exterior comprende nervios verticales con forma de bandas rectas verticales y paralelas que sobresalen de la superficie.
ATE420036T1 (de) Trinkbehälter
US2319517A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NO20060380L (no) Beholder
AU2003267023A1 (en) Dispensing device for drinks
ATE421462T1 (de) Giessschnauze für flüssigkeitsbehälter und damit hergestellte flüssigkeitsbehälter
DE102006053325A1 (de) Verpackung für Lebensmittelprodukte
USD904902S1 (en) Bottle
MX2019004700A (es) Instalación de dispensado para el control de formación de burbujas durante el dispensado de una bebida fermentada a base de malta (mbfb) producida in situ mediante la mezcla de un concentrado de mbfb con un diluyente carbonatado.
ATE345289T1 (de)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von zwei produkten und zu deren separaten oder vermischten druckausgabe
KR200494595Y1 (ko) 소스 용기
KR20160133801A (ko) 2웨이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마개
ATE367970T1 (de) Spenderpumpe
AR059930A1 (es) Empacado y expendedora de bebidas
ATE465950T1 (de) Behälter mit einlassmechanismus
WO2021198042A9 (en) Water container with manual dispensing valve
US20040074923A1 (en) Air pumping type fixed quantity dispensing container
USD871606S1 (en) Hand operated laboratory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