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85Y1 -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 Google Patents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85Y1
KR200493185Y1 KR2020190003242U KR20190003242U KR200493185Y1 KR 200493185 Y1 KR200493185 Y1 KR 200493185Y1 KR 2020190003242 U KR2020190003242 U KR 2020190003242U KR 20190003242 U KR20190003242 U KR 20190003242U KR 200493185 Y1 KR200493185 Y1 KR 200493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data
hole
collection box
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환국
Original Assignee
소프트캠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캠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프트캠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3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8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Abstract

본 고안은 악성코드로 인한 보호 대상 시스템의 감염을 방지하도록 반입 데이터를 안전하게 복사해서 반입자가 별도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손쉽게 반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을 갖춘 바디와, 상기 중공을 개폐하도록 바디에 설치되고 개구홀이 형성된 도어와,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아서 상기 개구홀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수거함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중공에 내설되는 선반으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의 조작에 따른 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저장매체를 순차로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설치되는 저장매체 스토리지; 상기 저장매체 스토리지에 수용된 저장매체에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복사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수거함으로 낙하하도록 선반에 안착되는 라이터;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해 백업하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복사하도록 라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와 라이터의 동작 상황이 출력되도록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kiosk device for restricting the carry-in of information data that allows the carry-in data to be safely copied to prevent infection of the protected system by malicious code so that the carry-in can easily carry it in using a separate storage medium. , A body having a hollow, a door install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and having an opening hole, a collection box installed on the door to receive a copy storage medium and retrieve it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the collection box A housing consisting of a shelf installed in the hollow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An input/output device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out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anti-particles; A data input device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ting data stored in an original storage medium; A storage medium storage that sequentially receives the storage medium and is installed in the hollow of the housing; A lighter mounted on a shelf so as to copy data inputted into a data input device to a storage medium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edium storage, and fall through the through hole to a collection box;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back up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control a writer to copy the input data to a storage medium, and control an input/output device to output operation states of the data input device and the writer; do.

Description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본 고안은 악성코드로 인한 보호 대상 시스템의 감염을 방지하도록 반입 데이터를 안전하게 복사해서 반입자가 별도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손쉽게 반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kiosk device for restricting the carry-in of information data so that the carry-in data can be safely copied to prevent infection of the system to be protected by malicious code, and the carry-in can easily carry it in using a separate storage medium. .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 장치는 무인 정보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정부기관이나 지방 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병원 및 전시장과 같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등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키오스크 장치는 터치 스크린과 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 및 통신 카드 등을 구비하여 음성 서비스, 동화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 시스템이다. In general, kiosk devices are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s, and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local governments, banks, department stores, hospitals, and exhibition halls to provide information on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and how to use facilities. Provide guidance services. In addition, the kiosk device is an unmanned comprehensive information guide system that provides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s such as voice service and moving picture realization by including a touch screen, a sound card, a graphic card and a communication card.

키오스크 장치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대신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이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상호 대화 방식으로 편리하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a kiosk device is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on a screen using a touch screen instead of a keyboard,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veniently search for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method between a user and a system.

한편, 정부기관이나 지방 자치단체 등의 관공서와 기타 보안이 요구되는 각종 기업체 및 연구소 등(이하 '보안대상지역')은 데이터의 무단 반출 또는 기타 악성코드 입력 등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보안대상지역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출입자의 소지품 반입을 제한하는 것에 한정하므로, 사실상 출입자가 악의로 보안대상지역의 데이터를 반출하거나 악성코드를 반입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이를 막을 방법이 전무했다.On the other hand, government offic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require secur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security target areas') need to restrict unauthorized export of data or input of other malicious codes. However, conventionally, as a means to protect data in the security target area, it is limited to restricting the entry of personal belongings.In fact, in case the visitor carries out the data of the security target area or installs malicious code by malicious intention,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is. There was no.

더욱이 보안대상지역은 다양한 데이터를 빈번하게 반출입해야 하는데, 데이터가 저장된 전자기기와 저장매체 등의 반입을 제한한다면, 보안대상지역의 업무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데이터의 반입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안대상지역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Moreover, various data must be frequently carried in and out of the security target area, and if the import of electronic devices and storage media in which data is stored is restricted, there is a problem that business processing in the security target area becomes virtually impossibl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ensuring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target area while enabling the import of data.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1829호(2007.11.22 공개)Prior Art Document 1.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1829 (published on November 22, 2007)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반입자가 보안대상지역에 무해가 보장된 데이터를 손쉽게 반입해서 악성코드로 인한 데이터 시스템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고 반입 데이터 역시 보호할 수 있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desig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formation data that can prevent infection of the data system due to malicious codes and protect the imported data by easily bringing in harmless data to the security target area. This is a task to solve the provision of a security kiosk device for restricting the entry and exit of peop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중공을 갖춘 바디와, 상기 중공을 개폐하도록 바디에 설치되고 개구홀이 형성된 도어와,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아서 상기 개구홀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수거함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중공에 내설되는 선반으로 구성된 하우징;A body with a hollow, a door install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and having an opening hole, a collection box installed on the door to receive a copy storage medium and retrieve it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a through hole formed above the collection box A housing consisting of a shelf installed in the hollow so as to be located at;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의 조작에 따른 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An input/output device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out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anti-particle;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 data input devic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ting data stored in an original storage medium;

저장매체를 순차로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설치되는 저장매체 스토리지;A storage medium storage that sequentially receives the storage medium and is installed in the hollow of the housing;

상기 저장매체 스토리지에 수용된 저장매체에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복사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수거함으로 낙하하도록 선반에 안착되는 라이터; 및A lighter mounted on a shelf so as to copy data inputted into a data input device to a storage medium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edium storage, and fall through the through hole to a collection box; And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해 백업하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복사하도록 라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와 라이터의 동작 상황이 출력되도록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that receives and backs up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controls a writer to copy the input data to a storage medium, and controls an input/output device to output operation states of the data input device and the writer;

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이다.It is a security kiosk device for restricting the carry-in of information data including a.

상기의 본 고안은, 반입자가 보안대상지역에 무해가 보장된 데이터를 손쉽게 반입해서 악성코드로 인한 데이터 시스템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고 반입 데이터 역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ata system from being infected by malicious codes by easily bringing data that is guaranteed to be harmless by the importer to the security target area and also protecting the imported data.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네트워크 통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 구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선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선반 구조를 적용한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선반 및 가이드의 배치 구조와 이로 인한 저장매체의 이동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shown in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communication structure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to which the shelf structure shown in FIG. 9 is appli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shelf and a guide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ving state of a storage medium due thereto.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pplying various changes and having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cont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FIG.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shown in FIG. 3.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중공을 갖춘 바디(110)와, 상기 중공을 개폐하도록 바디(110)에 설치되고 개구홀(121)이 형성된 도어(120)와,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아서 개구홀(121)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도어(120)에 설치되는 수거함(130)과,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수거함(1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중공에 내설되는 선반(140)으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의 조작에 따른 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12);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며,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14); 저장매체를 순차로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설치되는 저장매체 스토리지(15); 저장매체 스토리지(15)에 수용된 저장매체에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를 복사하고, 관통공(141)을 통해 수거함(130)으로 낙하하도록 선반(140)에 안착되는 라이터(16);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해 백업하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복사하도록 라이터(16)를 제어하며, 데이터 입력장치(14)와 라이터(16)의 동작 상황이 출력되도록 입출력장치(12)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를 포함한다.1 to 4, the kiosk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 having a hollow, and a door 120 installed on the body 110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and having an opening hole 121 formed therein. ), and a collection box 130 installed in the door 120 to receive the copy storage medium and to be retrieved through the opening hole 121, and a through hole 141 formed in the hollow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collection box 130 A housing consisting of a shelf 140 to be installed; An input/output device 12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out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anti-particle; A data input device 14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ting data stored in an original storage medium; A storage medium storage 15 which sequentially receives the storage medium and is installed in the hollow of the housing; A lighter 16 seated on the shelf 140 so as to copy the data input into the data input device 14 to the storage medium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edium storage 15, and fall into the collection box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41 ; Receives and backs up the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controls the writer 16 to copy the input data to the storage medium,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ata input device 14 and the writer 16 It includes; a processor 11 that controls the input/output device 12 to be possible.

상기 하우징은, 중공을 갖춘 바디(110)와, 상기 중공을 개폐하도록 바디(110)에 설치되고 개구홀(121)이 형성된 도어(120)와,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아서 개구홀(121)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도어(120)에 설치되는 수거함(130)과,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수거함(1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중공에 내설되는 선반(1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110)는 키오스크 장치(10)의 몸체를 이루며, 입출력장치(12)와 데이터 입력장치(14)와 저장매체 스토리지(15)와 라이터(16)와 프로세서(11)를 수용하는 중공을 형성한다. 바디(110)의 외형은 키오스크 장치(10)의 설치 장소와 반입자의 이용 편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이룰 수 있으며, 본 실시의 바디(110)는 입출력장치(12)가 상부에 배치되도록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The housing includes a body 110 having a hollow, a door 120 installed in the body 110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and having an opening hole 121 formed therein, and a copy storage medium through the opening hole 121. It consists of a collection box 130 installed in the door 120 to be able to be withdrawn, and a shelf 140 in which a through hole 141 is formed and is placed in a hollow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llection box 130. Here, the body 110 forms the body of the kiosk device 10, and has a hollow for accommodating the input/output device 12, the data input device 14, the storage medium storage 15, the writer 16, and the processor 11.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body 110 can be achieved in various designs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kiosk device 10 and the convenience of use of anti-particles, and the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so that the input/output device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Form a photograph.

도어(120)는, 바디(110)의 중공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공이 노출되도록 개구홀(121)이 형성된다. 개구홀(121)은 반입자가 손을 넣어서 복사본 저장매체를 인출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반입자의 사용 편의 등을 고려해서 도어(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12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of the body 110, and an opening hole 121 is formed to expose the hollow. The opening hole 121 allows the anti-particle to withdraw the copy storage medium by putting a hand, and is preferably located under the door 120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anti-particle.

수거함(130)은, 라이터(16)로부터 낙하한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공에서 라이터(16)의 하방에 위치하고, 반입자가 개구홀(121)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개구홀(121)의 인근에 설치된다. 따라서 복사본 저장매체가 라이터(16)로부터 낙하하면, 수거함(130)은 상기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아 유지하고, 반입자는 수거함(130)에 존재하는 상기 복사본 저장매체를 꺼내 활용할 수 있다.The collection box 130 is for receiving the copy storage medium dropped from the lighter 16, and is located under the lighter 16 in the hollow, and the opening hole 121 so that anti-particles can be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hole 121 It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refore, when the copy storage medium falls from the writer 16, the collection box 130 receives and maintains the copy storage medium, and the carry-on can take out and utilize the copy storage medium existing in the collection box 130.

선반(140)은,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수거함(1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중공에 내설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선반(140)은 독립된 전자기기인 라이터(16)를 받치도록 상기 중공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또한, 라이터(16)의 저면에는 복사본 저장매체가 인출되는 인출구(미 도시 됨)가 형성되므로,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되는 복사본 저장매체가 통과하도록 관통공(141)이 상기 인출구와 마주하게 배치된다.The shelf 140 is provided in the hollow so that the through hole 141 is formed and is positioned above the collection box 13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helf 14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hollow to support the lighter 16, which is an independent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since 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opy storage medium is draw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riter 16, the through hole 141 is disposed facing the outlet so that the copy storage medium drawn out from the outlet passes through.

입출력장치(12)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를 입출력한다. 입출력장치(12)는, 반입자가 키오스크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제시하고, 키오스크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반입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의 입출력장치(12)는 터치스크린(12a) 기술이 적용되어서, 프로세서(11)의 명령값에 따라 메뉴를 출력하고, 반입자가 선택한 메뉴키에 대응해서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프로세싱 한다. 본 실시의 입출력장치(12)는 바디(110)의 상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반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output device 12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s and outputs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nti-particle. The input/output device 12 presents various menus for the entrant to control the kiosk device 10, and output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entrant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kiosk device 10. In the input/output device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uch screen 12a technology is applied, outputs a menu according to the command value of the processor 11, and processes according to the sett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menu key selected by the fetc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output device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bliqu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facilitate manipulation of anti-particles.

데이터 입력장치(14)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한다. 반입자는 업무 차원 또는 악의로 데이터를 보안대상지역에 반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컴퓨터 자체 또는 이동식 저장매체(이하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그러나 보안대상지역은 데이터의 무분별한 반입이 제한되어야 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10)는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입력장치(14)는, 원본 저장매체가 접속하는 제1모듈과,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는 제2모듈과, 리딩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1)에 입력시키는 제3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모듈은 USB 포트 또는 CD 드라이버 또는 프로필 디스크 드라이버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제2모듈은 제1모듈에 접속한 원본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리딩하는 드라이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모듈은 제2모듈이 리딩한 데이터가 프로세서(11)에 전달되도록 프로그램되고, 데이터 케이블 등을 매개로 제3모듈과 프로세서(11)가 연결된다. 상기 제1모듈의 경우, USB 포트 또는 CD 드라이버가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서, 반입자는 USB 포트에 원본 저장매체를 바로 꽂아 연결할 수도 있고, CD 드라이버에 CD 형식의 원본 저장매체를 삽입할 수도 있다.The data input device 14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s data stored in an original storage medium. The importer can bring the data into the security target area for business or for malicious purposes. Here, the data is stored in the computer itself or in a removable storage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original storage medium'). However, since the indiscriminate import of data should be restricted to the security target area, the kiosk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only data stored in the original storage medium in a separate storage medium. To this end, the data input device 14 includes a first module to which the original storage medium is connected, a second module for reading data stored in the original storage medium, and a third module for inputting the read data to the processor 11. Is composed. The first module may be applied with a USB port, a CD driver, or a profile disk driver, and the second module may be applied with a driver that reads data from an original storage medium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The third module is programmed to transfer data read by the second module to the processor 11, and the third module and the processor 11 are connected via a data cable or the like. In the case of the first module, the USB port or the CD driver is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importer can directly plug and connect the original storage medium to the USB port, or insert the original storage medium in CD format into the CD driver. have.

저장매체 스토리지(15)는, 저장매체를 순차로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설치된다. 본 실시는 원본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CD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서 저장매체 스토리지(15)는 다수 개의 공 CD를 적층해 보관한다. The storage medium storage 15 sequentially accommodates the storage medium and is installed in the hollow of the housing. In this embodiment, data of the original storage medium is stored on a CD. To this end, the storage medium storage 15 stacks and stores a plurality of blank CDs.

라이터(16)는, 저장매체 스토리지(15)에 수용된 저장매체에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를 복사하고, 관통공(141)을 통해 수거함(130)으로 낙하하도록 선반(140)에 안착된다. 본 실시와 같이, 저장매체 스토리지(15)와 라이터(16)는 일체로 제작되고, 라이터(16)는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를 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저장매체 스토리지(15)와 라이터(16)는 기성품인 오토 로더(Auto-Loader) 장치가 적용되고, 오토 로더(Auto-Loader)는 저면에 인출구가 형성된다.The writer 16 copies the data inputted into the data input device 14 to the storage medium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edium storage 15, and drops the data into the collection box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41 on the shelf 140. Is settled. As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medium storage 15 and the writer 16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the writer 16 stores the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in the storage medium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 do. The storage medium The storage 15 and the writer 16 are equipped with a ready-made auto-loader device, and the auto-loader has a drawer formed at the bottom.

프로세서(11)는,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해 백업하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복사하도록 라이터(16)를 제어하며, 데이터 입력장치(14)와 라이터(16)의 동작 상황이 출력되도록 입출력장치(12)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1)는 데이터 입력장치(14)와 라이터(16)와 입출력장치(1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 일종의 컴퓨터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a)와 저장모듈(11b)을 포함한다. 따라서 반입자가 데이터 복사를 위해 입출력장치(12)의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CPU(11a)는 프로그램에 따라 반입자에게 원본 저장매체를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접속하라는 안내를 입출력장치(12)에 출력하고, 반입자가 원본 저장매체를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접속하면 데이터를 리딩해서 저장모듈(11b)에 백업한다. 또한, CPU(11a)는 라이터(16)를 동작시켜서 해당 백업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저장모듈(11b)은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수도 있고, 라이터(16)의 데이터 복사가 완료되면 CPU(11a)가 해당 데이터를 저장모듈(11b)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1 receives and backs up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controls the writer 16 to copy the input data to a storage medium, and controls the data input device 14 and the writer 16. The input/output device 12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ration status of) is output. The processor 11 is a kind of computer programm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ata input device 14, the writer 16, and the input/output device 12, and includ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1a and a storage module 11b. . Therefore, when the importer selects the corresponding menu of the input/output device 12 for data copying, the CPU 11a informs the importer to connect the original storage medium to the data input device 14 according to the program to the input/output device 12. Output, and when the importer connects the original storage medium to the data input device 14, the data is read and backed up to the storage module 11b. In addition, the CPU 11a operates the writer 16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backup data to be recorded in the storage medium. For reference, the storage module 11b may store all the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or when the data copy of the writer 16 is completed, the CPU 11a deletes the data from the storage module 11b. May be.

미 설명된 도면부호 '19'는 키오스크 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인 '파워서플라이'이며, 외부 전압을 변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전자기기는 내부 기기의 구동을 위한 파워서플라이(19)를 필수적으로 구성하며, 각 구성과 구조 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Reference numeral '19', which is not described, is a'power supply' which i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kiosk device 10, and includes a function of transforming an external voltage. A typical electronic device essentially constitutes a power supply 19 for driving an internal device, and since each configuration and structure is already known technology,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네트워크 통신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 구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etwork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kiosk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프로세서(11)가 VPN(Virtual Private Network) 방식으로 네트워크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VPN 통신장치(18)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가 인증을 위해 접근시킨 인증매체를 리딩하는 리더(13);를 더 포함한다.5 to 8, 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PN communication device 18 for interfacing the processor 11 to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in a VPN (Virtual Private Network) metho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reader 13 for reading the authentication medium that the anti-particle approached for authentication; further includes.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VPN 방식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지정 서버인 센터서버(20) 및 백신서버(40)와 통신한다. 여기서 키오스크 장치(10)는 지정된 시간에만 VPN 방식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센터서버(20)를 통해 백신서버(40)에 접속하고, 백신서버(40)는 키오스크 장치(10)의 보안을 위한 업데이트 정보를 발신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키오스크 장치(10)의 구성 시스템은 물론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접속한 원본 저장매체의 데이터의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모듈(11c)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보안모듈(11c)은 지정된 시간에만 VPN 통신장치(18)를 실행시켜서 백신서버(40)에 접속하고, 백신서버(40)는 보안모듈(11c)의 접속을 확인해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보안모듈(11c)은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해서 업데이트한 후에 VPN 통신장치(18)의 통신을 차단한다.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es with the center server 20 and the vaccine server 40, which are designated servers, through a VPN-typ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kiosk device 10 connects to the VPN-type communication network only at a specified time and connects to the vaccine server 40 through the center server 20, and the vaccine server 40 is updated for security of the kiosk device 10. Send information. To this end, the processor 11 of 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hecks whether the data of the original storage medium connected to the data input device 14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system of the kiosk device 10 is infected with malicious codes. It further includes a module 11c. Therefore, the security module 11c connects to the vaccine server 40 by executing the VPN communication device 18 only at a specified time, and the vaccine server 40 checks the connection of the security module 11c and transmits the update information. Of course, the security module 11c blocks the communication of the VPN communication device 18 after receiving and updating the update information.

VPN 방식의 통신 네트워크 구조를 좀 더 설명하면, 키오스크 장치(10)의 프로세서(11)에 구성된 보안모듈(11c)은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 설치되므로, 백신 프로그램별로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백신서버(40)가 센터서버(20)와 통신한다. 여기서 센터서버(20)는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 장치(10)를 관리한다. 한편, 센터서버(20)와 키오스크 장치(10)는 VPN 방식의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하며, 이를 위해서 센터서버(20)와 키오스크 장치(10) 간에 VPN 통신을 중계하는 VPN 장치(30)를 더 포함한다. VPN 장치(30)와 키오스크 장치(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LTE 기지국을 중계로 VPN 장치(30)와 무선 통신한다.To explain the VPN-type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in more detail, the security module 11c configured in the processor 11 of the kiosk device 10 has one or more different types of vaccine programs installed, so that one or more vaccine programs can be updated. The above vaccine server 40 communicates with the center server 20. Here, the center server 20 manages one or more kiosk devices 10. Meanwhile, the center server 20 and the kiosk device 10 communicate based on a VPN-type communication network, and for this purpose, a VPN device 30 relaying VPN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server 20 and the kiosk device 10 is provided. Include more. The VPN device 30 and the kiosk device 10 are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VPN device 30 via an LTE base station.

본 실시의 키오크 장치(10)의 리더(13)는 반입자가 휴대한 신분증, 지문, 안구 등의 인증매체를 리딩한다. 이를 위해서 리더(13)는 반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의 리더(13)는 신분증 인식을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방식이 적용되어서, 반입자가 자신의 신분증을 리더(13)에 근접시키면, 리더(13)는 상기 신분증에 기록된 인증정보를 인식해서 프로세서(11)에 전달한다. 또한 프로세서(11)의 저장모듈(11b)에 반입자의 인증코드와 인증정보를 저장해서, 리더(13)가 리딩한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모듈(11b)에서 검색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The reader 13 of the kio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reads an authentication medium such as an identification card, fingerprint, and eyes carried by the anti-particle. To this end, the reader 13 is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acilitate manipulation of anti-particles. The reader 13 of this embodiment is applied with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n identification card, so when the entrant brings his or her identification card close to the reader 13, the reader 13 provid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orded on the identification card.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1. In addition, by stor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importer in the storage module 11b of the processor 11,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13 may be searched and confirmed by the storage module 11b.

본 실시의 프로세서(11)는,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의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해서 삭제하는 보안 기능을 갖추며, VPN 통신장치(18)를 매개로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또한 프로세서(11)는, 리더(13)가 리딩한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해당 복사본 저장매체에 저장한다.The processor 11 of this embodiment has a security function to check and delete the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whether or not the data is infected with a malicious code, and connects to the network via the VPN communication device 18 to receive update information. Download. Further, the processor 11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13, and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corresponding copy storage medium.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의 보안모듈(11c)은 VPN 통신장치(18)를 매개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므로, 지정된 시간에만 주체적으로 백신서버(40)에 접속해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VPN 통신 기술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urity module 11c of the processor 11 connects to the network via the VPN communication device 18, it only accesses the vaccine server 40 at a specified time and receives update information. Since the VP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described above,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보안모듈(11c)은 키오스크 장치(10)에 설정된 각종 로직과 저장모듈(11b)에 저장된 데이터의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체크해서 치료함은 물론,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의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검사 결과 데이터 입력장치(14)에 입력된 데이터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체를 삭제하거나 해당 악성코드만을 삭제해서 치료한다.Subsequently, the security module 11c checks and treats various logics set in the kiosk device 10 a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1b for infection with malicious codes, as well as the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Check whether the malicious code is infect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f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14 is infected with a malicious code, the entire data is deleted or only the corresponding malicious code is deleted and treated.

프로세서(11)의 CPU(11a)는, 리더(13)가 리딩한 인증정보를 확인해서 반입자의 신분 등을 입출력장치(12)를 통해 출력시킨다. 입출력장치(12)에 출력된 신분이 반입자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반입자는 데이터 백업 등의 절차를 중지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계속해서, 프로세서(11)의 CPU(11a)는 리더(13)를 통해 확인한 인증정보를 원본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복사하는 복사본 저장매체에 함께 저장한다. 따라서 반입자의 반입 데이터가 무엇이고, 반입자가 누구인지 등에 대한 각종 정보가 복사본 저장매체에 기록된다.The CPU 11a of the processor 11 check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13 and outputs the identity of the entrant or the like through the input/output device 12. If the identity output to the input/output device 12 does not match the information of the entrant, the entrant can stop the procedure such as data backup and take action. Subsequently, the CPU 11a of the processor 11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hecked through the reader 13 in a copy storage medium that copies the data of the original storage medium.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what the imported data is and who the importer is is recorded on the copy storage medium.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프린터(17)를 더 포함한다. 프린터(17)는 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종이에 기록해서 서면으로 출력한다. 프린터(17)는 반입자의 데이터 반입을 위한 복사 시간, 데이터 크기, 반입자 정보 등의 데이터 복사 관련 정보를 기록하고, 반입자는 프린터(17)로부터 출력된 서면 타입의 영수증을 수취해서 후속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프린터(17)는 프로세서(11)로부터 수신된 명령값에 따라 관련 정보를 서면에 프린팅한다. 이때, 해당 서면은 두루마리 형태로 보관된다. 본 실시에서 상기 서면이 인출되는 인출홀은 도 5와 같이 도어(120)의 외면에 형성되고, 프린터(17)는 도 8과 같이 도어(120)의 내면에 설치된다. 결국, 프린터(17)로부터 인출되는 서면은 상기 인출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반입자는 상기 인출홀에서 인출된 서면을 손쉽게 수취한다.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rinter 17. The printer 17 records the information on paper and outputs it in wri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 The printer 17 records data copy-related information such as copy time, data size, and importer information for bringing in the data of the importer, and the importer can receive a written receipt output from the printer 17 and use it for subsequent work. have. The printer 17 of the present embodiment prints related information on a document according to the command value received from the processor 11. At this time, the document is kept in the form of a scroll. In this embodiment, the drawing hole through which the document is draw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20 as shown in FIG. 5, and the printer 17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2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document withdrawn from the printer 17 is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thdrawal hole, and the carry-in easily receives the document withdrawn from the withdrawal hole.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수거함(130)을 조명하는 램프(150)를 더 포함한다. 램프(150)는 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ON/OFF한다. 본 실시의 프로세서(11)는, 원본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복사본 저장매체에 모두 복사하여 수거함(130)에 삽입하면, 반입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램프(150)를 동작시킨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반입자가 수거함(130)으로부터 복사본 저장매체를 인출하면, 램프(1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lamp 150 that illuminates the collection box 130. The lamp 150 is turned on/off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or 11 operates the lamp 150 so that when the data of the original storage medium is copied to the copy storage medium and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box 130, the anti-particle can recognize it. In addition, when a certain time elapses or the anti-particles withdraw the copy storage medium from the collection box 130, the operation of the lamp 150 is stopped.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일 실시 예의 선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선반 구조를 적용한 키오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의 선반 및 가이드의 배치 구조와 이로 인한 저장매체의 이동 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kiosk device to which the shelf structure shown in FIG. 9 is applied, and FIG. 11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helf and the guide of the kios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ement of the storage medium.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키오크스 장치(10)는, 선반(140)의 관통공(141)이 수거함(130)을 향해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관통공(141)과 엇갈리게 연통하는 인입공(161)이 형성되어서, 관통공(141)의 가장자리가 인입공(161)에서 턱(142)을 이루도록 선반(141)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160); 라이터(16)로부터 낙하되어 인입공(161)과 관통공(141)을 순차로 관통한 복사본 저장매체(D)가 수거함(130)으로 삽입되도록, 관통공(141)의 하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거함(130)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견인대(132);를 더 포함한다.8 to 11, the kioks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141 of the shelf 140 is alternately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 hole 141 so that the through hole 141 is relatively close toward the collection box 130 A guide 16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41 so that the inlet hole 161 is formed so th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41 forms the jaw 142 in the inlet hole 161; The copy storage medium (D) falling from the lighter 16 and passing through the inlet hole 161 and the through hole 141 in sequence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box 130, so that it is disposed obliquely under the through hole 141 and collected. It further includes; a tow bar 132 installed on the upper edge of the 130.

라이터(16)의 저면 인출구와 수거함(130)이 동일한 연직선 상에 나란히 위치하면, 상기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복사본 저장매체(D)가 간섭 없이 수거함(130)에 바로 낙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의 형태와 개구홀(121) 또는 라이터(16) 등의 위치 등에 따라 라이터(16)의 저면 인출구와 수거함(130)이 나란하지 못할 수도 있다. When the bottom outlet of the lighter 16 and the collection box 130 are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same vertical line, the copy storage medium D drawn from the outlet can be directly dropped onto the collection box 130 without interference. Howev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using and the location of the opening hole 121 or the lighter 16, the bottom outlet of the lighter 16 and the collection bin 130 may not be aligned.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키오스크 장치(10)는, 도 9의 (b)도면과 같이, 인입공(161)이 형성된 가이드(160)가 선반(140) 상에 안착된다. 이때, 인입공(161)은 관통공(141)이 수거함(130)을 향해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관통공(141)과 엇갈리게 연통한다. 따라서 관통공(141)의 가장자리가 인입공(161)에서 턱(142)을 이룬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과 같이 복사본 저장매체(D)의 낙하 방향은 수거함(130)보다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라이터(16)로부터 낙하하는 복사본 저장매체(D)는 수거함(130)의 선단에 걸려서 수거함(130) 밖으로 이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사본 저장매체(D)가 낙하 과정에서 수거함(130)으로 견인되도록, 가이드(160)의 인입공(161)을 관통공(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시켜서, 관통공(141)의 가장자리가 인입공(161)에서 턱(142)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도 11의 (a)도면과 같이 인입공(161)으로 낙하한 복사본 저장매체(D)는 인입공(161)을 관통해서 관통공(141)으로 이동하고, 이동 과정에서 복사본 저장매체(D)의 우측이 턱(142)에 걸려 도 11의 (b)도면과 같이 수거함(130)을 향해 기울어진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kiosk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b), a guide 160 in which an inlet hole 161 is formed is mounted on the shelf 140. At this time, the inlet hole 161 communicates alternately with the through hole 141 so that the through hole 141 is relatively close toward the collection bin 130. Accordingly,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41 forms the jaw 142 in the inlet hole 161.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1,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copy storage medium 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relative to the collection bin 130. In this case, the copy storage medium D falling from the writer 16 may be caught by the tip of the collection box 130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collection box 130. Therefore, the inlet hole 161 of the guide 16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relative to the through hole 141 so that the copy storage medium D is pulled to the collection box 130 in the fall process, so that the through hole 141 The edge of the inlet hole 161 to form the jaw 142. Through this, the copy storage medium (D) dropped into the inlet hole 161 as shown in Figure 11 (a)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61 and moves to the through hole 141, an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py storage medium ( The right side of D) is caught by the jaw 142 and is inclined toward the collection box 130 as shown in (b) of FIG. 11.

한편, 복사본 저장매체(D)가 수거함(130)의 안쪽으로 확실히 이동하도록, 견인대(132)가 관통공(141)의 하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거함(130)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결국, 수거함(130)을 향해 기울어진 복사본 저장매체(D)는 관통공(141)을 경유한 후에 견인대(132)를 따라 이동해서 도 11의 (c)도면과 같이 수거함(130) 안으로 정확히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to ensure that the copy storage medium (D) moves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130, the drawbar 132 is disposed inclined under the through hole 141 and installed at the top edge of the collection box 130. Eventually, the copy storage medium D inclined toward the collection box 130 moves along the towing bar 132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1, and is accurately inside the collection box 130 as shown in (c) of FIG. Is inserted.

가이드(160)의 경우 선반(140)과 분리된 독립된 구조이므로, 선반(1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키오스크 장치(10)의 바디(110) 디자인과 내부 설계 등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guide 160, since it is an independent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shelf 140,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shelf 140, and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ody 110 and the interior of the kiosk device 10. .

미 설명된 도면부호 '131'은 견인대(131)를 수거함(130)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다.Reference numeral '131', which is not described, denotes a'bracket' for fixing the drawbar 131 to the collection box 130 body.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10; 키오스크 장치 11; 프로세서 11a; CPU
11b; 저장모듈 11c; 보안모듈 12; 입출력장치
13; 리더 14; 데이터 입력장치 15; 저장매체 스토리지
16; 라이터 17; 프린터 18; VPN 통신장치
19; 파워서플라이 110; 바디 120; 도어
121; 개구홀 130; 수거함 131; 브래킷
132; 견인대 140; 선반 141; 관통홀
142; 턱 150; 램프 160; 가이드
161; 인입공 D; 복사본 저장매체
10; Kiosk device 11; Processor 11a; CPU
11b; Storage module 11c; Security module 12; I/O device
13; Leader 14; Data input device 15; Storage media storage
16; Lighter 17; Printer 18; VPN communication device
19; Power supply 110; Body 120; door
121; Opening hole 130; Collection box 131; Bracket
132; Drawbar 140; Shelf 141; Through hole
142; Chin 150; Lamp 160; guide
161; Inlet hole D; Copy storage medium

Claims (4)

중공을 갖춘 바디와, 상기 중공을 개폐하도록 바디에 설치되고 개구홀이 형성된 도어와, 복사본 저장매체를 받아서 상기 개구홀을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수거함과,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거함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중공에 내설되는 선반으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의 조작에 따른 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원본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저장매체를 순차로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설치되는 저장매체 스토리지;
상기 저장매체 스토리지에 수용된 저장매체에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복사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수거함으로 낙하하도록 선반에 안착되는 라이터; 및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해 백업하고,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복사하도록 라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와 라이터의 동작 상황이 출력되도록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의 관통공이 수거함을 향해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관통공과 엇갈리게 연통하는 인입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가 인입공에서 턱을 이루도록 선반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 및
상기 라이터로부터 낙하되어 인입공과 관통공을 순차로 관통한 복사본 저장매체가 수거함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공의 하방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거함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견인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
A body with a hollow, a door installed on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and having an opening hole, a collection box installed on the door to receive a copy storage medium and retrieve it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a through hole formed above the collection box A housing consisting of a shelf installed in the hollow so as to be located at;
An input/output device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out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antiparticle;
A data input device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putting data stored in an original storage medium;
A storage medium storage that sequentially receives the storage medium and is installed in the hollow of the housing;
A lighter mounted on a shelf so as to copy data inputted into a data input device to a storage medium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edium storage, and fall through the through hole to a collection box; And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back up data input to the data input device, control a writer to copy the input data to a storage medium, and control an input/output device to output operation states of the data input device and the writer; and,
A guid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so that the through-hole of the shelf is relatively close to the collection box so that the through-holes and inlet holes are alternate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dge of the through-hole forms a jaw from the inlet hole; And
A pull rod disposed at an upper edge of the collection bin and disposed inclined under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copy storage medium falling from the lighter and passing through the inlet hole and the through hole in sequence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box;
Security kiosk device for restricting the carry-in/out of informa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VPN(Virtual Private Network) 방식으로 네트워크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VPN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의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확인해서 삭제하는 보안 기능을 갖추며, 상기 VPN 통신장치를 매개로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업데이트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VPN communication device for interfacing the processor to communicate over a network in a VPN (Virtual Private Network)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or has a security function of checking and deleting data inputted to the data input device whether or not infected with a malicious code, and downloading update information by accessing a network via the VPN communication device;
A kiosk device for security for restricting the carry-in of informa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반입자가 인증을 위해 접근시킨 인증매체를 리딩하는 리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더가 리딩한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해당 복사본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데이터의 반출입 제한을 위한 보안용 키오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reader for reading the authentication medium that the anti-particle approached for authentication; further includes,
The processor may check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and sto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corresponding copy storage medium;
A kiosk device for security for restricting the carry-in of information data,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KR2020190003242U 2019-08-05 2019-08-05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KR2004931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42U KR200493185Y1 (en) 2019-08-05 2019-08-05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42U KR200493185Y1 (en) 2019-08-05 2019-08-05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85Y1 true KR200493185Y1 (en) 2021-02-15

Family

ID=7456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42U KR200493185Y1 (en) 2019-08-05 2019-08-05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8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817B1 (en) 2022-06-22 2022-11-10 (주)에어패스 wall-mounted kiosk
KR20230059323A (en)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에이디엠아이 Vr kios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829A (en) 2006-05-19 2007-11-22 주식회사 로지텔 Front opening type kiosk having a security function
KR20180138307A (en)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nanci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11145A (en) * 2017-07-24 2019-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file to be transmitted to internal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829A (en) 2006-05-19 2007-11-22 주식회사 로지텔 Front opening type kiosk having a security function
KR20180138307A (en)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nanci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11145A (en) * 2017-07-24 2019-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file to be transmitted to internal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소프트캠프, "소프트캠프, 외부 유입 파일 검증 시스템 게이트엑스캐너 출시"(2018.1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323A (en)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에이디엠아이 Vr kiosk
KR102547284B1 (en) * 2021-10-26 2023-06-26 주식회사 에이디엠아이 Vr kiosk
KR102465817B1 (en) 2022-06-22 2022-11-10 (주)에어패스 wall-mounted kio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49659B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493185Y1 (en) Security kiosk controlling the carrying in and out the information data
JP63143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a document and printing a mark on the document
CN101286113B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JP2009512968A (en) Hard drive eraser
KR100809765B1 (en) Electronic data management device, control program, and data management method
CN109272071A (en) Paper document intelligent management
JP2006251849A (en) Access control device
US8195618B2 (en) Disclosure booth
CN107729795A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anner with face recognition
WO2020189113A1 (en) Room key collection box and checkout system in which same is used
KR100903294B1 (en) Safty Deposit Device Of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JP4764751B2 (en) Biological information regis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3925787B2 (en) Electronic voting program and electronic voting device
JP2008129807A (en) Image data control system
JP4780415B2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JP2021139129A (en) Article management machine, currency processing machine and article management system
KR101314372B1 (en) Authentication system of using security sd card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JP3877154B2 (en) Voting data generation method, electronic vo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voting program
JP2002140742A (en) Check system and id card
JP2007128130A (en) Kiosk terminal equipment and its recording medium preparation control method
JP7315116B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facility management method, operation terminal, and facility management program
KR1022439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or Lock setting type Unmanned Locker
CN206421476U (en) It is vertical to pick machine
JP2003208648A (en) Token used for electronic voting machine, token storage medium, vote accepting machine, and electronic vo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