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60Y1 -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 Google Patents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60Y1
KR200493760Y1 KR2020190002515U KR20190002515U KR200493760Y1 KR 200493760 Y1 KR200493760 Y1 KR 200493760Y1 KR 2020190002515 U KR2020190002515 U KR 2020190002515U KR 20190002515 U KR20190002515 U KR 20190002515U KR 200493760 Y1 KR200493760 Y1 KR 200493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ection
coupled
electric fen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88U (ko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한국솔라파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솔라파워(주) filed Critical 한국솔라파워(주)
Publication of KR20190003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3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in combination with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7Fencing provided with electric elements or components, e.g. fencing member or component, such as fence strands, post, panel or rail, provided with electric elemen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B65H2701/364Wires used in 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관한 것으로서, 이웃하는 지주봉(P) 중, 제1 지주봉(P1)에는 도전선(L)의 일단이 연장되고, 제2 지주봉(P2)에는 도전선(L)의 타단이 접속금구(5)를 매개로 연결되는 전기울타리에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제1 지주봉(P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외주면 타측에는 관통공(105)이 형성되는 릴통(100); 상기 릴통(100)의 중공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200); 스프링통(250)에 내재되는 태엽스프링으로서, 내경부가 상기 축부재(200)에 결합되고 외경부는 스프링통(25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00); 상기 도전선(L)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구간(410)과, 상기 제1 구간(410)에서 상기 탄성부재(30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구간(420)과, 상기 제2 구간(420)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통(250)의 외주면에 감긴 후 상기 관통공(105)을 통해 상기 릴통(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3 구간(430)으로 구분되는 연결선(400); 및 일측에 상기 제3 구간(430)의 연장단부가 연결되도록 고리(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지주봉(P2)의 접속금구(5)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후크(520)가 형성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Automatic reel for electric fence door}
본 고안은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동물의 출입은 차단하고 사용자의 출입은 용이하면서 감전으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관한 것이다.
전기울타리란 방목장이나 농경지등 보호할 대상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세줄 혹은 그 이상의 전기 책선을 설치하여 AC220V(목책기 내부에서 DC12V로 전환) 전기 및 태양광 전기로 생성된 전류(DC12V)로 맥동(펄스)전류 발생 회로기를 통하여 순간 2,000V ~ 10,000V 이상의 맥동전류를 0.7초 ~ 1.5초 간격으로 전기 책선에 흐르게 하여 유해 야생동물의 침입을 퇴치하거나, 소나 말, 염소등 방목하는 가축들이 우리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충격식 방법의 울타리를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작업자, 가축 및 각종 장비의 출입을 목적으로 전기 울타리를 설치할 때 필요에 따라 수 개의 출입문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전기 울타리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전기 울타리의 출입문에 대한 불편함과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관련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82707호('전기 울타리 및 그 제어방법과 전기 울타리의 전원장치 및 전기 울타리의 제어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2707호(2012년09월13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전기 울타리 및 그 제어방법과 전기 울타리의 전원장치 및 전기 울타리의 제어회로)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울타리의 출입문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고, 안전하며, 제작·설치가 간편하면서, 개수 및 위치 조정이 용이한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은, 이웃하는 지주봉(P) 중, 제1 지주봉(P1)에는 도전선(L)의 일단이 연장되고, 제2 지주봉(P2)에는 도전선(L)의 타단이 접속금구(5)를 매개로 연결되는 전기울타리에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제1 지주봉(P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외주면 타측에는 관통공(105)이 형성되는 릴통(100); 상기 릴통(100)의 중공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200); 스프링통(250)에 내재되는 태엽스프링으로서, 내경부가 상기 축부재(200)에 결합되고 외경부는 스프링통(25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00); 상기 도전선(L)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구간(410)과, 상기 제1 구간(410)에서 상기 탄성부재(30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구간(420)과, 상기 제2 구간(420)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통(250)의 외주면에 감긴 후 상기 관통공(105)을 통해 상기 릴통(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3 구간(430)으로 구분되는 연결선(400); 및 일측에 상기 제3 구간(430)의 연장단부가 연결되도록 고리(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지주봉(P2)의 접속금구(5)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후크(520)가 형성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있어서, 상기 릴통(100)은, 일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릴케이스(110)와, 상기 릴케이스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덮개(120)와, 상기 제1 지주봉(P1)이 삽입되는 끼움홀(131)의 개방면 양측으로 수슬라이드돌기(132)가 각각 절곡연장되고 상기 릴케이스(110)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고정블록(130)을 구비하고, 상기 수슬라이드돌기(132)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일면 양측에 각각 '┌ ┐' 형상으로 암슬라이드돌기(610)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 형상으로 와이어소켓(620)이 돌출형성되는 압박블록(600); 및 양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고 그 사이가 상기 와이어소켓(620)에 끼워지며, 일단부에 상기 도전선(L)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연결선(400)의 제1 구간(410)이 연결되는 접속와이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있어서, 상기 릴케이스(110)의 차폐된 타면에는, 상기 축부재(200)와 대등한 반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전선인입홀(111a)이 형성되는 제1 축부시(11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덮개(120)에는, 상기 축부재(200)와 대등한 반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축부시(121)가 구비되며, 상기 축부재(200)는, 양단부가 상기 제1 축부시(111)와 상기 제2 축부시(12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있어서, 도전체로서 상기 가고정블록(130)에 장착되며, 상기 압박블록(600)과 마주보는 수슬라이드돌기(132)의 표면에 각각 결합되는 플랫단자(810)와, 상기 플랫단자(810)에서 상기 끼움홀(131)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중앙에서 서로 만나는 아크단자(820)와, 상기 아크단자(820)의 중앙에서 상기 릴케이스(11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연결선(400)의 제2 구간(420)과 연결되는 돌출단자(830)를 구비하는 일측 접촉단자부(800); 및 도전체로서 상기 압박블록(600)에 장착되며, 상기 플랫단자(810)와 접촉되도록 상기 플랫단자(810)와 마주보는 압박블록(600)의 대향면에 각각 결합되는 반원형 형상의 범프단자(910)와, 상기 접속와이어(700)와 접촉되도록 상기 와이어소켓(620)의 소켓홈(621)에 결합되는 와이어단자(920)를 구비하는 타측 접촉단자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따르면, 전기울타리의 출입문을 닫을 때는 손잡이부를 당겨서 접속금구에 걸고, 출입문을 열 때는 접속금구에 걸려있는 손잡이부를 빼서 놓으면, 손잡이부가 릴통에 자동으로 감김으로써, 출입문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출입문 개방 시에, 연결선이 지면에 그대로 풀려진 상태가 아니고 릴통에 전부 권취된 상태이므로, 감전 위험없이 안전하게 전기울타리를 출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릴통을 지주봉에 끼우고, 압박블록을 슬라이딩 삽입한 다음, 접속와이어의 양단에 도전선과 연결선을 결선하는 방식으로, 출입문용 자동 릴을 원터치 형태로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입문용 자동 릴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 접촉단자부와 타측 접촉단자부가 더 포함되어 릴통 내부의 연결선과 릴통 외부의 도전선이 자동으로 연결됨으로써, 추가 결선작업 없이 출입문용 자동 릴을 보다 쉽게 전기울타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도 1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도 1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포함된 축부재의 입체형상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절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설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 1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도 1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포함된 축부재의 입체형상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10)은 동물의 출입은 어렵게 하고 사용자의 출입은 용이하면서 감전으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창안된 기술로서, 이웃하는 지주봉(P) 중, 제1 지주봉(P1)에는 도전선(L)의 일단이 연장되고, 제2 지주봉(P2)에는 도전선(L)의 타단이 접속금구(5)를 매개로 연결되는 전기울타리(1)에 설치되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통(100), 축부재(200), 스프링통(250), 탄성부재(300), 연결선(400)과 손잡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릴통(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외주면 일측이 제1 지주봉(P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외주면 타측에는 관통공(105)이 형성되는 통이다.
본 실시예에서 릴통(100)은 일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릴케이스(110)와, 릴케이스(11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덮개(120)와, 제1 지주봉(P1)이 삽입되는 끼움홀(131)의 개방면 양측으로 각각 수슬라이드돌기(132)가 절곡연장되고 릴케이스(110)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고정블록(130)으로 구성된다.
릴케이스(110)의 차폐된 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200)와 대등한 반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전선인입홀(111a)이 형성되는 제1 축부시(111)가 구비된다.
케이스덮개(1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200)와 대등한 반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축부시(121)가 구비된다.
축부재(200)는 릴통(100)의 중공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이다.
본 실시예에서 축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1 축부시(111)에 먼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도 4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케이스덮개(120)가 돌려져 닫히는 과정에서 제2 축부시(121)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축부재(200) 및 케이스덮개(12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200)의 내부에는 전선 인입 통로(210)가 형성되는데, 도 4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인입 통로(210)는 축부재(200)의 일단부 중심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제1 통로(211), 제1 통로(211)의 단부에서 축부재(200)의 외주를 향해 사선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통로(212), 제2통로(212)의 단부에서 축부재(2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제3 통로(213) 및 제3 통로(213)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반대방면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제4 통로(214)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연결선(400)이 릴통(100)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연결선(400)을 제4 통로(214)에 먼저 끼우면, 연결선(400)이 제3 통로(213)를 통해 외부에 1차적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노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제2통로(212) 측으로 구부려 다시 끼우면, 연결선(400)이 제1 통로(211)를 거쳐 릴통(1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연결선(400)을 쉽게 릴통(100) 밖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스프링통(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양측에 반경이 더 큰 원형 커버판(251)이 결합되어 단면이 'ㅒ' 형상을 이루는 통으로서, 중공축에 축부재(200)가 통과하게 된다.
탄성부재(300)는 스프링통(250)에 내재되는 태엽스프링으로서, 중심 내경부가 축부재(200)에 결합·고정되고, 바깥 외경부는 스프링통(250)에 결합되어 스프링통(250)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00)는 스프링통(250)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시계방향으로 스프링통(250)을 당기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연결선(400)은 도전선(L)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구간(410)과, 제1 구간(410)에서 탄성부재(30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구간(420)과, 제2 구간(420)에서 연장되어 스프링통(250)의 외주면에 감긴 후 관통공(105)을 통해 릴통(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3 구간(430)으로 구분되는 전선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선(400)은, 제1 지주봉(P1) 측에 배설된 도전선(L)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구간(410)과, 제1 구간(410)에서 연장되어 제1 축부시(111)의 전선인입홀(111a)및 축부재(200)의 전선 인입 통로(210)를 연속 통과하여 탄성부재(300)의 내경부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구간(420)과, 일단부가 스프링통(25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스프링통(250)과 함께 회전하는 탄성부재(300)의 외경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스프링통(250)의 외주면에 여러번 감긴 후 관통공(105)을 통해 릴통(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3 구간(4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선(400)의 제2 구간(420)과 제3 구간(430)은 탄성부재(300)를 전도체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선(400)의 제3 구간(430)이 제2 지주봉(P2) 측으로 당겨지면, 스프링통(250)및 탄성부재(300)가 회전되면서 연결선(400)의 제3 구간(430)이 인출되고, 연결선(400)을 놓으면,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연결선(400)의 제3 구간(430)이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손잡이부(500)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고 양단부가 확장되어 그립턱(50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일측에 연결선(400)의 제3 구간(430) 연장단부가 연결되도록 고리(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지주봉(P2)의 접속금구(5)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걸고리 형상의 후크(520)가 마련된다.
고리(510)와 후크(520)는 손잡이부(5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철심(515)을 매래로 연결되며, 고리(510)는 철심(515)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지주봉(P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릴통(10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지주봉(P1)으로 배설된 도전선(L)의 일단이 결선될 수 있는 자리(대상)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압박블록(600)과 접속와이어(700)가 더 포함된다.
압박블록(600)은 릴통(100)의 수슬라이드돌기(132)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일면 양측에 각각 '┌ ┐' 형상으로 암슬라이드돌기(610)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 형상으로 와이어소켓(620)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암슬라이드돌기(610) 사이에는 제1 지주봉(P1)에 압박밀착되도록 호 형상으로 곡면리브(615)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박블록(600)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릴통(100)의 수슬라이드돌기(132) 하단부에는 스토퍼돌기(132a)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와이어(700)는 양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고 그 사이가 와이어소켓(620)에 끼워지며, 일단부에 도전선(L)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연결선(400)의 제1 구간(41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를 제2 지주봉(P2) 측으로 당기면, 릴통(100)에서 연결선(400)이 인출되면서 지주봉(P) 사이의 출입공간(A)을 가로막게 되고, 손잡이부(500)를 놓으면, 연결선(400)이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릴통(100)에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전기울타리의 출입문을 닫을 때는 손잡이부를 당겨서 접속금구에 걸고, 출입문을 열 때는 접속금구에 걸려있는 손잡이부를 빼서 놓으면, 손잡이부가 릴통에 자동으로 감김으로써, 출입문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출입문 개방 시에, 연결선이 지면에 그대로 풀려진 상태가 아니고 릴통에 전부 권취된 상태이므로, 감전 위험없이 안전하게 전기울타리를 출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릴통을 지주봉에 끼우고, 압박블록을 슬라이딩 삽입한 다음, 접속와이어의 양단에 도전선과 연결선을 결선하는 방식으로, 출입문용 자동 릴을 원터치 형태로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입문용 자동 릴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절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의 설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20)은, 앞 실시예에서 이루어졌던 접속와이어의 양단에 도전선과 연결선을 결선하는 작업이 생략되도록 고안된 기술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400)의 제1 구간(410)과 제2 구간(420)이 축부재(20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가 아니고, 릴통(100)의 내부에서 곧바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일측 접촉단자부(800)와 타측 접촉단자부(900)가 더 포함된다.
일측 접촉단자부(800)는 도전체로서 가고정블록(130)에 장착되며, 압박블록(600)과 마주보는 수슬라이드돌기(132)의 표면에 각각 결합되는 플랫단자(810)와, 플랫단자(810)에서 가고정블록(130)의 끼움홀(131)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중앙에서 서로 만나는 아크단자(820)와, 아크단자(820)의 중앙에서 릴케이스(11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어 연결선(400)의 제2 구간(420)과 연결되는 돌출단자(830)를 구비한다.
즉, 연결선(400)의 제2 구간(420)은, 일단이 돌출단자(830)에 결선되고, 타단은 탄성부재(300)의 내경부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타측 접촉단자부(900)는 도전체로서 압박블록(600)에 장착되며, 플랫단자(810)와 접촉되도록 플랫단자(810)와 마주보는 압박블록(600)의 대향면에 각각 결합되는 반원형 형상의 범프단자(910)와, 접속와이어(700)와 접촉되도록 와이어소켓(620)의 소켓홈(621)에 결합되는 와이어단자(9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선(400)의 제1 구간(410)은 압박블록(600) 내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이 와이어단자(920)를 매개로 제1 지주봉(P1) 측에 배설된 도전선(L)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양측으로 분기되어 범프단자(9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1 지주봉(P1)에 아주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접촉단자부(800)가 내설된 릴통(100)의 가고정블록(130)을 제1 지주봉(P1)에 억지끼움으로 끼운 다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접촉단자부(900)가 내설된 압박블록(600)을 릴통(100)의 가고정블록(130)에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접촉단자부(800)의 플랫단자(810)와 타측 접촉단자부(900)의 범프단자(910)가 상호 압박밀착됨으로써, 별도의 추가 결선작업 없이 릴통 내부의 연결선(400)과 릴통 외부의 도전선(L)이 자동으로 연결된다. 접속와이어의 양단에 도전선(L)과 연결선(400)을 결선하는 작업이 생략됨으로써, 출입문용 자동 릴을 보다 쉽게 전기울타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은, 전기울타리의 출입문을 닫을 때는 손잡이부를 당겨서 접속금구에 걸고, 출입문을 열 때는 접속금구에 걸려있는 손잡이부를 빼서 놓으면, 손잡이부가 릴통에 자동으로 감김으로써, 출입문을 쉽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출입문 개방 시에, 연결선이 지면에 그대로 풀려진 상태가 아니고 릴통에 전부 권취된 상태이므로, 감전 위험없이 안전하게 전기울타리를 출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릴통을 지주봉에 끼우고, 압박블록을 슬라이딩 삽입한 다음, 접속와이어의 양단에 도전선과 연결선을 결선하는 방식으로, 출입문용 자동 릴을 원터치 형태로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입문용 자동 릴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 접촉단자부와 타측 접촉단자부가 더 포함되어 릴통 내부의 연결선과 릴통 외부의 도전선이 자동으로 연결됨으로써, 추가 결선작업 없이 출입문용 자동 릴을 보다 쉽게 전기울타리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릴통
200 : 축부재
250 : 스프링통
300 : 탄성부재
400 : 연결선
500 : 손잡이부

Claims (4)

  1. 이웃하는 지주봉(P) 중, 제1 지주봉(P1)에는 도전선(L)의 일단이 연장되고, 제2 지주봉(P2)에는 도전선(L)의 타단이 접속금구(5)를 매개로 연결되는 전기울타리에 설치되고,
    원통 형상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제1 지주봉(P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외주면 타측에는 관통공(105)이 형성되는 릴통(100);
    상기 릴통(100)의 중공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축부재(200);
    스프링통(250)에 내재되는 태엽스프링으로서, 내경부가 상기 축부재(200)에 결합되고 외경부는 스프링통(25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00);
    상기 도전선(L)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구간(410)과, 상기 제1 구간(410)에서 상기 탄성부재(30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구간(420)과, 상기 제2 구간(420)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통(250)의 외주면에 감긴 후 상기 관통공(105)을 통해 상기 릴통(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3 구간(430)으로 구분되는 연결선(400); 및
    일측에 상기 제3 구간(430)의 연장단부가 연결되도록 고리(5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지주봉(P2)의 접속금구(5)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후크(520)가 형성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릴통(100)은, 일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릴케이스(110)와, 상기 릴케이스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덮개(120)와, 상기 제1 지주봉(P1)이 삽입되는 끼움홀(131)의 개방면 양측으로 수슬라이드돌기(132)가 각각 절곡연장되고 상기 릴케이스(110)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가고정블록(130)을 구비하고,
    상기 수슬라이드돌기(132)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일면 양측에 각각 '┌ ┐' 형상으로 암슬라이드돌기(610)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 형상으로 와이어소켓(620)이 돌출형성되는 압박블록(600); 및
    양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절곡되고 그 사이가 상기 와이어소켓(620)에 끼워지며, 일단부에 상기 도전선(L)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연결선(400)의 제1 구간(410)이 연결되는 접속와이어(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케이스(110)의 차폐된 타면에는, 상기 축부재(200)와 대등한 반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전선인입홀(111a)이 형성되는 제1 축부시(11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덮개(120)에는, 상기 축부재(200)와 대등한 반경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축부시(121)가 구비되며,
    상기 축부재(200)는, 양단부가 상기 제1 축부시(111)와 상기 제2 축부시(12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4. 제1항에 있어서,
    도전체로서 상기 가고정블록(130)에 장착되며, 상기 압박블록(600)과 마주보는 수슬라이드돌기(132)의 표면에 각각 결합되는 플랫단자(810)와, 상기 플랫단자(810)에서 상기 끼움홀(131)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중앙에서 서로 만나는 아크단자(820)와, 상기 아크단자(820)의 중앙에서 상기 릴케이스(11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연결선(400)의 제2 구간(420)과 연결되는 돌출단자(830)를 구비하는 일측 접촉단자부(800); 및
    도전체로서 상기 압박블록(600)에 장착되며, 상기 플랫단자(810)와 접촉되도록 상기 플랫단자(810)와 마주보는 압박블록(600)의 대향면에 각각 결합되는 반원형 형상의 범프단자(910)와, 상기 접속와이어(700)와 접촉되도록 상기 와이어소켓(620)의 소켓홈(621)에 결합되는 와이어단자(920)를 구비하는 타측 접촉단자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KR2020190002515U 2018-06-18 2019-06-18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KR2004937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2702 2018-06-18
KR2020180002702 2018-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88U KR20190003188U (ko) 2019-12-27
KR200493760Y1 true KR200493760Y1 (ko) 2021-06-02

Family

ID=6900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515U KR200493760Y1 (ko) 2018-06-18 2019-06-18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945B1 (ko) * 2020-02-27 2021-09-24 한국솔라파워(주) 전기 울타리
CN114148830B (zh) * 2021-12-03 2023-07-21 航宇救生装备有限公司 一种飞机舱门警示防护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3771B2 (ja) * 2004-10-25 2010-10-13 中日産業株式会社 ベルトパーティション装置
KR101088737B1 (ko) * 2011-08-29 2011-12-01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40B1 (ko) * 2009-10-06 2011-07-07 최필선 전기 울타리의 출입 구조물
JP4778113B1 (ja) 2010-12-27 2011-09-21 株式会社末松電子製作所 電気柵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電気柵の電源装置及び電気柵の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3771B2 (ja) * 2004-10-25 2010-10-13 中日産業株式会社 ベルトパーティション装置
KR101088737B1 (ko) * 2011-08-29 2011-12-01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88U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760Y1 (ko)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US4845307A (en) Wildlife guard for electrical insulator bushings
KR102183974B1 (ko) 가공배전라인 지지고정용 지지장치
US7941878B1 (en) Sink drain system
US20130068503A1 (en) Electric Fence Power Control for Temporary Interruptions
WO2006080901A1 (en) Powered patio pole umbrella
KR20090009670U (ko) 동물 포획용 올무
US3684248A (en) Fence gate handle
KR102668066B1 (ko)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KR20100070531A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장치
KR20080011840A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CN205531852U (zh) 一种防火门释放器用的电磁铁
CN107439513B (zh) 一种安装方便的园林灭蚊灯
KR20230023084A (ko) 전기울타리 출입문용 자동 릴
KR102097513B1 (ko) 방수기능을 갖는 측뢰 피뢰침
CN213881355U (zh) 一种用于救治动物的辅助工具
KR101047740B1 (ko) 전기 울타리의 출입 구조물
CN212343114U (zh) 一种便于安全检修的配电箱
US5722114A (en) Gate closure mechanism
AU2017245365A1 (en) Insulator, fence post, plug and wire fencing system
KR102304945B1 (ko) 전기 울타리
JP3180547U (ja) 電気柵用電線支持具
CN208431725U (zh) 一种吊灯线扣
CN204350918U (zh) 一种电器锁合保险结构及应用该结构的灭蚊器
KR20130001570U (ko) 통신 케이블 설치용 케이블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