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51Y1 - File holder - Google Patents
File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851Y1 KR200492851Y1 KR2020200004521U KR20200004521U KR200492851Y1 KR 200492851 Y1 KR200492851 Y1 KR 200492851Y1 KR 2020200004521 U KR2020200004521 U KR 2020200004521U KR 20200004521 U KR20200004521 U KR 20200004521U KR 200492851 Y1 KR200492851 Y1 KR 2004928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cover
- rear cover
- fixing
- b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2—Attachment by means of bifurcat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파일철은, 전면표지와 배면표지를 포함하여 문서를 철할 수 있는 파일철로서, 상기 전면표지와 배면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문서가 안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문서가 자체에 형성된 펀칭홀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밴딩부, 상기 밴딩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문서를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밴딩부를 각각 가압하여 상기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포함한다.The file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e folder that can bind documents includ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and is coupl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xing part on which the document is seated, Each fixed to the fixing unit, including a banding unit for guiding the document to be raised and lowered based on the punching hole formed therein, and a lif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along the bending unit, wherein the docu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cover. It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e contact por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ntact portion, each pressurizing the bending portion to conduct the conduc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파일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파일철에 적용된 철밴드와 같이 모서리와 가장자리가 예리한 구성을 배제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문서가 찢어지거나 손가락이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파일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and more particularly, by excluding a structure with sharp edges and edges like a steel band applied to a conventional pile, and applying a composition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document is torn or a finger is cut. It relates to a pil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back.
일반적으로 파일철이라 함은 보통 서류 또는 중요문서 등의 종이 문서 등을 사용이 편리하도록 일목요연하게 철 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건설현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은 물론, 사무실의 서류관리 및 학생들의 자료관리 등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file folder is used to clearly file paper documents such as ordinary documents or important documents for convenience. Document management in offices and data management of students as well as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Etc. It is used for many purposes.
그리고, 복사용지 등에 프린터 출력한 후 출력된 문서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그 문서를 파일철에 보관하게 된다.Then, after printing on copy paper or the like, holes are made in one side of the printed docum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document is stored in a file folder.
이러한 종래의 파일철은 전면표지와 배면표지를 접어서 형성되는 것이고, 배면표지의 상단 일측에는 금속재질의 책철을 구비한 것이다.The conventional pile iron is formed by folding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nd has a metal material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cover.
책철은 통상적으로 디귿자 형상으로 금속편을 절곡시키되 중앙 편은 다소 넓게 형성하고, 세로편은 단부를 예리하게 형성한 것이다.In the bookcheol, a metal piece is bent in a diguon-shape, but the center piece is formed somewhat wider, and the vertical piece is formed with a sharp edge.
책철에는 덥게편을 끼워 문서가 임의로 풀려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bookshelf was fitted with a hot piece to prevent the document from being randomly relea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철은 얇고 예리한 금속편을 절곡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손이 베이거나 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ook ir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bending a thin and sharp metal pie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hand cut.
또한 문서를 억누른 상태에서 세로편을 절곡시키는 것인데, 이때 세로편은 스스로 밀려나 문서에 대한 결속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piece is bent while the document is suppressed. At this time, the vertical piece is pushed by itself, so that the binding power to the document is weak.
따라서, 사용 과정에서 손가락이 베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문서를 완벽하게 구속할 수 있는 파일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file folder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in which a finger is cut in the process of use and completely restrain docume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종래의 파일철에 적용된 철밴드와 같이 모서리와 가장자리가 예리한 구성을 배제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밴딩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문서가 찢어지거나 손가락이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파일철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excluding the configuration with sharp edges and edges like the iron band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ile iron, and applying a banding configuration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document i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il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torn or cut fingers.
그리고,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에 문서를 견고하게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파일철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e folder that can firmly adhere and fix a document on the front or back co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일철은, 전면표지와 배면표지를 포함하여 문서를 철할 수 있는 파일철로서, 상기 전면표지와 배면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문서가 안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문서가 자체에 형성된 펀칭홀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밴딩부, 상기 밴딩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문서를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를 각각 가압하여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전도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경사진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다.The file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le folder that can file documents including a front cover and a back cover, and is coupl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A fixing part on which a document is seated, a bending part that is fixed to the fixing part, and guides the document to be moved up and down based on a punching hole formed therein, and an eleva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along the bending part.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or the back cover, and a conductive portion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ntact portion and conducts by pressing each of the bending portions, and a stopp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ans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An inclined locking part is formed in the conduction part to restrict sliding by being caught by the stopper.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의 외면에 밀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의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날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를 관통하며, 끝단에는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관통림, 상기 관통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밴딩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 상기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의 내면 측에서 상기 걸림편들에 걸리는 형태로 상기 관통림에 장착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s a fix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bla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or rear cov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or rear cover along the edg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xture. It is a through rim made of elastic material that penetrates the front or rear cover, and has a locking piece extending obliquely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front or rear cover at an end thereof, and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through rims and the bending part is fixed. It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a fixing ring mounted and fixed to the through rim in the form of engaging the locking pieces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ront cover or the rear cover.
또한, 상기 밴딩부는 코일형상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도부가 이탈될 시 자동으로 기립된다.In addition,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in a coil shape or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automatically stands up when the conduction portion is separated.
그리고,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rail port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and sliders sliding along the rail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uctive portion.
또한, 상기 밀착부의 저면에는 문서의 상면에 밀착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유동억제부가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low inhibiting portion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cument.
본 고안에 따른 파일철에 의하면, 종래의 파일철에 적용된 철밴드와 같이 모서리와 가장자리가 예리한 구성을 배제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문서가 찢어지거나 손가락이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cluding the structure with sharp edges and edges like the iron band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ile, and applying a structure having a certain thickness, safety accidents such as tearing of documents or cutting finge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그리고, 문서를 밴딩하는 밴딩부가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하고, 밴딩부를 가압하여 문서 상으로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문서를 추가로 철 하고자 할 경우, 전도부를 밴딩부에서 이탈시키면, 밴딩부가 자동으로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파일철과 같이 새로운 문서를 추가로 철 할 때 마다 철밴드를 직접 기립시켜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bending part that bends the document to have elasticity, and providing a conduction part that conducts the document by pressing the banding part, if you want to add a new document, when the conduction part is separated from the bending part, the bending part is automatically You can make it stand up. For this reas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n inconvenience and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stand up the iron band directly whenever a new document is added, as in the conventional file fold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일철을 구성하는 고정부, 밴딩부, 밀착부를 별도의 도구나 기계장치 없이도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그 결합방식이 매우 쉬워 누구나 쉽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the bending part, and the contact part constitut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combined to the front cover or the back cover without a separate tool or mechanical device, and the combination method is very easy so that anyone can use it easily. It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밀착부 및 전도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밀착부 및 전도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밀착부 및 전도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유동억제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유동억제부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s viewed from the rear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and a conductive portion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and a conductive portion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and a conductive portion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pile ir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low inhibiting unit is applied to a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flow inhibiting unit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파일철(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밀착부 및 전도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밀착부 및 전도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밀착부 및 전도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pile iron viewed from the rear, FIG. 5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portion and a conductive part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duction portion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duction portion applied to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8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sig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1)은, 종래의 파일철에 적용된 철밴드와 같이 모서리와 가장자리가 예리한 구성을 배제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밴드를 적용함으로써, 문서(2)가 찢어지거나 손가락이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1)은, 전면표지(10), 중간표지를 매개로 전면표지(10)와 연결되는 배면표지(20), 그리고, 전면표지(10)와 배면표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문서(2)를 철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고정부(30), 밴딩부(40), 밀착부(50), 전도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전면표지(10)와 중간표지 및 배면표지(20)와 중간표지의 연결지점에는 마디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면표지(10)와 배면표지(20)를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이때, 전면표지(10)와 배면표지(20)는 중간표지를 기준으로 서로 포개지는 형태로 접힌다.At this time, the
전면표지(10) 및 배면표지(20)에는 후술되는 고정부(30)의 관통림(32)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hrough
고정부(30)는 전면표지(10)와 배면표지(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또는, 전면표지(10)와 배면표지(20)에 모두 결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고정부(30)가 배면표지(20)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fixing portion 30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고정부(30)는 배면표지(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2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fixing part 30 may be applied to the
구체적으로, 고정부(30)는 고정구(31), 관통림(32), 고정돌기(33), 고정링(34)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part 30 may include a
고정구(31)는 배면표지(20)의 외면 즉, 도 1을 기준으로 배면표지(20)의 저면에 밀착되며, 배면표지(20)의 관통홀과 대향된다.The
그리고, 고정구(3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배면표지(20)의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날개(31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nd, along the edge of the
밀착날개(311)는 고정구(31)의 가장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밀착날개(311)로 인해 고정구(31)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배면표지(20)의 내면 즉, 도 1을 기준으로 배면표지(20)의 상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se
관통림(32)은 복수개가 고정구(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A plurality of through
관통림(32)은 밀착날개(311)들의 사이 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림(32)은 고정구(31)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배면표지(20)의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The through
이때, 관통림(32)은 관통홀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배면표지(20)의 내면 측으로 돌출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관통림(32)의 각 끝단에는 배면표지(20)의 내면 측에 위치되는 걸림편(321)이 형성된다.And, at each end of the through
이때, 걸림편(321)은 배면표지(20)의 내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걸림편(321)은 배면표지(20)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되어, 후술되는 고정링(34)을 고정할 수 있다.The
걸림편(321)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할 고정링(34)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unction of the
고정돌기(33)는 고정구(31)의 중앙에 배치되어 관통림(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다.The fixing
고정돌기(33)는 관통림(32)들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돌기(33)와 관통림(32)들의 사이에는 후술되는 밴딩부(4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60a)이 형성된다.The fixing
고정링(34)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걸림편(321) 및 관통림(32)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된다.The fixing
고정링(34)이 걸림편(321)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고정링(34)의 내주연이 걸림편(321)들의 경사면을 가압하게 됨으로, 걸림편(321)들 및 관통림(32)들이 일률적으로 오므려지고, 고정링(34)이 걸림편(321)들을 완전히 통과하여 가압력이 소멸되면 걸림편(321)들 및 관통림(32)들이 탄성력을 통해 벌어져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fixing
이로 인해, 고정링(34)은 걸림편(321)들에 걸리는 형태로 관통림(32)에 장착 고정된다. Due to this, the fixing
즉, 고정링(34)은 걸림편(321)들과 배면표지(20)의 내면 사이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 고정구(31), 관통림(32)을 배면표지(20)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이때, 관통림(32)이 경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면 고정링(34)을 통과시킬 경우, 걸림편(321)이 저항하여 고정링(34)이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바, 관통림(32)은 고정링(34)의 가압력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와 같은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hrough
한편, 밴딩부(40)는 문서(2)를 배면표지(20)에 철을 할 경우, 문서(2)가 자체에 형성된 펀칭홀(2a)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밴딩부(40)는 고정돌기(33)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돌기(33)와 마주하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고정돌기(33)가 삽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The bending
밴딩부(40)는 고정돌기(33)에 고정될 경우, 배면표지(20) 상에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bending
따라서, 펀칭기로 문서(2)를 펀칭하여 펀칭홀(2a)을 형성한 다음, 밴딩부(40)의 상측에 문서(2)의 펀칭홀(2a)을 위치시킨 후, 문서(2)를 배면표지(20) 측으로 하강시키면 된다.Therefore, after punching the
하나의 예시에서, 밴딩부(40)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bending
그리고, 이러한 밴딩부(40)는 금속, 합성수지,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이러한 밴딩부(40)의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effect of the bending
한편, 밀착부(50)는 문서(2)들을 배면표지(20)에 밀착시키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밀착부(50)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밀착부(50)의 양단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베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라운딩 처리된다.Both ends of the
밀착부(50)에는 밴딩부(40)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50a)이 형성된다.The adhering
승강수단(50a)은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밴딩부(4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The lifting means 50a may be formed as a hole, and may b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bending
따라서, 밴딩부(40)의 상측에 밀착부(50)의 승강수단(50a)을 위치시킨 후, 밀착부(50)를 배면표지(20)에 위치한 문서(2) 측으로 하강시키면, 밀착부(50)가 문서(2)를 배면표지(20)에 밀착시키게 된다.Therefore, after placing the lifting means (50a) of the
부가적으로, 밀착부(50)의 양측에는 후술되는 전도부(6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부(51)가 형성되고, 밀착부(50)의 상면에는 전도부(60)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한편, 전도부(60)는 배면표지(20)에 문서(2)를 모두 올려 놓은 후 기립된 상태의 밴딩부(40)를 전도시켜 전면표지(10)를 배면표지(20) 측으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전도부(60)는 그 양측에 레일부(51)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61)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51)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61)를 덮기 때문에, 전도부(60)가 밀착부(5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
전도부(60)는 대략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밴딩부(4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0a)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전도부(60)의 상면 일정영역에는 복수개의 요철부(6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따라서, 밀착부(50)를 최상층에 위치한 문서(2)의 상면에 안착시킨 다음, 요철부(63)를 밀어 전도부(60)를 밴딩부(40)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전도부(60)는 밴딩부(40)의 측면을 가압하여 전도시킨다. 결국, 밴딩부(40)는 밀착부(50)의 상면에 안착되되, 하측 일부분이 수용공간(60a)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수용공간(6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형태로 밀착부(50)의 상면에 밀착된다.Therefore, when the
부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부(60)에는 스토퍼(52)에 걸려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걸림부(62)가 형성된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5, the
스토퍼(52)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62)는 스토퍼(52)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이때, 걸림부(62)는 끝단에 연결되는 상단에서부터 밀착부(50)의 상면에 접촉되는 하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스토퍼(52)가 승강수단(50a)의 일측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 전도부(60)는 밴딩부(40)를 완전히 전도시킨 이후에 스토퍼(52)에 걸리는 걸림부(62)에 의해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아니한다.Since the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1)의 사용 예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using the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10,20)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관통림(32)을 관통시킨 후, 관통림(32)에 고정링(34)을 장착하여 표지(10,20)와 걸림편(321)의 사이에 고정링(34)을 고정시킨 다음, 고정돌기(33)에 밴딩부(40)를 고정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6,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이때, 고정돌기(33)에 밴딩부(40)를 먼저 고정시킨 다음 관통림(32)에 고정링(34)을 장하는 순서로 결합해도 된다.At this time, the bending
밴딩부(40)의 상측에 문서(2)의 펀칭홀(2a)을 위치시킨 후, 배면표지(20) 측으로 하강시킨다.After placing the
이때, 밴딩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문서(2)를 철하는 과정, 파일철(1)에 철이 되어있는 문서(2)를 검토하는 과정 등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문서(2)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bending
계속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부(40)의 상측에 밀착부(50)의 승강수단(50a)을 위치시킨 다음, 밀착부(50)를 하강시켜 최상층에 위치한 문서(2)의 상면에 밀착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lifting means 50a of the
이후에, 전도부(60)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63) 또는 걸림부(62)를 밀어 전도부(60)를 밴딩부(40)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Thereafter, the
이때, 요철부(63)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됨으로, 요철부(63)의 사이 공간에 손톱을 넣어 전도부(60)를 슬라이딩 시켜도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나아가, 전도부(60)는 요철부(63) 형성된 영역보다 요철부(63)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이와 같은 경우, 요철부(63) 미형성 영역이 손가락을 지지해주는 지지턱 기능을 하여 전도부(60)를 밴딩부(40)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때, 손가락이 전도부(6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물론, 걸림부(62)를 밀어 전도부(60) 밴딩부(40)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도 손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 lock from sliding even if the locking
전도부(60)는 슬라이딩작동에 의해 밴딩부(40)를 가압하여 전도시킨다.The
즉, 밴딩부(40)는 전도부(60)에 가압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휘어져 밀착부(50)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다.That is, the bending
이때, 밴딩부(40) 중 전도부(60)의 수용공간(60a)에 수용되는 부분과 전도부(60)의 내면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가 됨으로, 전도부(60)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전도부(60)가 밴딩부(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 of the bending
부가적으로, 새로운 문서(2)를 추가로 철하고자 할 경우, 전도부(60)를 밀착부(50)의 중앙측으로 슬라이딩시켜 밴딩부(40)에서 이탈시키면, 밴딩부(40)가 자동으로 기립됨으로, 종래 파일철과 같이 새로운 문서(2)를 추가로 철 할 때 마다 철밴드를 직접 기립시켜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additional filing of a new document (2), when the conduction unit (60) is sli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ct unit (50) and separated from the bending unit (40), the bending unit (40) automatically stands. As a result, there is no inconvenient and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directly stand up the iron band whenever a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1)은 고정부(30), 밴딩부(40), 밀착부(50)를 별도의 도구나 기계장치 없이도 전면표지(10) 또는 배면표지(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그 결합방식이 매우 쉬운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1)은 고정부(30), 밴딩부(40), 전도부(60)가 결합된 밀착부(50) 및 표지를 결합 전 상태로 판매하고, 구매자가 표지에 고정부(30), 밴딩부(40), 밀착부(50)를 결합하여 사용한다면 파일철(1)을 제조하기 위한 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종래 파일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1)에 적용된 유동억제부(53)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유동억제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철에 적용된 유동억제부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a flow inhibiting unit to a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flow inhibiting unit applied to a pile i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동억제부(53)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밀착부(50)의 저면의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억제부(53)는 밀착부(50)의 저면에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억제부(5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9, the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50)를 최상층에 위치된 문서(2)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유동억제부(53)가 문서(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휘어져 밀착부(50)의 저면과 최상층에 위치된 문서(2)의 사이에 가압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그리고, 유동억제부(53)는 눕혀진 상태에서 최상층에 위치된 문서(2)의 상측을 가압하여 문서(2)들이 흐트러지지 아니하고, 가지런하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1 : 파일철 2 : 문서
2a : 펀칭홀 10 : 전면표지
20 : 배면표지 30 : 고정부
31 : 고정구 311 : 밀착날개
32 : 관통림 321 : 걸림편
33 : 고정돌기 34 : 고정링
40 : 밴딩부 50 : 밀착부
50a : 승강수단 51 : 레일부
52 : 스토퍼 53 : 유동억제부
60 : 전도부 60a : 수용공간
61 : 슬라이더 62 : 걸림부
63 : 요철부1: file folder 2: document
2a: punching hole 10: front cover
20: back cover 30: fixed part
31: fixture 311: adhesion wing
32: through rim 321: locking piece
33: fixing protrusion 34: fixing ring
40: bending part 50: close contact
50a: lifting means 51: rail part
52: stopper 53: flow control unit
60:
61: slider 62: locking portion
63: irregularities
Claims (4)
상기 전면표지와 배면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문서가 안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문서가 자체에 형성된 펀칭홀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밴딩부,
상기 밴딩부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문서를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에 밀착시키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딩부를 각각 가압하여 전도시키는 전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전도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경사진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파일철.
As a file folder that can file documents including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A fix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which the document is seated,
A banding unit that is fixed to the fixing unit and guides the document so that it can be elevated based on the punching hole formed therein,
A close contact portion comprising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along the bending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document to the front cover or the rear cover,
It includes a conduction unit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contact unit and conducts by pressing each of the bending units,
A stopp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means is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A pile iron having an inclined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conduction portion to limit sliding by being caught by the stopper.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의 외면에 밀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의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날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를 관통하며, 끝단에는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걸림편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관통림,
상기 관통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밴딩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
상기 전면표지 또는 배면표지의 내면 측에서 상기 걸림편들에 걸리는 형태로 상기 관통림에 장착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파일철.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art,
A fix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bla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or rear cov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or rear cover along the edg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through rim of an elastic material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xture, penetrating the front or rear cover, and having a locking piece extending obliquely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front or rear cover,
A fixing protrusion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through rims and fixing the bending portion,
A pile iron including a fixing ring mounted and fixed to the through rim in a form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iec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or the rear cover.
상기 밴딩부는 코일형상 또는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도부가 이탈될 시 자동으로 기립되는 파일철.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in a coil shape or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automatically stands up when the conduction portion is separated.
상기 밀착부의 양측에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도부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된 파일철.The method of claim 1,
Rail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Pile irons with sliders sliding along the rai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duction par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4521U KR200492851Y1 (en) | 2020-12-09 | 2020-12-09 | File holder |
CN202120709796.3U CN214775013U (en) | 2020-11-16 | 2021-04-08 | File f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4521U KR200492851Y1 (en) | 2020-12-09 | 2020-12-09 | File hold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4134U Division KR200492850Y1 (en) | 2020-11-16 | 2020-11-16 | File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851Y1 true KR200492851Y1 (en) | 2020-12-21 |
Family
ID=7408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4521U KR200492851Y1 (en) | 2020-11-16 | 2020-12-09 | File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851Y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073Y1 (en) * | 2001-09-19 | 2002-01-10 | 주식회사 후렌드 코리아 | a file for sort out papers |
KR200300469Y1 (en) | 2002-09-18 | 2003-01-14 | 김일군 | File for Documents |
KR200379760Y1 (en) * | 2004-12-28 | 2005-03-23 | 최대섭 | Files |
KR20100000606U (en) * | 2008-07-10 | 2010-01-22 | 김대욱 | Binder clip |
KR20100003426U (en) * | 2008-09-19 | 2010-03-29 | 이명섭 | Holder for keeping documents and Holder File having the same |
KR20130002191U (en) * | 2011-09-29 | 2013-04-08 | 김수희 | A file for depositing document |
-
2020
- 2020-12-09 KR KR2020200004521U patent/KR200492851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073Y1 (en) * | 2001-09-19 | 2002-01-10 | 주식회사 후렌드 코리아 | a file for sort out papers |
KR200300469Y1 (en) | 2002-09-18 | 2003-01-14 | 김일군 | File for Documents |
KR200379760Y1 (en) * | 2004-12-28 | 2005-03-23 | 최대섭 | Files |
KR20100000606U (en) * | 2008-07-10 | 2010-01-22 | 김대욱 | Binder clip |
KR20100003426U (en) * | 2008-09-19 | 2010-03-29 | 이명섭 | Holder for keeping documents and Holder File having the same |
KR20130002191U (en) * | 2011-09-29 | 2013-04-08 | 김수희 | A file for depositing docu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97410B1 (en) | Integrated tabbed note with binder clip | |
KR200492851Y1 (en) | File holder | |
KR200492850Y1 (en) | File holder | |
US3876077A (en) | File sorting device | |
CN214775013U (en) | File folder | |
US7316421B2 (en) | File paper retainer and method | |
JP3205064U (en) | Ring file sheet and ring file punch | |
CN103625149A (en) | Stapleless stapler | |
GB2380450A (en) | Ring binder clamp with perforator | |
KR200475848Y1 (en) | Post-it type note label | |
KR101211785B1 (en) | Binder for bookbinding | |
US20110108610A1 (en) | Stand-type file folder | |
JP5873149B1 (en) | Sheet having binding portion and method for binding the sheet | |
KR200484309Y1 (en) | Notebook | |
CN201752882U (en) | Book binding board capable of aligning | |
CN202986428U (en) | Combinable binding strip | |
JP2003320776A (en) | Backbone binding clip holder | |
US1869972A (en) | Filing device | |
CN220332318U (en) | Prevent file storage intermediate layer and file storage volume of perk limit | |
CN101927476A (en) | Alignment stapling board | |
JP3148897B2 (en) | Ring binder holder | |
US2108526A (en) | Memorandum holder | |
CN109304960B (en) | Account book | |
JP3133645U (en) | Sticky note clip | |
US254847A (en) | Paper-f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