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99Y1 - trunk m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runk ma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99Y1
KR200491499Y1 KR2020190003408U KR20190003408U KR200491499Y1 KR 200491499 Y1 KR200491499 Y1 KR 200491499Y1 KR 2020190003408 U KR2020190003408 U KR 2020190003408U KR 20190003408 U KR20190003408 U KR 20190003408U KR 200491499 Y1 KR200491499 Y1 KR 200491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vehicle
mat
shap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4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은주
한희봉
Original Assignee
진은주
한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은주, 한희봉 filed Critical 진은주
Priority to KR2020190003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9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removable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는: 차량 후방의 트렁크의 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서는 테두리 경계부가 측면을 이루도록 마련된 매트 본체; 및, 평면상 상기 매트 본체의 전방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구비된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절개 분리가 용이하게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 후방의 트렁크에서 휠 섀시나 스피커 등과 같은 장애물을 제외한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손쉽게 맞춤식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따라 일일이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작될 필요없이 차량의 트렁크 바닥에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며 트렁크 내부의 오염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vehicle trunk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a floor shape of a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upper portion being opened, and a border boundary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form a side surface; And, a pair of wings provided to extend from side to side in front of the mat body on a plan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g part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separation is easily partitioned.
Thereby, it is easily customiz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trunk except for obstacles such as wheel chassis or speakers from the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A trunk mat for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at the bottom of the trunk, prevents the flow of goods loaded in the trunk, and also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trunk, and can provide a trunk mat for vehicles that can be easily cleaned .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매트 {trunk mat for vehicle}Vehicle trunk mat {trunk m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트렁크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방의 트렁크에서 휠 섀시나 스피커 등과 같은 장애물을 제외한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손쉽게 맞춤식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따라 일일이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작될 필요없이 차량의 트렁크 바닥에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며 트렁크 내부의 오염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mat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easily customized to be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trunk floor excluding an obstacle such as a wheel chassis or a speaker from a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runk floor of various shapes. Without need to be manufactured through a separate mold, it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at the bottom of the trunk of the vehicle, prevents the flow of goods loaded in the trunk, and also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trunk, and can be easily cleaned. It's about a car trunk mat that can be don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짐 등을 보관하기 위한 트렁크가 차체의 뒷부분에 마련되어 있다.Generally, a trunk for storing luggage and the like is provided in a rea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또한, 이와 같은 트렁크의 바닥에는 예비용 타이어가 보관된 타이어 보관부를 평평하게 덮어 주면서 트렁크 바닥에 어느 정도의 쿠션성을 부여하여 짐을 안전하게 보관해 줌과 동시에 트렁크 바닥 및 짐의 손상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매트가 깔려져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trunk is covered with a flat tire storage area where spare tires are stored, and a certain degree of cushioning is provided to the bottom of the trunk to safely store the luggage and prevent damage to the trunk and luggage. The mat is laid.

상기와 같은 매트는 종래에는 통상 두꺼운 부직포로 된 것이거나, 또는 예비용 타이어 보관부에서 매트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판 등의 하드 보드(hard board)를 먼저 깔고 이 위에 부직포를 깔아 준 것이었다. The mat as described above is conventionally made of a thick non-woven fabric, or a hard board such as plywood is first laid to prevent the mat from sagging downward in the spare tire storage section, and a non-woven fabric is laid thereon. It was.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7-034563호(1997년 7월 26일자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vehicle trunk m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7-034563 (published July 26, 1997).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에 의하면, 트렁크의 바닥 형상이 휠 섀시나 스피커 등에 의해 차종 등에 따라서 각기 달라지기 때문에 트렁크 매트의 형상을 일일이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트렁크 매트의 대량생산이 불리하고 비용이 많이 상승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trunk m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trunk varie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such as a wheel chassis or a speaker, the shape of the trunk mat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so mass production of the trunk mat is disadvantageous and cost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rise a lot.

특히, 트렁크 매트를 합성수지재질로 어느 일정한 형상으로 대량 생산할 경우, 최종 소비자가 아닌 중간 메이커 등에서 차량의 트렁크에 트렁크 매트를 미리 설치할 때에 휠 섀시나 스피커 위치나 모양 등의 차이에 따라서 미리 별도의 금형으로 제각각 상이한 모델의 트렁크 매트를 별도로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 비용 등이 크게 상승 되고, 설치도 까다로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ss production of a trunk mat in a certain shape using synthetic resin material, when a trunk mat is installed in the trunk of a vehicle in advance by an intermediate maker, etc., not as an end consumer, in a separate mold in advance according to differences in wheel chassis or speaker position or shape, etc. Since the trunk mats of different models have to be molded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ld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and installation can be difficult.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7-034563호(1997년 7월 26일자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room 1997-034563 (published July 26, 199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후방의 트렁크에서 휠 섀시나 스피커 등과 같은 장애물을 제외한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손쉽게 맞춤식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따라 일일이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작될 필요없이 차량의 트렁크 바닥에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며 트렁크 내부의 오염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를 제공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easily customized to be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runk floor except for obstacles such as wheel chassis or speakers in the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runk floor of various shapes. It can be installed easily and inexpensively at the bottom of the trunk of the vehicle without having to be manufactured through a separate mold, prevents the flow of goods loaded in the trunk, and also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trunk, and can be easily cleaned. The aim is to provide a trunk mat for a vehicle that is capable of being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는: 차량 후방의 트렁크의 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서는 테두리 경계부가 측면을 이루도록 마련된 매트 본체; 및, 평면상 상기 매트 본체의 전방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구비된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되,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trunk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a floor shape of a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upper part being opened, and a border boundary portion along the periphery forming a side surface; And, a pair of wings provided to extend from side to side in front of the mat body on a plane; includes,

상기 한 쌍의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절개 분리가 용이하게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g part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separation is easily partitioned.

여기서, 상기 매트 본체 및 날개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 body and the wing part are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그리고, 상기 테두리 경계부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boundary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form of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 후방의 트렁크에서 휠 섀시나 스피커 등과 같은 장애물을 제외한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손쉽게 맞춤식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따라 일일이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작될 필요없이 차량의 트렁크 바닥에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며 트렁크 내부의 오염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be manufactured through a separate mol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runk floor of various shapes by easily custom-deforming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runk floor except for obstacles such as wheel chassis or speakers in the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Provided is a vehicle trunk ma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at the bottom of a vehicle's trunk, prevents the flow of goods loaded in the trunk,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trunk, and can be easily cleaned. You ca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에서 우측 날개부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을 절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에서 좌측 날개부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을 절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runk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runk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ure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incising and separating a portion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right wing portion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 4;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trunk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 8,
10 is a plan view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 8,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incising and separating a portion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left wing portion of the vehicle trunk mat of FIG. 8.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방의 트렁크의 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바닥면(111)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서는 테두리 경계부(115)가 측면을 이루도록 마련된 매트 본체(110)와, 평면상 상기 매트 본체(110)의 전방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구비된 한 쌍의 날개부(120)를 포함한다. Vehicle trunk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has a bottom surface 111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hape of the trunk of the rear of the vehicle, the top is open and the border boundary portion 115 along the circumference It includes a mat body 110 provided to form a side surface, and a pair of wing portions 120 provided to extend from side to side in front of the mat body 110 in plan view.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부(113)가 돌출 형성된다.1 to 3, a plurality of anti-skid parts 113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 body 110.

미끄럼 방지부(113) 각각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또는 벌집의 형태를 갖도록 마련된다. Each non-slip portion 113 is provided to have a diamond or honeycomb shape.

이에 따라,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물품의 유동이 미끄럼 방지부(113)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low of the article loaded in the trunk by the anti-slip portion 113.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경계부(115)는 바닥면(111)에 대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rder boundary portion 115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in an extended form toward the outside from the bottom to the top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11.

이에 따라, 테두리 경계부(115)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평면 공간이 좀더 확보되어 물품을 더욱 편리하게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 안에 적재할 수 있고,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청소도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lat space of the vehicle trunk mat 100 formed by the border boundary 115 is more secured, so that the article can be more conveniently loaded in the vehicle trunk mat 100 and the vehicle trunk mat 100 is cleaned. It can also be done easily.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날개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절개 분리가 용이하게 구획 형성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4,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g portions 120 is partitioned to facilitate incision separation.

이에 따라, 차량 후방의 트렁크에서 휠 섀시나 스피커 등과 같은 장애물을 제외한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손쉽게 맞춤식으로 변형하여 다양한 형상의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따라 일일이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작될 필요없이 차량의 트렁크 바닥에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며 트렁크 내부의 오염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청소도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easy to be customiz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trunk, excluding obstacles such as wheel chassis or speakers from the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without having to be manufactured through separate mold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trunk of various shapes. A trunk mat for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at the bottom of the trunk, prevents the flow of goods loaded in the trunk, and also prevents contamination inside the trunk, and can provide a vehicle trunk mat that can be easily cleaned .

좀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한 쌍의 날개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에서 상부로 정 단면상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최 외측에서 구획 분리되는 공간과 구획되게 하는 구획부(121)를 포함하고, 구획부(12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정 단면상으로 ‘U’자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다른 부분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 절개 분리부(123)가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g part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have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in a forward-to-top sec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section. It includes a partition portion 121 to be partition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121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the form of a 'U' in a regular cross-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with a cut-off part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other parts It is preferable that (123) is recessed.

이에 따라,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소비자가 아닌 중간 메이커가 차량의 트렁크에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를 설치할 때에 휠 섀시나 스피커 등에 의해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커터(10)로 절개 분리부(123)를 손쉽게 절개하여 구획부(121)에 의해 날개부(120)에서 구획된 최 외측의 구획 분리 공간을 분리해내어 차종이나 장애물 등에 따라 달라지는 트렁크 바닥의 형상에 따라서 용이하게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7 and 11, when the intermediate maker, not the final consumer, installs the vehicle trunk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unk of the vehicle, the cutter is installed so that there is no obstacle to installation by a wheel chassis or speakers, etc. (10) The incision separation part 123 is easily incised to separate the outermost compartment separation space partitioned from the wing part 120 by the compartment part 121, and thus to the shape of the trunk flo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or obstac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vehicle trunk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매트 본체(110) 및 날개부(12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 body 110 and the wings 120 are preferably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를 하나의 금형으로 용이하게 성형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고, 부직포와는 달리 오염물이 묻게 되더라도 간편하게 청소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ehicle trunk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lded into a single mold to be mass-produced at a low cost, and can be easily cleaned even if contaminants are deposited unlike the nonwoven fabric.

즉,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매트는 차량의 트렁크에 수분이 많은 물체나 물 및 기름, 또는 액상의 불순물이 포함된 화물을 적재할 경우, 운반도중 발생하는 차량의 진동이나 급출발 및 급제동 등으로 인하여 상기 이물질들이 매트 상으로 유출되면 매트 및 적재물의 손상과 오염을 야기하게 되고, 매트의 구조상 트렁크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없어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며, 유출된 이물질이 심한 악취를 풍기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는 액체의 흡수율이 낮은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오염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테두리 경계부(115)에 액체의 외부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부를 형성하여 트렁크 전체의 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ehicle trunk mat, when a cargo containing a watery object, water, oil, or liquid impurities is loaded in the trunk of the vehicle, the foreign matter is caused by vibration, sudden start and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occurring during transportation. When they leaked onto the mat, it caused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mat and the load, an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at, it could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runk, making it difficult to wash, and having a problem such as a spilled foreign substance having a bad odor. The trunk ma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low water absorption rate, and thus has less pollution, extends service life, and increases durability, as well as external leakage of liquid to the border boundary portion 115. Protrusions for blocking can be formed to effectively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ntire trunk.

여기서,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두께는 트렁크에 주로 적재되는 적재물의 크기나 하중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vehicle trunk m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ovided to vary depending on the size or load of a load mainly loaded in the trunk.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우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좌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unk mat 100 for a vehicle in which a section separat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right wing portion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unk mat 100 for a vehicle in which a section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art of the left wing 120 is formed.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우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우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평면도이다.FIG. 5 is a front view of a trunk mat 100 for a vehicle in which a portion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right wing portion 120 is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ight 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trunk mat 100 for a vehicle in which a section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art 120 is formed.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좌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좌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매트(100)의 평면도이다.In addition, FIG. 9 is a front view of a trunk mat 100 for a vehicle in which a divid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left wing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the trunk mat 100 for a vehicle in which a section separat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left wing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터(10)로 절개 분리부(123)를 절개해내어 우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을 손쉽게 절개 분리하도록 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터(10)로 절개 분리부(123)를 절개해내어 좌측 날개부(120)의 최 외측에 구획 분리된 부분을 손쉽게 절개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sed part 123 is incised by the cutter 10 to easily separate the part separated into the outermost part of the right wing part 120. It can be made to separate the incision, as shown in Figure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the incision separation portion 123 with a cutter 10 to the outermost section of the left wing 120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incised portion.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It is natural.

100 : 차량용 트렁크 매트 110 : 매트 본체
111 : 바닥면 113 : 미끄럼 방지부
115 : 테두리 경계부 120 : 날개부
100: vehicle trunk mat 110: mat body
111: bottom surface 113: anti-skid
115: border boundary portion 120: wing portion

Claims (3)

차량 후방의 트렁크의 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서는 테두리 경계부가 측면을 이루도록 마련된 매트 본체; 및
평면상 상기 매트 본체의 전방에서 좌우로 연장되게 구비된 한 쌍의 날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절개 분리가 용이하게 구획 형성되고,
상기 매트 본체 및 날개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테두리 경계부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에서 상부로 정 단면상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최 외측에서 구획 분리되는 공간과 구획되게 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정 단면상으로 ‘U’자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다른 부분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 절개 분리부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매트.

A mat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a floor shape of a trunk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upper part being opened, and a rim boundar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form a side surface; And
A pair of wings provided to extend from side to side in front of the mat body on a plan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g portions is easily partitioned by incision separation,
The mat body and the wings are made of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order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form of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wing parts is provid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in a forward cross-s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includes a space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most part and a compartment to be divided. A trunk mat for a vehicle, which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the shape of a 'U' in a cross-section and is recessed so as to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other part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90003408U 2019-08-19 2019-08-19 trunk mat for vehicle KR2004914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08U KR200491499Y1 (en) 2019-08-19 2019-08-19 trunk m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08U KR200491499Y1 (en) 2019-08-19 2019-08-19 trunk ma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99Y1 true KR200491499Y1 (en) 2020-04-16

Family

ID=7045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408U KR200491499Y1 (en) 2019-08-19 2019-08-19 trunk ma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9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60Y1 (en) * 2020-06-03 2021-04-23 한희봉 Trunk mat of anti-scratches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563A (en) 1995-12-26 1997-07-22 김태구 Car air conditioner
KR970057642U (en) * 1996-04-19 1997-11-10 주진호 Car trunk mats
KR20190001641A (en) * 2017-06-27 2019-01-07 주식회사 씨앤커뮤니케이션즈 Car M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4563A (en) 1995-12-26 1997-07-22 김태구 Car air conditioner
KR970057642U (en) * 1996-04-19 1997-11-10 주진호 Car trunk mats
KR20190001641A (en) * 2017-06-27 2019-01-07 주식회사 씨앤커뮤니케이션즈 Car M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60Y1 (en) * 2020-06-03 2021-04-23 한희봉 Trunk mat of anti-scratches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71419A1 (en) Flexible custom floor mats
USD662463S1 (en) Automobile tire
USD535610S1 (en) Automobile tire
CA2807355C (en) All vehicle mats
USD531115S1 (e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USD531111S1 (e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CN105813857A (en) Evolving tread for a tyre
JP2015512352A (en) Driven axle tire tread for heavy-duty vehicles
USD615026S1 (en) Automobile tire tread
CN105082889A (en) Pneumatic tire
KR200491499Y1 (en) trunk mat for vehicle
CN101678720B (en) Pneumatic tire
CN105829136A (en) Evolving tyre tread
CN105730152A (en) Pneumatic tire and molding die thereof
JP2013525194A (en) Trailer type heavy vehicle tire tread
CN109070650B (en) Tyre for vehicle wheels
CN110121433B (en) Tread for heavy goods vehicle tyre
JP2010254049A (en) Pneumatic tire
USD600629S1 (en) Tire
CN101754870B (en) Pneumatic tire
USD922936S1 (en) Non-pneumatic tire
USD584220S1 (en) Tread portion of an automobile tire
CN101754869B (en) Pneumatic tire
JP5479935B2 (en) Pneumatic tire
JP2020152126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