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69Y1 -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 Google Patents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69Y1
KR200492569Y1 KR2020180003789U KR20180003789U KR200492569Y1 KR 200492569 Y1 KR200492569 Y1 KR 200492569Y1 KR 2020180003789 U KR2020180003789 U KR 2020180003789U KR 20180003789 U KR20180003789 U KR 20180003789U KR 200492569 Y1 KR200492569 Y1 KR 200492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ishing
hook
necklin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32U (ko
Inventor
김갑순
Original Assignee
김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순 filed Critical 김갑순
Priority to KR2020180003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6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4L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바닥에서 서식하는 광어와 같은 어종을 낚시 할때 사용하는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에 연결되어 있는 원줄의 일측 끝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원줄 끝단부에 연결되는 목줄(100)과 상기 목줄(100) 일단부에 체결되는 바늘부(200)와 상기 목줄(100)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부(200)는 목줄(100) 일단부에 연결되는 수직연결부(211)와 상기 수직연결부(211) 하측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212)와 상기 절곡부(212)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바늘(213)로 형성된 와이드훅바늘(210)과,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에 삽입 연결되기 위한 고리(223)가 슬리브(222)의 결속에 의해 보조목줄(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목줄(221) 하측으로는 3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훅킹바늘(224)이 슬리브(2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훅킹부재(220)로 포함되며,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걸림턱(214)을 구비하여 상기 훅킹부재(220)의 고리(223)가 절곡부(212)에 삽입된 후 제차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통으로 된 미끼의 측면만 먹고 낚시 바늘은 물지 않아 발생하는 훅킹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훅킹부재를 구비하여 물고기가 통으로 된 미끼의 측면부터 먹더라도 훅킹이 용이해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Fishing tackle for down shot and single line fishing preparations}
본 고안은 주로 바닥에서 서식하며 포식성이 강한 광어와 같은 어종을 낚시 할 때 사용하는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고등어나 전갱이를 통으로 미끼를 쓸 경우 낚시 바늘이 미끼의 머리부분에 결속되어 낚시 대상어가 미끼의 측면만 먹고 낚시 바늘은 물지 않아 발생하는 훅킹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훅킹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낚시 대상어가 미끼의 측면부터 물더라도 훅킹이 용이해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는 그 대상 어종에 따라 릴에 감겨 있는 원줄에 대상어에 맞는 각종 채비를 연결하여 낚시를 행하게 되는데, 그 대상어에 따라 미끼나 바늘의 구조와 성격 등이 각기 다른 각 채비를 원줄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낚시 채비 중 바닥에 서식하는 대상어종으로 한 다운샷 낚시 채비가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다운샷 낚시 채비의 결속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선의 일단을 낚시바늘의 연결구에 형성되는 구멍에 통과시킨 후, 통과된 본선의 일단을 다시 낚시바늘의 연결구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본선의 일단은 봉돌을 달만큼 미리 당겨 놓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음으로, 본선의 일단과 타단을 위쪽으로 겹쳐 모아 원을 만든 후, 한 번 매듭을 짓고 아래로 끌어내린다. 다음으로, 형성된 고리를 바늘의 뒤편부터 통과시킨 후, 본선의 일단과 타단을 함께 잡고 끌어당겨 조인 다음, 본선의 일단을 연결구에 형성되는 구멍의 위로부터 한번 통과시키고, 일단과 타단을 함께 쥐고 끌어당겨 낚시바늘이 본선에 대해 수직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본선의 일단에 다운샷 전용 봉돌을 부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결속되는 종래의 다운샷 낚시 채비는 본선에 낚시바늘을 직접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선 상에서 낚시바늘의 높이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바늘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상어종을 포획하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낚시바늘이 본선에 대해 직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하방향으로 치우침으로써, 다음 사용시 낚시바늘이 본선과 엉키는 채비의 엉킴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대상어종의 유인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낚시는 대상어에 맞춰 고유의 채비를 구성하고 조황(釣況) 등에 따라 다양한 테크닉으로 채비를 운용하면서 우수한 조과를 기대하는데 여러 낚시채비중 광어낚시에는 원줄에 웜훅(Worm Hook)을 연결하고 하단에 싱커(Sinker)를 결합한 광어 다운샷 채비가 주로 사용되는 데, 광어 다운샷 채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줄에 웜훅의 고리를 묶어 연결한 채비로 구성된다. 즉, 종래 광어 다운샷 채비는 웜훅의 바늘끝이 상향을 향하도록 하고 바늘본체가 원줄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다양한 매듭 방법으로 묶어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광어 다운샷 채비는 챔질과 훅킹에 유리하도록 웜훅이 원줄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고리를 묶어서 원줄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웜훅을 원줄에 묶어 연결한 종래 광어 다운샷채비는 웜훅이 원줄에 묶여 연결됨으로써 웜훅의 수평유지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웜훅의 유동성도 제한되어 우수한 조과를 기대
하기 어려웠다.
특히 종래 광어 다운샷채비는 원줄을 웜훅의 고리에 묶어 구성함으로써 원줄의 웜훅 연결부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와 함께 견고하고 안정감있는 채비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이에 간편한 구성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채비를 구성하여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광어 다운샷 채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다운샷 채비의 낚시 바늘은 와이드훅과 스트레이트훅을 주로 사용하는데, 스트레이트훅은 혹킹 시 안정적으로 광어 랜딩이 가능하지만 밑걸림이 심해 바닥을 공략하는 다운샷 채비에 한계가 있는게 사실이며, 와이드훅은 밑걸림이 적어 다운샷 채비에 적합하지만 훅킹이 약해 우수한 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광어와 같은 어종을 낚시할 경우 바늘에 통으로 된 미끼의 머리부분을 끼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어종이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 부분부터 먹는 습성으로 인해 챔질 및 훅킹이 더욱더 우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밑걸림이 적은 와아드훅 바늘을 사용하는 데 있어 별도의 훅킹부재를 구비하여 광어와 같은 어종이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 옆부분을 물더라도 훅킹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드훅바늘에 별도의 훅킹부재를 끼우는 방식의 간편한 작업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쉽게 본 고안을 완성한 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낚시대에 연결되어 있는 원줄의 일측 끝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원줄 끝단부에 연결되는 목줄(100)과 상기 목줄(100) 일단부에 체결되는 바늘부(200)와 상기 목줄(100)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부(200)는 목줄(100) 일단부에 연결되는 수직연결부(211)와 상기 수직연결부(211) 하측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212)와 상기 절곡부(212)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바늘(213)로 형성된 와이드훅바늘(210)과,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에 삽입 연결되기 위한 고리(223)가 슬리브(222)의 결속에 의해 보조목줄(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목줄(221) 하측으로는 3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훅킹바늘(224)이 슬리브(2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훅킹부재(220)로 포함되며,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걸림턱(214)을 구비하여 상기 훅킹부재(220)의 고리(223)가 절곡부(212)에 삽입된 후 제차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밑걸림이 적은 와아드훅 바늘을 사용하는데 있어 별도의 훅킹부재를 구비하여 광어와 같은 어종이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 옆부분을 물더라도 챔질 및 훅킹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으며,
또한, 기존 채비에 비하여 제작과정이 간편해 대량생산에 및 사용자의 사용이 용이하고 내구성과 기능안정성이 뛰어난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다운샷 채비를 사용해서 낚시를 할 경우의 실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의 전체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있어서 와이드훅바늘에서 훅킹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있어서 와이드훅바늘에 훅킹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통으로 된 미끼가 끼워진 상태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통으로 된 미끼가 끼워진 상태에서 어종이 통으로 된 미끼를 먹으면서 훅킹이 이뤄지는 사용상태 사시도 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에 있어서 와이드훅바늘의 절곡부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표현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운샷 채비에 있어서, 상기 다운샷 채비에 적용되는 바늘부(200)에 별도의 훅킹부재(220)를 연결하여 챔질 및 훅킹의 효율을 극대화 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다운샷 채비는 첨부한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대에 연결되는 원줄의 일측 끝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주로 바닥에서 서식하는 어종을 낚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원줄 끝단부에 연결되는 목줄(100)과 상기 목줄(100) 일단부에 체결되는 바늘부(200)와 상기 목줄(100)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0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바늘부(200)의 바늘(213)에 통으로 된 미끼의 머리부분을 끼운 후 어종을 낚시하게 되는데 이때 통으로 된 미끼는 주로 살아있는 고등어 새끼를 사용하게 되며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으로 된 미끼가 살아서 헤엄치는 것처럼 바닥과 수평을 이룬 상태로 있으면서 어종을 유인하게 된다.
하지만 이럴 경우 광어와 같은 어종의 특성상 통으로 된 미끼를 한번에 먹지 않고 몸통부분부터 으깨면서 먹는 특성으로 인해 첨부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늘(213)이 삽입되어 있는 통으로 된 미끼의 머리부분은 먹지 않고 몸통 부분만 먹고 달아나는 현상이 발생해 조과의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게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고안의 핵심은 바늘부(200)에 별도의 훅킹부재(220)를 구비해 광어와 같은 어종이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을 먹더라고 훅킹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핵심으로, 첨부한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늘부(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늘(213)은 와이드훅바늘(210)로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은 목줄(100) 일단부에 연결되는 수직연결부(211)와 상기 수직연결부(211) 하측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212)와 상기 절곡부(212)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바늘(213)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드훅바늘(210)에 훅킹부재(220)를 연겨하게 되는데, 상기 훅킹부재(22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에 삽입 연결되기 위한 고리(223)가 슬리브(222)의 결속에 의해 보조목줄(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목줄(221) 하측으로는 3개로 이루어진 훅킹바늘(224)이 슬리브(2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훅킹부재(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훅킹부재(220)를 와이드훅바늘(210)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훅킹부재(220) 2개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 6을 참고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에 훅킹부재(220)의 고리(223)를 삽입 안착시켜서 본 고안을 완성 한 후 통으로 된 미끼의 머리부분을 와이드훅바늘(210)의 바늘(213)에 삽입시켜 고정하고 훅킹부재(220)의 훅킹바늘(224)을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부분에 삽입시켜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훅킹바늘(224)이 3개로 이루어져 있어 3개의 바늘 중 1개만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에 삽입시키고 나뭐지 2개는 몸통 외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해 결과적으로 광어와 같은 어종이 통으로 된 미끼의 몸통을 물더라도 본 고안인 훅킹바늘(224)에 의해 훅킹이 이뤄지게 되면서 우수한 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한 도 8은 본 고안의 또 따른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걸림턱(214)을 구비하여 상기 훅킹부재(220)의 고리(223)가 절곡부(212)에 삽입된 후 제차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이다.
100; 목줄 200; 바늘부
210; 와이드훅바늘 211; 수직연결부
212; 절곡부 213; 바늘
214; 걸림턱 220; 훅킹부재
221; 보조목줄 222; 슬리브
223; 고리 224; 훅킹바늘
300; 봉돌

Claims (2)

  1. 낚시대에 연결되어 있는 원줄의 일측 끝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원줄 끝단부에 연결되는 목줄(100)과 상기 목줄(100) 일단부에 체결되는 바늘부(200)와 상기 목줄(100)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봉돌(300)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부(200)는 목줄(100) 일단부에 연결되는 수직연결부(211)와 상기 수직연결부(211) 하측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212)와 상기 절곡부(212)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바늘(213)로 형성된 와이드훅바늘(210)과,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에 삽입 연결되기 위한 고리(223)가 슬리브(222)의 결속에 의해 보조목줄(22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목줄(221) 하측으로는 3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훅킹바늘(224)이 슬리브(2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훅킹부재(220)로 포함되며,
    상기 와이드훅바늘(210)의 절곡부(212)는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걸림턱(214)을 구비하여 상기 훅킹부재(220)의 고리(223)가 절곡부(212)에 삽입된 후 제차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2. 삭제
KR2020180003789U 2018-08-14 2018-08-14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KR200492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89U KR200492569Y1 (ko) 2018-08-14 2018-08-14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89U KR200492569Y1 (ko) 2018-08-14 2018-08-14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32U KR20200000432U (ko) 2020-02-24
KR200492569Y1 true KR200492569Y1 (ko) 2020-11-05

Family

ID=6963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89U KR200492569Y1 (ko) 2018-08-14 2018-08-14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6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6331B2 (ja) 2002-12-25 2007-11-14 株式会社ハヤブサ ルアーフィッシング用釣り針
JP2014007992A (ja) 2012-06-29 2014-01-20 Globeride Inc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JP6389863B2 (ja) 2016-12-14 2018-09-12 株式会社松尾商店 テンヤ用ワイヤー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テン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086B2 (ja) * 1994-01-14 1996-08-07 康彦 西村 友釣り用釣り針仕掛けと、それに用いる係止針
KR20150048385A (ko) * 2013-10-28 2015-05-07 정경희 다운샷 낚시 채비 및 이의 결속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6331B2 (ja) 2002-12-25 2007-11-14 株式会社ハヤブサ ルアーフィッシング用釣り針
JP2014007992A (ja) 2012-06-29 2014-01-20 Globeride Inc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JP6389863B2 (ja) 2016-12-14 2018-09-12 株式会社松尾商店 テンヤ用ワイヤー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テン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32U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793B1 (en) Fishing rig
US7861456B2 (en) Fishing rig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20090199456A1 (en) Fishing jig construction
KR200381884Y1 (ko) 호래기 낚시바늘
KR200324693Y1 (ko) 일자형 우럭 낚시채비
KR200492569Y1 (ko) 다운샷 및 외줄낚시 채비용 낚시 바늘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TWM636926U (zh) 鈎針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US8635804B1 (en) Ghost head fishing lure
US8296992B1 (en) Saltwater fly fishing surf/jetty stripping basket
US20110214334A1 (en) Artificial Bait Trailer Retainer
KR20220080969A (ko)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KR20170078151A (ko) 루어낚시용 연결클립
US8935876B2 (en) Fishing lures
KR200301965Y1 (ko) 바다 낚시용 채비
TWI824745B (zh) 鈎針
TWI827276B (zh) 龍蝦釣具
US8826586B1 (en) Fishing rig
US20170325435A1 (en) Rattling fishing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