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053Y1 - 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053Y1
KR200493053Y1 KR2020190002261U KR20190002261U KR200493053Y1 KR 200493053 Y1 KR200493053 Y1 KR 200493053Y1 KR 2020190002261 U KR2020190002261 U KR 2020190002261U KR 20190002261 U KR20190002261 U KR 20190002261U KR 200493053 Y1 KR200493053 Y1 KR 200493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liding member
bracket body
conductive groov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0941U (en
Inventor
벤자민 정
Original Assignee
미젠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젠둥관 filed Critical 미젠둥관
Publication of KR20200000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4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5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장착에 관한 것이고, 배터리 장착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는 베이스,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베이스에 마련되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도전홈 및 베이스에 연결된 브라켓 본체와 브라켓 본체에 슬라이드 연결되는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브라켓을 포함하고, 미끄럼 부재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제2 개구를 거쳐 도전홈 내에 연장 진입하여 도전홈 내의 배터리를 밀어낸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는 사용자가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분해 조립하는데 편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ttery mounting, and provides a battery mounting holder. The battery mounting holder includes a base, a first opening for inserting a battery, and a second opening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nd a conductive groove provided on the bas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and a bracket body connected to the base and a bracket body slide It includes an insulating bracket including a sliding member to be connected, and the sliding member extends into the conductive groove through the second opening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to push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The battery mount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user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battery faster and more effectively.

Description

배터리 장착 홀더{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Battery mounting holder {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

본 고안은 배터리 장착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배터리 장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battery moun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unting holder.

배터리 장착 분야에 있어서, 배터리 장착 홀더는 배터리를 고정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배터리 장착 홀더는 통상적으로 배터리가 비교적 잘 고정 장착 되도록 확보할 뿐,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경우, 기존 배터리 장착 홀더의 구조는 배터리를 분리하기가 어렵다.In the field of battery mounting, the battery mounting holder is used to fix the battery. However, conventional battery mounting holders usually only ensure that the battery is mounted relatively well, and when the battery needs to be replaced,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battery mounting holder makes it difficult to separate the battery.

단추 배터리 장착 홀더를 예로 들어, 단추 배터리 장착 홀더는 주로 양극, 음극 단자부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양극, 음극 단자부는 PCB 기판에 용접되어, 단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전지조를 형성한다. 장착한 단추 배터리의 양극, 음극탭이 양극, 음극 단자부에 잘 접촉되고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해, 기존 기술에서 단추 배터리의 장착 홀더는 양극, 음극 단자부를 비교적 크게 제조하고, 양극, 음극 단자부를 통해 단추 배터리을 클램핑하여 그 단단한 접촉과 고정을 실현하는바 이는 사용자가 단추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경우, 양극, 음극 단자부의 클램핑 작용력이 비교적 커서 단추 배터리의 분해 조립이 많이 불편하거나 심지어 필요시에는 공구를 사용하여 단추 배터리를 분해 조립해야 할 경우도 있어, 배터리 장착 홀더의 파손을 초래하기 쉽고 사용자가 계속 사용할 수 없게 된다.Taking the button battery mounting holder as an example, the button battery mounting holder mainly includes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and in general,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are welded to a PCB substrate to form a battery cell in which a button battery can be mount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tabs of the installed button battery are in good contact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nd do not easily come off, the mounting holder of the button battery in the existing technology is made of relatively larg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nd throug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The button battery is clamped to realize its tight contact and fixa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needs to replace the button battery, the clamping forc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is relatively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button battery or even use a tool when necessary. Therefore, there are cases where the button battery needs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it is easy to cause damage to the battery mounting holder and the user cannot continue to use it.

기존 기술의 부족점에 직면하여,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사용자가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분해 조립할 수 있는 배터리 장착 홀더를 제작하고자 한다.Faced with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technolog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ould like to create a battery mounting holder that allows users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battery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사용자가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분해 조립할 수 있는 배터리 장착 홀더를 제작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에 있어서 베이스,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베이스에 마련되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도전홈 및 베이스에 연결된 브라켓 본체와 브라켓 본체에 슬라이드 연결되는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브라켓을 포함하고, 미끄럼 부재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제2 개구를 거쳐 도전홈 내에 연장 진입하여 도전홈 내의 배터리를 밀어낸다.In order to manufacture a battery mounting holder that allows a user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battery faster and more effectively, in the battery mounting hold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a first opening for inserting a battery, and a second opening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re provided. And an insulating bracket including a conductive groove provided in the bas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 bracket body connected to the base, and a sliding member slid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and the sliding member conducts through the second opening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It extends into the groove and pushes out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추가적으로, 브라켓 본체는 도전홈에 연결되고, 미끄럼 부재는 도전홈에 대해 제1 위치를 포함하며, 제1 위치 부위에서, 브라켓 본체, 미끄럼 부재가 브라켓 본체 내에 위치하는 단부 및 도전홈은 공통으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통합 공간을 형성하고, 미끄럼 부재는 도전홈에 대해 제2 위치를 더 포함하며, 제2 위치 부위에서, 미끄럼 부재의 단부가 통합 공간에 위치하고, 미끄럼 부재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body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groove, the sliding member includes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groove, and at the first position portion, the bracket body, the end where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the bracket body, and the conductive groove are common to the battery To form an integrated space for receiving, the slid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groove, at the second position portion, the end of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and the sliding member is a first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It can slide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추가적으로, 제2 위치 부위에서, 미끄럼 부재가 통합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와 도전홈의 길이의 비율의 범위는 1: 4 내지 4: 5이다.Additionally, in the second position portion, the range of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to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is 1: 4 to 4: 5.

추가적으로, 브라켓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를 포함하고, 미끄럼 부재는 슬라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대응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통과하여 브라켓 본체의 내부에 진입하는 슬라이드암 및 슬라이드암에 연결되고 브라켓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푸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racket body includes at least one slide rail, and the slid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lide rail, and is connected to the slide arm and the slide arm entering the inside of the bracket body through the corresponding slide rail, and located outside the bracket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sh unit.

추가적으로, 미끄럼 부재는 각각 판상을 이루는 푸시부의 양단에 수직 연결되는 두개의 슬라이드암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sliding member includes two slide arms vert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ush portion forming a plate shape, respectively.

추가적으로, 브라켓 본체가 제2 개구에 접근하는 일면은 제2 개구의 형상에 서로 매칭되도록 구성된다.Additionally, on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approaching the second opening is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추가적으로, 제2 개구의 형상은 호형 또는 평면형이다.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is arc-shaped or planar.

추가적으로, 슬라이드암이 브라켓 본체 내부에 위치한 단부에는 미끄럼 부재가 브라켓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어 있다.Additionally, a stopper part is formed at an end of the slide arm located inside the bracket body to prevent the slid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추가적으로, 도전홈은 베이스에 평행 설치되는 금속 도전편 및 금속 도전편과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암을 포함하고, 베이스는 PCB 기판이며, PCB 기판에 도전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groove includes a metal conductive piece installed parallel to the base and a support arm connected between the metal conductive piece and the base, and the base is a PCB substrate, and a conductive contact piece is formed on the PCB substrate.

상술한 방안을 통해, 사용자가 배터리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미끄럼 부재를 밀기만 하면 배터리를 빠르게 분리할 수 있어, 기존 기술에서 배터리를 장착 홀더에서 분리하기 쉽지 않은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100)는 조작이 간단하고 빠르며, 제작이 편이하여 광범위한 보급과 사용에 유리하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when the user wants to remove the battery, the battery can be quickly removed by simply pushing the sliding member,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battery from the mounting holder in the exist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is simple and quick to operate, and easy to manufacture, it is advantageous for wide spreading and use.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기존 기술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기존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모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소자 또는 부분은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기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각 소자 또는 부분은 반드시 실제 비율에 따라 보여준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배터리 장착 홀더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절연 브라켓의 구조 개략도이고, 미끄럼 부재는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도 4는 도 1에서 나타낸 절연 브라켓의 구조 개략도이고, 미끄럼 부재는 제2 위치에 위치한다.
도 5는 도 3에서 나타낸 브라켓 본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나타낸 미끄럼 부재의 구조 개략도이다.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technical solution of the existing technology, 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the accompanying drawings requir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embodiment or the existing technology. In all the accompanying drawings, similar elements o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each element or part is not necessarily shown to scal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battery mounting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tery mounting holder shown in FIG. 1 along the AA direction.
FIG.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insulating bracket shown in FIG. 1, and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a first position.
Figure 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insulating bracket shown in Figure 1,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body shown in FIG. 3.
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sliding member shown in FIG. 3.

이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고안의 기술방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examples for more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100)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장착 홀더(100)는 베이스(1),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21)및 제1 개구(21)에 대향하는 제2 개구(22)를 포함하고 베이스(1)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도전홈(2) 및 베이스(1)에 연결된 브라켓 본체(31)와 브라켓 본체(31)에 슬라이드 연결되는 미끄럼 부재(32)를 포함하는 절연 브라켓(3)을 포함하고, 미끄럼 부재(32)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제2 개구(22)를 거쳐 도전홈(2) 내에 연장 진입하여 그 안의 배터리를 밀어낼 수 있다.1 and 2 show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includes a base 1, a first opening 21 for inserting a battery, and a second opening 22 opposite the first opening 21, and Insulation brackets including a conductive groove 2 installed on the base 1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 bracket body 31 connected to the base 1, and a sliding member 32 slid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31 3), and the sliding member 32 extends and enters into the conductive groove 2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to push the battery therein.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100)는 사용 시, 배터리 장착이 필요할 경우, 도전홈(2)의 제1 개구(21)를 따라 배터리를 완전히 도전홈(2) 내에 밀어넣고, 배터리에 대한 도전홈(2)의 클램핑 작용력에 의해 배터리의 효과적인 고정 및 도전홈(2)과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배터리를 분리해야 할 경우, 미끄럼 부재(32)를 밀어, 미끄럼 부재(32)가 제2 개구(22)를 거쳐 도전홈(2) 내에 연장 진입하면 도전홈(2) 내의 배터리를 밀어낼 수 있어 배터리에 대한 빠른 분리를 실현하였다.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pushes the battery into the conductive groove 2 along the first opening 21 of the conductive groove 2, and conducts the battery when it is required to install the battery. By the clamping force of the groove 2, the battery can be effectively fixed and good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ductive groove 2 can be realized. When the battery needs to be removed, the sliding member 32 is pushed, and when the sliding member 32 extends into the conductive groove 2 through the second opening 22,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2 can be pushed out. Realized quick disconnection of the battery.

상술한 설치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100)는 미끄럼 부재(32)가 브라켓 본체(31)에 대한 슬라이드를 통해 필요 시 도전홈(2) 내의 배터리를 빠르고 편이하게 밀어낼 수 있어, 기존 기술에서 배터리를 장착 홀더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장착 홀더(100)는 조작이 간단하고 빠르며, 제작이 편이하여 광범위한 보급과 사용에 유리하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push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2 when necessary through the sliding member 32 slides against the bracket body 31 , In the existing technology, the problem of removing the battery from the mounting holder has been effectively solved, and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and quick to operate, and is easy to manufacture, which is advantageous for widespread distribution and use.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 본체(31)는 도전홈(2)에 연결될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부재(32)는 브라켓 본체(31)에 대해 제1 위치(33)를 포함하고, 제1 위치(33) 부위에서, 브라켓 본체(31), 미끄럼 부재(32)가 브라켓 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한 단부(34) 및 도전홈(2)은 공통으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통합 공간(4)을 형성한다. 미끄럼 부재(32)는 도전홈(2)에 대해 제2 위치(35)를 더 포함하고, 제2 위치(35) 부위에서, 미끄럼 부재(32)의 단부(34)는 통합 공간(4)에 위치하며, 미끄럼 부재(32)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제1 위치(33)와 제2 위치(35)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bracket body 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groove 2,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liding member 32 is attached to the bracket body 31. Including the first position 33, and in the portion of the first position 33, the bracket body 31, the sliding member 32 are located inside the bracket body 31, the end 34 and the conductive groove (2) ) In common form an integrated space 4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The sliding member 32 further includes a second position 35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groove 2, and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position 35, the end 34 of the sliding member 32 is in the integrated space 4 It is located, and the sliding member 32 can slide between the first position 33 and the second position 35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미끄럼 부재(32)가 제1 위치(33)에 위치할 경우, 브라켓 본체(31), 미끄럼 부재(32)의 단부(34) 및 도전홈(2)이 이루는 통합 공간(4)는 마침 장착해야 하는 배터리를 수용할 있고, 다시 말해서 배터리의 체적과 통합 공간(4)의 체적이 동일하며, 이때 브라켓 본체(31)는 배터리에 대해 위치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미끄럼 부재(32)가 제2 위치(35)에 위치할 경우, 미끄럼 부재(32)의 단부(34)는 통합 공간(4)에 위치하고, 이때 미끄럼 부재(32)의 단부(34)가 통합 공간(4)의 부분 체적을 차지하기에, 도전홈(2) 내에 장착한 배터리를 밀어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제1 위치(33)는 미끄럼 부재(32)가 브라켓 본체(31)에 대한 최대 돌출 위치로 이해하여야 하고, 제2 위치(35)는 미끄럼 부재(32)브라켓 본체(31)에 대한 최대 진입 위치로 이해하여야 하며, 미끄럼 부재(32)가 외력의 작용하에서 제1 위치(33)에서 제2 위치(35)로 슬라이드할 때 점차 도전홈(2) 내의 배터리를 밀어낼 수 있다.When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33, the integrated space 4 formed by the bracket body 31, the end 34 of the sliding member 32, and the conductive groove 2 must be installed. The battery can be accommodated, that is, the volume of the battery and the volume of the integrated space 4 are the same, wherein the bracket body 31 is used to limit the position relative to the battery. When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35, the end 34 of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4, where the end 34 of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Since it occupies a partial volume of (4), the battery mounted in the conductive groove (2) can be pushed o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position 33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aximum protruding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32 relative to the bracket body 31, and the second position 35 is the sliding member 32 and the bracket body 31. ), and when the sliding member 32 slides from the first position 33 to the second position 35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2 can be gradually pushed out. have.

바람직하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35) 부위에서, 미끄럼 부재(32)가 통합 공간(4)에 위치한 부분의 길이와 도전홈(2)의 길이의 비율의 범위는 1: 4 내지 4: 5일 수 있다.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도전홈(2)의 길이는 도전홈(2)이 미끄럼 부재(32)의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길이로 이해하여야 하고, 예를 들어 도전홈(2)이 단추 배터리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경우, 도전홈(2)의 단면은 원형을 이룰 수 있고, 다시 말해서 도전홈(2)은 원기둥 구조를 이루며, 이때 도전홈(2)의 길이는 단추 배터리의 직경이고, 도전홈(2)이 스트립 배터리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경우, 도전홈(2)의 단면은 사각형을 이룰 수 있고, 다시 말해서 도전홈(2)은 사각형 구조를 이루며 이때 도전홈(2)의 길이는 스트립 배터리의 직경이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4, in the second position 35, the range of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4 to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1: It may be 4 to 4: 5.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should be understood as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in the slide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32. For example, the conductive groove 2 is used to mount the button battery. When used,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ctive groove 2 can be circular, in other words, the conductive groove 2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herei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the diameter of the button battery, and the conductive groove 2 When used to mount this strip battery, the cross section of the conductive groove 2 may have a square shape, in other words, the conductive groove 2 has a rectangular structure, and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the diameter of the strip battery.

바람직하게, 미끄럼 부재(32)가 통합 공간(4)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와 도전홈(2)의 길이의 비는 1: 4이고, 이러한 설정을 통해 도전홈(2) 내에 장착한 배터리가 도전홈(2)에 대한 밀림 부분은 마침 사용자가 조작하여 인출하기 편이하며, 더 바람직하게, 미끄럼 부재(32)가 통합 공간(4)에 위치한 부분의 길이와 도전홈(2)의 길이의 비는4: 5일 수 있고, 이러한 설정을 통해, 미끄럼 부재(32)는 배터리를 도전홈(2)에 대해 완전히 밀어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타 조작 필요 없이 배터리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서 미끄럼 부재(32)가 통합 공간(4)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와 도전홈(2)의 길이의 비는 상술한 구체적인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는 부동한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구체적으로 수치 또는 수치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4 and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1: 4, and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conductive groove 2 through this setting is The pushed portion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easily manipulated and withdrawn by the user. More preferably,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4 and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May be 4:5, and through this setting, the sliding member 32 can completely push the battery against the conductive groove 2, and the user can realize the separation of the battery without the need for other manipulations.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32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4 and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value or numerical range, and the designer has a different battery The numerical value or numerical range may be specifically limited according to the type of.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브라켓 본체(31)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311)을 포함할 수 있고, 미끄럼 부재(32)는 슬라이드 레일(311)에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드암(322) 및 슬라이드암(322)에 연결된 푸시부(32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암(322)은 대응되는 슬라이드 레일(311)을 통과하여 브라켓 본체(31)의 내부에 진입하고, 푸시부(321)는 브라켓 본체(31)의 외부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레일(311)과 미끄럼 부재(32)의 슬라이드 결합은 미끄럼 부재(32)가 브라켓 본체(31)에 대해 슬라이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외력은 직접 푸시부(321)에 작용할 수 있어, 슬라이드암(322)과 도전홈(2) 내의 배터리가 서로 당접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암(322)이 슬라이드 과정에서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밀어내는 목적을 실현한다.5 and 6, preferably, the bracket body 31 may include at least one slide rail 311, and the sliding member 32 is a slide arm for coupling to the slide rail 31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ush unit 321 connected to 322 and the slide arm 322. Here, the slide arm 322 pa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slide rail 311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bracket body 31, and the push part 321 is located outside the bracket body 31. The sliding coupling of the slide rail 311 and the sliding member 32 allows the sliding member 32 to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31. The external force can directly act on the push unit 321, so that the slide arm 322 and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2 contact each other, thereby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slide arm 322 stably pushing the battery during the slide process. do.

바람직하게,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311)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암(322)을 수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부재(32)는 두개의 슬라이드암(322)을 포함할 수 있고, 푸시부(321)는 판형상을 이루며, 두개의 슬라이드암(322)은 각각 푸시부(321)의 양단에 수직 연결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슬라이드암(322)은 슬라이드 레일(311) 내에서 슬라이드하면서 배터리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대칭되게 설치되는 두개의 슬라이드암(322)은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배터리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Preferably, one slide rail 311 may accommodate at least one slide arm 322. As shown in Fig. 6, the sliding member 32 may include two slide arms 322, the push portion 321 has a plate shape, and the two slide arms 322 are each push portion 321 It is connected vertically to both ends of ). Through this installation, the slide arm 322 slides within the slide rail 311 while pushing the battery, while the two slide arms 322 installed symmetrically allow the battery to stably move, thereby making the battery faster. Can be stably separate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 브라켓 본체(31)가 제2 개구(22)에 접근하는 일면은 제2 개구(22)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개구(22)의 형상은 호형 또는 평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 본체(31)는 도전홈(2)의 단부에 마련된 단벽(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한편으로 배터리 장착 홀더(100)가 배터리 장착에 사용될 경우, 브라켓 본체(31)가 제2 개구(22)에 접근하는 일면은 제2 개구(22)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구성되어, 배터리의 측벽과 브라켓 본체(31)가 제2 개구(22)에 접근하는 일면이 더욱 밀착하도록 하여, 배터리가의 고정이 더욱 단단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도전홈(2)은 통상적인 상황에서 도전 접촉편으로 구성되는데, 도전 접촉편의 구조는 비교적 얇아, 도전홈(2)의 단부에 설치된 단벽(313)은 도전홈(2)를 보호하는데 사용되어, 도전홈(2)의 사용 시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바 이는 배터리 장착 후 도전홈(2)와의 접촉이 더욱 우수하고, 고정이 더욱 단단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장착 홀더(100)의 사용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As shown in FIG. 1, more preferably, on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31 approaching the second opening 22 may be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22.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22 is arc-shaped or planar. The bracket body 31 may include an end wall 313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ductive groove 2. Through this installation, on the one hand, when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is used for battery mounting, on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31 approaching the second opening 22 is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22 , By making the side wall of the battery and the side of the bracket body 31 approaching the second opening 22 more closely contacted, the fixing of the battery can be made more rigid, and 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groove 2 is usually In this situation, it is composed of a conductive contact piece, and the structure of the conductive contact piece is relatively thin, and the end wall 313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ductive groove 2 is used to protect the conductive groove 2, and the conductive groove 2 is used. Since the strength of the battery can be enhanced, th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groove 2 is more excellent after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e use of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is more excellent by making the fixing more rigid.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슬라이드암(322)이 브라켓 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미끄럼 부재(32)가 브라켓 본체(31)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32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미끄럼 부재(32)가 브라켓 본체(31)에 대해 슬라이드 할 때 브라켓 본체(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 브라켓(3) 구조의 사용을 확보하였다.As shown in FIG. 6, preferably, a stopper part 323 for restricting the sliding member 3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31 is at an end where the slide arm 322 is located inside the bracket body 31. ) Is provided. Through this installation, when the sliding member 32 slides against the bracket body 31,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31, thereby ensuring the use of the insulating bracket 3 structure.

더욱 바람직하게, 미끄럼 부재(32)가 배터리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스토퍼부(323)를 통해 배터리가 받는 추진력이 더욱 균일하여 배터리를 밀어내는 과정이 더욱 안정적이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부(323)의 표면은 그 표면에 접촉하는 배터리 표면의 형상에 서로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토퍼부(323)의 표면은 단추 배터리의 호형면에 서로 매칭되는 호형면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battery by the sliding member 32, the driving force received by the battery through the stopper part 323 is more uniform, so that the process of pushing the battery is more stable, the stopper part 323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s match each other with the shape of the battery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323 may be an arc-shaped surface that matches each other with the arc-shaped surface of the button battery.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홈(2)은 베이스(1)에 평행 설치되는 금속 도전편(23) 및 금속 도전편(23)과 베이스(1)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암(2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1)는 PCB 기판이며, PCB 기판에 도전 접촉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홈(2)의 금속 도전편(23)의 탑부에 도전홈(2)의 내부로 연장되는 탄성 접촉편(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탄성 접촉편(25)은 장착 후의 배터리와 양극 음극의 도전 접촉편이 더욱 잘 접촉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도전홈(2) 내에서의 고정이 더욱 단단하도록 할 수 있고, 동시에 베이스(1)는 PCB 기판이며, 즉 PCB 기판은 배터리 장착 홀더(100)에 결합될 수 있는바, 이는 배터리 장착 홀더(100)의 구조가 더욱 컴팩트하고 합리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conductive groove 2 is a metal conductive piece 23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base 1, and between the metal conductive piece 23 and the base 1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arm 24 connected to, the base 1 is a PCB substrate, a conductive contact piece (not shown) is formed on the PCB substrate. An elastic contact piece 25 extending into the conductive groove 2 is formed in the top portion of the metal conductive piece 23 of the conductive groove 2. Through this installation, the elastic contact piece 25 not only makes the battery after installation and the conductive contact piec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contact better, but also makes the battery more rigidly fixed in the conductive groove 2,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1 is a PCB board, that is, the PCB board can be coupled to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which makes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unting holder 100 more compact and rational.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1)와 PCB 기판은 독립적인 두개의 부품일 수 있고, PCB 기판은 베이스(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전홈(2), 브라켓 본체(31)는 PCB 기판에 고정되며, PCB 기판이 베이스를 향하는 일단에 전원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고, 베이스에 해당 전원 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을 마련할 수 있고, 관통홀 부위에 방수 밀폐 부품이 커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 밀폐 부품의 설치는 누르는 동시에 전원 스위치에 대해 밀폐 장용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원 스위치를 눌러 광원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방수 밀폐 부품의 설치는 베이스(1)의 밀폐 효과를 더욱 강화하여 베이스(1)가 더욱 우수한 방수 방진 기능을 가지게 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ase (1) and the PCB board may be two independent components, the PCB board is preferably fixed to the base (1), the conductive groove (2), the bracket body (31) It is fixed to the PCB board, and the power switch can be installed at one end where the PCB board faces the base, a through hole for accommodating the power switch can be provided in the base, and a waterproof sealing component cover can be installed at the through hole. hav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proof sealing component can be used to seal the power switch at the same time as it is pressed, so that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light source by pressing the power switch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proof sealing component further enhances the sealing effect of the base 1 so that the base 1 has a more excellent waterproof and dustproof function.

바람직하게, 브라켓 본체(31)에 광원 부품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광원 부품은 도전홈(2) 내의 배터리를 통해 PCB 기판 및 전원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베이스(1)의 외부에서 전원 스위치를 눌러 광원 부품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ight source component may be fixed to the bracket body 31, and the light source compon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board and the power switch through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2. The light source component can be turned on or off by pressing the power switch outside of the base 1.

마지막으로 이상 각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기술방안에 대해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전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분 또는 전체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한 대체를 진행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대응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고안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본 고안의 특허청구 범위 및 설명서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한다. 특히, 구조적인 모순이 없는 한 각 실시예에서 제기된 각 기술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서 공개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방안을 포함한다.Finally,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s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olu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regard, the technical solutions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or equivalent substitutions may be made for some or all technical features thereof, and such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ar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corresponding technical solutions. It should not deviate from the scope 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unless there is a structural contradiction, each technical feature rai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in any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ncludes all technical solution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0)

베이스,
배터리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도전홈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에 슬라이드 연결되는 미끄럼 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제2 개구를 거쳐 상기 도전홈 내에 연장 진입하여 도전홈 내의 배터리를 밀어내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내부에 진입하는 슬라이드 암;
상기 슬라이드 암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푸시부; 및
상기 브라켓 본체 내부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 암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부재가 상기 브라켓 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암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Base,
A first opening for inserting a battery and a second opening opposite to the first opening, a conductive groove provided in the bas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nd
An insulating bracket including a bracket body connected to the base and a sliding member slidely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The sliding member extends into the conductive groove through the second opening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to push the battery in the conductive groove,
The sliding member,
A slide arm entering the bracket body;
A push unit connected to the slide arm and positioned outside the bracket body; And
And a stopper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slide arm located inside the bracket body and extending outwardly of the slide arm to prevent the slid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도전홈에 연결되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대해 제1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부위에서, 상기 브라켓 본체, 상기 미끄럼 부재가 상기 브라켓 본체 내에 위치하는 단부 및 상기 도전홈은 공통으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통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상기 도전홈에 대해 제2 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위치 부위에서, 상기 미끄럼 부재의 단부가 상기 통합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미끄럼 부재는 외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body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groove, and the sliding member includes a fir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and at the first position, the bracket body, an end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the bracket body, and The conductive grooves commonly form an integrated spac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nd the slid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groove, and at the second position, an end of the sliding member is the integrated space And the sliding member is capable of slid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부위에서, 상기 미끄럼 부재가 상기 통합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와 상기 도전홈의 길이의 비율의 범위는 1: 4 내지 4: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 position, the range of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member is located in the integrated space and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groove is 1: 4 to 4: 5,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mounting hol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레일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암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of claim 3,
The bracket body includes at least one slide rail, and the slide arm is coupled to the slide rail and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slide rai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부재는 각각 판상을 이루는 상기 푸시부의 양단에 수직 연결되는 두개의 슬라이드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of claim 4,
The sliding member comprises two slide arms vert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ush unit forming a plate shape, respectively.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기 제2 개구에 접근하는 일면은 상기 제2 개구의 형상에 서로 매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 battery mount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that approaches the second opening is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형상은 호형 또는 평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of claim 6,
Battery mount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second opening is arc-shaped or flat.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홈은 상기 베이스에 평행 설치되는 금속 도전편 및 상기 금속 도전편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PCB 기판이며, 상기 PCB 기판에 도전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ductive groove includes a metal conductive piece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base and a support arm connected between the metal conductive piece and the base, the base is a PCB substrate, and a conductive contact piece is formed on the PCB substrate. Battery mounting hol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홈의 금속 도전편의 탑부에는 상기 도전홈의 내부로 연장되는 탄성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착 홀더.
The method of claim 9,
A battery mounting holder, wherein an elastic contact piece extending into the conductive groove is formed at a top portion of the metal conductive piece of the conductive groove.
KR2020190002261U 2018-11-01 2019-06-03 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 KR200493053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793465.7U CN209217039U (en) 2018-11-01 2018-11-01 Battery mounting base
CN2018217934657 2018-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41U KR20200000941U (en) 2020-05-12
KR200493053Y1 true KR200493053Y1 (en) 2021-01-25

Family

ID=6745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61U KR200493053Y1 (en) 2018-11-01 2019-06-03 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3053Y1 (en)
CN (1) CN209217039U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484Y1 (en) * 1996-08-05 1999-08-16 전주범 Automatic detaching battery case
KR101417806B1 (en) * 2007-10-26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Battery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s and electronic appliance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41U (en) 2020-05-12
CN209217039U (en)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601B1 (en) Battery pack having switching structure
TW201324964A (en) Power bank
KR20150086802A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8367930B2 (en) Groun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KR200493053Y1 (en) Battery loading/unloading structure
JP3067588B2 (en) Breaker switch
US7458845B2 (en) Terminal assembly for selectively coupling loads in parallel and in series
US20070128910A1 (en) Clamping device for digital camera module
DE50300081D1 (en) Electrical version of a fuse
US20220037743A1 (en) Battery packs containing configurable terminal holder
CN113571827A (en) Battery pack structure
CN210405390U (en) Terminal shell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RU2007115073A (en) MULTIFUNCTIONAL PLUG SOCKET AND MULTI-FUNCTION PLUG FORG FOR INSTALLING AN OPTICAL FIBER
CN216597337U (en) Clamp type microswitch
JPS6334220Y2 (en)
CN217183546U (en)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preventing short circuit
CN216902569U (en) Switch leading-out device
CN215266996U (en) Pin type lamp holder
KR101033821B1 (en) Cigar lighter for vehicle
CA2423040C (en) Socket for a charging device
TW201409856A (en)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9944257U (en) Non-isolated power supply mounting structure of fluorescent lamp
JP2000252022A (en) Switch outlet
CN114243391B (en) Power supply device and conductive spring piece thereof
CN214226800U (en) Rocker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