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44Y1 - Cassette for storing cell - Google Patents

Cassette for storing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44Y1
KR200493644Y1 KR2020160001176U KR20160001176U KR200493644Y1 KR 200493644 Y1 KR200493644 Y1 KR 200493644Y1 KR 2020160001176 U KR2020160001176 U KR 2020160001176U KR 20160001176 U KR20160001176 U KR 20160001176U KR 200493644 Y1 KR200493644 Y1 KR 200493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ffin
cell storage
storage cassette
cassett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3200U (en
Inventor
고재남
이청우
김희송
조봉수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2020160001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44Y1/en
Publication of KR20170003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0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2Specific details about manufact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8Side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변을 따라 형성되는 외벽부와, 서로 인접한 상기 외벽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 상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ttom portion formed to form a polygonal cross-section, an outer wall portion formed along each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one or more partition wall portion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 cover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Description

세포 보관용 카세트{Cassette for storing cell}Cassette for storing cells {Cassette for storing cell}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세포 보관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격벽부를 구비하여 내부의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한 세포 보관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assette for storing cel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sette for storing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are partitioned with one or more partition walls.

종래, 조직 검사 표본 작성을 위한 세포 보관용 카세트는 내부의 공간이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경우, 하나의 검체를 보관하기 위해 하나의 카세트가 필요하며, 복수 개의 서브(sub) 검체가 있는 경우에도, 각 서브(sub) 검체 별로 별도의 카세트를 이용하여 각각 포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본원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ⅰ)미국 등록특허공보 US 5,427,742호(1995.06.27)호 (발명 명칭 : Tissue Processing Cassette), ⅱ)미국 등록특허공보 US 8,969,075(2015.03.03)호 (발명 명칭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ells for microtome sectioning and archiving nucleic acids and proteins)이 있다.
Conventionally, a cell storage cassette for preparing a tissue test specimen had an inner space composed of one area. In this case, one cassette is required to store one sample, and even if there are multiple sub samples, it is a hassle to perform each embedding operation using a separate cassette for each sub sample. Loyalty existed.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 US Patent Publication No. 5,427,742 (1995.06.27) (Invention Name: Tissue Processing Cassette), ii) US Patent Publication US 8,969,075 (2015.03.03) (Invention Name)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ells for microtome sectioning and archiving nucleic acids and proteins).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세포 보관용 카세트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assette for storing cells.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변을 따라 형성되는 외벽부와, 서로 인접한 상기 외벽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 상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를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ody portion including a bottom portion formed to form a polygonal cross-section, an outer wall portion formed along each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one or more partition wall portion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 cover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네 변 상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외벽부들 각각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outer wall portion may be formed on four sides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may be formed to contact each of the outer 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외벽부들 및 상기 외벽부들 각각과 접하는 상기 격벽부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contacting each of the outer wall portions may form a right-angled isosceles triang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격벽부에 의해 제1 파라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상기 외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의해 제2 파라핀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핀 수용부를 이루는 상기 외벽부의 길이는, 해당 외벽부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forming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may be less than half of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2 파라핀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치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engag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파라핀 수용부의 메시의 크기가 상기 제2 파라핀 수용부의 메시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and the size of the mesh of the first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mesh of the second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커버부는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서,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의 본체부(110) 내부를 복수 개, 예를 들어 5개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써, 최대 5개의 서브(sub) 검체를 하나의 카세트로 블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운데 영역에 형성된 제1 파라핀 수용부(114)에는 큰 검체를 배치하고,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제2 파라핀 수용부(115)에는 작은 검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립선 주사 조직(Prostate Needle biopsy)과 같이 스폰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가운데 부분의 제1 파라핀 수용부(114)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아주 큰 검체를 제외한 모든 검체에 적용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of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into a plurality, for example, five regions, a maximum of five sub samples can be made into a single cassette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can be obtained. Particularly, a large sampl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formed in the middle region, and a small sampl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disposed in four corner areas. 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sponge such as a prostate needle biopsy,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in the center can be us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specimens except for very large specimens. have.

또한, 복수 개의 서브(sub) 검체를 하나의 카세트로 블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생검 검체 육안검사 시 렌즈페이퍼 과정이 생략되고, 카세트 매칭 과정 생략되어 검사 시간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포매 시에 렌즈 페이퍼 해체작업으로 인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블록 개수 감소로 인해 박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보고를 위한 정리시간이 단축되고, 슬라이드 판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파라핀 블록 및 슬라이드의 보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block a plurality of sub specimens with one cassette, the lens paper process is omitted during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biopsy specimen, and the cassette matching process is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examination tim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due to the dismantling work of the lens paper during embedding, the cut time can be shortened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blocks, the time to arrange for the slide report is shortened, and the slide reading time is shortene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a storage space for paraffin blocks and slid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의 본체부(1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의 본체부(110)와 커버부(120)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storage casset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body portion 110 of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of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of FIG. 1 are combined.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rather than a limiting meaning. In addi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의 본체부(1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의 본체부(110)와 커버부(120)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storage casset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dy portion 110 of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of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of FIG. 1 are combined.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는 본체부(110), 커버부(120) 및 본체부(110)와 커버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1, 2, and 3,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 cover portion 120, and a body portion 110 and a cover portion 120. Includes a connection unit 130 for connecting).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를 이용하여 조직의 표본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기술한다. First,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of preparing a tissue sample using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직의 표본 제작은 표본 채취, 고정(fixation), 조직 다듬기(tissue trimming), 조직 처리(tissue processing), 조직 포매(tissue embedding), 조직 절편 제작(sectioning), 조직 염색 및 봉입(staining and coverslipping)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paration of tissue specimens includes sampling, fixation, tissue trimming, tissue processing, tissue embedding, tissue sectioning, tissue staining and coverslipping. You will go through the process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세포에 산소공급이 중단되면 세포 내 가수분해효소(hydrolytic enzymed)를 가두어 놓고 있는 세포막 성분이 유지되지 못하여 세포소기관들이 분해되어 세포 구조가 모두 파괴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포르말린(formalin),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피크린 산(picric acid), 중크롬산칼륨(potassium dishromate) 등의 고정액을 사용하여 처리하면 세포 내 성분들이 더이상 분해되지 않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고정(fixation)이라 한다. 즉, 조직 내 단백질을 변성 및 응고시킴으로써 조직에 어느 정도의 경도를 부여하여, 효소의 작용 및 기타 현상을 정지시킴으로써 세포 또는 조직 상태를 고정 시의 상태로 보존하는 것이다. When the supply of oxygen to the cell is stopped, the cell membrane component that traps the hydrolytic enzyme in the cell cannot be maintained, resulting in the decomposition of organelles, destroying all cellular structures. To prevent this, treatment with a fixative such as formalin, glutaraldehyde, picric acid, potassium dichromate, etc., the intracellular components are not decomposed any more and remain in that state. . This is called fixation. That is, a certain degree of hardness is imparted to the tissue by denaturing and coagulating the protein in the tissue, thereby stopping the action of enzymes and other phenomena, thereby preserving the state of the cell or tissue in the state at the time of immobilization.

다음으로, 조직 다듬기(tissue trimming)란, 조직 슬라이드를 만들기 위해 전체 조직 중 일부를 잘게 자르는 과정을 의미한다. Next, tissue trimming refers to a process of finely cutting a portion of the entire tissue to make a tissue slide.

다음으로, 조직 처리(tissue processing)는 크게 탈수와 투명화를 포함한다. 탈수란 고농도의 에탄올액으로 조직 내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고, 투명화는 크실렌, 클로로포름, 벤젠 등을 사용하여 조직 내 투명제를 침투시킴으로써 파라핀의 침투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Next, tissue processing largely includes dehydration and clarification. Dehydration refers to removing moisture in tissue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clearing refers to increasing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paraffin by infiltrating a transparent agent in the tissues using xylene, chloroform, benzene, and the like.

다음으로, 조직 포매(tissue embedding)란 단단하지 않고 불규칙한 조직에 파라핀이나 세로이딘을 침투시켜 굳힌 후 얇게 절단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는 이 조직 포매(tissue embedding)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issue embedding refers to a process of making a tissue that can be cut thinly after being hardened by infiltrating paraffin or seroidin into an irregular tissue that is not hard.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issue embedd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다음으로, 조직 절편 제작(sectioning)은 포매된 조직의 절편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세히, 파라핀 조직은 포매 후 냉장실에 한 시간 이상 보관된 후, 박절기(rotary microtome)에 조직 카세트를 고정한다. 그리고 핸들을 돌려 적당한 위치까지 표면을 절단한 후, 온수에 깍인 면이 닿도록 넣어 주름을 편다. 그 후 물기 제거 및 파라핀을 녹여 슬라이드에 완전히 밀착시킨다. Next, sectioning of the tissue is to manufacture a section of the embedded tissue. In detail, the paraffin tissue is stored in a refrigerator for at least one hour after embedding, and then the tissue cassette is fixed in a rotary microtome. Then, turn the handle to cut the surface to an appropriate position, and then put the cut side in hot water to make the wrinkles. After that, the water is removed and the paraffin is dissolved and completely adhered to the slide.

다음으로, 조직 염색 및 봉입(staining and coverslipping)을 수행한다. 조직 염색이란, 조직을 빛이 투과할 정도로 얇게 자르게 되면 조직 성분의 색채 대비 정도가 매우 낮아져서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조직 내 여러 구조가 구별되어 보이지 않으므로, 조직 성분을 염색하여 색채 대비 정도를 높이는 과정을 의미한다. 한편, 봉입이란 염색이 끝난 절단 표본을 물이나 알코올로 여분의 염색체를 씻어내고 점차 높은 농도의 알콜을 거쳐 탈수 및 투명화 과정을 거치고, 유리와 굴절률이 비슷한 봉입제를 떨어뜨린 다음, 덮개 유리로 덮고 표본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Next, staining and coverslipping are performed. Tissue staining is a process of increasing the color contrast by dyeing tissue components, since when the tissue is cut thin enough to transmit light, the color contrast level of the tissue component is very low, and when observed with a microscope, various structures within the tissue are not visible. Means. On the other hand, encapsulation means that the dyed cut specimen is washed with water or alcohol to wash excess chromosomes, gradually undergo a dehydration and clarification process through a high concentration of alcohol, drop an encapsulant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glass, and cover it with a cover glass. It refers to the process of drying the specimen.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는 본체부(110) 내에 복수 개의 격벽부(113)를 구비하여 동시에 여러 검체의 포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3 in the main body 110 to perform embedding of several specimens at the same time. ,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일 면이 오픈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며, 파라핀이 수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체부(110)는 바닥부(111), 외벽부(112) 및 격벽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부(111)와 격벽부(113)에 의해 제1 파라핀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바닥부(111), 외벽부(112) 및 격벽부(113)에 의해 제2 파라핀 수용부(115)가 형성된다. Referring back to FIGS. 1, 2, and 3,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serves to accommodate paraffin. The main body portion 11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1, an outer wall portion 112, and a partition wall portion 113. In addition,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111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and the second paraffin is accommodated by the bottom portion 111, the outer wall portion 112,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The portion 115 is formed.

바닥부(111)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이루며, 파라핀이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바닥부(111)의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The bottom portion 111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so that paraffin can be drawn in/out. 1, 2, and 3 show a stat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bottom part 111 is formed to form a rectangle.

외벽부(112)는 본체부(110)의 외면을 이루며, 바닥부(111)의 테두리, 즉 각 변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외벽부(112)는 바닥부(111)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부(111)는 네 개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wall portion 112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is formed vertically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111, that is, each side. 1 and 2, when the bottom part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outer wall part 112 may be formed along the four sides of the bottom part 111. In this case, the bottom part 111 may be formed in four rectangles.

격벽부(113)는 바닥부(111)상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외벽부(112)의 면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격벽부(113)는 서로 인접한 외벽부(112)들 사이에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외벽부(112)들 각각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is vertically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1 and may be formed between surfaces of the outer wall portion 112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s 112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contact each of the outer wall portions 112 adjacent to each other.

도 2에서 보았을 때, 격벽부(113)와 외벽부(112)의 단면은 대략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외벽부들(112) 및 상기 외벽부(112)들 각각과 접하는 상기 격벽부(113)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s seen in FIG. 2, cross-s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and the outer wall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right-angled isosceles triangle. That is, the outer wall portions 112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in contact with each of the outer wall portions 11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ght-angled isosceles triangle.

바닥부(111)와 격벽부(113)에 의해 제1 파라핀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바닥부(111), 외벽부(112) 및 격벽부(113)에 의해 제2 파라핀 수용부(115)가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의 중앙부분에 제1 파라핀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바닥부(111)의 네 모서리 부분에 제2 파라핀 수용부(115)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 114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111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3, and the second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 ( 115) is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11, and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is formed in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111. It can be formed.

이때, 제2 파라핀 수용부(115) 내에서의 외벽부(112)의 길이는, 해당 외벽부(112)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왜냐하면, 하나의 외벽부(112) 내에 두 개의 제2 파라핀 수용부(115)의 변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제2 파라핀 수용부(115) 내에서의 외벽부(112)의 길이는, 해당 외벽부(112)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여야 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112 in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is less than half of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112. Because, since the sides of the two second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s 115 are formed in one outer wall portion 112, the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112 in one second paraffin accommodating portion 115 is It should be less than half of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 wall part 112.

한편, 제1 파라핀 수용부(114)의 메시의 크기가 제2 파라핀 수용부(115)의 메시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ize of the mesh of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esh of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의 일면 상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커버부(120)는 바닥부(121), 외벽부(122) 및 치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120 is formed to be coupleable on one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The cover part 120 may include a bottom part 121, an outer wall part 122, and an engaging part 123.

바닥부(121)는 커버부(120)의 바닥면을 이루며, 파라핀이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portion 121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20 and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so that paraffin can be drawn in/out.

외벽부(122)는 바닥부(121)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파라핀 수용부(1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wall portion 12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21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치합부(123)는 바닥부(121)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파라핀 수용부(1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21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서, 세포 보관용 카세트(100)의 본체부(110) 내부를 복수 개, 예를 들어 5개의 영역으로 구획함으로써, 최대 5개의 서브(sub) 검체를 하나의 카세트로 블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운데 영역에 형성된 제1 파라핀 수용부(114)에는 큰 검체를 배치하고,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제2 파라핀 수용부(115)에는 작은 검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립선 주사 조직(Prostate Needle biopsy)과 같이 스폰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가운데 부분의 제1 파라핀 수용부(114)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아주 큰 검체를 제외한 모든 검체에 적용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of the cell storage cassette 100 into a plurality, for example, five regions, a maximum of five sub samples can be made into a single cassette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can be obtained. Particularly, a large sampl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formed in the middle region, and a small sampl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disposed in four corner areas. 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sponge such as a prostate needle biopsy,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4 in the center can be us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specimens except for very large specimens. have.

또한, 복수 개의 서브(sub) 검체를 하나의 카세트로 블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생검 검체 육안검사 시 렌즈 페이퍼 과정이 생략되고, 카세트 매칭 과정 생략되어 검사 시간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포매 시에 렌즈 페이퍼 해체작업으로 인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블록 개수 감소로 인해 박절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보고를 위한 정리시간이 단축되고, 슬라이드 판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파라핀 블록 및 슬라이드의 보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block a plurality of sub specimens with one cassette, the lens paper process is omitted during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biopsy specimen, and the cassette matching process is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examination tim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due to the dismantling work of the lens paper during embedding, the cut time can be shortened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blocks, the time to arrange for the slide report is shortened, and the slide reading time is shortene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a storage space for paraffin blocks and slides.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세포 보관용 카세트
110: 본체부
111: 바닥부
112: 외벽부
113: 격벽부
114: 제1 파라핀 수용부
115: 제2 파라핀 수용부
120: 커버부
130: 연결부
100: cell storage cassette
110: main body
111: bottom
112: outer wall portion
113: bulkhead
114: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115: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120: cover
130: connection

Claims (8)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변을 따라 형성되는 외벽부와,
서로 인접한 상기 외벽부들 각각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 상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A bottom portion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forms a rectangular shape,
An outer wall portion formed along each side of the bottom portion,
A body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partition wall portions formed to contact each of the outer 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 cover portion formed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Cell storage cassette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외벽부들 및 상기 외벽부들 각각과 접하는 상기 격벽부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ell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all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f the outer wall portions form a right-angled isosceles triang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격벽부에 의해 제1 파라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상기 외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의해 제2 파라핀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Cell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핀 수용부를 이루는 상기 외벽부의 길이는, 해당 외벽부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4,
Cell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forming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is less than half of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 wall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2 파라핀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치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4,
The cell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over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파라핀 수용부의 메시의 크기가 상기 제2 파라핀 수용부의 메시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4,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in a mesh shape,
Cell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mesh of the first paraffi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esh of the second paraffin receiv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커버부는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관용 카세트.
The method of claim 1,
Cell storage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formed in a mesh (mesh) shape.
KR2020160001176U 2016-03-04 2016-03-04 Cassette for storing cell KR2004936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76U KR200493644Y1 (en) 2016-03-04 2016-03-04 Cassette for storing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76U KR200493644Y1 (en) 2016-03-04 2016-03-04 Cassette for storing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0U KR20170003200U (en) 2017-09-13
KR200493644Y1 true KR200493644Y1 (en) 2021-05-10

Family

ID=6057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76U KR200493644Y1 (en) 2016-03-04 2016-03-04 Cassette for storing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4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161B1 (en) * 2018-08-08 2020-09-02 (의)삼성의료재단 Cassette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7742A (en) * 1994-04-26 1995-06-27 Holland; Wayne Tissue processing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0U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ert et al. HOPE fixation: a novel fixing method and paraffin-embedding technique for human soft tissues
US8460859B2 (en) Tissue preservation and fixation method
JP5514573B2 (en) Preservation of solid tissue RNA and morphology
Whitlon et al. Cryoembedding and sectioning of cochleas for immunocy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CN102781226B (en) Standardization of tissue specimen preservation by ultrasound and temperature control
US20070072167A1 (en) Tissue binding composition
CN111492223B (en) Tissue sample preparation system
Shi et al. Antigen retrieval immunohistochemistry based research and diagnostics
Espina et al. Phosphoprotein stability in clinical tissue and its relevance for reverse phase protein microarray technology
CN104634626A (en) Improved frozen slicing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0493644Y1 (en) Cassette for storing cell
CN110926907A (en) Method suitable for making equine animal ovary paraffin section
Guan et al. Nanoparticles are linked to polar lipids in xylem sap of temperate angiosperm species
Soukup et al. Essential methods of plant sample preparation for light microscopy
CA2972682C (en) Methods for tissue sample fixation using an extended soak in aldehyde-based fixative solutions
Bolon et al. Histotechnological processing of developing mice
Al-Habian et al.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of mouse skin histology: comparison of fixation with neutral buffered formalin and alcoholic formalin
Račko et al. A fast method to prepare microslides of wood in advanced stages of decay
CN107271248A (en) A kind of common embedding method of multigroup sample tissue
US9874499B1 (en) Method of sample preparation for epidermal nerve fiber density testing
JPH08285856A (en) Prepared specimen with retrieving means
Zeller et al. Counterstaining and mounting of autoradiographed in situ hybridization slides
Csizmadia et al. Detection of apoptosis in tissue sections
Kalyuzhny et al. Preparing Tissues for IHC Staining
RIEDER et al. Correlativ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on 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