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57Y1 - 과일 처짐 방지 기구 - Google Patents

과일 처짐 방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57Y1
KR200494057Y1 KR2020190005227U KR20190005227U KR200494057Y1 KR 200494057 Y1 KR200494057 Y1 KR 200494057Y1 KR 2020190005227 U KR2020190005227 U KR 2020190005227U KR 20190005227 U KR20190005227 U KR 20190005227U KR 200494057 Y1 KR200494057 Y1 KR 200494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wire
main wire
ring
s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497U (ko
Inventor
안효춘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안효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춘 filed Critical 안효춘
Priority to KR2020190005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05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형적으로 길게 연장된 가요성 재질의 메인 와이어, 상기 메인 와이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 고리, 상기 메인 와이어의 표면에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복수의 과일 거치부, 및 상기 메인 와이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과일 거치부는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고 메인 와이어의 외주면에 방향을 달리하여 복수 개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를 제공하며, 또한 복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일 처짐 방지 기구 {Supporting device for fruit tree}
본 고안은 과일 처짐 방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과실수에 매달려 있는 복수의 열매를 지지하여 중량에 의해 과일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기구를 제안한다.
유실수의 열매 중 부피와 중량이 큰 과일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열매를 매달고 있는 가지가 생육이 진전된 열매의 중량을 견뎌내는데 한계가 있고, 임계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가지가 심하게 처지게 되며 열매가 더 성장하면서 가지가 부러지기도 한다. 가지가 처지게 되면 가지에 달려있는 열매가 햇빛에 노출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며 낙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생육 도중에 가지가 부러지게 되면 열매의 성장에 필요한 양분 공급이 제한되고, 수확 시기에 다다른 경우에는 열매의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라봉,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일은 생육 과정에서 부피와 중량이 비대해지는 대표적인 과일로서 성장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여름철부터 가지 처짐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노지에서 자라는 과일보다 비닐하우스 내에서 관리되는 과일은 상대적으로 부피 및 중량이 더 크게 성장하기 때문에 가지의 처짐 방지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열매 성장에 따른 하중이 커지는 것이 비례하여 가지의 처짐을 막고 수확 시기까지 가지에 열매가 잘 매달려 있도록 보완 수단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는 열매가 달려 있는 가지에 끈의 한쪽 끝을 묶고 다른 한쪽은 높은 위치에 고정된 지지물이나 금속 파이프에 연결하여 가지를 묶고 있는 끈에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가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손 묶음 방식').
이와 같은 종래의 가지 처짐 방법은 먼저 적절한 길이로 줄을 자르고, 열매가 달려있는 각각의 가지에 줄을 묶어 다른 현수줄이나 인장줄에 연결하게 된다(도 1a 및 1b 참조). 이렇게 과실수에 달려 있는 수많은 열매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끈으로 묶어 매달게 되면, 인장줄, 현수줄, 유인줄들이 복잡하게 얽히고 설켜 가지와 잎의 자연스런 성장을 방해할 수 있고 열매 수확 시기에 유인줄 등의 해체 및 제거가 어렵게 된다.
특히, 한라봉의 경우와 같이 한 그루에 과다하게 많은 열매가 달리는 경우, 각 열매마다 일일이 끈을 매달아 묶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그 자체로도 노동 강도가 심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농민의 수고를 배가시키고 외부 인력을 통해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생산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수확 시기가 도달하여 수많은 유인줄을 제거해야 할 때, 한라봉 과일의 특성상 열매와 연결된 가지 끝단을 절단하지 않고 주가지로부터 뻗어나온 곁가지 전체를 잘라내는 실정을 감안하면, 유인줄이 묶인 채로 곁가지가 함께 폐기물로 발생되어 이것의 처리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 유인줄에 묶인 채로 잘려진 곁가지들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득이 유인줄과 함께 폐기 처리해야 하는 양이 증대되어 또 다른 비용 발생의 요인이 되고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있다.
한편, 등록특허 10-1693401에 따르면, '매달기 도구'를 이용하여 하나의 노끈으로 복수의 열매를 매다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도 2a 참조), 매달기 도구는 가격이 저렴한 편이나 작업 기술을 익히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손 묶음 방식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매달기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들지 않을 뿐더러 한번 사용된 끈을 재사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특히, 매달기 도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1차적인 고정 작업을 위해 비닐하우스 천정으로 도구를 높이 던져 넘기거나 노년층이나 비숙련자의 경우 사다리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줄자 형태의 연결장치도 출시되었는데(도 2b 참조) 이 제품은 10a 당 가격이 462만원 정도로 비싼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농가가 사용하기에는 현실적이지 못하며, 이 경우에도 1차 고정 작업을 사다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고령의 농민들은 부상의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기술 및 과일 매달기 관행을 감안할 때 부피가 큰 과일 재배 시 노동 및 작업성을 개선하는 한편, 열매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는 가지 처짐을 방지하는 새로운 방식 및 이를 위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편한 동작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과일 매달기 작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는 과일 처짐 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새로운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형적으로 길게 연장된 가요성 재질의 메인 와이어, 상기 메인 와이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 고리, 상기 메인 와이어의 표면에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복수의 과일 거치부, 및 상기 메인 와이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고리는 비닐하우스의 골조 파이프 등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개방형 고리일 수 있고, 상기 연결 고리는 다른 개방형 고리에 걸어 연결할 수 있는 폐쇄형 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 거치부는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고 메인 와이어의 외주면에 방향을 달리하여 복수 개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어느 하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과일 거치부 또는 연결 고리에 또 다른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고정 고리 또는 과일 거치부가 결합되어 트리 구조로 시스템화된 세트 형태의 과일 처짐 방지 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과일 매달기의 반복되고 고된 노끈 묶음 작업을 기구에 과일을 거는 작업으로 단순화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수확 전 과일의 생육 관리에 유용하다.
또한,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및 기구는 농가시설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다리 사용 등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농가에 보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기구는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할 수 있어 강하면서 저렴하며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매달기 작업에서 발생하는 노끈 등의 폐기물을 소각하거나 매립할 필요가 없어 기존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기존의 손 묶음 방식의 과일 매달기 작업을 보인 사진
도 2a 및 2b는 도구를 이용한 종래의 과일 매달기 작업을 보인 사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를 보인 모식도
도 4는 과일 거치부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과일 거치 방식을 보인 모식도
도 6은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보인 모식도
도 7은 고정 고리와 연결 고리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과실수에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이용하여 과일을 거치한 모습을 보인 모식도
본 고안은 간편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제안한다.
감귤, 사과, 배, 복숭아, 매론 등의 과일 매달기 작업은 단순 행동이 반복되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고된 작업임에 반하여, 본 고안의 기구를 통해 비닐하우스 등 농가시설에 간편한 동작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매달기 작업의 효율이 뛰어나며 경제적인 도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처짐 방지 기구는 기본적으로 와이어 형태의 구조물로서, 구체적으로 선형적으로 길게 연장된 가요성 재질의 메인 와이어와 메인 와이어의 표면에 복수의 과일 거치부가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는 단일 구조물로 한라봉 등의 과실수 상단에 배치되어 열매들을 거치함으로써 과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망목 구조 내지 '트리' 구조의 시스템으로서 과실수 열매를 거치하여 더 효과적으로 과일 처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와이어의 상단에는 고정 고리가 결합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하단에는 연결 고리가 결합된다. 고정 고리와 연결 고리는 메인 와이어와 일체화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별도로 제조한 후 각각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100)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긴 막대 형태의 메인 와이어(110) 상단에는 고정 고리(111)가 일체화되어 있어 비닐하우스의 내부 파이프 등의 천정 구조물에 걸 수 있도록 되어있고, 와이어 중간 영역에는 과일에 연결되는 잔가지를 걸어 과일을 거치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과일 거치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 와이어 하단에는 연결 고리(11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고리(111)는 다른 와이어의 과일 거치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와이어의 연결 고리에 연결하여 더 길게 연장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고정 고리는 과일 거치부 또는 연결 고리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 후 이탈되지 않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와이어(110)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탄성체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상단부만 경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요성 와이어가 외력에 의해 휘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부에는 금속 스트링이 외부에는 고무 재질의 피복재로 구성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하고, 고정 고리와 연결 고리가 형성된 상단부 및 하단부와, 과일 거치부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만 경질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탄성 재질 내지 가요성 재질의 물질을 사용하여 메인 와이어와 고정 고리, 연결 고리, 과일 거치부 모두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료적 특성으로 인하여 메인 와이어는 실제 사용 시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휘어진 상태로 사용하여 과실수의 열매를 거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 고리는 비닐하우스의 골조 파이프 등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개방형 고리일 수 있고, 연결 고리는 다른 개방형 고리에 걸어 연결할 수 있는 폐쇄형 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 거치부는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고 메인 와이어의 외주면에 방향을 달리하여 복수 개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과일 거치부의 부분 확대도로서, 'S'자 형태의 갈고리 구조물을 보이고 있다. 과일 거치부의 상부는 폭이 좁고(w1) 내부로 갈수록 폭(W2)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과일 거치부에 과일에 연결된 가지가 통과되도록 하는 한편, 과일 연결 가지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과일 거치부는 과일 가지를 고정함으로써 과일을 거치하는 한편, 상기 연결 고리와 더불어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간의 보조 체결부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과일 거치부는 고무 등의 가요성 재질로 형성하여 얇은 가지의 과일을 고정하거나 또는 경질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굵은 가지의 과일을 고정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를 이용한 과일 거치 방식을 보인 모식도이다. 과일 매달기 작업에 있어서, 메인 와이어 상부의 고정 고리(111)는 일차적으로 비닐하우스의 천정을 가로지르는 파이프(P)나 철사 또는 고정 와이어에 걸어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차적으로는 와이어 간의 연결 목적으로 사용되어 멀리 이격되어 있는 과일을 거치하기 위해 또 다른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연결 고리 또는 과일 거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한 과일 매달기 작업은 메인 와이어 상단의 고정 고리를 비닐하우스 내부의 고정물에 걸어 고정하는 단계, 메인 와이어 외주면의 과일 거치부에 과일의 가지를 걸어 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복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간의 연결을 통해 길이를 연장하거나 과일 거치 방향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와이어 몸통 부분의 과일 거치부에는 과일의 꼭지 부분을 걸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은 어느 하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과일 거치부 또는 연결 고리에 또 다른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고정 고리 또는 과일 거치부가 결합되어 시스템화된 세트 형태의 과일 처짐 방지 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기구(120)를 보인 모식도이다. 복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100a,100b,100c,100d)가 상호 연결되어 망목 구조 내지 트리 구조를 이루고 있고, 각각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에 포함된 과일 거치부가 전체적으로 확산된 배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상호 체결하여 하나의 세트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 와이어의 길이를 적절히 절단하여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복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들을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세트로 사용할 때, 고정 고리와 연결 고리간의 결합력이 중요하다. 하나의 와이어의 하단의 연결 고리에 다른 와이어의 상단의 고정 고리가 상호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길게 연장된 과일 처짐 방지 기구로 활용성이 높고, 특히 길이를 연장한 상태로 비닐하우스 내 천정의 파이프나 철사, 연결줄 등에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기구를 걸어 고정할 때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선형적인) 일자 형태를 유지한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손으로 들어 올려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고정 고리와 연결 고리의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하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하단 연결 고리(113)와 다른 하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의 상단 고정 고리(111)를 보이고 있다. 연결 고리는 내부에 통과홀(113a)이 마련되어 있는 폐쇄형 링 구조이며, 통과홀 내부에 만입부(113b)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고리는 갈고리 형태로서 걸쇠(111a)가 형성되어 있고, 걸체 내면에는 돌출부(111b)가 부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고리의 통과홀의 폭과 고정 고리의 걸쇠의 폭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통과홀의 만입부에 걸쇠의 돌출부가 맞물려 삽입됨으로써 연결 고리와 고정 고리가 강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과실수에 과일 처짐 방지 기구를 이용하여 과일을 거치한 모습을 모식적으로 보인 것으로, 과실수의 각 가지에 개별 와이어가 배치된 채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트리' 구조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들이 과실수의 가지 배치 형태와 유사하게 배치되어 과실수의 열매를 효과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및 기구는 기존 기술과 달리,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할 때 특별히 고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가요성 메인 와이어를 과일 위치에 맞게 휘어 과일을 거치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과일 매달기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는 매우 저렴하게 생산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프린터를 이용한 제품의 형태 및 기능을 먼저 설계하고, 대량 생산을 위해서 사출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다. 사출금형 제작 후, 자외선이 강하게 조사되는 야외에서 사용할 때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UV함유 플라스틱 자재 등을 이용하여 사출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농업 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길이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기존에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손 묶음 방식의 과일 매달기 작업은 끈을 장만하는 과정(끈 뭉치를 풀어 일정한 길이로 자르는 작업)과 일일이 손으로 묶어야 하는 과정이 과다하게 반복되며, 작업에는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어 농촌의 인력난을 점점 어렵게 하였다. 반면,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및 기구는 간단히 거치하는 작업만으로 과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기존 환경오염 문제(소각, 매립 등)를 해결할 수 있으며, 재생 플라스틱 사용하게 되면 농가에 부담없는 가격으로 공급 가능하다. 또한, 과일 처짐 방지 작업 시 노끈 등을 사용할 때 사다리를 사용하는 행태를 없앨 수 있어 농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및 기구는 과일 매달기 작업으로 인한 농촌 인력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고, 수확 전 과일의 생육 상태를 잘 관리할 수 있어 과수 농가의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110: 메인 와이어
111: 고정 고리 112: 과일 거치부
113: 연결 고리 120: 과일 처짐 방지 기구
200: 과일

Claims (3)

  1. 선형적으로 길게 연장된 가요성 재질의 메인 와이어,
    상기 메인 와이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 고리,
    상기 메인 와이어의 표면에 고정되어 일체화되는 복수의 과일 거치부, 및
    상기 메인 와이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과일 거치부는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고 메인 와이어의 외주면에 방향을 달리하여 복수 개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고리는 비닐하우스의 골조 파이프 등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개방형 고리이고, 상기 연결 고리는 다른 개방형 고리에 걸어 연결할 수 있는 폐쇄형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
  3. 제1항에 따른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를 복수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과일 거치부 또는 연결 고리에 또 다른 과일 처짐 방지 와이어의 고정 고리 또는 과일 거치부가 결합되어 트리 구조로 시스템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처짐 방지 기구.
KR2020190005227U 2019-12-23 2019-12-23 과일 처짐 방지 기구 KR200494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27U KR200494057Y1 (ko) 2019-12-23 2019-12-23 과일 처짐 방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27U KR200494057Y1 (ko) 2019-12-23 2019-12-23 과일 처짐 방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97U KR20210001497U (ko) 2021-07-01
KR200494057Y1 true KR200494057Y1 (ko) 2021-07-22

Family

ID=7686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27U KR200494057Y1 (ko) 2019-12-23 2019-12-23 과일 처짐 방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05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62A (ja) 2002-02-26 2003-09-09 Hayakawa Hatsujo Seisakusho:Kk 柑橘類等の枝吊り具
KR200472367Y1 (ko) 2013-12-10 2014-04-23 김홍민 농작물 가지 고정지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881A (ko) * 2004-05-17 2005-11-22 박청일 과일매다는 걸고리
KR20150017414A (ko) * 2013-07-01 2015-02-17 박혜민 농산물 지주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62A (ja) 2002-02-26 2003-09-09 Hayakawa Hatsujo Seisakusho:Kk 柑橘類等の枝吊り具
KR200472367Y1 (ko) 2013-12-10 2014-04-23 김홍민 농작물 가지 고정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97U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16445U (zh) 一种摘果器
KR200494057Y1 (ko) 과일 처짐 방지 기구
CN206674666U (zh) 一种苗木种植固定装置
KR101693401B1 (ko) 가지 처짐 방지용 유인줄 연결 기구 및 이를 이용한 과일 재배 방법
KR101582104B1 (ko) 굴 양식 설비
CN201341349Y (zh) 藤类植物攀爬绳架
CN201742784U (zh) 葡萄防鸟网
CN209824528U (zh) 一种可调式寒富苹果树拉枝器
CN208370290U (zh) 一种柑橘采摘装置
CN201323778Y (zh) 一种多功能剪
KR200403649Y1 (ko) 유실수 가지 유인지지구
KR100940646B1 (ko) 나무 이식용 지중 지지대
CN213187363U (zh) 一种大棚无土栽培藤类农作物攀爬绳架
CN210671469U (zh) 一种农业种植用可回收的攀藤蔬菜支撑架
CN217509745U (zh) 一种喷药管卡箍
CN220441348U (zh) 一种用于蓝莓鲜果的收集网袋
CN218117445U (zh) 一种园艺围网结构
KR102526565B1 (ko) 필름 사를 이용한 덩굴식물 생장용 망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덩굴식물 생장용 망
CN213481736U (zh) 一种凋落物收集框
CN217958060U (zh) 一种红树林修复区防护结构
CN213427401U (zh) 一种市政园林用支撑辅助装置
CN110679290B (zh) 一种农业用可便于收集的棉花采摘器
CN211881728U (zh) 一种大棚温室内水槽装配结构组件
CN220831003U (zh) 一种西甜瓜的简易悬吊装置
JPH05169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