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09Y1 - 유인줄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유인줄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09Y1
KR200491709Y1 KR2020180002257U KR20180002257U KR200491709Y1 KR 200491709 Y1 KR200491709 Y1 KR 200491709Y1 KR 2020180002257 U KR2020180002257 U KR 2020180002257U KR 20180002257 U KR20180002257 U KR 20180002257U KR 200491709 Y1 KR200491709 Y1 KR 200491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oil
binding portion
penetrating member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966U (ko
Inventor
이은성
신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
Priority to KR2020180002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0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목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거나 수목가지의 수형을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한 유인줄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유인줄이 결속되는 결속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결속부에 의하여 결속된 유인줄을 토양중에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첨두부를 갖는 토양침투부재, 및 봉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토양침투부재의 상기 결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발 누름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반대측 끝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작업부재를 포함하여 유인줄을 수목가지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유인줄 설치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Inducement Rope}
본 고안은 수목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거나 수목가지의 수형을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한 유인줄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인줄의 일단을 토양에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닷 형상의 유인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목가지의 수형을 잡아주거나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고자 할 때에 먼저, 일정한 길이의 유인줄을 절단하여 준비한 후 유인줄의 일단을 가지에 묶고 다른 끝단을 가지를 유인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이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종래에는 유인줄의 끝단을 말뚝에 묶어 말뚝을 땅속에 박아 유인줄을 고정하였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74452호에 수목가지의 일단을 클립으로 고정하고, 장치의 다른 쪽 클립을 고정부재에 체결하여 가지를 유인하여 원하는 수형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지유인용 유인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말뚝을 박거나 고정부재에 클립를 체결하는 방식은 작업량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말뚝이나 고정부재를 박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아 작업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또한, 박힌 말뚝이나 고정부재가 원치않게 토양에서 쉽게 빠져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4452호 (2014.9.24.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유인줄을 토양에 쉽게 침투시킬 수 있는 토양침투부재와 토양침투부재를 토양으로 밀어넣기 위한 작업부재로 구성되어, 작업부재는 토양침투부재를 삽입하는 용도로만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토양침투부재만이 유인줄을 고정하여 토양 깊은 곳에 침투한 후에 역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도록 닷 형태로 구성되어 그 위치에 고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유인줄 설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과수의 가지에 결속되어 가지의 성장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한 유인줄의 타단을 땅속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유인줄 설치장치로서, 상단에 유인줄이 결속되는 결속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결속부에 의하여 결속된 유인줄을 토양중에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첨두부를 갖는 토양침투부재; 및 봉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토양침투부재의 상기 결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발 누름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반대측 끝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작업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양침투부재는 상기 첨두부의 반대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끝단은 수평적으로 더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양침투부재의 결속부는 유인줄을 묶을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이고, 상기 첨두부는 전체로 원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첨두부의 외주면에는 토양으로의 침투가 원활하도록 첨두부의 폭을 좁히기 위한 복수의 침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침투부재는 탄성을 갖는 단일한 금속재질의 선스프링의 중심을 원형으로 꼬아서 결속부를 형성하고 선스프링의 끝단을 절곡하여 걸림부를 형성한 후 결속부와 첨두부를 용접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부재의 수용공의 양측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결속부에 묶인 유인줄이 두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쪽은 가지를 유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쪽은 예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유인줄 설치장치에 의하면, 토양침투부재의 결속부에 유인줄을 결속한 후에, 작업부재의 수용공에 토양침투부재의 결속부를 삽입하고, 작업부재의 발 누름대를 작업자가 발로 밟아 하방으로 타격하여 작업부재를 토양중에 삽입한 후에 작업부재를 제거하면 유인줄이 결속된 토양침투부재는 걸림부가 형성된 형상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어 유인줄을 토양중에 심을 수 있게 되므로, 작업 과정이 매우 단순화되고, 종래의 말뚝을 박는 방식보다 더욱 안정되게 유인줄을 토양중에 고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양침투부재를 금속이 아닌 생분해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재료를 사용하면 수목가지의 유인이라는 목적을 달성한 후에 이를 파해치지 않고 땅속에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인줄 설치장치에 의하여 유인줄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인줄 설치장치에 유인줄이 결속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작업부재의 수용공에 토양침투부재의 결속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2의 토양침투부재의 확대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침투부재의 정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인줄 설치장치에 의하여 유인줄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인줄 설치장치에 유인줄이 결속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업부재의 수용공에 토양침투부재의 결속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토양침투부재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의 가지에 결속되어 가지의 성장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한 유인줄(10)의 끝단을 땅속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유인줄 설치장치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유인줄 설치장치는 유인줄(10)을 결속하여 토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토양침투부재(100)와 토양침투부재(100)를 땅속으로 밀어넣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양침투부재(100)는 상단에 유인줄(10)이 결속되는 결속부(12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결속부(120)에 의하여 결속된 유인줄(10)을 토양중에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첨두부(110)를 갖는다.
상기 작업부재(200)는 봉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토양침투부재(100)의 상기 결속부(1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발 누름대(2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반대측 끝단에 손잡이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은 작업부재(200)의 일단에만 형성되는 수용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작업부재(200)가 원통관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홈 형성 작업이 필요치 않고 작업부재의 끝단이 수용홈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토양침투부재(100)는 상기 첨두부(110)의 반대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연장형성된 2 이상의 걸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30)의 개수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구성이나 토질의 특성에 따라 토양에서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로 3개 이상으로도 개수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걸림부(130)의 끝단은 수평적으로 더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경사 형성된 제1 걸림부(132)에 이어져 제2 걸림부(134)를 형성함으로써, 제2 걸림부(134)의 바닥면이 토양과 밀착되도록 하여, 가지의 흔들림에 따른 유인줄에 인장력이 커지는 경우에 토양침투부재(100)가 토양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침투부재(100)의 결속부(120)는 유인줄(10)을 묶을 수 있는 중공(122)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결속된 유인줄(10)이 끊어지지 않는 이상 토양침투부재(100)와 분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첨두부(110)는 전체로 원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첨두부(110)의 외주면에는 토양으로의 침투가 원활하도록 첨두부(110)의 폭을 좁히기 위한 복수의 침투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침투부재(100)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토양침투부재(100)는 탄성을 갖는 단일한 금속재질의 선스프링의 중심을 원형으로 꼬아서 결속부(120)를 형성하고 선스프링의 끝단을 절곡하여 걸림부(130)를 형성한 후 결속부(120)와 첨두부(110) 사이를 용접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부재(200)의 수용공의 양측으로 절개홈(208)이 형성되어 결속부(120)에 묶인 유인줄이 두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쪽은 가지를 유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쪽은 가지에 결속된 유인줄(10)이 끊어지거나 노후될 때에 이를 대신하기 위하여 예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장치에 의하여 유인줄의 끝단을 토양에 고정하는 과정이 종전 방식에 비하여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더하여 가지에 결속하는 과정 또한 결속클립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면 전체 유인줄 설치과정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고, 유인줄의 결속 후에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작업도 가위나 칼날이 마련된 유인줄 커팅장치 등의 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을 이용한 유인줄 설치과정을 요약하면, 먼저 토양침투부재(100)의 결속부(120)에 유인줄을 묶고, 작업부재(200)의 절개홈을 따라 유인줄을 두 가닥으로 구분되어 벌어지도록 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부재(200)와 토양침투부재(100)를 결합한다. 다음에 두 가닥의 유인줄을 가지에 연결될 정도의 동일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작업부재(200)를 세워 발 누름대(210)를 발로 눌러 투양침투부재(100)가 유인줄(10)과 함께 일정 깊이 토양으로 침투되도록 한다. 다음에 작업부재(200)를 토양으로부터 들어올리면 토양침투부재(100)는 그대로 토양 중에 매립된 상태로 남고 작업부재(200)만이 토양에서 제거된다. 다음에 유인줄 한 가닥을 유인이나 수형 형성을 원하는 가지에 결속하여 마무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다른 가지에 반복적으로 적용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유인줄 12: 예비줄
100: 토양침투부재 110: 첨두부
112: 침투홈 114: 가압부
120: 결속부 122: 결속공
130: 걸림부 132: 제1 걸림부
134: 제2 걸림부
200: 작업부재 210: 발 누름대
220: 손잡이부 208: 절개홈

Claims (4)

  1. 과수의 가지에 결속되어 가지의 성장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한 유인줄의 타단을 땅속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유인줄 설치장치로서,
    상단에 유인줄이 결속되는 결속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결속부에 의하여 결속된 유인줄을 토양중에 용이하게 침투하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 첨두부를 갖는 토양침투부재; 및
    봉 형상으로 일단에 상기 토양침투부재의 상기 결속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발 누름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반대측 끝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작업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침투부재는 상기 첨두부의 반대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연장형성된 2 이상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의 끝단은 수평적으로 더 바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양침투부재의 결속부는 유인줄을 묶을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이고,
    상기 첨두부는 전체로 원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첨두부의 외주면에는 토양으로의 침투가 원활하도록 첨두부의 폭을 좁히기 위한 복수의 침투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양침투부재는 탄성을 갖는 단일한 금속재질의 선스프링의 중심을 원형으로 꼬아서 결속부를 형성하고 선스프링의 끝단을 절곡하여 걸림부를 형성한 후 결속부와 첨두부를 용접하여 제조되고,
    상기 작업부재의 수용공의 양측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결속부에 묶인 유인줄이 두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쪽은 가지를 유인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쪽은 예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유인줄 설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2257U 2018-05-25 2018-05-25 유인줄 설치장치 KR200491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57U KR200491709Y1 (ko) 2018-05-25 2018-05-25 유인줄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257U KR200491709Y1 (ko) 2018-05-25 2018-05-25 유인줄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66U KR20190002966U (ko) 2019-12-04
KR200491709Y1 true KR200491709Y1 (ko) 2020-05-22

Family

ID=6883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57U KR200491709Y1 (ko) 2018-05-25 2018-05-25 유인줄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0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736A (ja) * 2002-03-25 2003-10-02 Minoru Kitagawa ロープ係留フック
JP2016098530A (ja) 2014-11-19 2016-05-30 山田工業株式会社 アースアンカ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282Y1 (ko) * 1992-11-13 1995-05-24 김상훈 농업용 비닐하우스 지주 구멍 천공기
JPH09327241A (ja) * 1996-06-11 1997-12-22 Yasuyuki Mizumura 倒木防止器具
KR200474452Y1 (ko) 2012-11-29 2014-09-24 김학정 가지유인용 유인줄 구조
JP3196205U (ja) * 2014-12-12 2015-02-26 孝夫 松原 アンカー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736A (ja) * 2002-03-25 2003-10-02 Minoru Kitagawa ロープ係留フック
JP2016098530A (ja) 2014-11-19 2016-05-30 山田工業株式会社 アースアンカ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HTTPS://WWW.YOUTUBE.COM/WATCH?V=DQVZEVYGEC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66U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86690A (en) Lawn weeder
US6293521B1 (en) Systems for positioning and tensioning wires in trellis systems for vineyards
US3548899A (en) Tree felling device
US1268459A (en) Anchoring device.
US6213527B1 (en) Weed-tree remover
KR200491709Y1 (ko) 유인줄 설치장치
US20230101508A1 (en) Multi-functional, t-post puller tool for performing tasks related to outdoor fencing, tree planting, ranching, farming, house fixing, and the like
US3443830A (en) Weed puller and extractor
KR10105076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벨트
US5303748A (en) Fencing tool
US2358089A (en) Tent peg
US2858917A (en) Earth anchors, tent stakes, and the like
KR101036395B1 (ko) 수목용 가지 유인구
KR101832703B1 (ko) 유실수 가지 유인지지구
KR102351814B1 (ko) 가위와, 이를 이용한 유인끈의 유인 안내장치
CA2013773A1 (en) Earth anchoring device
KR101955014B1 (ko) 과수가지 유인클립
US2107989A (en) Garden line stake
US1748878A (en) Land anchor
KR200328826Y1 (ko) 다용도 낚싯줄 절단기
KR102214174B1 (ko) 강연선 재-인장용 앵커헤드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강연선의 재-인장방법
US20100170366A1 (en) Survey hub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H0514751Y2 (ko)
CN204305643U (zh) 一种简易烟杆拔杆器
JP2017012013A (ja)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その支持施工方法に使用する根鉢用固定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