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65Y1 -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 Google Patents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65Y1
KR200493465Y1 KR2020190003723U KR20190003723U KR200493465Y1 KR 200493465 Y1 KR200493465 Y1 KR 200493465Y1 KR 2020190003723 U KR2020190003723 U KR 2020190003723U KR 20190003723 U KR20190003723 U KR 20190003723U KR 200493465 Y1 KR200493465 Y1 KR 200493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sheet paper
lighting
cylindrical body
ph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7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0636U (en
Inventor
백희수
이미화
Original Assignee
백희수
이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희수, 이미화 filed Critical 백희수
Priority to KR2020190003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65Y1/en
Publication of KR20210000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3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달의 위상변화에 따른 다수개의 달모양 조명공이 관통되어 있는 불투명 재질의 제1 시트지와, 원형의 달표면 배경도가 배치되어 있는 투명 재질의 제2 시트지, 상기 제1 시트지와 상기 제2 시트지를 둥글게 말아서 구성한 원통체를 올려놓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원통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학생이나 어린이들의 과학교재용으로 적합하고, 조립 이후에는 실내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set of a lighting stand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nd to explain in more detail, a first sheet of opaque material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oon-shaped illumination balls are penetrated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nd a circular lunar surface background By including a second sheet paper of a transparent material on which a degree is arranged, a support for placing a cylindrical body formed by rolling the first sheet paper and the second sheet paper in a round shape, and a lighting lamp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It relates to a lighting stand assembly set that is suitable for children's science textbooks and can be used for interior lighting or decoration after assembly.

Description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본 고안은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달의 위상변화에 따른 다수개의 달모양 조명공이 관통되어 있는 불투명 재질의 제1 시트지와, 원형의 달표면 배경도가 배치되어 있는 투명 재질의 제2 시트지, 상기 제1 시트지와 상기 제2 시트지를 둥글게 말아서 구성한 원통체를 올려놓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원통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학생이나 어린이들의 과학교재용으로 적합하고, 조립 이후에는 실내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set of a lighting stand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nd to explain in more detail, a first sheet of opaque material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oon-shaped illumination balls are penetrated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nd a circular lunar surface background By including a second sheet paper of a transparent material on which a degree is arranged, a support for placing a cylindrical body formed by rolling the first sheet paper and the second sheet paper in a round shape, and a lighting lamp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It relates to a lighting stand assembly set that is suitable for children's science textbooks and can be used for interior lighting or decoration after assembly.

달은 스스로 빛을 발생하지 못하고,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하기 때문에 달의 겉보기 밝기와 그 모양은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과 달 및 지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즉, 지구에서 보아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면 달은 지구의 반대쪽만 햇빛을 받고 지구에서 보이는 부분은 어둠에 가려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이 보이지 않게 되는데, 이때를 삭(朔) 또는 신월(新月) 이라고 한다. Since the moon does not generate light by itself and reflects light from the sun, the apparent brightness and shape of the moon ch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un, the moon, and the earth as shown in FIG. 1. In other words, if the moon is located between the sun and the earth as viewed from the earth, the moon receives sunlight only on the other side of the earth and the part visible from the earth is covered in darkness, so the moon cannot be seen from the earth.月).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으로부터 90° 위치로 이동하면 지구에서는 달의 표면이 우측 절반만 보이게 되는데 이때를 상현(上弦)이라고 한다. 계속해서 달이 180° 위치로 이동하면 달은 지구를 사이에 두고 태양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고, 달의 전면이 햇빛을 받아 빛나게 되는데 이를 망(望) 또는 보름달이라 한다. When the Moon orbits the Earth and moves to a position of 90° from the Sun, only the right half of the Moon's surface is visible on Earth. This is called Sanghyeon. If the moon continues to move to the 180° position, the moon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n with the earth in between, and the front of the moon shines with sunlight, which is called a net or full moon.

그리고 달이 계속 공전하여 상현(上弦)의 반대방향, 즉 270° 위치로 이동하면 달의 표면은 좌측 절반만 보이게 되고 이때를 하현(下弦)이라고 한다. 이처럼 달은 삭(朔)에서 시작하여 상현(上弦)과 (望), 그리고 하현(下弦)을 지나 다시 삭(朔)의 되돌아오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주기적으로 그 모양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달의 위상변화’ 라고 한다. 또한 삭(朔)에서 삭(朔)까지의 시간을 삭망월(朔望月)이라고 하며, 그 주기는 평균 약 29.53일이다.And if the moon continues to orbit and moves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pper hyeon, that is, 270°, the surface of the moon is only visible on the left half, and this is called the lower hyeon. In this way, the shape of the moon changes periodically as it repeats the process of coming back from the moon,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hyeon, and the lower hyeon. It is called the phase change of'. Also, the time from Sak (朔) to Sak (朔) is called Sakmangwol, and the period is about 29.53 days on average.

인류는 일상생활 중에서 시간의 흐름과 계절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원시 시대부터 달의 위상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 왔다. 그리고 종래에도 달의 위상변화를 효과적으로 학습 및 이해할 수 있는 학습용 교재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Humans have carefully observed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since the primitive tim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ssage of time and the change of seasons in daily life. And even in the past, various teaching materials for learning that can effectively learn and understand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have been developed.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1139480호(2012년 04월 17일)에는, 달의 공전과 지구의 자전이 동시에 진행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달의 위상변화와 하루하루 시간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특히 학생이나 어린이들이 스스로 제작해 봄으로써 흥미와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교구가 소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63580호(2012년 11월 06일)에는, 달이 왜 초승달, 상현달, 차는 달, 보름달, 기우는 달, 하현달, 그믐달, 그리고 삭이 되는지 그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자가 직접 천체를 관찰하는 것처럼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달 위상 변화 관찰교구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No. 10-1139480 (April 17, 2012),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nd the flow of time from day to day due to the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moon and the earth, In particular, a teaching tool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which can improve interest and learning efficiency by making it by students and children, is introduc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3580 (November 06, 2012), the moon Understand the principle of why the new moon, the top moon, the full moon, the full moon, the sloping moon, the low moon, the old moon, and the celestial moon, and learners can easily grasp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celestial phenomena of the moon as if they were observing the celestial bodies directly. A teaching tool for observing changes in the phase of the moon is disclosed.

또한, 특허등록 제10-1403701호(2014년 05월 28일)에는, 음력 날짜에 따른 달의 위상과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을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달 위상변화 학습용 교재가 소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87480호(2018년 09월 17일)에는, 지구를 중심으로 음력에 따른 달의 위치를 동심원 상에 배치함으로써, 낮과 밤의 시간영역 및 위치에 따라 달의 위상이 어떤 원리로 변하는 것인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달의 위상변화모델 교육기구가 소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403701 (May 28, 2014) introduces a textbook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that allows easy learning of the phase of the moon and the time of the moon rising and setting according to the lunar date. In Shinan No. 20-0487480 (September 17, 2018), the position of the moon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around the earth is arranged on a concentric circle.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phase change model of the moon that can effectively check whether it is changing is introduced.

등록특허 제10-1139480호(2012년 04월 17일)Registered Patent No. 10-1139480 (April 17, 2012) 등록실용신안 제20-0463580호(2012년 11월 06일)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63580 (November 06, 2012) 특허등록 제10-1403701호(2014년 05월 28일)Patent Registration No. 10-1403701 (May 28, 2014) 등록실용신안 제20-0487480호(2018년 09월 17일)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7480 (September 17, 2018)

한편, 달의 표면에는 마치 얼굴의 곰보 자국처럼 크고 작은 구덩이, 즉 크레이터(crater)가 덮여 있다. 이러한 크레이터는 달 생성 초기의 화산 활동이나 운석과의 충돌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추측되며, 달의 앞면에서만 최소 크기가 1㎞ 이상인 크레이터가 약 30만개 정도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of the moon is covered with large and small pits, or craters, as if it were a pimple on the face. These craters are presumed to be caused by volcanic activity in the early stages of the moon formation or collisions with meteorites, and it is said that about 300,000 craters with a minimum size of 1 km or more are distributed only in the front of the moon.

그래서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표면에는 첨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이터로 인해 형성되는 독특한 음양의 무늬가 관찰되며, 이러한 음양무늬를 보고 우리 조상들은 달나라에는 계수나무 아래 옥토끼가 살고 있다는 상상의 나래를 펴기도 하였다.So, on the surface of the moon viewed from the earth, as shown in Fig. 2, a unique yin-yang pattern formed by the crater is observed, and seeing this yin-yang pattern, our ancestors imagine that a jade rabbit lives under a cassia tree in the moonland. They also spread the narae.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학생이나 어린이들이 직접 조립, 제작하면서 달의 위상변화를 이해할 수 있고, 특히 달의 위상변화에 따라 달 표면의 음양무늬가 어떻게 관찰되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 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esign is for students and children to understand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while assembling and manufacturing it, and in particular,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to easily see how the yin and ya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moon are observed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t is to provide a lighting stand assembly se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학생이나 어린이들이 과학 교재용이나 놀이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나아가 조립 이후에는 실내 조명용이나 장식용 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which is suitable for use by students or children for science textbooks or for play, and can be used as an indoor lighting or decorative stand after assembly. .

본 고안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초승달과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및 그믐달을 포함하여 달의 위상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다수개의 달모양 조명공이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있는 불투명 재질의 제1 시트지와; 상기 달모양 조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달표면 배경도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달표면 배경도에는 각각 달 표면의 음양무늬가 표현되어 있는 투명 재질의 제2 시트지와; 상기 달모양 조명공과 상기 달표면 배경도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지 내부에 상기 제2 시트지가 배치 되도록 둥글게 말아서 양쪽 단부를 서로 부착한 원통체를 세워서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위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원통체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램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ghting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in which a number of moon-shaped lighting ball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cluding the crescent moon, the moon phase, the full moon, and the old moon, are sequentially penetrated 1 sheet paper; A second sheet pap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a circular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of the same diamet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 and the yin-yang pattern of the lunar surface is expressed in the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A support configured to erect and place a cylindrical body having both ends attached to each other by rolling it up so that the second sheet paper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heet paper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oon-shaped lighting ball and the moon surface background map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 A lighting lamp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while being mounted on the pedest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본 고안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시트지와 상기 제2 시트지 사이에 삽입되는 반투명 재질의 제3 시트지와, 상기 원통체(S)의 표면을 둘러싸는 투명 재질의 제4 시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mbly set of the lighting stand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sheet of translucent material inserted betwee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nd a transparent material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sheet of paper.

본 고안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학생이나 어린이들의 과학 교재용 또는 놀이용 조립세트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조립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원리를 학습할 수 있으며, 조립이 완성된 이후에는 실내 장식용이나 조명용 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science textbook for students or children or as a play assembly set, and the principle of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can be learned naturally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fter completion, it can be used as a stand for interior decoration or lighting.

도 1은 달의 위상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달의 위상변화에 따라 지구에서 관찰되는 달 표면의 음양무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에서 제1 내지 제4 시트지(10,20,50,60)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세트를 이용하여 조립이 완성된 상태의 조명 스탠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받침대(30)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hase change of the mo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yin and yang patterns on the lunar surface observed from the earth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sheet paper (10, 20, 50, 60) in the lighting stand assembly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stand in a state in which assembly is completed using an assembly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30 of FIG. 4.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drawings. And,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known technology, 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from the known technology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본 고안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다수개의 달모양 조명공(11)이 관통되어 있는 불투명 재질의 제1 시트지(10)와, 원형의 달표면 배경도(21)가 배치되어 있는 투명 재질의 제2 시트지(20), 상기 제1 시트지(10)와 상기 제2 시트지(20)를 둥글게 말아서 구성한 원통체(S)를 올려놓는 받침대(30), 그리고 상기 원통체(S)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ssembly set of the lighting stand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eet of opaque material 10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moon-shaped lighting holes 11 are penetrated, and a circular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The second sheet paper 2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support 30 for placing the cylindrical body S formed by rolling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in a round shape, and the cylindrical body S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ing lamp 40 disposed inside.

먼저 상기 제1 시트지(1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의 위상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다수개의 달모양 조명공(11)이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달모양 조명공(11)은 초승달과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및 그믐달을 포함하며, 그 개수는 5~1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삭(朔)을 나타내는 부분에는 상기 달모양 조명공(11)이 없다.First, the first sheet paper 10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and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moon-shaped illumination holes 11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re sequentially penetrated. The moon-shaped lighting ball 11 includes a crescent moon, a sang hyeon moon, a full moon, a ha hyeon moon, and an old moon, and the number is preferably 5 to 11. In addition, the moon-shaped lighting hole 11 is not present in the portion representing the sack (朔).

상기 제2 시트지(2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시트지(10)의 달모양 조명공(1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달표면 배경도(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에는 각각 달 표면의 크레이터로 인해 형성되는 음양무늬가 표현되어 있다. The second sheet paper 2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circular moon surface background map 21 having the same diameter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 11 of the first sheet paper 10 have. In addition, the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shows yin-yang patterns formed by craters on the lunar surface, respectively.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의 직경은 상기 제1 시트지(10)의 달모양 조명공(11)을 구성하는 원(圓)의 직경과 동일하다. 즉, 상기 달모양 조명공(11) 중에서 보름달에 해당하는 달모양 조명공(11)은 달표면 배경도(21)와 직경이 동일한 원(圓)이다. The diameter of the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a circle constituting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 11 of the first sheet paper 10. That is, the moon-shaped lighting ball 11 corresponding to the full moon among the moon-shaped lighting balls 11 is a circl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그래서 상기 제1 시트지(10)와 상기 제2 시트지(20)를 겹쳐 놓으면,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에 표시되어 있는 음양무늬가 각각 상기 달모양 조명공(11)을 통해 그대로 투시된다. 다만, 상기 달모양 조명공(11)의 모양에 따라서 투시되는 부분이 달라진다. 즉, 상편달의 경우에는 달표면 배경도(21)의 우측부분 절반만 투시되고, 하현달의 경우에는 달표면 배경도(21)의 좌측부분 절반만 투시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are stacked, the yin and yang patterns displayed on the moon surface background map 21 are viewed as they are through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s 11, respectively. Howev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oon-shaped lighting hole 11, the part to be viewed is different. That is, in the case of the upper part of the moon, only the right half of the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is transparent, and in the case of the lower present moon, only the left half of the moon surface background map 21 is transparent.

다음으로 상기 받침대(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시트지(10)와 제2 시트지(20)를 둥글게 말아서 구성한 원통체(S)를 세워서 올려놓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원통체(S)는 상기 달모양 조명공(11)과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서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지(10) 내부에 상기 제2 시트지(20)가 배치 되도록 둥글게 말아서 그 양쪽 단부를 서로 부착한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pedestal 30 functions to erect and place a cylindrical body S formed by rolling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in a round shape. The cylindrical body (S) has the second sheet paper 20 inside the first sheet paper 10 in a state of overlapping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moon-shaped lighting hole 11 and the moon surface background map 21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rolled up so that it can be arranged, and both ends are attached to each other.

상기 제1 시트지(10)와 제2 시트지(20)는 사변 테두리만 서로 맞추면, 달모양 조명공(11)과 달표면 배경도(21)의 위치가 저절로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체(S)에서 상기 제1 시트지(10)와 제2 시트지(20)를 서로 부착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예컨대 접착제나 스티커를 사용할 수도 있고, 양쪽 단부가 걸림결합 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칼집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are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 11 and the moon surface background map 21 automatically coincide if only the quadrangular border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s a method of attaching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to each other in the cylindrical body S, any of the conventional methods may be used. For example, an adhesive or a sticker may be used, or sheath lin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used so that both ends are engaged.

마지막으로 상기 조명램프(40)는 상기 받침대(30) 위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원통체(S)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조명램프(40)는 통상적인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은 자체 전원, 즉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외부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Finally, the lighting lamp 40 is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S while being placed on the pedestal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lamp 40 uses a conventional LED. The power source may use its own power source, that is,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한편, 첨부 도 4 및 도 5의 받침대(3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제1 받침판(31) 및 제2 받침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받침판(31)과 제2 받침판(32)의 중앙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는 상향절개홈(311)과 하향절개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상향절개홈(311)과 하향절개홈(321)을 마주 끼워주면, 제1 받침판(31)과 제2 받침판(32)이 열십자(+) 형태로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30 of FIGS. 4 and 5 is an illust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ists of a first supporting plate 31 and a second supporting plate 32. An upward cutout groove 311 and a downward cutout groove 32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1 and 32. So, when the upward cutout groove 311 and the downward cutout groove 321 are fitted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late 3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32 are combined in a crisscross (+) shape.

상기 제1 및 제2 받침판(31,32)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상기 원통체(S)를 둘러싸는 상향절곡부(312,322)와 상기 받침판(31,32)을 받쳐서 지면에서 이격시켜 주는 하향절곡부(313,323)가 '

Figure 112019092398881-utm00001
'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절개홈(311)과 하향절개홈(321)이 교차하는 중앙 부위에는 상기 조명램프(40)를 수용하는 램프안치홈(314,32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받침판(31)과 제2 받침판(3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MDF나 종이판재 또는 발포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1 and 32 support upwardly bent portions 312 and 322 surrounding the cylindrical body S and downwardly b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supporting the support plates 31 and 32, respectively. (313,323) is '
Figure 112019092398881-utm00001
'It protrudes in shape. In addition, lamp seat grooves 314 and 324 accommodating the lighting lamp 40 ar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upward cutout groove 311 and the downward cutout groove 321 intersect. The first support plate 3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32 may be formed of an MDF or a paper plate or a foamed synthetic resin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시트지(10)와 상기 제2 시트지(20) 사이에 삽입되는 반투명 재질의 제3 시트지(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시트지(50)는 상기 제1 시트지(10) 및 제2 시트지(20)와 함께 상기 원통체(S)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40)의 빛을 받아서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의 실루엣(silhouette)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The lighting stand assembly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third sheet paper 50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a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The third sheet paper 50 constitutes the cylindrical body S together with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and receives the light from the lighting lamp 40 to view the background of the moon surface. It functions to represent the silhouette of (21).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원통체(S)의 표면을 둘러싸는 투명 재질의 제4 시트지(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4 시트지(60)는 상기 원통체(S)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lighting stand assembly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heet paper 6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 The fourth sheet paper 60 functions to protect the cylindrical body S.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 시트지(10,20,50,60)는 모두 크기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및 제3 시트지(20,50)의 상하간 높이는 제1 및 제2 시트지(10,60)의 높이보다 작아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to fourth sheet papers 10, 20, 50, and 60 may all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size. However, the height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and third sheet papers 20 and 50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 papers 10 and 60.

본 고안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는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어 과학 교재용이나 놀이용으로 사용 될 수 있다. 그래서 예컨대 학생들이나 어린이들이 상기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면서 자연스럽게 달의 위상변화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다. The lighting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each componen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science textbooks or for play. So, for example, students and children can naturally learn the principle of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while assembling the above components.

상기 조립세트에는 상기 원통체(S)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시트지(10,20,50,60)의 양쪽 단부를 부착하는데 필요한 스티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세트는 조립을 마친 이후에 실내 장식용이나 조명용 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다. The assembly set may be provided with stickers necessary to attach both ends of the first to fourth sheet papers 10, 20, 50, and 60 in order to form the cylindrical body S. In addition, the assembly set can be used as a stand for interior decoration or lighting after assembly is completed.

10; 제1 시트지 11; 달모양 조명공
20; 제2 시트지 21; 달표면 배경도
30; 받침대 31; 제1 받침판
32; 제2 받침판 40; 조명램프
50; 제3 시트지 60; 제4 시트지
311; 상향절개홈 321; 하향절개홈
312,322; 상향절곡부 313,323; 하향절곡부
314,324; 램프안치홈
10; First sheet paper 11; Moon shaped lighter
20; Second sheet paper 21; Moon surface background map
30; Pedestal 31; 1st base plate
32; Second base plate 40; Lighting lamp
50; Third sheet paper 60; 4th sheet paper
311; Upward incision groove 321; Downward incision groove
312,322; Upward bends 313,323; Downward bend
314,324; Lamp Placement Groove

Claims (4)

초승달과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및 그믐달을 포함하여 달의 위상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다수개의 달모양 조명공(11)이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있는 불투명 재질의 제1 시트지(10)와;
상기 달모양 조명공(1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달표면 배경도(2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에는 각각 달 표면의 음양무늬가 표현되어 있는 투명 재질의 제2 시트지(20)와;
상기 달모양 조명공(11)과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지(10) 내부에 상기 제2 시트지(20)가 배치 되도록 둥글게 말아서 양쪽 단부를 서로 부착한 원통체(S)를 세워서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받침대(30)와;
상기 받침대(30) 위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원통체(S)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램프(40)와;
상기 제1 시트지(10)와 제2 시트지(20) 사이에 삽입되어 함께 원통체(S)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40)의 빛을 받아서 상기 달표면 배경도(21)의 실루엣(silhouette)이 나타나는 반투명 재질의 제3 시트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
A first sheet paper 10 made of an opaque material in which a plurality of moon-shaped lighting holes 11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including a crescent moon, a sang hyeon moon, a full moon, a low hyeon moon, and an old moon, are sequentially penetrated;
A circular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having the same diameter is dispos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 (11), and the lunar surface background map (21) shows yin-yang patterns on the lunar surface, respectively. A second sheet paper 2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oon-shaped illumination hole 11 and the moon surface background map 2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sheet paper 20 is rolled so that the second sheet paper 2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both ends thereof are mutually aligned. A pedestal 30 configured to erect and place the attached cylindrical body S;
A lighting lamp 40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S while being placed on the pedestal 30;
I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heet paper 10 and the second sheet paper 20 to form a cylindrical body S together, and the silhouette of the moon surface background drawing 21 by receiving the light from the lighting lamp 40 ( a third sheet of translucent material 50 in which the silhouette) appears;
Lighting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S)의 표면을 둘러싸는 투명 재질의 제4 시트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rth sheet paper (60) of a transparent material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 the moon phase change learning lighting stand assembly set.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서로 대응하는 상향절개홈(311)과 하향절개홈(321)을 마주 끼워서 열십자(+)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받침판(31) 및 제2 받침판(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받침판(31,32)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상기 원통체(S)를 둘러싸는 상향절곡부(312,322)와 상기 받침판(31,32)을 받쳐주는 하향절곡부(313,323)가 '
Figure 112021001825700-utm00008
'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향절개홈(311)과 하향절개홈(321)이 교차하는 중앙 부위에는 상기 조명램프(40)를 수용하는 램프안치홈(314,32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의 위상변화 학습용 조명 스탠드 조립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pedestal (30),
Consisting of a first support plate 31 and a second support plate 32 configured to be coupled in the form of a crisscross (+) by inserting the corresponding upward incision groove 311 and the downward incision groove 321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31 and 32, upward bent portions 312 and 322 surrounding the cylindrical body S and downward bent portions 313 and 323 supporting the support plates 31 and 32 are respectively provided. '
Figure 112021001825700-utm00008
'Is protruding in shape,
A lighting stand for learning the phase change of the moon, characterized in that a lamp mounting groove 314 and 324 accommodating the lighting lamp 4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upward cut groove 311 and the downward cut groove 321 intersect Assembly set.
KR2020190003723U 2019-09-09 2019-09-09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KR2004934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23U KR200493465Y1 (en) 2019-09-09 2019-09-09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23U KR200493465Y1 (en) 2019-09-09 2019-09-09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36U KR20210000636U (en) 2021-03-17
KR200493465Y1 true KR200493465Y1 (en) 2021-04-02

Family

ID=7523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723U KR200493465Y1 (en) 2019-09-09 2019-09-09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65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80B1 (en) 2009-11-19 2012-04-30 김수아 A Teaching Tools for Learning Change Phase of the Moon
KR200463580Y1 (en) 2011-02-28 2012-11-12 이환규 Month periodic change observation teaching aid
KR101403701B1 (en) 2012-12-13 2014-06-05 이정훈 Teaching tool for learning changing phase of the moon
KR200487480Y1 (en) 2016-07-19 2018-11-08 박진 Month periodic change observation teaching aid
CN209248908U (en) * 2018-10-17 2019-08-13 东莞市玩乐童话婴儿用品有限公司 A kind of moon phase variety intelligent develop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80B1 (en) 2009-11-19 2012-04-30 김수아 A Teaching Tools for Learning Change Phase of the Moon
KR200463580Y1 (en) 2011-02-28 2012-11-12 이환규 Month periodic change observation teaching aid
KR101403701B1 (en) 2012-12-13 2014-06-05 이정훈 Teaching tool for learning changing phase of the moon
KR200487480Y1 (en) 2016-07-19 2018-11-08 박진 Month periodic change observation teaching aid
CN209248908U (en) * 2018-10-17 2019-08-13 东莞市玩乐童话婴儿用品有限公司 A kind of moon phase variety intelligent develo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36U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918B2 (en) LED night light has laser or hologram element(s)
CN102027423B (en) Apparatus for waking up a user
US7654023B2 (en) Backlit static display on foam board using light piping pegs as highlighters
Eck Negotiating Hindu Identities in America
KR200493465Y1 (en) Light stand assembly set for learning periodic change of moon
Reese-Taylor Ritual circuits as key elements in Maya civic center designs
US20050029735A1 (en) Element of globe block g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 same
Walker et al. Teaching illumination engineering using light pollution education kits
US5360365A (en) Sports stadium model
US4884811A (en) Puzzle apparatus
US6659840B2 (en) Set of dolls for simulating a universal beauty pageant
CN205970566U (en) Interior decoration article
CN211087730U (en) Solar altitude demonstrator and distribution demonstrator for new and old date ranges
GB2235805A (en) Educational globe toy
Dehaene Broadacre City: The city in the eye of the beholder
Marschalek A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design
CN220773830U (en) Galois system demonstration instrument
CN216596679U (en) Building model for building engineering design
JP3228723U (en) Sunlight change simulator
Larke Geometric extravaganza: Spicing up geometry
CN218782721U (en) All-sky starry sky photoelectric demonstration instrument
Lanciano Teaching/learning astronomy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amoilov Concerning the Scientific Principles in the Outfitting of a Geography Classroom
CN2911841Y (en) Four-season starry sky demonstration board
Hotline Education for schools at the Cambridge University Botanic Gar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