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944Y1 - 휴대용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944Y1
KR200491944Y1 KR2020150006037U KR20150006037U KR200491944Y1 KR 200491944 Y1 KR200491944 Y1 KR 200491944Y1 KR 2020150006037 U KR2020150006037 U KR 2020150006037U KR 20150006037 U KR20150006037 U KR 20150006037U KR 200491944 Y1 KR200491944 Y1 KR 200491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coupled
coupl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19U (ko
Inventor
정수
Original Assignee
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 filed Critical 정수
Priority to KR2020150006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4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용기{PORTABLE BOTTLE}
본 고안은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일부가 고리와 같이 휘어지고, 두 개의 다른 용기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수분은 인체의 70%에 달하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인체의 수분량이 부족하게 되면 단순 갈증뿐 아니라, 탈수에 의한 피로, 무기력증은 물론이고 면역력 저하에 의해 수많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해진 피부에 의해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도 있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여 미용에도 많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반대로 올바른 수분섭취를 한다면, 체내의 노폐물을 잘 배출하여, 노화방지, 다이어트 및 피부 미용은 물론 면역력이 증가하여 많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건강한 신체를 가질 수 있다. 일일 권장 수분 섭취량은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2리터 내지 3리터의 물을 섭취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일일 권장 수분 섭취량의 물을 마시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텀블러 또는 음료 용기를 휴대하여 수시로 수분을 섭취하고 있다.
종래, 음료 용기는 흔히 상단에 뚜껑을 포함하는 기둥형태의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 용기는 사용은 용이하나 휴대하여 이동 시에는 뚜껑을 닫아 가방에 넣어두거나 손으로 들고 이동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큰 불편함은 없으나 양손에 짐이 많은 경우, 우산을 든 경우나 등산과 같은 운동시에는 종래의 음료 용기를 손에 휴대하고 다니기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또한, 들고 다니는 가방이 작은 경우 가방에 넣고 다닐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백팩의 경우에도 가방에 물병을 꽂을 주머니가 있는 가방이 아니라면 가방을 내려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일부가 고리와 같이 휘어진 형태로서, 용기의 휘어진 부분을 이용해 팔 또는 가방 끈 등에 걸 수 있고, 두 개의 다른 용기의 양 끝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영역; 상기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용기의 본체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 덮개; 및 상기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덮개는 상기 제 1 덮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단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용기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 세트는, 제 1 용기; 및 상기 제 1 용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 각각은,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 1 단부에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중 하나의 용기의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는 다른 용기의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용기는, 용기의 일부가 고리와 같이 휘어진 형태로서, 용기의 휘어진 부분을 이용해 팔 또는 가방 끈 등에 걸 수 있고, 두 개의 서로 다른 용기의 양 끝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링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 편의성이 보다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휴대용 용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100)는 본체부(110) 및 덮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양 단부 즉, 제 1 단부(111)와 제 2 단부(112)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가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U'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제 1 단부(111)부터 연장되는 제 1 영역(114), 제 2 단부(112)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115) 및 제 1 영역(114)과 제 2 영역(115)을 연결하는 제 3 영역(116)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 1 영역(114), 제 2 영역(115) 및 제 3 영역(116)이 유체 연통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 1 단부(111)에는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20)는 제 1 단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3)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제 1 단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료 등의 섭취를 원하는 경우, 덮개부(120)를 제 1 단부(111)로부터 분리하여 제 1 단부(111)에 형성된 토출구(113)를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음료 등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부(120)는 하나의 휴대용 용기(100)를 다른 휴대용 용기(100)와 결합시키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덮개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100)의 덮개부(120)는 제 1 결합부(121) 및 제 2 결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일 단부에는 본체부(110)의 제 1 단부(1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21)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다른 단부에는 다른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제 2 단부(112)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결합부(1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20)의 제 1 결합부(121) 및 제 2 결합부(123)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나사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에에 따라,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사용 태양에 따라,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제 1 단부(111)로부터 분리된 후, 동일 용기(100) 또는 다른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제 2 단부(112)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료 등의 섭취를 위해 장시간 덮개부(120)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분리된 덮개부(120)를 동일 용기(100) 또는 다른 용기(100)의 본체부(110)의 제 2 단부(112)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덮개부(120)를 분실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덮개부(220)는, 제 1 결합부(221)가 형성된 제 1 덮개(222)와 제 2 결합부(223)가 형성된 제 2 덮개(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덮개(224)는 제 1 덮개(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덮개(222) 상단부의 내면 및 제 2 덮개(224) 하단부의 외면에는 각각 제 1 체결 돌기(225) 및 제 2 체결 돌기(2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덮개(224)의 제 2 체결 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덮개(222)의 제 1 체결 돌기에 걸리도록 끼워 맞춤 결합됨으로써, 제 2 덮개(224)는 제 1 덮개(222)와의 결합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 덮개(224)가 제 1 덮개(222)와의 결합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다른 휴대용 용기(100)와의 탈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덮개부(220)의 결합 구조 및 방식은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부(221) 및 제 2 결합부(223)의 구성은 도 2a를 참조하여 상술된 제 1 결합부(121) 및 제 2 결합부(123)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휴대용 용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100-1, 2, 3, n)는 2 이상이 서로 결합된 용기 세트의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용기 세트를 구성하는 휴대용 용기(100-1, 2, 3, n) 각각은 전술한 도 1a 내지 도2b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휴대용 용기(100-1, 2, 3, n)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용기(예를 들어, 제 1 용기(100-1) 및 제 2 용기(100-2))가 결합된 용기 세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용기(100-1)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2 용기(100-2)의 제 2 단부(112)에 결합되고, 제 2 용기(100-2)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1 용기(100-1)의 제 2 단부(112)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제 1 용기(100-1) 및 제 2 용기(100-2)는 링(ring)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용기(100-1, 2)가 결합된 용기 세트의 경우, 링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파지가 보다 용이해지며, 이동 시에 가방 끈 등에 걸어두었을 때 큰 움직임에도 이탈하지 않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2개의 용기(100-1, 2)를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도 2b의 덮개부(220)를 사용할 경우, 제 1 덮개(222)와 별도로 제 2 덮개(224)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2개의 용기(100-1, 2)가 링 형태로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손쉽게 나사 결합된 제 1 용기(100-1) 및 제 2 용기(100-1)를 탈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용 용기(100-1, 2, 3, n)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 이상이 결합된 용기 세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 용기(100-1)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2 용기(100-2)의 제 2 단부(112)에 결합되고, 제 2 용기(100-2)의 제 2 결합부(120, 220)가 제 3 용기(100-3)의 제 2 단부(112)에 차례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3개 이상의 용기(100-1, 2, 3, n)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휴대용 용기(100-1, 2, 3, n)를 결합된 하나의 세트로 일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 또는 3개 이상의 휴대용 용기(100-1, 2, 3, n)를 결합하여 용기 세트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 태양에 따라 각각의 용기에 상이한 내용물을 담아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1, 2, 3, n : 휴대용 용기 110 : 본체부
111 : 제 1 단부 112 : 제 2 단부
113 : 토출구 114 : 제 1 영역
115 : 제 2 영역 116 : 제 3 영역
120, 220 : 덮개부 121, 221 : 제 1 결합부
222: 제 1 덮개 123, 223: 제 2 결합부
224: 제 2 덮개 225: 제 1 체결 돌기
226: 제 2 체결 돌기

Claims (8)

  1. 휴대용 용기(100-1)에 있어서,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111)에 토출구(113)가 형성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제 1 단부(111)에 결합되는 덮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220)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221);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용기(100-2)의 본체부(110)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223)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220)는, 상기 제 1 결합부(221)를 포함하는 제 1 덮개(222); 및 상기 제 2 결합부(223)를 포함하는 제 2 덮개(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덮개(224)는 상기 제 1 덮개(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제 1 단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영역(114);
    상기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112)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115); 및
    상기 제 1 영역(114)과 상기 제 2 영역(115)을 연결하는 제 3 영역(116)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14), 제 2 영역(115), 제 3 영역(116)은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221)는 상기 제 1 단부(111)와 나사 결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223)는 상기 다른 용기(100-2)의 일 단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7. 휴대용 용기 세트로서,
    제 1 용기(100-1); 및 상기 제 1 용기(100-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용기(10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기(100-1) 및 상기 제 2 용기(100-2) 각각은,
    내부가 빈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 중 제 1 단부(111)에 토출구(113)가 형성되는 본체부(110); 및
    상기 제 1 단부(111)에 결합하는 덮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220)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221); 및 상기 일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223)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220)는, 상기 제 1 결합부(221)를 포함하는 제 1 덮개(222); 및 상기 제 2 결합부(223)를 포함하는 제 2 덮개(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덮개(224)는 상기 제 1 덮개(2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100-1) 및 상기 제 2 용기(100-2) 중 하나의 용기(100-1, 100-2)의 양 측 단부 중 제 2 단부(112)는 다른 용기(100-1, 100-2)의 상기 덮개부(220)의 상기 제 2 결합부(223)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용기 세트.
KR2020150006037U 2015-09-09 2015-09-09 휴대용 용기 KR200491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37U KR200491944Y1 (ko) 2015-09-09 2015-09-09 휴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37U KR200491944Y1 (ko) 2015-09-09 2015-09-09 휴대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19U KR20170001019U (ko) 2017-03-17
KR200491944Y1 true KR200491944Y1 (ko) 2020-07-06

Family

ID=5849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37U KR200491944Y1 (ko) 2015-09-09 2015-09-09 휴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808A (ja) * 2002-05-30 2004-01-08 Yoshino Kogyosho Co Ltd 連結容器
KR200435321Y1 (ko) 2006-09-20 2007-01-16 박상탁 음료수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세트
CN203563837U (zh) 2013-05-17 2014-04-30 塔林·利斯克 流体携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19Y2 (ja) * 1987-01-26 1995-04-19 ア−ス製薬株式会社 混合する物質を収容する容器用キヤツプ
KR20080090563A (ko) * 2005-05-05 2008-10-08 미오존 리미티드 분배 장치
KR200450732Y1 (ko) * 2008-03-04 2010-10-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20120103031A (ko) * 2011-03-09 2012-09-19 김성은 휴대용 물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808A (ja) * 2002-05-30 2004-01-08 Yoshino Kogyosho Co Ltd 連結容器
KR200435321Y1 (ko) 2006-09-20 2007-01-16 박상탁 음료수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세트
CN203563837U (zh) 2013-05-17 2014-04-30 塔林·利斯克 流体携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19U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US20170055665A1 (en) Compartmentalized carryall
US20170258188A1 (en) Stretchable bottle container
CN106858960A (zh) 一种背包式购物袋
US20090308873A1 (en) Storage Container Having Two-Compartment Structure
KR200491944Y1 (ko) 휴대용 용기
CN205756286U (zh) 宠物包
CN105923252B (zh) 一种容器盖
AU2019100149A4 (en) Improved hand-held beverage container with built-in storage compartment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20100006908U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EP1550618A1 (en) Cap with incorporated straw
KR200269545Y1 (ko) 걸고리가 형성된 피트병 캡
KR200476132Y1 (ko) 티백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200220252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93417Y1 (ko) 컵 겸용 병뚜껑
CN208258926U (zh) 一种巧克力味奶糖
KR200228814Y1 (ko) 배수구가 구비된 물백
CN209064719U (zh) 一种改进扣合结构的鸡蛋包装盒
CN213921928U (zh) 折叠瓶
CN208581900U (zh) 一种可配置伞套的伞柄
KR20160150264A (ko) 다용도 구멍이 있는 페트병
KR20170139184A (ko) 방수 블루투스 스피커를 겸비한 휴대용 목욕용품 케이스
CN206278375U (zh) 饮料瓶
CN110934414A (zh) 一种吸管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