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38Y1 - 마스크 밸브 - Google Patents

마스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38Y1
KR200493338Y1 KR2020200001611U KR20200001611U KR200493338Y1 KR 200493338 Y1 KR200493338 Y1 KR 200493338Y1 KR 2020200001611 U KR2020200001611 U KR 2020200001611U KR 20200001611 U KR20200001611 U KR 20200001611U KR 200493338 Y1 KR200493338 Y1 KR 200493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d
base
mas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성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성정밀
Priority to KR2020200001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들숨은 완벽하게 차단하고, 날숨은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는 마스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마스크(10)의 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에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캡(150); 및 베이스(110)와 상기 밸브캡(150)에 개재되어 들숨을 차단하고, 날숨을 배출하는 밸브패드(190);로 구성되고, 베이스(110)에는 밸브패드(19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드지지부(145)가 돌출되며, 패드지지부(145)는 상기 밸브패드(190)가 만곡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스크 밸브{Mask valve}
본 고안은 마스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들숨은 완벽하게 차단하고, 날숨은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는 마스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대기오염이나 전염병의 유행이 심화됨에 따라 각 개인의 위생을 위하여 일상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는 미세먼지, 바이러스, 세균 등의 흡입 방지에 역점이 두고 있어서, 점차 고성능(예 : KF80, KF94 등) 마스크 개발에만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일상에서 안경을 착용한 사람은 마스크에 김이 서려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마스크의 고성능화로 인해 고밀도화됨에 따라 점차 사용자가 들숨이나 날숨을 쉬기 힘들어지고, 마스크를 쓴채로 계단을 오르거나 조깅을 하기 힘들었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하는 사례가 있었다.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는 날숨의 배출저항을 줄이기 위해 배기밸브를 사용하고 있으나, 배기밸브는 고유한 개방압력을 지니게 된다. 한편, 마스크 여과재는 여과저항(흡·배기)이 낮을수록 호흡이 편리하지만, 마스크에 설치된 배기밸브의 개방압력이 여과저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야 날숨을 배기밸브로 배출할수 있다. 그러나 배기밸브를 열어주는 날숨의 척력이 밸브판 뿐만 아니라 마스크 여과재에도 작용하게 되며, 특히 상기한 여과저항이 낮을수록 여과재로 역류하는 날숨이 늘게 된다.
한편, 외기온도가 낮은 곳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때 배기밸브의 밸브판과 밸브자리 사이에 발생하는 날숨습기의 응축수가 밸브개방 때 표면장력으로 작용하여 배기밸브의 개방압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일방향 배기밸브는 밸브패드의 가장자리 전체가 일시에 개방되거나 일시에 접촉하여 폐쇄되는 방식이므로 초기 개방을 위한 개방압력이 높아야 했다. 즉, 작은 날숨에는 쉽게 밸브가 배기되지 않았고 마스크에 내부압력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거나 안경쪽으로 배출되는 부작용을 일으켰다. 특히,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밸브에 습기가 차고, 밸브패드 주위에 끈끈한 습기나 작은 물방울이 맺힌 경우 밸브패드는 작은 날숨에 개방되지 않았고, 사용자가 크게 한숨을 내쉬어야만 열리곤 하였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20-0004107 호(마스크의 에어밸브 구조),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9-0025459 호(벤튜리 효과를 활용한 마스크 배기밸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730083 호(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은 날숨(개방압력)에서 손쉽게 개방되어 숨쉬기가 편한 마스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함에 따라 오염된 밸브 패드를 손쉽게 교체하거나 세척하여 재장착할 수 있는 마스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스크(10)의 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베이스(110)에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캡(150); 및 베이스(110)와 상기 밸브캡(150)에 개재되어 들숨을 차단하고, 날숨을 배출하는 밸브패드(190);로 구성되고, 베이스(110)에는 밸브패드(19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드지지부(145)가 돌출되며, 패드지지부(145)는 상기 밸브패드(190)가 만곡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가 제공된다.
또한, 밸브패드(190)는 일측에 패드공(195)이 관통 형성된 실리콘 시트이다.
또한, 베이스(110) 중 패드공(195)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베이스돌기(135)가 더 돌출되어, 밸브패드(190)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베이스(110)에는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140)이 형성되고, 통기공(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3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밸브캡(150)에는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60)이 형성되고, 베이스(110)에는 후크(120)가 더 구비되어 후크(120)가 배기공(160)에 걸림으로써, 베이스(110)와 밸브캡(150)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밸브캡(150)의 내측에는 만곡된 밸브패드(190)를 누르는 캡돌기(167)가 더 형성되고, 캡돌기(167)는 밸브캡(15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밸브패드(190)의 중앙부를 누를 수 있다.
또한, 밸브캡(150)에는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측면배기공(165)이 더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10)와 밸브캡(150)이 상대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20)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110), 밸브캡(150) 및 힌지부(20)는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또한, 밸브캡(150)의 가장자리에는 손잡이(170)가 일체로 더 돌출되어, 베이스(110)로부터 밸브캡(150)이 회동하여 개폐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작은 날숨(개방압력)에서 손쉽게 개방되어 숨쉬기가 편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라도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으며, 마스크를 착용하고 뛰거나 계단을 올라도 호흡이 가빠지지 않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밸브 패드를 손쉽게 교체하거나 세척하여 재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가 장착된 마스크(10)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닫힌 상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가 장착된 마스크(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의 전면 일측에는 밸브(100)가 설치된다. 마스크끝(12)은 마스크(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귀어 걸 수 있도록 한다. 밸브(100)는 마스크(10)의 전면의 왼쪽에 설치할 수도 있고, 오른쪽이나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한개 내지 복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0)는 대략 베이스(110)와 밸브캡(15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부(20)로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플라스틱 소재이며, 직경이 30 ~ 40 mm인 대략의 원형 외관을 이룬다.
또한, 베이스(110)에는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140)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140)은 손쉬운 날숨을 위해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130)는 커다란 통기공(140)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꽃잎 형상의 십자 형태를 갖추었다. 리브(130)는 베이스(110)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으며, 체크무늬, 캐릭터, 기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돌기(135)는 베이스(110)로 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의 돌기이다. 베이스돌기(135)는 밸브패드(190)의 패드공(195)이 손쉽게 삽입되어 위치를 고정하게 하며, 필요시 손쉽게 밸브패드(19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패드지지부(145)는 베이스(110)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며, 밸브패드(19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해 밸브패드(190)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패드지지부(145)의 상면은 밸브패드(190)가 만곡되도록 가상의 수직면상에서 곡률(R)을 형성한다. 곡률(R)은 40 ~ 60 mm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의 곡률(R)은 50 mm이다. 곡률(R)이 너무 크면 패드지지부(145)의 상면이 거의 직선에 가까워져서 곡률(R)의 효과가 없고, 곡률(R)이 너무 작으면 밸브패드(190)가 심하게 구부러져서 패드지지부(145)와 밸브패드(190) 사이에 틈이 벌어질 수 있다. 곡률(R)은 가상의 수직면 또는/및 수평면 또는 경사면 상에서 복수개가 형성할 수도 있다.
한쌍의 후크(120)는 베이스(110)로부터 돌출되고, 배기공(160)에 탄성적으로 끼워 걸릴 수 있다. 즉, 밸브캡(150)의 배기공(160)에 후크(120)가 걸림으로써 베이스(110)와 밸브캡(150)이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상태가 된다.
또한, 밸브캡(150)에는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60)이 형성되고, 베이스(110)에는 후크(120)가 더 구비되어 후크(120)가 배기공(160)에 걸림으로써, 베이스(110)와 밸브캡(150)이 조립될 수 있다.
밸브패드(190)는 직경이 20 ~ 30 mm인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의 실리콘 시트이다. 밸브패드(190)의 두께는 0.2 ~ 0.4 mm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0.3 mm를 사용하였다. 밸브패드(190)가 너무 얇으면 들숨시에 압력에 의해 좌굴되면서 틈이 발생할 수 있고, 밸브패드(190)가 너무 두꺼우면 작은 날숨에 쉽게 개방되지 못할 수 있다. 밸브패드(190)는 실리콘, 종이, 부직, 고무, 비닐, 합성수지재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밸브패드(190)는 평면형태로 제작되고, 설치 및 사용시에 만곡된 형태를 유지한다.
패드공(195)은 밸브패드(190)중 베이스돌기(135)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밸브패드(190)의 일단이 베이스돌기(135)와 패드공(195)에 의해 고정되고, 밸브패드(190)의 타단이 외팔보처럼 자유단이 되도록 한다.
밸브캡(150)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베이스(110)에 형상 맞춤되는 구성이며, 합성수지재를 사출하여 성형한다.
밸브캡(150)에는 3개의 배기공(16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배기공(160)은 날숨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공(160)은 슬롯 형태로 제작되어 후크(120)가 걸리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다.
측면배기공(165)은 배기공(160)의 양측면에 각각 더 관통 형성되어 날숨의 배출을 더 용이하게 한다.
2개의 손잡이(170)는 밸브캡(150)의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손가락으로 걸어 개방하거나 닫기 쉽도록 한다.
힌지부(20)는 베이스(110)와 밸브캡(150)이 상대 회동하도록 연결하며, 일체로 사출하여 형성된다. 마스크(10)에 고정된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할 때, 밸브캡(150)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거나 패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닫힌 상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밸브(100)에서 밸브캡(150)이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돌기(167)는 밸브캡(150)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밸브패드(190)의 중앙부를 누를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캡돌기(167)는 밸브패드(190)가 만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손잡이(170)를 손가락으로 걸어서 밸브캡(150)을 개방한다. 그 다음, 베이스돌기(135)에 밸브패드(190)의 패드공(195)을 끼워 밸브패드(190)를 조립하낟. 그 다음, 밸브캡(150)을 회동시켜 베이스(110)와 밸브캡(150)을 닫는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패드(190)는 패드지지부(145)의 곡면에 밀착되면서 만곡되어지고, 캡돌기(167)는 밸브패드(190)의 중앙 부위를 눌러서 만곡된 밸브패드(190)가 패드지지부(145)에 밀착되면서 유지되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들숨을 쉬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마스크(10)의 여재를 통과하여 호흡된다. 이때, 밸브패드(190)는 패드지지부(145)에 밀착됨으로써 밸브폐쇄 효과를 발휘한다. 즉, 밸브(100)를 통해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날숨을 쉬는 경우, 통기공(140)을 통해 밸브패드(190)에 개방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밸브패드(190)중 캡돌기(167)로 누르는 영역으로부터 밸브패드(190)의 자유단까지의 영역(대략 밸브패드(190)의 절반 영역)이 개방되면서 날숨을 배출하게 된다. 밸브패드(190)가 이미 만곡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작은 개방압력에도 쉽게 벤딩되면서 개방된다. 또한 밸브패드(190)의 자유단 끝단부터 먼저 조금 개방되기 시작하여 밸브패드(190) 둘레로 개방되는 영역이 넓어지는 방식이다. 이는 작은 날숨에도 쉽게 밸브(100)가 개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종래의 일방향 배기밸브는 밸브패드의 가장자리 전체가 일시에 개방되거나 일시에 접촉하여 폐쇄되는 방식이므로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밸브에 습기가 차고, 밸브패드 주위에 끈끈한 습기나 작은 물방울이 맺힌 경우 밸브패드는 작은 날숨에 개방되지 않았고, 사용자가 크게 한숨을 내쉬어야만 열리곤 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편리한 마스크 밸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마스크,
12 : 마스크끈,
20 : 힌지부,
100 : 밸브,
110 : 베이스,
120 : 후크,
130 : 리브,
135 : 베이스돌기,
140 : 통기공,
145 : 패드지지부,
150 : 밸브캡,
160 : 배기공,
165 : 측면배기공,
167 : 캡돌기,
170 : 손잡이,
190 : 밸브패드,
195 : 패드공,
R : 곡률반경.

Claims (10)

  1. 마스크(10)의 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에 개폐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캡(150); 및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밸브캡(150)에 개재되어 들숨을 차단하고, 날숨을 배출하는 밸브패드(19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밸브패드(19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패드지지부(145)가 돌출되며,
    상기 패드지지부(145)는 상기 밸브패드(190)가 만곡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캡(150)에는 상기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60)과 측면배기공(165)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후크(1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후크(120)가 상기 배기공(160)에 걸림으로써,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밸브캡(150)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패드(190)는 일측에 패드공(195)이 관통 형성된 실리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 중 상기 패드공(195)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베이스돌기(135)가 더 돌출되어, 상기 밸브패드(19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150)의 내측에는 만곡된 상기 밸브패드(190)를 누르는 캡돌기(16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돌기(167)는 상기 밸브캡(15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패드(190)의 중앙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밸브캡(150)이 상대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10), 상기 밸브캡(150) 및 상기 힌지부(20)는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150)의 가장자리에는 손잡이(170)가 일체로 더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110)로부터 상기 밸브캡(150)이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밸브.
KR2020200001611U 2020-05-14 2020-05-14 마스크 밸브 KR200493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11U KR200493338Y1 (ko) 2020-05-14 2020-05-14 마스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611U KR200493338Y1 (ko) 2020-05-14 2020-05-14 마스크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38Y1 true KR200493338Y1 (ko) 2021-03-16

Family

ID=7523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611U KR200493338Y1 (ko) 2020-05-14 2020-05-14 마스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38Y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7698A (en) * 1998-08-20 2000-04-11 Moldex-Metric, Inc. Unidirectional fluid valve
KR20050025879A (ko) * 2003-09-08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에어토출그릴 장착구조
KR100912233B1 (ko) * 2008-12-12 2009-08-14 (주)피앤티디 마스크
JP3155829U (ja) * 2009-09-18 2009-12-03 マスコット株式会社 マスク
KR20140078939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KR200480574Y1 (ko) * 2015-12-17 2016-06-09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101730083B1 (ko) 2015-11-06 2017-05-11 이창선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WO2017155152A1 (ko)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네오메드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190025459A (ko) 2017-09-01 2019-03-11 박진수 벤튜리 효과를 활용한 마스크 배기밸브
KR20190049842A (ko) * 2016-09-16 2019-05-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KR20200004107A (ko) 2018-07-03 2020-01-13 (주)유니맥스 마스크의 에어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7698A (en) * 1998-08-20 2000-04-11 Moldex-Metric, Inc. Unidirectional fluid valve
KR20050025879A (ko) * 2003-09-08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의 에어토출그릴 장착구조
KR100912233B1 (ko) * 2008-12-12 2009-08-14 (주)피앤티디 마스크
JP3155829U (ja) * 2009-09-18 2009-12-03 マスコット株式会社 マスク
KR20140078939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KR101730083B1 (ko) 2015-11-06 2017-05-11 이창선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200480574Y1 (ko) * 2015-12-17 2016-06-09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WO2017155152A1 (ko)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네오메드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20190049842A (ko) * 2016-09-16 2019-05-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KR20190025459A (ko) 2017-09-01 2019-03-11 박진수 벤튜리 효과를 활용한 마스크 배기밸브
KR20200004107A (ko) 2018-07-03 2020-01-13 (주)유니맥스 마스크의 에어밸브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22Y1 (ko) 기능성 마스크
TW562684B (en) Respirator valve
TW562683B (en) Respirator valve
KR101619487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1140281B1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US20060230485A1 (en) See-through mask
AU2017292629A1 (en) Face mask with removable/replaceable filter element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2079518B1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US20120090615A1 (en) Separably assembled filtering respirator
KR20060083536A (ko) 프레임 마스크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1820846B1 (ko) 물필터 마스크
KR102113556B1 (ko) 측면용 날숨배출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KR200493338Y1 (ko) 마스크 밸브
KR20200000536U (ko) 미세먼지 차단용 여과지를 수납하는 안경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배출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3중 구조의 마스크
KR20200114183A (ko) 마스크용 날숨배출장치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20200114249A (ko) 청정에어 블러워형 마스크
CN213215456U (zh) 一种具有快速拆卸功能的口罩
CN210329448U (zh) 一种呼吸阀及应用该呼吸阀的口罩
KR102540576B1 (ko)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CA2718085C (en) Separably assembled filtering respirator
KR20190111204A (ko) 기능성 고분자 나노섬유필터를 포함한 호흡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