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98Y1 - Vertical seismic pedestal - Google Patents

Vertical seismic pedest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98Y1
KR200494498Y1 KR2020200003980U KR20200003980U KR200494498Y1 KR 200494498 Y1 KR200494498 Y1 KR 200494498Y1 KR 2020200003980 U KR2020200003980 U KR 2020200003980U KR 20200003980 U KR20200003980 U KR 20200003980U KR 200494498 Y1 KR200494498 Y1 KR 20049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ixing part
vertical
bolt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Priority to KR2020200003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9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9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5/00Engine beds, i.e. means for supporting engines or machines on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지정된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직부는 상기 삽입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comprising: a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at a designated point; and a first support member having a plate shape and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 inser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is formed, and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protrude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is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Description

입형 내진 받침대 {Vertical seismic pedestal}Vertical seismic pedestal

본 고안은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내진 기능과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칠 수 있는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capable of supporting an object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while implement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through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

산업현장에서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다양한 산업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산업기기를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스토퍼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토퍼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와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를 통해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를 지지하고 받칠 수 있게 된다. Various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s, pumps, and compressors are used in industrial fields, and various stoppers are used to support such industrial devices. The stopper is installed while being connected to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a motor, a pump, and a compressor, and can support and support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a motor, a pump, and a compressor through the stopper.

그러나 종래의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스토퍼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와 연결되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스토퍼를 통해 산업기기를 지지하고 받칠 수는 있으나,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opp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Since the conventional stopper is installed while being connected to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a motor, a pump, and a compressor, it is possible to support and support the industrial equipment through the conventional stopp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absorb an external shock such as an earthquake.

또한, 종래의 스토퍼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와 연결되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산업기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topper is installed while being connected to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a motor, a pump, and a compress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industrial equipment from falling due to an external shock such as an earthquake.

최근에는 내진 설계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에도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내진 기능 및 전도 방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seismic desig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and it is also applied to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motors, pumps, and compressors installed in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motors, pumps, and compressors installed in industrial sites is required to have a seismic resistance function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so as not to collapse or shake due to an external shock such as an earthquake.

그러나 종래의 스토퍼를 통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내진 기능 및 전도 방지 기능을 구비하면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 등의 산업기기를 지지하고 받칠 수 있는 스토퍼, 받침대 등의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solve such a problem through the conventional stopper, a stopper, a pedestal, etc. that can support and support industrial equipment such as motors, pumps, and compressors installed in industrial sites while having seismic resistance and fall prevention function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for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내진 기능과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칠 수 있는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that can support an object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while implement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throug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t's abou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치는 받침대로, 지정된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직부는 상기 삽입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vertical seismic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a pedestal for supporting an object to be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and includes a fixing unit fixedly installed at a designated point; and a first support member having a plate shape and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 inser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is formed, and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protrude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is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1수평부와, 상기 제2-1수평부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2수직부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수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2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A 2-1 horizontal part extending horizontally while being made in a plate shape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second vertical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2-1 horizontal part, and a plate shap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including a 2-2 second horizontal pa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vertical part while being made of,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고정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made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wing part extending outwardly of the fixing part while being made in a plate sha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날개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평부에는 상기 제1수평부를 관통하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1볼트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1볼트공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다. A bolt hole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penetrate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fter the bolt hole is formed and the bol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olt may be inserted into the bol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at the same tim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날개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기 제2-1수평부에는 상기 제2-1수평부를 관통하는 제2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2볼트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2볼트공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A bolt hole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2-1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in the 2-1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fter a penetrating second bolt hole is formed and the bol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olt is simultaneously fitted into the bol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올려지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직부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기 제2-2수평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upright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and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second The 2-2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삽입공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직부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고정부의 일면은 상기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coupling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본 고안은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지진과 진동으로부터 대상체를 보호하는 내진 기능과 대상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and while implement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to protect an object from earthquake and vibration through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the object from collapsing due to external impact, industrial sit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an object to be installed on the .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의 삽입공의 폭을 제1지지부재의 제1수직부의 폭 보다 넓게 함에 따라 제1지지부재를 고정부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by making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par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이와 함께 본 고안은 고정부의 날개부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부와 제2지지부재의 제2-1수평부에 제1볼트공과 제2볼트공을 형성하면서, 볼트공과 제1볼트공 및 제2볼트공에 볼트를 동시에 끼워서 고정부를 고정함에 따라 받침대 및 제1,2지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Along with th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lt hole in the wing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and forms a first bolt hole and a second bolt hole i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2-1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of the pedestal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s the fixing part is fixed by inserting the bolts into the bol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고정부에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고정부에 제1지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부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o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5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fixing unit made of a detachabl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고안(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etc. designed (disclosure), and additional one or more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d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new components in the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고안은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내진 기능과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칠 수 있는 입형 내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and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capable of supporting an object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while implementing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through a first supporting member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10)를 받치는 받침대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대상체(10)는 모터, 펌프, 컴프레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면서 내진 기능과 전도 방지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기기 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vertical seismic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object 10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The objec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tor, a pump, or a compres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industrial devices that are used in an industrial field and require a seismic resistance function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고정부(110), 제1지지부재(130), 제2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1 and 2 ,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unit 110 , a first support member 130 ,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40 .

상기 고정부(110)는 지정된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대상체(10)를 받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10)는 지면과 같은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지점이라 함은 지면과 같은 바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대상체(10)를 받칠 수 있으면서 평평한 지점이라면 다양한 지점이 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10 is to be fixedly installed at a designated point. The fixing unit 110 may support the object 10 , and the fixing uni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same floor as the ground. Here, the designated point may be a floor such as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variety of points as long as it is a flat point capable of supporting the object 10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xing part 11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art 110 has a plate shape and a wing part 113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110 . may be provided.

상기 날개부(113)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0)의 4개의 측면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13)에는 볼트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wing part 11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s of four side surfaces of the fixing part 1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bolt hole 114 may be formed in the wing part 113 .

상기 볼트공(114)에 볼트(150)를 끼워 넣고, 상기 볼트(150)를 바닥과 같은 지정된 지점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를 지정된 지점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150)는 웨지 앙카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고정부(110)를 지정된 지점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By inserting the bolt 150 into the bolt hole 114 and fixing the bolt 150 to a designated point such as the floor, the fixing unit 110 can be installed at a designated point. The bolt 150 may be formed of a wedge anchor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bolts may be used as long as the fixing unit 110 can be fixed to a designated point.

상기 날개부(113)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13)는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을 향하여 평평한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wing part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wing part 113 may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fixing part 110 in a flat plate shape. ca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에 올려지는 받침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대상체(10)가 직접적으로 올려지는 부분이 되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120 mounted on the fixing part 110 . The support part 120 is a part on which the object 10 is directly mounted,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110 through a bolt.

다만, 상기 받침부(120)의 설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부(120)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상기 고정부(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part 1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ar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110 through various configurations, and is integrated with the fixing part 110 . may be formed as

도 1,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제1수평부(131)와 제1수직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평부(13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S. 1, 5 (a) and 5 (b)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art 131 and a first vertical part 132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in an L-shape,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orizontally extended.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제1수평부(131)에서 상향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제1수평부(13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수직부(132)는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1 .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may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1 ,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may extend in a plate shape.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상기 고정부(1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10)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설치를 위한 삽입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11)은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을 관통하는 것이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110 , and an insertion hole 111 for installing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art 110 . have. The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and passes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삽입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1 and 2 , the first vertical part 132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and protrude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fixing part (110) may be installed.

조금 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공(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에는 측면 삽입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11)과 상기 측면 삽입공(112)은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측면 삽입공(112)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111)으로 돌출된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insertion hole 1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side insertion hole 112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can The insertion hole 111 and the side insertion hole 112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vertical part 132 passes through the side insertion hole 112 and protrudes into the insertion hole 111 .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삽입공(112)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삽입공(111)만 형성되면서 상기 제1수직부(132)가 상기 삽입공(111)을 통과하면서 돌출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insertion hole 112 is not formed, and only the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while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to protrude. may b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은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 지점에 상기 삽입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fixing part 110 . The insertion hole 111 may be formed at a point.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이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상기 삽입공(111)이 형성되면, 상기 삽입공(111) 하부 지점이 외부로 열려있게 되면서 상기 제1수직부(132)를 상기 삽입공(111)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the lower point of the insertion hole 111 is opened to the outside. The first vertical part 13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

도 1,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ㄱ자 형상과 ㄴ자 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제2-1수평부(141), 제2수직부(142), 제2-2수평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상기 제2-1수평부(14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제2수직부(142)는 상기 제2-1수평부(141)에서 상향 연장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S. 1, 6(a) and 6(b),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L-shape and an L-shape are combine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includes a 2-1 horizontal portion 141 , a second vertical portion 142 , and a 2-2 horizontal portion 143 . The 2-1 horizontal part 14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extends horizontally while being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142 is the 2-1 horizontal part 141 . is extended upwards from

상기 제2수직부(142)는 상기 제2-1수평부(14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수직부(142)는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2수평부(143)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수직부(142)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42 may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first horizontal portion 141 ,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42 may extend in a plate shape. The 2-2 horizontal portion 14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second vertical portion 142 .

상기 제2-2수평부(143)는 상기 제2-1수평부(141)와 상기 제2수직부(142)가 연결되어 있는 지점의 반대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부(142)에서 수평으로 상기 제2-2수평부(143)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2-1수평부(141)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The 2-2 horizontal part 143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point where the 2-1 horizontal part 141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142 are connected.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2nd-2nd horizontal part 143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second vertical part 142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2nd-1th horizontal part 141 extends.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통해 내진 기능을 구현하면서,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통해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설치 과정 및 기능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한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10 . The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through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and provides a fall prevention function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that can be implemented.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func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삽입공(111)을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1수직부(132)는 상기 받침부(120)의 측면 또는 상기 대상체(10)의 측면에 접촉된다. 1 and 2 , the first vertical part 132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may protrude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 , the first vertical part 13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0 or the side surface of the object 10 .

상기 제1지지부재(1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0)에서, 서로 바라보는 한 쌍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30)를 상기 받침부(120)의 측면 또는 상기 대상체(10)의 측면에 접촉시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130)를 통해 상기 받침부(120)의 측면 또는 상기 대상체(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may be installed on a pair of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fixing part 1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0 or the side surface of the object 10 ,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0 or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through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ide of the object 10 .

여기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11)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직부(132)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11)의 폭을 상기 제1수직부(132)의 폭 보다 넓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130)를 상기 고정부(1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art 132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As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111 is wider than that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ixing portion 110 .

또한, 상기 제1수직부(132)가 상기 삽입공(111)에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으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삽입공(111)의 폭이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직부(132)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수직부(132)와 상기 삽입공(111)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10 ,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111 is increas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As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 a separation spa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portion 132 and the insertion hole 111 .

상기 이격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지진과 같은 진동에 의해 흔들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면서 내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진동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separation space, a space that can be shaken by vibration such as an earthquake is secured, and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can be improved, and a shock can be absorbed by vibration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상기 고정부(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0)에서, 서로 바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1 and 2 ,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is the fixing part ( 110), which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pair of sides facing each other.

즉,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0)의 네 측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 - 상기 제2지지부재(140) - 상기 제1지지부재(130) -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순서로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on the four sides of the fixing part 110 ma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may be installed.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상기 제2수직부(142)는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상기 제2-2수평부(143)는 상기 받침부(120) 상면 또는 상기 대상체(10)에 접촉될 수 있다. The second vertical part 142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2-2 horizontal part 143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0 or the object 10 .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상기 받침부(120) 상면 또는 상기 대상체(10)에 접촉시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통해 상기 대상체(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0 or the object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 10 from fall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2수평부(143)는 상기 대상체(10) 및 상기 받침부(120)가 쓰러지려는 방향에서 상기 대상체(10) 또는 상기 받침부(12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대상체(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the 2-2 horizontal part 143 supports the object 10 or the support part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10 and the support part 120 are about to collapse,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 10 from falling.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통해 상기 받침부(120) 또는 상기 대상체(10)의 네 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내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10) 및 상기 받침부(120)가 쓰러지려는 방향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통해 상기 대상체(10) 또는 상기 받침부(120)를 지지함에 따라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our sides of the support part 120 or the object 10 through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Accordingly, the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can be implemented, and the object 10 or the support part 120 is supported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10 and the support part 120 are about to collap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all prevention function.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평부(131)와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상기 제2-1수평부(141)를 상기 날개부(113)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are the first horizontal part 13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first support member 140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By fixing the horizontal part 141 to the wing part 113 , it can be fixedly installed to the fixing part 110 .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평부(131)와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상기 제2-1수평부(141)를 상기 날개부(113)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130)의 상기 제1수평부(131)에는 상기 제1수평부(131)를 관통하는 제1볼트공(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상기 제2-1수평부(141)에는 상기 제2-1수평부(141)를 관통하는 제2볼트공(144)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fix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first horizontal portion 14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to the wing portion 113 , the A first bolt hole 133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1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and A second bolt hole 144 penetrating the second-first horizontal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the 2-1 horizontal portion 141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13)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볼트공(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공(114)과 상기 제1볼트공(133)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볼트(150)가 상기 볼트공(114)과 상기 제1볼트공(133)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130)를 상기 날개부(113)에 설치할 수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olt hole 114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wing portion 113, and the bolt hole 114 and the first bolt hole 133 are dispos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after, as the bolt 150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114 and the first bolt hole 133 at the same time,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can be installed on the wing portion 113 .

또한, 상기 볼트공(114)과 상기 제2볼트공(144)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볼트(150)가 상기 볼트공(114)과 상기 제2볼트공(144)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상기 날개부(113)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bolt hole 114 and the second bolt hole 144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olt 150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114 and the second bolt hole 144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can be installed on the wing part 113 .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고정부(110)의 네 측면에 구비된 상기 날개부(113)에 상기 제1지지부재(130) - 상기 제2지지부재(140) - 상기 제1지지부재(130) -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순서로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on the wing parts 113 provided on the four sides of the fixing part 110 through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 -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

여기서, 상기 볼트(150)는 웨지 앙카 볼트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지지부재(130)와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상기 날개부(113)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면, 상기 볼트(150)는 다양한 종류의 볼트일 수 있다. Here, the bolt 150 may be a wedge anchor bo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can be fixedly installed to the wing part 113 , , the bolt 150 may be various types of bolts.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공(114)과 상기 제1볼트공(133) 및 상기 제2볼트공(144)에 상기 볼트(150)를 동시에 끼우면서 상기 고정부(110)를 고정함에 따라, 지정된 지점에 상기 고정부(110)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부(110)에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설치하는 과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110 is fixed while inserting the bolt 150 into the bolt hole 114 and the first bolt hole 133 and the second bolt hole 144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ixing part 110 at a designated point and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to the fixing part 11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re are advantages.

즉, 웨지 앙카 볼트로 이루어진 상기 볼트(150)를 지정된 지점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고정부(110)를 지정된 지점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지지부재(130) 및 상기 제2지지부재(140)를 상기 고정부(1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rough the process of fixing the bolt 150 made of a wedge anchor bolt to a designated point, the fixing part 110 is installed at a designated point,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upport member 13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40 are installed at the designated point. )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110 .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의 상기 고정부(110)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조립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 중 일면(116)은 상기 고정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10 of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sembled while being formed in a separate type. Referring to FIG. 7 , one surface 116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xing unit 1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unit 110 .

여기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110)의 네 측면 중 일면 이상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면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Here, one or more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fixing unit 1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y be detachably coupled, and preferably, two surfaces may be detachably coupled.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 중 일면(116)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10)의 내측에는 결합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의 일면(116)에는 상기 결합홈(115)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17)가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one surface 116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xing part 110, a coupling groove 115 may be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110, and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A coupling protrusion 117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5 may be formed in the 116 .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고정부(110)의 네 개의 측면 중 분리 가능하지 않은 측면의 내측에 상기 결합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의 네 개의 측면 중 분리 가능한 일면(116)의 양 끝단에 상기 결합돌기(117)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the coupling groove 115 may be formed inside the non-separable side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fixing unit 110 ,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fixing unit 110 . The coupling protrusions 117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one possible surface 116 .

상기 결합돌기(117)를 상기 결합홈(115)에 끼움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의 일면(116)을 상기 고정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결합돌기(117)를 상기 결합홈(115)에서 분리하면, 상기 고정부(110)의 일면(115)을 상기 고정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As the coupling protrusion 117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5 , one surface 116 of the fixing part 110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coupling projection 117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5 . When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15 , one surface 115 of the fixing part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art 110 .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조립 가능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의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해지면, 상기 고정부(110)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art 110 is of a detachable type and can be assembled, if the manufacturing and transporting of the fixing part 110 is facilita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part 110 is facilitat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115)은 상기 고정부(110)의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은 두 개의 상기 결합홈(115)이 연결되는 가상의 선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upling groove 115 formed in the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on a pair of sid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sides of the fixing part 110 , and the fixing part ( The upper surface of 11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an the imaginary line through which the two coupling grooves 115 are connected.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공(111)은 두 개의 상기 결합홈(115)이 연결되는 가상의 선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1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is formed at a point on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that protrudes outward than an imaginary line where the two coupling grooves 115 are connected. it is preferable

이와 같이 상기 삽입공(111)을 두 개의 상기 결합홈(115)이 연결되는 가상의 선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 지점에 형성함에 따라 도 4와 같은 상기 고정부(11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at a po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imaginary line where the two coupling grooves 115 are connected, the fixing part 110 as shown in FIG. 4 . can be produced.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이 상기 고정부(11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상기 삽입공(111)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삽입공(111) 하부 지점이 외부로 열려있게 되면서 상기 제1수직부(132)를 상기 삽입공(111)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4 , as the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the lower point of the insertion hole 111 is open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first vertical part 13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통해 지진과 진동으로부터 대상체를 보호하는 내진 기능과 대상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vertical seismic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to protect an object from earthquake and vibration through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and a fall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the object from falling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upport an object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고정부의 삽입공의 폭을 제1지지부재의 제1수직부의 폭 보다 넓게 함에 따라 제1지지부재를 고정부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내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ixing part by making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par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seismic function through this.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입형 내진 받침대는 고정부의 날개부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제1지지부재의 제1수평부와 제2지지부재의 제2-1수평부에 제1볼트공과 제2볼트공을 형성하면서, 볼트공과 제1볼트공 및 제2볼트공에 볼트를 동시에 끼워서 고정부를 지정된 지점에 설치하는 동시에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를 고정부에 고정 설치할 따라 받침대 및 제1,2지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seismic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olt hole in the wing portion of the fixing part, and the first bolt is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2-1 horizontal part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While forming the ball and the second bolt hole, insert the bolt into the bol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at the same time to install the fixing part at the designated point, and at the same time fix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the fixing part.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of the pedestal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대상체 110...고정부
111...삽입공 112...측면 삽입공
113...날개부 114...볼트공
115...결합홈 116...고정부의 일면
117...결합돌기 120...받침부
130...제1지지부재 131...제1수평부
132...제1수직부 133...제1볼트공
140...제2지지부재 141...제2-1수평부
142...제2수직부 143...제2-2수평부
144...제2볼트공 150...볼트
10...Subject 110...Fixed part
111...insertion hole 112...side insertion hole
113...wing 114...bolt ball
115...Combination groove 116...One side of the fixed part
117...connecting projection 120...supporting part
130...first support member 131...first horizontal part
132...the first vertical part 133...the first bolt hole
140...Second support member 141...Second 2-1 horizontal part
142...Second vertical part 143...Second 2-2 horizontal part
144...2nd bolt hole 150...bolt

Claims (9)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대상체를 받치는 받침대에 있어서,
지정된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수직부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직부는 상기 삽입공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1수평부와, 상기 제2-1수평부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2수직부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수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2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In a pedestal for supporting an object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a fixed part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ed point;
A first support member comprising a plate-like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 insertion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installed in the fixing portion while protrud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 2-1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while being formed in a plate shape,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2-1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vertical portion while having a plate shape 2-2 a second support member including a horizontal part; includes,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he fixing part is made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vertical seismic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a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fixing portion while being made in the shape of a plate is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평부에는 상기 제1수평부를 관통하는 제1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1볼트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1볼트공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A bolt hole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A first bolt hole passing through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fter the bol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olt is simultaneously fitted into the bolt hole and the first bol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기 제2-1수평부에는 상기 제2-1수평부를 관통하는 제2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2볼트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공과 상기 제2볼트공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A bolt hole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
A second bolt hole passing through the 2-1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in the 2-1 horizont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fter the bol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bolt is simultaneously fitted into the bolt hole and the second bolt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기 제1수직부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of the insertion hole is a vertical seismic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면은 상기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is a vertical earthquake-resistant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내진 받침대.
9. The method of claim 8,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and a coupling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KR2020200003980U 2020-11-04 2020-11-04 Vertical seismic pedestal KR2004944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80U KR200494498Y1 (en) 2020-11-04 2020-11-04 Vertical seismic pedes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80U KR200494498Y1 (en) 2020-11-04 2020-11-04 Vertical seismic pedes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98Y1 true KR200494498Y1 (en) 2021-10-25

Family

ID=7826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80U KR200494498Y1 (en) 2020-11-04 2020-11-04 Vertical seismic pedest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9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83Y1 (en) * 2022-02-18 2023-03-08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Seismic pedest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436A (en) * 1996-11-11 1998-05-29 Matsuya Sogo Kenkyusho:Kk Base isolating and overturn preventing device for precision equipment
KR101976011B1 (en) * 2018-08-07 2019-05-07 주식회사 대흥기전 Earthquake-proof stopper of seismic isolation structure using ball rolling and earthquake-proof generator having the same
KR20200056556A (en) * 2018-11-15 2020-05-25 (주)양수금속 Seismic appatatus for preventing breakaway and fall of structure
KR102210963B1 (en) * 2020-08-31 2021-02-03 (주)영진브이엔씨 Mount equipped with vibration-proof and earthquake-pro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436A (en) * 1996-11-11 1998-05-29 Matsuya Sogo Kenkyusho:Kk Base isolating and overturn preventing device for precision equipment
KR101976011B1 (en) * 2018-08-07 2019-05-07 주식회사 대흥기전 Earthquake-proof stopper of seismic isolation structure using ball rolling and earthquake-proof generator having the same
KR20200056556A (en) * 2018-11-15 2020-05-25 (주)양수금속 Seismic appatatus for preventing breakaway and fall of structure
KR102210963B1 (en) * 2020-08-31 2021-02-03 (주)영진브이엔씨 Mount equipped with vibration-proof and earthquake-pro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83Y1 (en) * 2022-02-18 2023-03-08 주식회사 영진브이엔씨 Seismic pedes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032B1 (en) Seismic equipment for cable tray - seismic cable tray system including this
KR200494498Y1 (en) Vertical seismic pedestal
KR101598350B1 (en) Electrical panel
KR101790961B1 (en) Vibration isolation uni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88094B1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ing Apparatus
KR101790917B1 (en) Board device chassis
KR102239265B1 (en) Soundproofed wall having earthquake 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70037199A (en) Assembly typed support frame for a table
EP3315881B1 (en) Mounting structure of compressor of refrigerator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1844983B1 (en) Cable supporting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596983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379133B2 (en)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and suspension member
KR20190098410A (en) Stopper for dustproof stand
KR200496583Y1 (en) Seismic pedestal
JPH09242387A (en) Damping structure
KR101828265B1 (en) The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structure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18503B1 (en)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earthquake-proof rack
KR101060358B1 (en) Construction Exhaust Pipe Support
KR102318143B1 (en) Seismic equipment for cable tray
KR102143582B1 (en) Seismic reinforced metal panel
KR102295292B1 (en) Flooring installation structure with easy-to-install earthquake-proof structure
KR10125731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of ceiling panel
KR101844986B1 (en) Limit module for quakeproof function of cable supporting module
KR200256945Y1 (en) cable supporter for underground utility-pipe conduit
KR101654772B1 (en) Aseismatic reinforcing apparatus using the reinforced panel zone and elastic force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