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09Y1 -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 Google Patents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09Y1
KR200491609Y1 KR2020180005433U KR20180005433U KR200491609Y1 KR 200491609 Y1 KR200491609 Y1 KR 200491609Y1 KR 2020180005433 U KR2020180005433 U KR 2020180005433U KR 20180005433 U KR20180005433 U KR 20180005433U KR 200491609 Y1 KR200491609 Y1 KR 200491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hood
portions
warming
ear w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기수
Original Assignee
더인터맥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인터맥스(주) filed Critical 더인터맥스(주)
Priority to KR2020180005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0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귀를 덮는 부위에 추가적인 보온 부분이 형성되어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에 관한 것이다.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는 착용 시 귀가 접촉되는 측면 부위(12a, 12b)에 귀 보온 부위(13a, 13b)가 형성되고, 상기 귀 보온 부위(13a, 13b)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부위(12a, 12b)에 비하여 보온성이 큰 소재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and specifically, to an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to form an additional warming portion on a portion covering the ear to improve heat retention. In the hood having the ear warming portion,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are formed on the side portions 12a, 12b where the ears come into contact when wor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is a side portion 12a,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heat retention than 12b).

Description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본 고안은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귀를 덮는 부위에 추가적인 보온 부분이 형성되어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and specifically, to an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to form an additional warming portion on a portion covering the ear to improve heat retention.

머리 전체를 덮는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후드는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코트 또는 재킷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후드는 자외선 차단, 방한, 이물질의 접촉 방지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지만 주로 방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한용 후드의 경우 후드가 착용되어도 바람 또는 한기가 얼굴의 측면을 통하여 후드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추위에 민감한 귀 부위에 대한 보온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10926호는 귀마개를 가지는 방한용 머플러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385579호는 일반적인 버프와 동일하게 전면 마스크, 머플러, 마스크, 귀마개, 헤어밴드, 두건의 용도로 각각 사용가능하면서 착용 시 전면 마스크 및 귀마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버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귀마개는 후드에 결합되어 귀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보온이 가능한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후드에 추가적인 귀 보온 부위가 형성되면 후드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지만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후드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A hood made of soft material covering the entire head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a coat or jacket. The hood may have a variety of uses, such as sun protection, cold protection, foreign material contact prevention, or the like, but can be mainly used for cold protection. In the case of a cold weather hood, wind or cold air may flow into the hood through the side of the face even when the hood is worn, and the warmth of the ear region sensitive to the cold may not be sufficient.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0926 discloses a muffler for cold protection with an earplug.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5579 can be used for the use of the front mask, muffler, mask, earplugs, hair bands, and hood, respectively, as in the general buff, but for the buff that can be used for the front mask and earplugs when worn. It starts. The earplugs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 not disclose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insulated and coupled to the hood while keeping the ears safe. If an additional ear warming portion is formed on the hood, the usability of the hood may be improved, but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hood having such a structure.

본 고안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s.

선행기술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10926호(박기수, 2010년11월08일 공개) 귀마개를 갖는 방한용 머플러Prior Art 1: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0926 (Park Ki-soo, published on 08/08/2010) Cold scarf with earplugs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385579호(박장호, 2014년04월15일 공고) 모자겸용 안면부 및 귀가 동시 커버되는 버프용 원단 및 상기 원단으로 제조된 모자겸용 마스크 및 귀마개 동시 기능형 버프Prior Art 2: Patent Registration No. 10-1385579 (Park Jang-ho, Announced April 15, 2014) A buff fabric that simultaneously covers the face and ears of a hat and a mask and a buff that simultaneously functions as a mask and earplugs made of the above fabric

본 고안의 목적은 귀 보온 부분이 형성되어 귀가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하면서 후드의 보온성의 향상되도록 하는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d with an ear warming portion that improves the heat retention of the hood while the ear warm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ear is safely protected.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는 착용 시 귀가 접촉되는 측면 부위에 귀 보온 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귀 보온 부위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부위에 비하여 보온성이 큰 소재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ear warming portion on a side portion where the ear comes into contact when wor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ar warm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heat retention compared to the side portion. .

본 고안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귀 보온 부위의 접촉 몸체의 안쪽 면에 형성된 오목 분리 부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concave separation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of the ear warming region.

본 고안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귀 보온 부위에 형성되어 외부의 소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경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inflow path that is formed in the ear warming portion to allow external sound to flow in.

본 고안에 따른 후드는 귀 보온 부위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드는 소리 유입 부분이 형성되어 후드의 착용 상태에서 외부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한다.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armth to be improved while the ear warming part is additionally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fit. In addition,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a sound inflow portion is formed so tha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not recognizing external sounds in the worn state of the hood is preven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에 적용되는 귀 보온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후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mbodiment of an ear warming unit applied to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고안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and are not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of the design, and well-known components ar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desig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의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후드는 착용 시 귀가 접촉되는 측면 부위(12a, 12b)에 귀 보온 부위(13a, 13b)가 형성되고, 상기 귀 보온 부위(13a, 13b)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부위(12a, 12b)에 비하여 보온성이 큰 소재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hood is used independently or used in combination with clothing,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are formed on the side portions 12a, 12b where the ears come into contact when worn, and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 13b)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heat retention compared to the side portions 12a and 12b.

후드는 머리의 위쪽을 덮으면서 얼굴의 뒤쪽 또는 귀를 포함하는 얼굴 측면을 보호하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두건 또는 이와 유사한 의류 또는 의류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는 독립적으로 착용되거나, 재킷 또는 코트의 위쪽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후드는 후드 몸체(11); 측면 부위(12a, 12b); 및 귀 보온 부위(13a, 13b)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드 몸체(11)는 재킷, 코트, 잠바 또는 이와 유사한 의류를 포함하는 기본 의류(14)에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후드 몸체(11)는 다양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면 부위(12a, 12b)는 후드 몸체(11)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덧댄 형태가 될 수 있다. 측면 부위(12a, 12b)는 얼굴의 앞쪽으로 돌출되거나, 얼굴을 아래쪽을 가리는 마스크 구조가 되거나, 이와 유사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부위(12a, 12b)에 귀 보온 부위(13a, 13b)가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후드가 착용된 상태에서 적어도 귀의 일부를 덮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귀 전체를 덮거나, 귀의 위쪽을 덮거나, 귀의 앞쪽을 덮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귀 보온 부위(13a, 13b)는 후드 몸체(11) 및 측면 부위(12a, 12b)에 걸쳐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보온성이 높은 양모, 면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후드 몸체(11) 또는 측면 부위(13a, 13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예를 들어 후드의 제조 과정에서 결합되거나,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또한 귀를 덮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hood can include a variety of forms that cover the top of the head and protect the face of the face, including the back or ears of the face, and can include a hood or similar garment or garment accessory. The hood can be worn independently, integrally coupled to the top of the jacket or coat, or detachably coupled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The hood includes a hood body 11; Lateral regions 12a, 12b; And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and the hood body 11 may be integrally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ic garment 14 including a jacket, coat, jumper, or similar garment. The hood body 11 may be made of various fabrics, and the side portions 12a and 12b may form a part of the hood body 11 or be padded. The side portions 12a and 12b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face, become a mask structure that covers the face downward, or have various shapes similar thereto. In addition, ear warming portions 13a and 13b may be formed on the side portions 12a and 12b or may be combined.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arranged in a position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ear while the hood is worn, for example, to be formed in a position covering the entire ear, covering the top of the ear, or covering the front of the ear. You can. As shown in FIG. 1,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made to span the hood body 11 and the side portions 12a, 12b,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made of wool, cotton, or similar material having high heat retention,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d body 11 or the side portions 13a, 13b, or detachable. have.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combined, for examp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ood, or independently made and combined.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can also be made into various shapes that can cover the ear and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에 적용되는 귀 보온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 shows an embodiment of an ear warming unit applied to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귀 보온 부위(13a, 13b)는 접촉 몸체(21)의 안쪽 면에 형성된 오목 분리 부위(22a)를 포함한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귀의 바깥쪽을 덮는 접촉 몸체(21); 접촉 몸체(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보호 부위(22); 접촉 몸체(21)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오목 분리 부위(22a); 및 보호 부위(22)의 둘레 면에 형성된 결합 부위(2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몸체(21)는 귀 전체를 덮는 형상을 가지면서 다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외부 층의 일부에 보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위(22)는 접촉 몸체(2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보호 부위(22)와 대응되는 안쪽 부분에 오목 분리 부위(22a)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 분리 부위(22a)는 귀가 수용되는 부분에 해당되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드의 착용 시 귀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후드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부위(23)는 귀 보온 부위(13a, 13b)에 의하여 귀 보온 부위(13a, 13b)가 후드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위(23)는 접촉 몸체(21)의 외부 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벨크로, 지퍼 또는 단추 방식으로 후드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결합 부위(23)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수단(24a, 24b)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수단(24a, 24b)은 예를 들어 탄성 링 구조가 될 수 있다. 후드에 고정 수단(24a, 24b)에 결합되는 채움 수단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수단(24a, 24b)이 채움 수단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귀 보온 부분(13a, 13b)이 후드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양쪽 귀를 각각 수용하는 접촉 몸체(21)는 연결 끈(26)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지만 연결 끈(26)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 분리 부위(22a)는 귀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면서 보온성이 높아질 수 있다. 후드가 착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귀로 유입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위험 상황의 발생이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 몸체(21)를 관통하는 형태로 유입 경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입 경로(25)가 보호 부위(22)로부터 오목 분리 부위(22a)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고, 유입 경로(25)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and 13b include a concave separation portion 22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21.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include a contact body 21 covering the outside of the ear; A protection portion 22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body 21; A concave separation portion 22a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contact body 21; And a binding site 23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ection site 22. The contact body 2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while having a shape covering the entire ea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layer may have a heat insulating structure. The protection portion 22 may be made to have a relatively robust structure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contact body 21, and a concave separation portion 22a may be formed in the inn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ection portion 22. . The concave separation portion 22a corresponds to a portion in which the ear is accommodated, and is formed concave from inside to outside to form a space where the ear is positioned when wearing the hood.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d, or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and the joining portion 23 may be formed by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by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It can be combined to be detachable. The engaging portion 23 may be made in a band-like or similar shape along the ed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21, and may be coupled to the hood, for example, by a Velcro, zipper or button method. Optionally, at least one fixing means 24a, 24b may be formed at the engaging portion 23, and the fixing means 24a, 24b may be, for example, an elastic ring structure. A filling means coupled to the fixing means 24a, 24b may be formed on the hood, and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hood by the fixing means 24a, 24b being coupled to the filling means. You can. The contact bodies 21 for accommodating both ea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trap 26 or similar means, but the connecting strap 26 may be selectively formed. The concave separation portion 22a may be made to have a size in which the ear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reby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and increasing the warmth.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outside does not flow into the ear while the hood is worn, and thus,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may not be recogniz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inflow path 25 may be formed in a form penetrating the contact body 21. At least one inflow path 25 may be formed to reach the concave separation region 22a from the protection region 22, and the inflow path 25 may be made of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후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가)를 참조하면, 후드의 측면 부위는 후드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귀 보온 부위(13a, 13b)는 후드 몸체(11)의 양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후드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후드 몸체(11)의 뒤쪽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수용 부위(31)가 형성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귀 보온 부위(13a, 13b)는 수용 부위(31)에 수용될 수 있다. 귀 보온 부위(13a, 13b)의 수용을 위하여 수용 부위(31)로부터 귀 보온 부위(13a, 13b)가 꺼내질 수 있고, 착용을 위하여 신장 끈(32a, 32b)을 당겨 후드 몸체(11)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귀 보온 부위(13a, 13b)는 귀마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3, side portions of the hoo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d body 11, and ear warming portions 13a and 13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od body 11. .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coupled to the hood body 11 in a detachable form, and optionally, a receiving portion 31 may be formed at the back of the hood body 11 or other suitable location. When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and 13b are not used,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and 13b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1. For the accommodation of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portion 31, and the wear body 32 of the hood body 11 may be pulled for wearing. Can be attached to the side. In this structure,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and 13b may function as earplugs.

도 3의 (나)를 참조하면, 후드 몸체(11)에 측면 부위(12a, 12b)가 형성될 수 있고, 귀 보온 부위(13a, 13b)는 측면 부위(12a, 12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내부로 소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 경로(25)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 경로(25)는 측면 부위(12a, 12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면서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귀 보온 부위(13a, 13b)의 안쪽 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귀 보온 부위(13a, 13b)는 다양한 구조로 후드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유입 경로(25)가 귀 보온 부위(13a, 13b)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B) of FIG. 3, side parts 12a and 12b may be formed on the hood body 11, and ear warming parts 13a and 13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side parts 12a and 12b. You can. In addition, an inflow path 25 may be formed to allow sound to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inflow path 25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portions 12a, 12b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may be coupled to the hood body 11 in various structures, and the inflow path 25 having various structures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It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본 고안에 따른 후드는 귀 보온 부위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드는 소리 유입 부분이 형성되어 후드의 착용 상태에서 외부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한다.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armth to be improved while the ear warming part is additionally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fit. In addition,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a sound inflow portion is formed so tha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not recognizing external sounds in the worn state of the hood is prevented.

위에서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desig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desig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11: 후드 몸체 12a, 12b: 측면 부위
13a, 13b: 귀 보온 부위 14: 기본 의류
21: 접촉 몸체 22: 보호 부위
22a: 오목 분리 부위 23: 결합 부위
24a, 24b: 고정 수단 25: 유입 경로
26: 연결 끈 31: 수용 부위
32a, 32b: 신장 끈
11: hood body 12a, 12b: side parts
13a, 13b: ear warming area 14: basic clothing
21: contact body 22: protection site
22a: concave separation site 23: binding site
24a, 24b: fixing means 25: funnel
26: connecting string 31: receiving area
32a, 32b: stretch string

Claims (3)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의류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후드에 있어서,
착용 시 귀가 접촉되는 측면 부위(12a, 12b)에 귀 보온 부위(13a, 13b)가 형성되고, 상기 귀 보온 부위(13a, 13b)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부위(12a, 12b)에 비하여 보온성이 큰 소재로 형성되고,
귀 보온 부위(13a, 13b)는 귀의 바깥쪽을 덮는 접촉 몸체(21); 접촉 몸체(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보호 부위(22); 접촉 몸체(21)의 안쪽 면에 형성된 오목 분리 부위(22a); 및 접촉 몸체(21)의 외부 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드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부위(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
In the hood used independently or attached to clothing,
Ear wearing portions 13a, 13b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12a, 12b where the ears come into contact when wor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ar insulating portions 13a, 13b have greater heat retention compared to the side portions 12a, 12b. Is formed of a material,
The ear warming portions 13a, 13b include a contact body 21 covering the outside of the ear; A protection portion 22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body 21; A concave separation portion 22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21; And a coupling portion 23 formed in a strip shape along the ed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body 21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귀 보온 부위(13a, 13b)에 형성되어 외부의 소리가 유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경로(25)를 더 포함하는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Hood having an ear warm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inlet path (25) is formed in the ear warming portion (13a, 13b) to allow the outside sound to flow.
KR2020180005433U 2018-11-26 2018-11-26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KR2004916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33U KR200491609Y1 (en) 2018-11-26 2018-11-26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33U KR200491609Y1 (en) 2018-11-26 2018-11-26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09Y1 true KR200491609Y1 (en) 2020-05-07

Family

ID=7061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33U KR200491609Y1 (en) 2018-11-26 2018-11-26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09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911A (en) * 1998-10-12 2000-04-25 Hochiki Corp Safety hood
KR20030061984A (en) * 2002-01-14 2003-07-23 김인곤 Head Cause
KR20100010926U (en) 2009-04-29 2010-11-08 박기수 Warm muffler having earmuffs
KR20120002764U (en) * 2010-10-13 2012-04-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Hat for protecting against the cold
KR101385579B1 (en) 2013-05-27 2014-04-15 박장호 Fabric for buff covering both face and ears and buff having functions of mask and ear warm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911A (en) * 1998-10-12 2000-04-25 Hochiki Corp Safety hood
KR20030061984A (en) * 2002-01-14 2003-07-23 김인곤 Head Cause
KR20100010926U (en) 2009-04-29 2010-11-08 박기수 Warm muffler having earmuffs
KR20120002764U (en) * 2010-10-13 2012-04-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Hat for protecting against the cold
KR101385579B1 (en) 2013-05-27 2014-04-15 박장호 Fabric for buff covering both face and ears and buff having functions of mask and ear war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230A (en) Multifunction head apparel
US7043761B2 (en) Removable insulated head gear lining
KR200451355Y1 (en) Upper garment
KR200491609Y1 (en) A Hood Having a Part for Warming an Ear
KR102235074B1 (en) Shirt
US20120137408A1 (en) Neck Protecting Scarf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48562Y1 (en) jacket for covering baby on one's back
KR20220085394A (en) Mask having neck protection function
KR200421775Y1 (en) Detachable neckpiece with headgear
KR101314798B1 (en) A Cylindrical Scarf
KR200367770Y1 (en) a chin string cover for a safety hats
TW202045050A (en) coat
KR20110038755A (en) The hat which prevented that covered a visual field
JP3204723U (en) coat
JP2009161880A (en) Cap
JP3189089U (en) Clothing
TWM485621U (en) Inflatable ventral band
KR200480036Y1 (en) Baby carrier cover
KR200472399Y1 (en) A hood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KR102128172B1 (en) A Wearing Clothing Article Having a Protecting Wing
KR200381492Y1 (en) mask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JP3132414U (en) Breathable hat
KR200463694Y1 (en) muffler with warming pocket for ear
KR200262403Y1 (en) earplug
KR20090132997A (en) Built-in liner cap with attachment for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